Test Exam [ILIFO] Flashcards
(122 cards)
1회 1-1. 3D 스위트닝(sweetn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정의 - 인간 친화적인 3D입체 영상을 만들어 내는 기법 ▣ 등장배경 - 3D컨텐츠의 한계성 : 피로도 - VR시장의 한계성 : 두통발생 ▣ 기존 3D 문제점 해결 방법 1) 문제점 (두통유발) - 크로스토크 : 좌,우의 영상이 서로 시청에 영향을 주는 현상 - 타임싱크 : 시간동기화 문제 - 색상불일치 2) 해결방법 - 기하학적 보정 - 공간분석 - 창의적 공간연출 ▣ 주요기법 1) 기하학적 보정 - 카메라 alignment : 카메라간 특징점 비교, 렌즈 왜곡 보정, 시차 맵 기반 유사성 도출 2) 공간분석 - 실시간 메타데이터 : 레이아웃 기반 시각화, 3차원 시각화 3) 창의적 공간연출 - 깊이 스크립트 : 원근 기하 왜곡 방지, 원근 파라미터 변경 ▣ 주요현황 - 3D컨텐츠 : 3D스위트닝 기반 제작 - VR한계성 : 크로스토크현상이 VR로 연결
1회 1-2. 인터넷융합경제(Iconomy)를 설명하시오.
▣ 정의 - 인터넷은 생산성 향상과 효율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람, 사물, 기계 등과 연계되고 전 산업과 융합하면서 산업구조를 획기적으로 전환한다는 패러다임 ▣ 특징 - 혁신적 시장 조성 : 융합 신산업 - 신 경제 시스템 : 산업 융합 ▣ 발전구성 1) 산업경제 - 공업시대, 산업혁명 - 증기기관, 자본설비 - 개별 산업중심 성장 2) 인터넷 경제 - 정보시대, 정보/지식혁명 - 컴퓨터, 인터넷, 디지털 컨텐츠 - ICT로 생산성 제고 3) 인터넷 융합 경제 - 융합시대, 초연결혁명 - 융합/초연결, 데이터 - 연결, 융합으로 신산업 창출 ▣ 주요 구성 1) 연결 - 커넥티드 홈, 스마트시티 - 커넥티드 모빌리티 2) 데이터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 데이터 큐레이터 3) 플랫폼 - IOT 플랫폼, 데이터 플랫폼 - 서비스 플랫폼 4) 롱테일 - 1인창조 기업, 크라우드 소싱 - 공유경제 5) 경제파괴 - 핀테크, 스마트 팩토리 - 웨어러블 산업 6) 트릴리언 센서 - 의료, 농축산, 식품, 물류 7) 인에이블러 기술 - 센서, 통신대역폭, IPv6 - 스마트폰, 유비쿼터스 무선, 빅데이터 ▣ 현황 - 공장 형 농장 - 운전습관 연계 보험 - 착용 형 기기
1회 1-3. 챗봇(Chabot)의 장점과 동향을 설명하시오.
▣ 정의 - 사람과의 문제 대화를 통해 질문에 알맞은 답이나 각종 연관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 구성요소 - Human Interface - Parsing/NLP (Processing) - Reply/NLG (Generation) ▣ 주요기술 - 패턴인식 - 자연어처리 - 시멘틱 웹 - 텍스트 마이닝 - 상황인식컴퓨팅 ▣ 활용분야 1) 대화형 커머스 및 O2O - 쇼핑, 비행기예약, 숙소예약, 레스토랑 예약 및 주문, 택시 호출 - Amazon, eBay, 카카오, 인터파크 2) 개인비서 서비스 - 헬스케어, 뉴스피드, 날씨정보, 금융상담, 일정관리, 길찾기 - Google, MS, Pancho, CNN, 샤오밍, Skype 3) 공공 서비스 - 법률상담, 세금납부, 부동산정보, 구인구직 - 법무부, 경기도청, 미야 4)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 광고, 미디어, 방송안내, 데이팅, 공연 - WeChat 5) 기업용 메신저 - 정보검색, 파일공유, 데이터보관, 팀원정보 공유, 자동사무화 - Slack, CareerLark, Wework
1회 1-5. ATDD (Acceptance Test Driven Development)를 설명하시오.
▣ 개념 - 테스트로 부터 시작해서 구현을 마무리 짓는 TDD의 범위를 소스 코드 수준에서 기능 테스트 수준까지 확장하여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는 테스트 자동화 방법 ▣ 필요성 - 테스트 케이스 명확화 - 커뮤니케이션 도구 ▣ 절차 1) User Story 2) Discuss : 요구사항 3) Distill : 인수테스트 케이스 4) Develop : TDD 수행, 구현 5) Demo : 탐색적 테스트
1회 1-7. MDD(Model Driven Development)를 설명하시오.
▣ 정의 - MDA기반의 SW개발 방식으로 플랫폼 독립적인 PIM으로부터 플랫폼 종속적인 PSM으로 자동 변환하고, 소스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는 방법 - 플랫폼에 맞는 SW를 쉽고 빠르게 개발하는 방법론 ▣ MDD 모델의 구조 - 비즈니스 모델 - PIM - PSM ▣ 개발 프로세스 1) MDA 개발 - 타겟 플랫폼 식별 - 메타모델 식별 정의 (CWMs) - 매핑 기법 정의 구현 (UML) 2) MDA 기반 Appl 개발 - PIM 모델 작성 (MOF) - PSM모델 작성 (XMI) - Application 완성 ▣ 기대효과 - 메타모델 기반 공정 자동화 - 프로젝트 진행 전체 재사용 - 시스템 이식성 향상 ▣ 성공사례 - 전북은행 - 하이브리스 : SAP 이커머스 MDD 플랫폼
1회 1-9. 시장세분화를 설명하시오.
▣ 개념 - 수요층별로 시장을 분할화 또는 단편화하여 각 층에 대해 집중하는 마케팅 전략 ▣ 필요성 - 고객 : 다양화, 구체화, 명확화 - 시장 : 성숙화, 진입, 차별화 - 기업 : 정확성, 미래 역량, 대응 전략 ▣ 시장세분화 프로세스 1) 시장분석 (4C) 2) 시장세분화 - 기준변수 선정 : 인구, 지역, 성별, 나이 - 시장 별 프로파일 개발 : 경쟁적 좌표, 개개인의 집합, 구매와 사용주체 3) 표적시장 선정 - 측정변수 개발 : 시장별 NPV, 수익, 비용 추이 - 표적시장 선정 : 차별화전략, 비차별화, 집중화 4) 포지셔닝 - 표적시장 별 위치파악 : 속성, 사용자, 경쟁상품 - 표적시장 별 마케팅 믹스 : 전략 수립 ▣ 시장 세분화 사례 - 월마트 : 소도시에 월마트 입점 - 블루클럽 : 남성전용 미용실 - 아마존 웹 서비스 : 중소기업 대상 유연한 과금 체계 ▣ 해외진출 시 고려사항 - 어디서 - 누구에게 - 무엇을 - 누구와경쟁 - 어떻게 ▣ 글로벌 시장 세분화 변수 - 인구 - 지리적 변수 - 심리적상태 변수 - 구매행동 변수 - 구매혜택 변수 - 인종별 변수
1회 1-10. 인공지능 헬스케어를 설명하시오.
▣ 개념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체 정보 및 건장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의료기관, 개인, 보험, 의약품 분야에 정보를 제공하여 간강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기술 ▣ 특징 - 빅데이터 - 인공지능 - 생체정보 ▣ 구성 - 의료시스템 - 의료정보 교환 - 스마트도구 - 스마트의료 기기 - 보험정보, 의료진정보, 보건지식 ▣ 주요 서비스 1) 병원 - 치료법 개발 촉진 - 치료정보 협진 활성화 - 개인형 맞춤 치료 2) 개인 - 건강관리 - 모니터링 3) 보험 - 고위험군 분류 - 보험 업무 자동화 - 보험서비스 개발 4) 의약품 - 시뮬레이션 - 신약실험 - 맞춤형 의약품 개발
1회 1-11. 카노모델을 설명하시오
▣ 정의 - 어떤 상품을 기획할 때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소비자가 기대하는 것과 충족시키는 것 사이의 주관적 관계 및 요구사항의 만족, 불만족에 의한 객관적 관계를 설정하여 분석하는 기법 ▣ 구성 - Satisfied, Dissatisfied - Need not Fulfilled, Need well Fulfilled - Excitement - Performance - Basic - Indifference
1회 1-12. 데이터레이크(Data Lake)의 개념과 데이터레이크 보호를 설명하시오.
▣ 정의 - 막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본연의 형식 그대로, 필요해질 때까지 보관하는 저장소 ▣ 특징 - 원래 포맷 저장 - 비용 절감 - 기존 시스템 병행 ▣ 구성 - 엔터프라이즈 DW - 디스커버리 플랫폼 - 데이터 레이크 : Hadoop Echo System ▣ 보호방법 - 접근 및 권한부여 - 강력한 ID관리 - 감사 프로세스 - 사고 대응 계획 - 데이터 암호화 구현
1회 1-13. Zero-liability(책임 없음)제도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개념 - 고의적인 행동이 아닌 이상 소비자에게 분실, 도용이나 해킹에 따른 책임을 지우지 않는 의미 ▣ 배경 - 개인의 한계성 - 소비자 보호 ▣ 영역 1) 개인 책임 - 계정정보 2) 사업자 책임 - PC/Agent : 브라우저 - 보안장비 : F/W, FDS - 금융/카드 서버 - 금융정보 ▣ 범위 1) 개인의 보안 영역 : 계정 2) 고의성 영역 : 고의성 3) 책임소재 파악 : 도용 4) 이상거래 파악 : FDS 5) 약관 명시 : 사업자 책임
1회 1-14. 도커 (Dock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정의 - 하이퍼바이저 없이 리눅스 컨테이너(LXC) 기술 기반으로 응용 모듈을 격리된 상태에서 실행하는 가상화 기술 ▣ 기술요소 및 동작 1) 기술요소 - Docker File - Docker Image - Docker Engine - Docker Hub 2) 주요동작 - Store / Build - Run / Remove - Push / Pull ▣ 에코 시스템 - Kubernetes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Docker Compos : 컨테이너 정의, 실행 - Swarm : 클러스터링 - KiteMatic : Mac 도커 - Docker Machine : 도커 호스트 구축 - Panamax : 템플릿 기반 컨테이너 관리
1회 2-2. 정부에서 금융사의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Fraud Detection System) 구축을 의무화 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 함에 따라 금융권에서 이상거래탐지시스템 구축이 확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 대해 설명하시오.
가. 이상거래탐지시스템의 개념
나. 이상거래탐지시스템의 기능 및 주요 탐지 모델
다. 이상거래탐지시스템 구축 시 고려사항 및 기대효과
▣ 정의 - 전자금융거래에 사용되는 단말기 정보, 접속정보, 거래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의심거래를 탐지하고, 이상금융거래를 차단하는 시스템 ▣ 특징 - 컴플라이언스 :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의 금융전산 보안강화 종합대책 - 빅데이터기반 : 탐지패턴 구축, 효과 제고 기계학습 적용 ▣ 기능 (정분대감) - 정보 수집 기능 - 분석 및 탐지 기능 - 대응 기능 - 모니터링 및 감사기능 ▣ 탐지모델 1) 오용탐지모델 (과거 정보 기반) - 패턴탐지모델 : 사고정보패턴 - 상태전이모델 : 정상거래비교 2) 이상탐지모델 (행위 기반) - 통계모델 : 이용자 프로파일 - 데이터 마이닝 모델 : 규칙발견
1회 2-3. 최근 지진, 태풍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어 비즈니스 연속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업무연속성계획(BCP) 개념, 구성요소, 구축절차, 프레임워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정의 - 주요 비즈니스 기능의 중단 상황을 계획된 목표 수준이나 필수불가결한 변경 수준으로 제한하면서 조직이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절차 및 계획 ▣ 필요성 1) 기술적 측면 - 복구과정의 효과적 통제 - 유무형 손실 예방 및 최소화 2) 사업적 측면 - 사업 연속성 유지 - 고객보호 및 고객만족 3) 환경적 측면 - 자연재해 대응 ▣ 구성요소 - DRS (Disaster) - BR (Business) - BIA - Backup - Planning ▣ 구축절차 - BCP 착수 - 위험요소 분석 - 업무영향분석 - 비즈니스 연속성 전략개발 - 재해 시 대응 및 운영방안 마련 - BCP 개발 - 재해 대응훈련 및 교육 - BPC구현 - 운영 - 관계당국과 협력 ▣ 프레임워크 (재복업비 위인프조) - 업무재개 - 재해복구 - 업무연속성 전략 - 위험관리 정책 - 비상계획 : 위험관리계획, 업무복구계획 - 인프라 : DR, 건물시설 - 프로세스 : 복구절차, BIA, RTO - 조직/인력 : 모의훈련, 유지관리
1회 2-5. 최근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경쟁력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중요성 및 품질속성을 설명하고, 품질속성 시나리오의 6 가지 항목을 나열하시오.
▣ 중요성 1) 비즈니스 측면 (의사소통) - 요구공학 - 추상화 2) 아키텍처 측면 (초기설계) - 설계적 제약 - 구조 - 작동 - 진화 3) 시스템 측면 (컴포넌트 구조) - 상호관계 표현 ▣ SW 아키텍처 품질속성 (가변성 보사시) (시비프 목신노) (무정완용) 1) 시스템 품질속성 - 가용성 - 변경용이성 - 성능 - 보안성 - 사용편의성 - 시험용이성 2) 비즈니스 품질속성 - 시장적시성 - 비용과이익 - 시스템의 프로젝트 생성 주기 - 목표시장 - 신규발매 일정 - 노후시스템과의 통합 3) 아키텍처 품질속성 - 개념적 무결성 - 정확성과 완전성 - 개발용이성 ▣ SW 아키텍처 품질속성 시나리오 6가지 항목 (자자대 환응측) 1) 자극 유발원 - 사람, 컴퓨터, 기타장치 2) 자극 - 반응의 원인 3) 대상체 - 자극을 받는 대상 4) 환경 - 특정 환경 5) 응답 - 자극 도달 후 행위 6) 응답측정 - 대응 결과값
1회 2-6. 2020 년 3 단계 일부 상용을 목표로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자율주행에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자율주행 개념 및 필요성
나. 자율주행을위한핵심부품및기술
다. 2020년 3단계 일부 상용을 위한 추진전략.
▣ 개념 (인판제) 1) 인지 - 경로탐색 : 디지털 지도 - V2X : V2V, V2I, V2N - ADAS 센서 :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2) 판단 - 주행상황 판단 및 주행전략 - 주행경로 생성 3) 제어 - 차량제어 - 엔진 가/감속 - 조향 - 방향 ▣ 정의 - 운전자의 조작 없이 목표지점까지 스스로 주행환경을 인식하여 운행하는 최첨단 자동차 ▣ 필요성 1) 교통 - 교통사고 경감 - 교통혼잡 감소 2) 편의 - 운전편의 - 시간활용 3) 환경 - 환경보호 ▣ 핵심부품 1) 인식 - 레이더 센서 : 레이더, 라이다 - 영상 센서 : 카메라, 적외선 - 측위 모듈 : GPS, 자이로스코프 - 디지털 맵 : GIS, 지자계 2) 판단 - 개인화 모듈 : 카메라 - 기록장치 : 마이크, 카메라 3) 통신 - V2X통신 : 모델, 이더넷, WiFi - HVI 모듈 : HUD - 통합 DCU 모듈 : IVN, DCU 4) 제어 - 스마트 액추에이터 : 엑추에이터, 센서 ▣ 핵심기술 1) 인식 - 센싱기술 : 카메라, 적외선,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가속계, GPS - 통신기술 : V2X 2) 판단 - 매핑기술 : 점, 선 좌표 - 인공지능기술 : 위치, 방향, 속도, 보행자, 장애물 인식 3) 제어 - 통신기술 : V2X - 인터페이스 : HMI(Head Mounted) ▣ 추진전략 1) 1단계 (2015년) - 범 정부 지원체계 구축 - 법, 기준, 보험 제도 정비 - 완성차 개발 착수 2) 2단계 (2017년) - 평창올림픽 시범운영 - 차선표기 수치지형도 구축 - 고속도로 테스트 배드 - 보안기술 개발 - 자율 주행차 시범 서비스 3) 3단계 (2020년) - 일부 상용화 - 책임, 보험, 리콜, 검사 기준 확정 - 차선정보 및 GPS(전국) 정보 공유 - 자율 주행차 생산 및 판매
1회 3-1. D-Wave 에서 세계 최초 상용 양자컴퓨터를 출시하면서 양자컴퓨팅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양자컴퓨팅의 개념
나. 양자컴퓨팅의 원리
다. 양자암호통신
▣ 정의 - 양자역학에서 예측하는 가장 특이한 특성인 상태중첩(Superposition)과 얽힘(Entanglement)을 이용하여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기계 장치 ▣ 특징 - 얽힘 : 두 양자가 멀리 떨어저 있어도 존재 - 중첩 : 측정하기 전에 정확한 양자 상태 알수없음 - 관측붕괴 : 관측 시 원래 상태 붕괴 - 복사불가 : 동시에 여러 상태를 복제 불가 ▣ 원리 1) 큐비트 동작 - 고전비트 : 0 또는 1 - 큐비트 : 0과 1 동시 가능 2) 동작원리 - 큐비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 원자핵 스핀 : 관측전 동시 우회전, 좌회전 상태. 관측 후 상태 확정 (우회전 0, 좌회전 1) - 양자비트 처리 : 필요 데이터만 관측 - 얽힘을 통한 장거리 전송 - QFT (Quantum Fourier Transform) : 양자 변환, 짧은 시간에 소인수 분해
1회 3-1. D-Wave 에서 세계 최초 상용 양자컴퓨터를 출시하면서 양자컴퓨팅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양자컴퓨팅의 개념
나. 양자컴퓨팅의 원리
다. 양자암호통신
▣ 개념 - 광자가 특정한 편광방향을 가진 디지털 비트(0,1)로 전송하고, 편관필터로 측정하여 수신하는 방식 ▣ 원리 - 빛의 편광 성질을 이용 - 측정 전/후가 달라질 수 있어 복사와 층폭이 불가능한 양자 상태 이용 ▣ 기술요소 1) 키 분배 - 비밀키 2) 암복호화 - 송신 : 두가지 비트 광자 전송 - 수신 : 두가지 편광필터 측정 3) 인증 - 검증 : 송수신 방식만 비교 ▣ 송수신 방식 1) 송신 - 수평편광, 대각편광 : 비트=0 - 수직편광, 역대각편광 : 비트=1 2) 수신 - 수평/수직편광만 구분 - 대각/역대각편광만 구분
1회 3-3. 자동차, 철도, 항공 및 의료 등의 분야에서도 소프트웨어 안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기반의 안전 필수 시스템을 위한 안전성 분석의 개념 및 안전성 분석 기법의 특징을 설명하고, 안전성 분석 기법을 3 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 개념 - 소프트웨어가 안전성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기법 및 활동 ▣ 특징 - 목적에 따른 기법 선택 - 산출물 검토 - 안전 요건 도출 - 정형적 모델 검증 ▣ 분류 1) 귀납적/정성적 방법 - FMEA : 이상위험도 분석 - HAZOP : 위험과 운전분석 2) 연역적/정량적 방법 - FTA : 결함수 분석 ▣ 개념 및 목적 1) FTA (결함수 분석) - 사건사고 원인파악 - 설비결함, 작업자 실수 발견 2) FMEA (이상위험도 분석) - 중대사고의 직접적 원인 파악 - 시스템, 설비 (작업자 실수 미포함) 3) HAZOP (위험과 운전분석) - Guide Word 사용 브래인스토밍 - Guide Word : No, Less, More, Part of, As well as, Reverse, Other Then - 위험요소 및 조업상 문제점 사전파악 ▣ 방식 1) FTA - 에러 집합의 목록 - 공정의 완전한 이해 - 1인 또는 팀 (복잡성에 의해 결정) 2) FMEA - 체계적 참고 목록 - 장치 목록 및 장치 기능 - 시스템 대상 크기에 따라 인원 조정 3) HAZOP - 문제점 도출 - 수정안 제시 - 보완 후속 연구 제안 - 설계도 - 5~7명의 팀 ▣ 구성요소 1) FTA - AND 게이트 - OR 게이트 - 기본사상 : 네모 - 기본원인 : 동그라미 2) FMEA - 고장모드 예측 - 고장영향 추측 - 고장원인 추측 - 탐지기법 기입 - 정량분석 - 위험 우선 순위도 3) HAZOP - 브래인스토밍 - 리더의 체계적 진행 - Study Node - Guide Words - 공정변수 순차 적용으로 가이드 워드 조합 - 이탈의 전개 - 이탈 원인 파악 - 위험등급 산정
1회 3-4. 핀테크(FinTech) 활성화에 따라 금융위원회에서 비대면 실명인증 운영 및 계획을 발표하였다. 비대면 실명인증 배경, 개념, 방식 및 향후 전망에 대해 설명하시오.
▣ 배경 - 규제 환경 변화 - 금융서비스 비대면 채널 확산 -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 ▣ 개념 - 비대면으로 본인여부 확인하는 인증기술 ▣ 방식 (국내 허용 방식) - 실명확인증표 사본 제출 - 영상통화 - 접근 매체 전달 시 확인 (현금카드, 보안카드, OTP) - 기존 계좌 활용 - 바이오 인증 : 지문, 홍체 - 다수의 개인정보 검증 : 개인정보와 신용정보 - 타 기관 확인 결과 : 공인인증서, 핸드폰, 아이핀
1회 3-5. 소프트웨어 산업구조 선진화를 위해 SW 분할발주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하다. SW 분할발주에 대해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SW 분할발주의 필요성
나. SW 일괄발주, 분리발주와 분할발주 비교 다. SW 분할발주의 추진방안
▣ 문제점 1) 기획과 설계 부실 2) 무책임한 과업변경 3) 부당 하도급 4) SW기술자 근로환경 악화 5) SW기술자 이탈 6) 국가 SW산업 경쟁력 약화 ▣ 필요성 - SW 공학체계 구축 - 발주 관리 선진화 - 전문 SW인력 양성 ▣ 발주유형 - 일괄발주 - 분리발주 - 분할발주 ▣ 추진방안 1) 분할발주에 따른 사업 지연 - 분담이행, 공동계약 2) 설계서 표준화 유도 및 품질제고 - 표준 산출물 마련 3) 사업의 연속성 - 설계서 인계, 설계자 교육 과업 4) 계약금액 조정 - 변경, 추가, 재작업 시 금액 조정 5) 발주기관의 전문인력 육성 - 전담 전문가 배치
1회 3-6. 딥러닝(Deep Learning)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고, 주요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과 RNN(Recursive Neural Network)을 비교 설명하시오.
▣ 개념 - 생물의 시신경이 동작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에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진 신경망 ▣ 학습과정 1) Local Connectivity - 인접뉴런 연결 2) 상관관계 - 상관관계 특성 반영 3) Shared Weight - 적용 위치가 달라도 같은 Weight 공유 4) Pooling Layer - MIN, MAX, 평균 매핑 ▣ 특징 1) ReLU (Rectified Linear Unit) - 활성화 함수 도입 - 낮은 층으로 갈수록 에러 적어짐 2) Overfitting 해결 ▣ 활용 - 영상인식 및 검출 분야 - 이미지 인식 분야
1회 3-6. 딥러닝(Deep Learning)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고, 주요 알고리즘인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과 RNN(Recursive Neural Network)을 비교 설명하시오.
▣ 개념 -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 ▣ 학습과정 1) Recurrent Weight - 과거 기억 사용 2) Sequential Data 학습 - 과거를 통한 현재 문맥 이해 3) BPTT (Back Propagation Through Time) - 과거의 신경망과 현재의 신경망 연결 ▣ 특징 1) LSTM(Long Short Term Memory) - 이전 정보 기억 구조 2) Gating (문지기) 구조 - 반복해서 곱해지는 연산 없이 단순 덧셈연산 ▣ 활용 1) 자연어 처리 및 이미지 설명 자동 생성 2) 자동 번역 3) 음성인식 4) 이미지 캡션 생성
1회 3-7. SW 품질 향상을 위한 SW Visualization에 대해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SW Visualization 의 프로세스 별 주요 활동과 주요 지표
나. SW Visualization 의 시스템 구성 예시
▣ 필요성 - SW 비가시성 극복 통한 품질 향상 - 개발 프로세스 시각화 - 소스코드 시각화 - 문서화 (프로세스, 소스코드) ▣ 주요 활동 1) 요구사항 관리 - 요구공학 2) 구현 - 개발, 빌드 3) 테스트 - 정적, 동적 테스트 4) 형상관리 - 요구정의, 구현, 시험 ▣ 주요지표 1) 개발과정 - 요구사항 : 추적성, 달성율, 커버리지 - 형상관리 : 항목, 등록율, 변경율 2) 품질검증 - 동적 테스트 : 기능/비기능 검증, 정형검증, 사용자검증, 구조커버리지 - 정적 테스트 : 코딩 표준 준수율, 메트릭 만족율, 정적분석 이행율 3) 결함수준 - 결함 조치율 - 결함 밀도 ▣ 구성요소 1) 요구사항 관리 - Redmine : 요구사항 문서화 - Impass : 요구사항 추적 2) 구현 - Eclipse : 통합 IDE - Star-UML : 코드 문서화 - Ant : 배포 및 검사 자동화 3) 테스트 - PMD : 소스코드 검증 - J-Unit : 소스코드 확인 - Emma : 테스트 커버리지 확인 4) 형상관리 - Subversion : 형상 저장소 - Jenkins : Ant 기반 Script 수행 배포 서버
1회 4-2. 프로젝트에서 예측할 수 없는 위험에 대한 사전적인 준비가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으로 위험을 대응하기 위한 프로 젝트 위험관리(Project Risk Management)에 대하여 절차, 분석 기법, 대응전략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 개념 1) 프로젝트 위험요인 - 관리요인(일정, 비용) - 설계요인(기능, 연계) - 기술요인(성능, 기술) - 환경요인(외부기능) 2) 위험 최소화 활동 - 위험요인 조기 식별 - 위험확률, 영향분석 - 위험 적기 대응 - 위험 영향 요소 확인 3) 위험 관리 목표 - 품질 향상 - 납기 준수 - 예산 준수 - 고객 만족 ▣ 절차 (계식정량 위모통) 1) 위험관리 계획 - 접근계획, 실행방법 - 위험관리 계획서 2) 위험 식별 - 식별 및 문서화 - 델파이, 브레인스토밍, 인터뷰, 체크리스트, Root Cause 분석 - Risk Register 3) 정성적 위험 분석 - 위험영향도, 위험발생가능성 - Risk Register Update 4) 정량적 위험 분석 - 민감도 분석, 의사결정 분석, EMV,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Risk List 분석서 5) 위험 대응 - 활용, 공유, 강화, 회피, 전가, 완화 - 위험 관리 계획서 Update 6) 모니터링 및 통제 - 조치 문서 ▣ 분석기법 1) 정성적 위험 분석 기법 - 리스크 확률 영향 평가 - 확률 영향 매트릭스 - 리스크 자료 품질 평가 - 리스크 범주 분류 - 리스크 긴급성 평가 - 전문가 판단 2) 정량적 위험 분석 기법 - 민감도 분석 - 금전적 기대효과 - 의사결정 분석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위험 대응전략 (활공강, 회전완수) 1) 긍정 - 활용, 공유, 강화 2) 부정 - 회피, 전가, 완화 3) 공통 -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