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Management Flashcards
Project Management
⦿ 정의 :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수적인 일정, 조직, 인력, 지휘, 통제를 제공하는 절차와 실행기술, 지식 등의 체계 ⦿ 특징 (유일목점) - 유일성 : 똑같은 것 없음 - 일시성 : 시작과 끝 명확 - 목적성 : 목적 달성 행위 - 점진적 상세화 : 점차 구체화 ⦿ 목적 - SW측면 : 품질고도화, 생산성 - 개발측면 : 표준화, 목표수립 ⦿ 영역 (통범일원 품인의 위조이) - 통합 관리 - 범위 관리 - 일정 관리 - 원가 관리 - 품질 관리 - 인력 관리 - 의사소통 관리 - 위험 관리 - 조달 관리 - 이해관계자 관리 ⦿ 생명주기 - 착수 - 계획 - 실행 - 통제 - 종료
프로젝트 조직
⦿ 기능 조직 - 장점 : 단순함, 유연함, 전문성 - 단점 : 의사소통 부제, 편협성 ⦿ 프로젝트 조직 - 장점 : 의사소통 용이, 신속함 - 단점 : 개인에 의존, 자원낭비 ⦿ 매트릭스 조직 - 장점 : 자원활용 극대화 - 단점 : 조직 구성 복잡, 의사결정 지연
프로젝트
⦿ 범위 : 특정 인도물 중심 ⦿ 변경관리 : 변경 최소화 노력 ⦿ 관리방법 : 일정, 예산, 성과물 ⦿ 포커스 : 리더십, 업무성취, 감독 ⦿ 관리대상 : 기술자, 전문가 ⦿ 관리자의 역할 : 동기부여, 팀플 ⦿ 계획 수준 : 결과물 관리 계획 ⦿ 관심 사항 : 생산작업 감시통제
프로그램
⦿ 범위 : 여러 프로젝트들의 집합 ⦿ 변경관리 : 변경 예견 수용 ⦿ 관리방법 : ROI, 능력기준 ⦿ 포커스 : 갈등해소, 정치측면 ⦿ 관리대상 : PM 관리 ⦿ 관리자의 역할 : 비전, 리더십 ⦿ 계획 수준 : 상위 수준 계획 ⦿ 관심 사항 : 지배구조, 업무감시
포트폴리오
⦿ 범위 : 기업의 전략적 목표 Biz ⦿ 변경관리 : 광의의 환경 변화 ⦿ 관리방법 : 총체적 성과 ⦿ 포커스 : 가치부여 ⦿ 관리대상 : 포트폴리오 스텝 ⦿ 관리자의 역할 : 통찰력, 통합 ⦿ 계획 수준 : 의사소통 ⦿ 관심 사항 : 전체성과, 가치지표
포트폴리오 관리
⦿ 정의 : 기존 프로젝트들을 가속화 시키거나 Drop하기도 하는 의사결정 프로세스 ⦿ 의사결정 방법 (전재포스) 1) 전략적 방법 - NPV, ROI, 투자회수기간 2) 재무적 방법 - 시장, 기술, 필요성 3) 포트폴리오 맵/프레임워크 - BGC, GE Matrix 4) 스코어링 모델 - 프로젝트 단위 점수 환산 평가 ⦿ 관리 체계 - 조직체계 - 통합 프로세스 - 명확한 의사결정 기준 - 지원 시스템 - 의사결정 프로세스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정의 : 프로젝트 팀이 실행할 작업을 산출물 중심으로 분할한 계층 구조 체계 ⦿ 특징 - 산출물 중심 : 작업단위 - 의사소통도구 : 이해관계자 - R&R정의 : 각 단계 업무 - 진척관리 : 일정, 비용 예상 - 가시성 : 작업 명세화 ⦿ 작성 절차 - Scope Planning : 범위계획 - Scope Definition : 범위정의 - Activity Definition : 행위정의 - Activity Sequencing : 행위순서 - Activity Duration Estimating : 행위일정추정 - Scope Development : 범위개발 ⦿ 구성요소 - Work Package : 최하위 작업단위 - WBS Dictionary : WP상세 내용 - Code of Account : WBS 고유 식별 번호 - Duration & Relationship : WP 소요기간 - RAM : 각 담당 책임자 ⦿ WBS 계층구조 1. Project : 전체 개요, 범위 2. Deliverable : 주요 산출물 3. Sub-deliverable : 부수 산출물 4. Lowest Sub-deliverable : 최종 상세 산출물 5. Cost Account : WP 그루핑 6. Work Package : 수행작업 ⦿ 작업절차 1) WBS 요소나열 - WBS 요소나열 2) WBS 설계 - 개략 설계 - WBS 요소의 선택 - 상세 설계 - WBS Dictionary 구성 3) WBS 후속작업 - WBS 제안 - WBS 계약 - WBS 관리 ⦿ WBS 분할조건 - 개별적 의미의 독립적 분할 - 수행 기간 및 예산 산출 가능 - 명확한 이해 가능 산출물 명시 - 수행하는 사람이 익숙하게 ⦿ WBS 정의 원칙 - One Week : 하나의 Task 5일 이상 - Two Week : 최대 10일 이내 - Six Week : 범위 밖은 요약 수준으로 나타냄
EVM (Earned Value Management)
AC, PV, EV
⦿ 정의 : 프로젝트 비용, 일정, 수행 목표의 기준을 설정하고 실제 진도 측정 및 분석을 통해 문제점 분석, 만회 대책 수립, 향후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성과 위주의 관리 기법 ⦿ 기성고 관리의 절차 1) 작업범위, 일정, 비용 Base Line 설정 2) 실적측정 (범위, 일정, 비용) 3) 계획대비 실적평가 4) 문제점 해결/예측 5) 계획수정/위험예방 ⦿ EVM 측정지표 - PV : 계획 작업량 - EV : 수행 작업량 - AC : 실투입비용 - BAC : 예산 ⦿ EVM 분석지표 - SV : 일정편차 (SV=EV-PV) - CV : 비용편차 (CV=EV-AC) - SPI : 일정지표 (SPI=EV/PV) - CPI : 비용지표 (CPI=EV/AC) ⦿ EVM 예측지표 - ETC : 잔여분 산정치 (ETC=BAC-EV) - EAC : 완료시점 산정치 (EAC=AC+(BAC-EV)/CPI - BCWR : 실시기성 차감 금액 (BCWR=BAC-EV) - VAC : 완료시점 비용편차 (VAC=BAC-EAC)
일정관리
⦿ 정의 : 프로젝트 품질을 확보하면서 제한된 납기 준수를 위해 일정을 체계적으로 계획, 관리, 통제하는 관리활동 (PMC : Plan, Monitor, Control) ⦿ 일정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 업무담당자, 전후관계, 업무규모, 생산성 ⦿ 특징 - 납기준수, 자원 효율성 향상, 일정 산출 ⦿ 절차 (정순자 기일통) 1) Activity 활동정의 - 입력 : WBS - 도구 : 분해, 전문가판단 - 산출 : 목록/속성, 마일스톤 2) Activity 순서배열 - 입력 : 목록/속성, 마일스톤 - 도구 : PDM, ADM, 의존관계 - 산출 :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3) Activity 자원산정 - 입력 : 목록/속성, 자원역일표 - 도구 : 전문가판단, 대안분석 - 산출 : RBS(Resource) 4) Activity 기간산정 - 입력 : 목록/속성, 범위기술서, 자산 - 도구 : 전문가판단, 모수/3점 산정 - 산출 : 기간 산정치, 문서 갱신 5) 프로젝트 일정개발 - 입력 : PND, 목록/속성, 환경요인 - 도구 : CPM, CCM, What-if, Crashing, Fast Tracking - 산출 : 일정, 일정 기준선 6) 일정통제 - 입력 : 계획, 일정, 성과, 자산 - 도구 : 성과검토, 차이분석 - 산출 : 작업성과 산정치
선후행 도형법(PDM : Precedence Diagramming)
⦿ 정의 : 활동을 노드로 표시하고 그들의 연관관계를 화살표로 표시(AON:Activity on Node) ⦿ 특징 - FS, FF, SS, SF 표현 ⦿ 종류 - SS (Start to Start) - FS (Finish to Start) - SF (Start to Finish) - FF (Finish to Finish)
화살 도형법(ADM : Arrow Diagramming)
⦿ 정의 : 활동의 시작과 끝을 원 형태의 노드로 표시하고, 그 사이에 화살표로 활동을 표시하는 방식(AOA : Activity on Arrow)
⦿ 특징
- 선행작업 완료 후 후속작업 착수 (FS) 관계만 표현
- 모든 논리관계를 정확히 명시하기 위하여 모조(Dummy)활동을 사용
일정 추정 기법
- 전문가 판단 : 유사 프로젝트 근거
- Simulation : 가상 테스트
- CPM : 1점 추정
- PERT : 3점 추정
기대시간 = (a + 4m + b) /6
(a: 낙관, m: 정상, b: 비관)
분포 = ((b – a)/6)2 - Monte Carlo Simulation : 난수 생성 값 확률분포 근사치
일정 관리 기법
- Network Diagram (PERT/CPM)
- Gantt Chart
- Milestone
일정 단축 기법
- Crashing : 자원을 CP상의 Activity에 추가 투입, 비용초과로 고객승인 필요
- Fast Tracking : 병행 추진, 기간 장기화 위험 내포
- What-if 시나리오 : 영향 Factor기준 분석 및 대안 시뮬레이션
- Resource Leveling : 가용자원 한계 내에서 배정
신규 투입 인력에 따른 일정 단축 불가사유
⦿ 신규인력 추가 투입시 문제점 - Brooks 이론 - N의 제곱 복잡도 ⦿ 일정단축 불가사유 - 추가 투입인력 교육 - 커뮤니케이션 비용 및 오류 증가 - 업무 오류 증가 - 추가 일정 지연 가능 ⦿ 해결절차 - CP상의 일정인지 확인 - 해당업무의 지연 원인 확인 - 원인 분석 및 해결 방안 도출
PERT
⦿ 주목적 : 프로젝트 기간 단축 ⦿ 일정계산 : 단계(Event) 중심 ⦿ 시간추정 - 공정별 처리 순서로 정의 - 작업대기시간 추출 (낙관치 * 4평균 + 비관치)/6 -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것을 주공정으로 선택 ⦿ 장점 - 경험적 교훈이 없는 경우 -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 단점 : 확률론 이용에 한의 위험성 ⦿ 활용사례 : 불확실한 대상인 우주산업
CPM (Crital Path Method)
⦿ 주목적 : 프로젝트 비용 절감 ⦿ 일정계산 : 요소작업(Activity) 중심 ⦿ 시간추정 - 단축 활동의 초과 직접비 산출 - 평균값 이용, 1점 추점방식) ⦿ 장점 - 경험적 교훈이 있는 경우 - 불확실성이 적은 경우 ⦿ 단점 : 잘 알려진 자원과 기술에만 적용 가능
CCM (Crital Chain Method)
⦿ 개념 : 자원 제약 사항을 반영하여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하는 일정 네트워크 분석 기법 ⦿ 납기가 지연되기 쉬운 이유 - 파킨슨의 법칙 - 자기방어 - 후행공정 작업준비 미흡 - 학생 중후군 ⦿ 구성 - 프로젝트 버퍼 : Critical Chain 끝 (안전:사용가능, 모니터링:사용추이, 행동:버퍼통제) - 피딩 버퍼 : non-critical chain 끝 - 자원 퍼버 : 경보장치
프로젝트 위험관리
⦿ 위험의 정의 : 프로젝트 전체 기간 중 발생하여 프로젝트의 정상적인 납기, 품질, 원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으로써, 프로젝트 수행 중에 반드시 식별되고 관리/해결해야 할 프로젝트 관리요소
⦿ 총 위험
- 위험 * 취약성 * 자산가치
⦿ 위험관리의 정의
- 기회는 극대화하고 위험은 최소화하여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일련의 활동
⦿ 위험관리의 목적
- 성공 가능성 향상, 위험 요소 관리 및 제거, 위험 요소 사전 감지 제거
⦿ 원칙 (일개형)
- 일관성 : 관점 및 관리방법 일치
- 개별성 : 차별화된 접근법
- 형평성 : 감독 방법/비율 표준화
프로젝트 위험요소 (Bohem 분류)
(관설기환)
- 관리요인 : 일정부족, 비현실적 일정/예산, 과대포장, 지속적 요구사항 변경
- 설계오류 : 잘못된 SW 기능개발, 잘못된 사용자 I/F 개발
- 기술문제 : 실시간 성능문제, 기술취약
- 환경요인 : 외부작업의 부족, 외부기능의 부족
위험분할체계 (RBS : Risk Breakdown System)
- 기술 위험 : 신기술, 외부연계, 성능, 신뢰성
- 프로젝트 관리 위험 : 미숙한 계획, 통제 불가능, 의사소통 장애
- 조직 위험 : 의존도, 자원제약, 자금 지원, 우선순위
- 외부 위험 : 외주 계약, 관련법규, 시장상황, 고객 요구, 기후
위험관리 프로세스
- 위험관리 계획 : 위험 관리 계획서
- 위험 식별 : Risk Register
- 기법 : 델파이, 체크리스트 - 정성적 위험 분석 : 영향도
- 기법 : 위험 영향도/발생가능성, 프로젝트 가정 테스트, 데이터 정확도 순위화 - 정량적 위험 분석 : 관리계획서
- 민감도 분석, 의사결정 분석,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EMV - 위험 대응 계획 : 관리계획서
- 기법 : 회피, 전가, 완화, 수용 - 위험 감지 및 통제 : 조치문서
위험 대응 방법
(회전완 강공수)
1) 부정적 위험
- 회피
- 전가
- 완화
2) 긍정적 위험
- 공유
- 강화
3) 모든 유효 전략
- 수용
EMV (Expected Monetary Value)
⦿ 정의 :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기능성에 대해서 확률과 영향도를 분석하여 가장 이득이 많이 나오는 가능성에 대하여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는 기법 ⦿ 계산식 - 위험 사건 현황(Risk Event Status) = 위험확률 x 발생된 영향의 정도 - 금전전 기대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