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위종양 by prof. 홍수진) Flashcards
(64 cards)
위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암은 무엇인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전체의 85%를 차지한다.
위암의 발병 요인이 되는 유전자적 Mutation은 무엇이며, 어째서 암을 유발하는가?
CDH1 mutation이 발생할 경우 위암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CDH1 mutation은 E-cadherin의 세포간 adhesion을 저해한다.
어떤 음식이 위암 발병 가능성을 높이는가?
Dried, Smoked, Salty(말림, 훈제, 염장)
위암의 발병요인을 네 가지 말한다면?
- CDH1 mutation
- Dried, Smoked, Salty Food
- Chronic inflammation
*GERD, H.pylori - Nitrate converting bacteria
*유입요인: Contaminated Food
*증식요인: 위산분비감소, 위수술과거력, 위축성 위염, H2 antagonist 장기복용
위암 환자의 가족이나 내시경 절제술 환자들의 위암 발병을 예방하고자 한다. 어떤 치료를 할 수 있는가?
H. pylori 제균 치료
From. NEJM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가 직접 전이될 수 있는 부위는 어디가 있는가?
대장, 췌장, 간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가 림프관을 통해 전이될 수 있는 부위는 어디가 있는가?
복강 림프절, 쇄골 상부 림프절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가 복막 내에서 파종될 경우 어떤 Indication이 확인되는가?
악성 복수, 복막의 종괴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에게 혈관전이가 발생할 경우 전이될 수 있는 부위는 어디인가?
간, 폐, 뼈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는 어떤 임상 양상을 보이는가?
초기 외과적 절제가 가능한 시기에는 무증상이다.
위암이 진행하면서 식후 복부 팽만감, 심한 통증, 오심, 식욕감퇴, 체중감소, 구토, 삼킴곤란, 조기 포만감, 복부 종물 촉지 등 임상증상이 발현된다.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진찰소견은 어떤가?
조기에는 관찰할 수 있는 신체 징후가 없음
복부 종물 촉지 – 진행성 위샘암종에서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Krukenberg’s tumor (난소)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Sister Mary Joseph node (배꼽)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Blumer’s shelf (cul-de-sac)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전이성 소견이다. 무엇인가?
Virchow’s node
### ❓ Virchow’s node가 뭐야?
A.
Virchow’s node는
➡️ **왼쪽 쇄골상 림프절(supraclavicular lymph node)**의 병적 비대를 의미해.
➡️ 특히 **위암(Gastric cancer)**의 복막 전이(peritoneal metastasis) 또는 림프절 전이 시 나타날 수 있어.
➡️ 이 림프절은 복부의 림프가 흘러오는 **흉관(thoracic duct)**과 연결되어 있어서,
복부에 있는 암이 림프를 따라 올라오면 이곳이 가장 먼저 부어.
📌 핵심 요점
- Virchow’s node = 좌측 쇄골상 림프절
- 흉관을 통해 복부 장기 → 림프전이 → Virchow’s node 비대
- 위암에서 자주 관찰되며, 말기 전이의 지표
🧠 Mnemonic (암기법)
> “좌측 쇄골에 복부의 비보가 들린다”
- 좌측 쇄골상 → Virchow
- **복부 암의 비보(전이)**가 올라오는 길목
📚 보충 설명
- Virchow’s node는 Trosier’s sign이라고도 불려.
- 꼭 위암뿐 아니라, 췌장암, 난소암, 고환암, 신장암 등 복강 내 암종에서도 나타날 수 있어.
- 진찰 시에는 좌측 쇄골 위쪽에서 촉진해보며, 단단하고 통증 없는 림프절이 느껴지면 의심해봐야 해.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환자에게서 드물게 관찰할 수 있는 임상 양상이다. 무엇인가?
Leser-Tré lat sign (미만성 지루각화증)
*흔한 소견은 아니다.
*성인에서 갑자기 짧은 기간 동안에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지
루각화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징후
다음은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환자에게서 드물게 관찰할 수 있는 임상 양상이다. 무엇인가?
Acanthosis nigricans (악성 극세포증)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를 의심해야하는 여러 임상 소견이 존재한다. 그 중 가장 빈번한 임상소견은 무엇인가?
철 결핍성 빈혈 (Iron-deficiency anemia) – M/C
철 결핍성 빈혈 (Iron-deficiency anemia)
위축성 위염 (Atrophic gastritis)
악성 빈혈 (Pernicious anemia)
대변 잠혈반응 양성
이동성 혈전정맥염 (migratory thrombophlebitis)
미세혈관병성 용혈성 빈혈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미만성 지루각화증 (Diffuse seborrheic keratosis, Leser-Tré lat sign)
악성 극세포증 (Acanthosis nigricans)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를 조직학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한다면 무엇인가?
위샘암종의 조직학적 분류: 크게 intestinal(장형)과 diffuse(미만형)
- Intestinal type
*papillary, well-differentiated tubular, moderately-differentiated tubular 세 가지 type - Diffuse type
*poorly cohesive SRC type과 poorly cohesive NOS type 존재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Intestinal Type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Intestinal Type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Diffuse Type
🔬 참고: Signet Ring Cell이란?
세포 내 점액이 축적되어 핵을 밀어낸 모양
핵은 가장자리로 밀려 마치 반지 모양처럼 보임
이 세포들이 기저막을 뚫고 침윤하면 미만성 확산형 위암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의 조직학적 소견이다. 어떤 종류로 판단되는가?
Diffuse Type
위샘암종(Gastric Adenocarcinoma) 중 Diffuse Type의 대표적인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Lauren 분류에 따라 위암을 장형(Intestinal type)과 미만형(Diffuse type)으로 나눌 때, 미만형 위암(Diffuse-type gastric cancer)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미만형 위암(Diffuse-type gastric cancer)의 특징
1. 명확한 종괴 형성 없이 위벽이 비후됨 → Linitis plastica(가죽딱지 위)
2.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 빈도 높음
3. 위의 광범위한 침윤성 성장 → 분문부 포함한 위 전체에 침범 가능
4. 예후가 불량 (침윤적 성장 패턴으로 인해 조기 발견 어려움)
5.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발생률을 보임
6. E-cadherin 발현 소실(CDH1 유전자 변이와 관련됨) → 세포 간 부착이 약해져 쉽게 퍼짐
✅ 특히 CDH1 유전자 돌연변이는 가족성 위암(hereditary diffuse gastric cancer, HDGC)과 관련이 깊어, 가족력이 있는 경우 예방적 위 절제술이 고려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