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토혈, 흑색변 by prof. 조영신) Flashcards

(50 cards)

1
Q

상부위장관 출혈에서 재출혈을 예측하는 Glasgow-Blatchford bleeding score의 주요 항목은 무엇인가요?

A

Glasgow-Blatchford score의 주요 항목은 혈압, 심박수, 헤모글로빈 농도, BUN(혈액요소질소), 기타 임상 지표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Achalasia의 특징적인 증상은 무엇인가요?

A

Achalasia는 하부식도조임근(LES)의 이완 장애로, 고형식과 유동식 삼킴이 어려운 증상, 발살바 조작 시 호전되는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Forrest Ia 유형에 해당하는 출혈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A

Forrest Ia는 동맥 출혈로, 출혈이 강하게 뿜어져 나오는 상태입니다. 즉시 내시경적 지혈술이 필요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PPI(프로톤펌프 억제제)가 상부위장관 출혈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PPI는 위산 억제를 통해 위장 점막의 치유를 촉진하고, 재출혈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Rockall score에서 재출혈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항목은 무엇인가요?

A

Rockall score는 출혈의 원인, 나이, 심박수, 혈압 등을 평가하여 재출혈의 위험도를 예측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상부위장관 출혈 환자에서 혈역학적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무엇을 해야 하나요?

A

혈역학적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액 치료와 혈액 수혈을 통해 혈압과 심박수를 정상화시켜야 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은 무엇인가요?

A

Somatostatin 또는 Octreotide는 식도정맥류 출혈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내시경적 치료가 필요한 Forrest Classification의 유형은 무엇인가요?

A

Forrest Ia, Ib, IIa 유형에서는 내시경적 지혈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Forrest IIb 유형의 출혈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A

Forrest IIb는 붙어 있는 혈전이며, 출혈이 자발적으로 멈춘 상태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내시경적 치료 후 PPI 고용량 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A

PPI 고용량 치료는 위산 억제를 통해 재출혈을 예방하고, 위장 점막의 빠른 회복을 돕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PPI 치료의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요?

A

PPI 치료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위장 점막의 치유를 촉진하고, 재출혈을 예방하는 중요한 치료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상부위장관 출혈 환자에서 수혈이 필요한 헤모글로빈 역치는 무엇인가요?

A

헤모글로빈 7 g/dL 이하일 경우 수혈이 필요하며, 이는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이 심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상부위장관 출혈 환자에서 발살바 조작이 도움이 되는 경우는 무엇인가요?

A

발살바 조작은 식도 내압을 증가시켜, 식도 이완 불능증 (Achalasia) 환자에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PPI를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A

PPI 장기 사용 시 칼슘 흡수 감소, 비타민 B12 결핍, 골다공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위장관 출혈에서 내시경적 지혈술이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A

동맥 출혈, 지속적인 출혈, 보이는 혈관 등이 있는 경우에는 내시경적 지혈술이 필요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상부위장관 출혈에서 PPI 고용량 치료의 초기 투여 방법은 무엇인가요?

A

PPI 고용량은 IV 주사로 초기 고용량을 투여하고, 이후 정맥 주사 또는 경구 투여로 전환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PPI의 장기적인 사용이 환자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

장기적인 PPI 사용은 칼슘 흡수 저하, 골다공증 및 비타민 B12 결핍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PPI 투여와 함께 병행할 수 있는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A

내시경적 지혈술과 PPI 투여를 병행하여 위장 점막 치유를 돕고 재출혈 예방을 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A

PPI 고용량 치료와 내시경적 지혈술을 병행하여 재출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상부위장관 출혈에서 동맥출혈이 의심될 경우 취해야 할 치료는 무엇인가요?

A

동맥출혈이 의심될 경우 내시경적 지혈술을 즉시 시행하여 출혈을 차단해야 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Glasgow-Blatchford bleeding score가 높은 환자에서 취해야 할 조치는 무엇인가요?

A

Glasgow-Blatchford score가 높은 환자는 응급 치료가 필요하며, 수혈과 내시경적 치료를 신속하게 시행해야 합니다.

22
Q

식도정맥류 출혈에서 사용되는 약물은 무엇인가요?

A

Somatostatin 또는 Octreotide가 식도정맥류 출혈에서 출혈을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23
Q

Forrest Classification에서 Forrest Ia와 Ib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Forrest Ia는 동맥 출혈로, 강한 출혈이 발생한 경우이고, Forrest Ib는 지속적인 출혈이 있는 상태입니다.

24
Q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PPI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은 무엇인가요?

A

H2 차단제는 PPI 외에 사용할 수 있지만, PPI가 더 효과적입니다.

25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PPI 투여 후 내시경적 치료를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PPI 투여는 위산 분비 억제를 통해 점막 회복을 돕고, 내시경적 치료는 출혈 부위의 직접 치료를 제공합니다.
26
위장관 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응급처치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혈역학적 안정화가 가장 중요하며, 수액 공급과 혈액 수혈이 필수적입니다.
27
식도정맥류 출혈에서 내시경적 치료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나요?
식도정맥류 출혈에서는 밴딩(ligation) 또는 경화제 주사가 사용됩니다.
28
재출혈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치료는 무엇인가요?
내시경적 지혈술을 다시 시행하여 출혈 부위를 차단합니다.
29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은 무엇인가요?
Octreotide는 식도정맥류 출혈을 억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30
Forrest III 유형의 출혈은 어떤 상태를 의미하나요?
Forrest III는 깨끗한 궤양을 의미하며, 출혈이 없는 상태입니다.
3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2
7. 32세 여자환자가 내원 1시간 전 발생한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시경 소견에서 Forrest classification 과 적절한 조치는?
답: Ⅰb, IV로 PPI 투여 및 내시경 지혈술 옆의 내시경적 소견은 oozing이 보이는 Ⅰb로 의심됩니다. 활동성 출혈이므로 IV로 PPI를 투여 하며 내시경 지혈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6번의 해설 참조)
33
평소 건강하였던 54세 남자가 하루 전 발생한 갑작스런 토혈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응급실에 도착한 후 체크한 활력징후와 검사 결과, 내시경 사진은 다음과 같다. 혈압 98/58 mmHg, 맥박수 112회/분 WBC 7500/mm3, Hb 8,2g/dL, Platelet 243,000/mm3 BUN/Cr 32/1.0 mg/dL 내시경 검사 도중 헬리코박터 감염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는 검사는? 1) Urea breath test 2) Stool antigen test 3) Urine antibody test 4) Serology test 5) Rapid urease test
답: 5) Rapid urease test. 내시경 검사를 통한 침습적 방법을 통해 H. pylori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는 CLO test, Histology, PCR이 있다고 합니 다. (CLO test = Campylobacter-like organism test, Rapid urease test와 같은 말입니다.) 교수님 코멘트: H.pylori 검사는 RUT(Rapid Urease Test) 이후 검출 시 제균치료, 이후 정확한 UBT(Urea Breath Test)로 제균 치료 성공 여부 검사. RUT는 내시경 검사 중 점막조직을 이용한 침습적 검사입니다. UBT는 제균 여부를 판정하는 비침습적 검사입니다. Stool Ag test는 대변 H.pylori 항원 검출 검사로 주로 비침습적입니다. Urine Ab test는 소변을 이용한 ELISA 검사입니다. 주로 소아에서 이용됩니다. 혈청검사는 저렴하고 실시하기 쉬워 주로 역학조사나 선별검사로 이용됩니다.
34
평소 건강하였던 54세 남자가 하루 전 발생한 갑작스런 토혈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응급실에 도착한 후 체크한 활력징후와 검사 결과, 내시경 사진은 다음과 같다. 혈압 98/58 mmHg, 맥박수 112회/분 WBC 7500/mm3, Hb 8,2g/dL, Platelet 243,000/mm3 BUN/Cr 32/1.0 mg/dL 9. 다음 중 적절한 조치가 아닌 것은? 1) 내시경 지혈술 2) 고용량 프로톤 펌프 억제제 투여 3) 금식 유지 4) Rapid urease test가 음성인 경우 헬리코박터 재검사 5) 퇴원 후 외래 추적 관찰
답: 5) 퇴원 후 외래 추적 관찰 해설: 혈압이 낮고 맥박수가 증가했으며 Hb 수치 또한 낮으므로 다량의 출혈을 의심할 수 있다. BUN 수치가 32 (정상 범 위 7~20) 이므로 상부위장관 출혈을 의미하고, 왼쪽 사진에서 출혈에 의한 bloot clot을, 오른쪽 사진에서 Ⅱa의 소화성 궤 양 출혈을 의미한다. 1) 내시경 지혈술은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의 재출혈률, 수술률 및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2) 고용량 프로톤펌프 억제제는 출혈성 소화성 궤양의 재출혈률과 수술률을 낮춘다 3) 금식은 고위험군 환자에서 지혈에 도움이 된다 4) 출혈시 RUT 검사에서 위음성이 나올 수 있으므로 추후 재검사하는 것이 좋다. (RUT검사는 위음성도가 높습니다.) 5) Forrest 분류 상 Ⅱc 또는 Ⅲ에 해당하는 경우, 혈역동학적으로 안정적인 경우에는 퇴원할 수 있다. 하지만 위의 환자는 Ⅱa에 해당하며 혈역동학적으로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퇴원해서는 안된다
35
10. 55세 남자가 토혈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생체징후는 정상이었다. 다음 병변 중에서 응급실에서 바로 퇴원이 가능한 것은?
답: 2) 해설: 1)은 Ⅰa, 2)는 IIc, 3)은 Ⅱa, 4)는 Ⅰb, 5)는 출혈 후 밴드결찰술을 한 모습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2) 만 퇴원이 가능하고, 다른 환자는 입원이 필요합니다.
36
11. 25세의 남자가 내원 1시간전 발생한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다음은 이 환자의 내시경 소견이다. 이 환자의 치료 로 맞는 것은? 1) PPI 정주 후 일반병동 입원 2) PPI 정주 후 ICU 입원 3) PPI 정주 후 내시경적 치료 후 일반병동 입 원 4) PPI 정주 및 내시경적 치료 후 ICU 입원
답: 4) 해설: 상기 환자는 Forrest Ⅱa에 해당하고, visible vessel의 경우 IV PPI와 내시경적 지혈 후 ICU에서 1 일, 일반 병동에서 2일간 지내야 합니다.
37
12. 35세 남자가 심와부 복통, 오심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최근 근육통으로 진통제를 복용하였고 흡연력과 음주력을 가지고 있었다. 위내시경에서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적절한 진단은?
답: Acute gastric mucosal lesion (AGML) 급격한 위증상과 위점막에 많은 Hemo clot이 보입 니다. 거기에 NSAIDs 복용력 까지 있으니 AGML을 의심해야 합니다. 주로 NSAIDs, 흡연, 읍주 등이 원 인입니다. 교수님께서 사진을 기억해두라고 하셨습 니다. NSAIDs 소견 사진 잘 봐두자고 하셨습니다. 최근에는 ppi치료를 권장한다고 합니다.
38
13. 44세 남자로 B형 간염으로 인한 간경변증으로 치료받고 있었던 병력이 있으며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상 Hb 8.4 소견 보였으며, EGD 소견은 아래와 같다. 적절한 진단은? 1) erythematous gastritis 2) gastric varix 3) angiodysplasia 4) hepatic hypertensive gastropathy 5) Gastric antral vascular ectasia
답: 5) Gastric antral vascular ectasia 해설: 내시경 사진에서 매우 특징적인 watermelon appearance를 발견할 수 있고 이는 Gastric antral vascular ectasia의 소견입니다. 사진을 잘 기억해두라고 하셨습니다. 내시경 소견 사진 강조하셨습니다
39
14. 50세 남자가 흑색변을 호소하여 시행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소견이다. 1. 진단명은? 2. 호발하는 부위는?
답: 진단명: Dieulafoy’s lesion. 호발부위 : EGJ (아래쪽으로 6cm, lesser curvature쪽) 해설: 교수님께서 궤양이 아니며 위의 cardiac portion이고, 혈관이 노출되어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렇게 궤양이 없는 병변에 작은 점막 결손을 통해 Submucosa의 혈관이 mucosa로 노출된 경우 Dieulafoy’s lesion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교수님 코멘트: Dieulafoy’s lesion과 IIa의 감별진단.
40
15. 평소 특이 증상 없이 지내던 52세 남자가 갑작스런 다량의 토혈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내원 시 혈압은 80/50 mmHg이었고, 맥박수는 분당 120회이었다. 응급 상 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위저부에 다량의 혈액이 관찰되었고 다음과 같은 소견을 보였다. 진단명은 무엇인가?
답: Angiodysplasia (혈관 이형성, (그 중에서도 혈관 확장)) 혈관이 확장된 형태가 보이며, 대부분 하얀 띠(halo)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시경 소견상 특징적인 햇살무늬 출혈 병변이 보 입니다. 사진을 잘 기억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원인은 혈관 확장으로 인한 동정맥 pathway의 형성(arteriovenous malformation)입니다. 치료는 우선 vital sign이 불안정하므로 IV line 확보 후 crystalloid 주입이 우선입니다. 필요시 수혈합니다. 내시경으로 소작하거나 APC 치료가 가능합니다. (위에 열요법에서 설명했습니다.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혈관을 지져버립니다.) 이후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면 Embolization이나 Surgery를 합니다. PPI, 항응고제등의 약물치료를 보조하여 혈액손실을 막습니다. 교수님 코멘트: 소장내시경상 원인 모를 출혈의 중요 원인 중 하나
41
16. 24세 남자 환자가 과음 후 구토와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은 다음과 같다. 옳은 설명은? 1) 주로 z-line 상방에서 발생한다. 2)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는 드물다. 3) 내시경치료로 클립이나 결찰술이 쓰인다. 4) 특징적으로 토혈 후 구토가 동반된다. 5) 식도염에 동반되는 합병증으로 흔하다.
답: 3) 내시경 치료로 클립이나 결찰술이 쓰인다. 위식도접합부에 laceration이 관찰됩니다. 기침, 구토, CPR등 외상적인 이유로 인해 그 부위가 찢어진 것으로 이러한 병변을 Mallory-Weiss Syndrome이라 부릅니다. 대부분 자연 치료 되므로 출혈이 없을 시 퇴원하고 출혈이 있으면 band ligation이나 hemo clipping으로 지혈합니다. 식도의 출혈이 심할 경우 Boerhaave’s syndrome이 생길 수 있는 데 이 경우 수술합니다. 교수님 코멘트: 젊은 남성이 술먹고.. Mallory-Weiss syndrome 1) 주로 z-line (위식도접합부)의 하방에 생깁니다. 2) 대부분 저절로 호전된다. 4) 구토 후 토혈이 동반 5) 식도염과 크게 상관이 없다
42
24. 이 환자에서 가능성이 큰 진단명을 지시하는 수만큼 답가지에서 고르시오. (1가지) 30세 남자가 과음 후 구토와 토혈로 내원하였다. 상부위장관내시경 사진은 다음과 같았다. 가장 적절한 진단은?
해설 : 22년 TBL case 6과 유사한 문제입니다. 젊은 나이에 과음 후 구토와 토혈을 보였으며 EG junction에서 점막이 찢어져있는 Mallory Weiss syndrome 입니다. 정답 : 1번
43
67세 여자 환자 속쓰림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통 소염제 복용 중 내시경 소견이다. 1) proton pump inhibitor 투여 2) 제산제 투여 3) 진통 소염제 중단 4) 선택적 진통소염제 투여 5) 항생제 투여
The image you provided shows an esophageal lesion, which appears to be related to an ulcer, potentially due to the us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i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rheumatoid arthritis. Given the clinical context of this 67-year-old woman who is taking NSAIDs, the most likely cause of the esophageal lesion is an NSAID-induced injury or ulceration. These ulcers can be exacerbated by the chronic use of NSAIDs, which can cause mucosal damage in the esophagus. Appropriate Management: 1. **Proton Pump Inhibitor (PPI) administration**: - This is the most appropriate option. PPIs reduce gastric acid secretion and promote healing of ulcers. They also help in managing esophageal reflux or injury caused by NSAIDs. 2. **Discontinuation of NSAIDs**: - NSAIDs should be discontinued, as they are the likely cause of the ulceration. If pain management is required, alternative analgesics that do not affect the stomach lining, such as acetaminophen, should be considered. 3. **Antacids**: - While they can provide symptom relief, antacids alone will not address the underlying ulceration. PPIs are preferred for healing ulcers. 4. **Selective NSAID**: - Even though selective NSAIDs (COX-2 inhibitors) are less likely to cause ulcers compared to traditional NSAIDs, they are still not ideal in this context as the current lesion is a clear NSAID-induced ulcer. 5. **Antibiotics**: - There is no indication of a bacterial infection such as Helicobacter pylori in this case, so antibiotics are unnecessary unless an infection is suspected. Recommendation: The most appropriate treatment would be **1)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and **3) Discontinuation of NSAIDs** to promote healing and prevent further damage to the esophagus.
44
49. 평소 건강하였던 54세 남자가 하루 전 발생한 갑작스런 토혈을 주소로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응급실에 도착한 후 체크한 활력 징후와 검사 결과, 내시경 사진은 다음과 같다. 혈압 98/58 mmHg, 맥박수 112회/분 WBC 7500/mm3, Hb 8,2g/dL, Platelet 243.000/mm3 BUN/CR 32/1.0mg/dL 가장 적절한 조치는? 1. H2 수용체 길항제 투여 2. 경과관찰 3. 혈관조영술 4. 내시경지혈술 5. 소마토스타틴투여
해설 : bleeding은 안보이지만 vessel이 튀어나온게 보이는 IIa type 입니다. 따라서 내시경적 지혈술이 필요합니다. 정답 : 4번
45
75. 73세 여자가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에서 이상 소견 없었다. 내시경 검사에서 한 개의 위궤양, 활동성(A2)이 의심되어 진단 및 치료하려 한다. 다음 처치중 먼저 해야할 두가지를 고르시오? 1. 조직검사 2. Gastrin 검사 3. 내시경적 지혈 4. Urea breath test 5. 복부 및 골반 CT 6. Rapid urease test 7. Candidias 검사
해설 : 위웨양과 활동성 A2가 의심된다면 H.pylori를 확인하기 위해 rapid urease test를 해야합니다. 더불어 위암을 감별하기 위하여 조직검사도 해야합니다. 정답 : 1,6번
46
40세 남자가 내원 1시간전 발생한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다음은 이 환자의 내시경 소견이다. 이 환자의 Forrest 분류와 처치로 알맞은 것은? 1) Ia, 내시경 지혈술 2) Ib, 경과관찰 3) IIa, 내시경 지혈술 4) IIb, 경과관찰 5) III, 경과관찰
답 : 3 Ulcer 와 출혈은 없지만 Vessel 이 보입니다. IIa 이고 내시경 지혈술 합니다.
47
다음 중 위장관 출혈부위를 확인하는 검사법과 적응증이 맞게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 ① 창자겹침증 의심 – 복부 CT ② 대장의 출혈 의심 – 캡슐내시경 ③ 문맥압 항진증 의심 – 동위원소 RBC 스캔 ④ 연하곤란, 연하통증 동반 시 검사 – 복부초음파 ⑤ 토혈이나 흑혈변 시 검사 –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답: ⑤번
48
두통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복용 중인 46세 남자가 흑색변과 어지러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시 혈압 105/60 mmHg, 맥박 90/min 이었고, 헤모글로빈 5.1g/dL로 측정되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 대장내시경 및 복부 CT 검사에서 출혈 병소가 관찰되지 않았을 때, 가장 적절한 다음 검사는? ① 적혈구 스캔 ② 혈관 조영술 ③ 소장 조영술 ④ 캡슐 내시경 ⑤ 소장 내시경
답: ④ 캡슐 내시경 흑색변이므로 하부 위장관 보다는 상부 위장관 또는 소장의 출혈을 생각해봐야 하는데,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출혈 병소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소장의 출혈을 의심해볼 수 있다. 소장의 출혈은 캡슐 내시경으로 진단한다.
49
54세 여자가 1주 전부터 속이 쓰려서 병원에 왔다. 수개월 전 퇴행성 관절염을 진단 받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복용 중이며 현재 중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행한 상부위장관 내시경은 다음과 같다. 치료는? ① 미소프로스톨 ② 프로톤펌프억제제 ③ H2 수용체 길항제 ④ 선택적 COX-2 억제제 ⑤ 수크랄페이트
답: ② 프로톤 펌프 억제제 해설: 소염제로 인한 위궤양을 치료 시, 소염제 복용을 중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PPI를 투여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법이다
50
33세 남자가 2년전부터 간헐적인 설사가 있었으며 1주 전부터 때때로 대변에 혈액이 섞이고 체중이 2개월동안 8kg 감소하였다. 10년전 형이 대장암으로 사망하였다. 활력징후와 신체검사는 정상이었고 Hb 9.1g/dL, Hct 26%, WBC 4500, CEA 9.5ng/dL이었으며 대장내시경 소견은 다음과 같다. 적절한 치료는? ① 전체 대장절제술 ② 내시경적 용종절제술 ③ 내시경적 전기지짐술 ④ 비스테로이드염제 ⑤ 정기적 대장내시경 검사
① 전체 대장절제술 해설: 수많은 용종과 높은 CEA 수치로 볼 때, 그리고 가족력으로 볼때 대장 종양(FAP;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FAP는 100% cancer로 진행하는 전암병변이다. 내시경 소견과 급격한 체중감소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병기가 상당히 진행되어 있으므로 Total colectomy를 시행하는 것이 향후 환자의 예후에 가장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