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의학입문 Flashcards

(534 cards)

1
Q

해리슨 내과학 첫 페이지에서 말하는, 의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3가지는?

A

Technical skill
Scientific knowledge
Human understandin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해리슨 내과학 첫 페이지에서 의사에게 요구되는 능력 중 Scientific knowledge의 4가지는?

A

Observation
Recording
Pattern recognizing
Publishin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What is key sentence of human understanding?

A

인간의 육체는 물질이며, 반복되는 자극에 반드시 손상을 입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의무기록 과정의 대목차 4가지는?

A

Initial data base
Initial problem list
Initial assesment and plans
Progress note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의무기록 중 첫 번째인 Initial data base의 첫 단계인 History에 포함되는 것을 나열한다면?

A
  1. Date and time of history
  2. Identifying data
    - age/sex(의식 혼미할 시 대행 기술자의 이름을 옆에 작성)
  3. Cheif complaints(CC)
  4. Present illness(CC를 시간순으로 서술)
  5. Past medical history
  6. Family history
  7. Social history
    - 술, 담배, 이전과 현재 직업, 환경오염 노출 등
  8. Review of system
    - 전신고찰로 다른 장기 이상 여부 확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의무기록의 첫 단계인 Initial data base의 소목차 중 history의 네 번째 단계인 Present Illness에 포함되는 내용을 나열한다면?

A

“CC에 관한 내용을 시간 순으로 나열한다.”

  1. Location
  2. Quality
    - 아픈양상; 쑤시는지, 쥐어짜는지
  3. Quantity or sensitivity
    - 아픈 정도
  4. Timing(onset, duration, frequency)
    - 시작, 기간, 빈도
  5. Setting in which they occur
    - 어떨 때 아픈지, 증상이 있는지
  6. Aggravation or reliving factor
    - 악화될 때 or 나아질 때가 언제인지
  7. Associated symptom
    - 열나서 내원했다면 코로나 의심 > 연관 증상인 기침 가래 물어보기
  8. Current medication, Allergy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의무기록의 대목차 4가지 중 첫 번째인 Initial Data Base의 소목차 3가지는?

A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Initial Lab dat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의무기록 중 Vital sign을 기록하는 곳은 어디이며, 어떤 순서로 기록해야하는가?

A

Initial data base 중 History 다음의 physical examination에서 하며, 순서는 BT-Temperature-Pulse rate- Respiratory rate 순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의무기록 중 H/O와 S/P의 약자는 무엇인가?

A

History of: 과거에 걸린 것
Status of: 수술 받은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Initial problem list의 작성법과, 가장 주의해야할 두 가지는?

A

주의할 점

가장 중요한 증상 순으로 #1, #2… 기록한다.

  1. R/O(Rule out)은 ‘~배제하라’는 명령문이므로 여기말고 initial assesmebt and plans에 들어가야 한다.
  2. 진단명이 아닌, 검진결과 그대로의 관찰값을 적어야한다.
    - CT상 R/O Radiolucent bile stone with cholangitis (x)
    - Abnormal density in the CBD of CT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Progress notes에 들어갈 내용은?

A

SOAP

Subjective: 환자의 주관적 호소
Objective: 객관적 사실
Assesment
Plan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A

3번은 Risk factor로 Present illness에 포함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남성이 발열과 복통으로 병원에 내원했다. 30년 전에 맹장수술을 한 기록이 있다. 다음 작성된 문제 목록 중 잘못 된 것은?

A

Problem list에서는 R/O을 사용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X ray, CT, 초음파, MRI에서 각각 흰 음영과 검은 은영을 어떤 용어로 부르는가?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Chest x-ray의 다섯가지 촬영방법과 각각의 함의는 무엇인가?

A
  1. Chest PA view
    - 가장 기본 원칙적으로 찍는 사진
    - 등에 방사선이 닿아서 필름으로 관통된다.
  2. Chest AP view
    - 설 수 없거나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가 누워서 방사선을 가슴으로 받아 등에 필름에 닿는다.
  3. Lateral view
    - 팔을 필름에 닿으면 Humorus가 보이기에 팔을 들어올린 채 필름에 몸통의 측면을 닿게 한 뒤 사진을 찍는다. 정면에서는 볼 수 없는 인체의 전후 기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4. Decubitus view
    - 왼쪽이나 오른쪽에 필름을 댄채로 누워서 찍는 것으로, Pleural effusion이 의심될 때 시행한다.
  5. Anteroposterior iordotic view
    - Bone structure이 많아 하얗게 보이는 Lung의 Apex를 보기 위한 자세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정상인의 단순 흉부 X선 촬영의 전제조건(촬영원칙)은 세 가지 있다. 무엇인가?

A
  1. 충분히 흡기한 상태에서 촬영한다.
    - 10번 늑골의 하연이 횡경막보다 위에 위치한다.
  2. 폐혈관의 음영이 폐의 가장자리에서도 보일 수 있도록 한다.
  3. 폐에서는 혈관 이외에 증가된 음영이 없다(공기음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정상인의 흉부단층촬영을 시행한 뒤 촬영원칙을 상기하고 있다. 다음 중 잘못 설명하는 것을 고르시오.

  1. 쇄골 중심부에서 선을 그어 우측 전방 횡격막이 만나는 점이 제 10 늑골의 후방 하현보다 낮아야 한다.
  2. 폐의 외측 1/3에서는 폐혈관의 음영이 없어야 한다.
  3. 폐혈관 외에는 증가된 음영이 사진에 없어야 한다.
  4. 간음영의 후방으로 후방 횡격막과 폐혈관들이 잘 보여야 한다.
  5. 심장 뒤에서 좌하엽의 폐혈관 음영이 잘 보여야 한다.
A

2번
폐혈관 음영이 가장자리에서도 잘 보이도록 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우측 폐와 좌측 폐의 엽간열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A

우측 폐는 Major fissure과 Minor fissure이 존재하며, Minor fissure을 기점으로 우상엽과 우중엽을 전면에서 확인 가능하고, Major fissure을 통해 우중엽과 우하엽을 구분할 수 있다.

좌측폐는 Major fissure만 존재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0)

A

3번, 우중엽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단순흉부촬영의 Reading 법은 무엇인가?

A

처음: ATSMP
1. Abdomen & Thorax
- 복부를 한 번에 확인하며 bone과 muscle 확인

  1. Silhoutte
    - diaphragm, heart margin 확인
  2. Mediastinum
  3. Parenchyma
    - Lung을 4~5칸으로 나눠서 좌우를 확인

다시 볼곳: AH HA
1. Apex
- 뼈가 많아서 하얀걸 놓치기 쉽다
2. Hilum
- 혈관이 하얗게 보여 하얀 병변을 놓치기 쉽다
3. Heart
- 뒤에 폐가 있지만 심장 때문에 하얀 병변을 놓치기 쉽다.
4. Abdomen
- 앞쪽의 Liver과 Spleen으로 인해 뒤로 내려간 lung에 생긴 하얀 병변을 놓치기 쉽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흉부영상촬영 중 Reading으로 심장을 볼 때 주목해야하는 Mogul은?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흉부영상촬영 시 보이는 심장의 좌우측은 각각 심장의 어디인가?
우측은 RA이며 좌측은 LV이다.
26
단순흉부촬엉 시 사진상의 Gray scale은 어떻게 보이는가?
(White) Bone Soft tissue Water Fat Air (Black)
27
흉강 내 심장 각 부위의 위치에 대한 Rough한 모습은?
심장 왼쪽의 가장 가쪽 벽은 Left vetricle 심장 오른쪽의 가장 가쪽 벽은 Right atrium 심장의 가장 앞쪽 벽은 Right ventricle 심장의 가장 뒤쪽 벽은 아래에서는 Lt. ventricle, 위로 올라오면 Lt. atrium
28
단순흉부촬영 시 심장에서 관찰되는 mogul이 각각 어떤 기관을 의미하며, 병적인 구조는 무엇인가?
1st mogul: Aortic arch(정상구조) 2nd: pulmonary trunk가 커짐(비정상) 3rd: Left atrium appendage가 커짐(병적인 구조) 4th: Left ventricle(나이가 들면 보이는 정상 구조)
29
영상흉부촬영에서 Major fissure이 보이는 것은 정상인가?
X Minor fissure은 확인 가능하고 안 보일 수도 있으나 Major fissure은 물이 차는 등 병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볼 수 없다.
30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1)
3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2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3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4
정상 복부 촬영에서 관측 가능한 가스 양상은?
35
정상복부촬영 중 복강 내 관찰가능한 기관 & density로는?
간, 비장, 신장, 방광 음영이 보일 수 있다.
36
정상 복부 촬영 중 확인가능한 Line은?
Psoas, flank stripe, Quadratis lumborum
37
다음 영상 촬영은 무엇을 indicate하는가?
Hepatomegaly - 간이 iliac crest 아래까지 내려가거나, Liver의 tip이 뭉툭하다
38
복부영상촬영에서 확인해야하는 것 6가지는 무엇인가?
위장관 GAS 패턴 비정상 부위의 GAS 고형장기의 비대 비정상적인 밀도 종괴 복막 외 부가적인 Findings
39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Splenemegaly
40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Splenomegaly
41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Splenomegaly
42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large Ovary cystic mass - 가운데의 큰 mass로 인해 flank stripe와 bowel이 옆으로 밀렸다.
43
다음 영상 촬영은 무엇을 indicate하는가?
hepatomegaly
44
단순복부촬영 시 small bowel과 large bowel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Small bowel: Valvulae connivitis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Central하게 distribution하고 있다. 직경은 1-2mm이다. Large bowel: Haustra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Perpheral하게 distribution하고 있다. 직경은 2-3mm이다. 그리고 똥이보인다.
45
복부 내의 Mechanical obstruction과 adynamic ileus를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특징적인 단순복부촬영 소견은 무엇인가?
Mechanical obstruction은 동일 loop 내의 장에서 Different Air fluid level을 관찰할 수 있다. Adyamic ileus는 반면에 항상 Same level의 Air fluid level을 관찰 할 수 있다. *추가로 Degree of small bowel dilatation은 Mechanical obstruction에서 더욱 크다.
46
복부 내의 Mechanical obstruction 상황에서 단순복부촬영 했을 때 관찰할 수 있는 소견 4가지는 무엇인가?
1. Step ladder pattern: different air fluid level on the same loop 2. String of Beads: valvulae connivitis에 air이 갇혀서 보이는 모양 3. gasless abdomen: 폐색이 지속될 경우 관찰 할 수 있음 4. high degree of small bowel dilatation
47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Mechanical obstruction, Step ladder pattern
48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Mechanical obstruction, String of bead sign
49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Adynamic ileus(paralytic ileus) 복부에 가스 차이 (Gas Distention): 장의 여러 부위가 팽창하고, 특히 작은 장과 대장의 여러 부분에 공기가 고여 있는 모습이 보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장이 부풀어 오르고, 복부에 부풀어 오른 모습이 관찰됩니다. 고립된 가스 수준 (Air-fluid levels):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여러 가스-액체 경계를 가진 수평적인 기체의 층을 볼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장에서는 가스가 위쪽에, 액체가 아래쪽에 위치하는데, adynamic ileus의 경우 여러 개의 가스-액체 경계가 보일 수 있습니다. 대장 팽창 (Colonic distension): 특히 대장 부분에서의 팽창이 두드러집니다. 대장 내용물이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대장이 확장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 내벽의 확장 (Dilated loops): 주로 작은 장에서 여러 구간에 걸쳐 장이 확장되어 보이며, 이는 장의 운동이 저하되어 내용물이 정상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정상적인 장내 가스 분포의 부재: 정상적인 경우, 공기는 작은 장에 적게, 큰 장에 더 많이 분포되는데, adynamic ileus에서는 이 분포가 불규칙하거나 과도하게 팽창된 장에 공기가 많이 보일 수 있습니다.
50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Voluvulus; Coffee bean shape가 관찰된다. *즉각 꼬인 곳을 풀어주어야한다.
51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ps. Flat simple abdomen x-ray)
pneumoperitonium - 복강 내 x-ray 촬영 결과가 정상에 비해 transluscency가 높아져있다.
52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ps. Upright simple abdomen x-ray)
pneumoperitonium - Diapragm 위쪽으로 공기가 1-2mL 나와있다.
53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pneumoretroperitonium - sigmoid colon에서 polypectomy(용종제거술) 이후 발생 * 후복강에는 지방이 점점이 존재하고 있고 공기가 이에 갇혀있기에 지저분하게 관찰된다.
54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pneumoperitonium - 복강 내에 air이 가득 차있다.
55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pneumoperitonium - Kidney가 정상에 비해 매우 잘 보인다.
56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Pneumobilia - Bile duct 내부에 공기가 찬 것으로, 담도와 담낭의 공기가 직선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57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Abscess - 좌상복부에 Air level이 관찰되지만 그곳에 valvulae connivitis가 관찰되지 않으며 bowel을 위로 밀어냈고, Flank stripe가 옆으로 밀려나있다.
58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Liver abscess
59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Emphysematous cholecystitis - 담낭 내에 가스를 생성하는 혐기성 세균의 감염으로 담낭내 공기가 관차로딘다.
60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Emphysematous cholecystitis
61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Chronic pancreatitis with calcification
62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Atherosclerosis with Calcification
63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Lymph node calcification
64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Appendicolith - RLQ에 존재한다. Appendix의 Stone이다.
65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Appendicolith - RLQ에 존재한다. Appendix의 Stone이다. * Bladder stone과 구분할 수 있는 요인: Baldder stone은 multiple and viary in size
66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calcifying granuloma
67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calcifying granuloma
68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Bladder stone
69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Bladder stone
70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단순 Skin fold이다. Skin이 접히고 그 사이에 공기가 찬 것이다.
7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1)
72
CT의 Gray Level은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각 물질은 어느정도의 투과도를 띄는가?
CT의 Gray level은 증류수를 영점을 삼아서 제작된다.
73
CT의 조영제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물질은 무엇이며, 어째서 사용하는가?
X선을 잘 흡수해서, 인접한 조직(혈관이 풍부한 조직, 병소)간의 감쇄 차이를 크게 하여 진단의 정확도를 높인다. 주로 사용되는 물질은 수용성, iodinated 조영제이다.
74
급성 조영제 과민반응의 3단계는 각각 어떤 특성을 보이며, 이때 이들은 각각 어떻게 치료해야하는가?
조영제 투여 1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이상반응 1. 경증 Sx) 가벼운 두드러기, 홍반을 동반한 가려움증, 구토, 오한 등 Tx) 항히스타민제 2. 중등증 Sx) 전신두드러기, Facial edema, 심한 구토 Tx) 항히스타민제 + 스테로이드 (+ 에피네프린, 속효성 기관지확장제, 산소공급) 3. 중증 Sx) 호흡곤란/호흡정지, 실신(SBP<90mmHg) Tx) 항히스타민제 + 스테로이드 + 에피네프린 + 급성 수액공급 + 다리거상 (+속효성 기관지확장제, 산소공급)
75
조영제 투여 후 신장기능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무엇이며, Lab 검사상 어떤 표지가 확인되는가?
조영제로 자주 사용되는 수용성 요오드화(idodinic) 조영제의 경우 체내에 흡수나 대사되지 않고 100% 신장을 통해 배출되므로 신장 기능에 과부하를 일으킬 가능성이 충분하다. + 손상이 될 경우 서서히 체내에 요오드 조영제가 축적이 되어 지연된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Lab 결과: Cr 수치가 25% 혹은 44umol/L, 0.5mg/dL 이상 증가한다
76
CT에서 Axial view를 통해 촬영한 영상은 다른 관측 표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O/X)
O. CT를 통해 촬영한 View는 Coronary, Axial, Saggital view로 서로 변환해서 관측 가능하다.
77
복강과 장기를 덮고 있는 2 가지 막성 구조는 무엇인가?
Parietal peritonium(Red): Abdominal wall, retroperitonium Visceral peritonium(Blue): visceral organ, mesentary, Ligament 복막은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장막으로,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벽측 복막(Parietal Peritoneum): 복벽의 내부 표면을 따라 복강의 벽을 덮고 있습니다. 이 층은 체성 중배엽에서 유래하며, 복벽을 따라 분포하는 체성 신경에 의해 지배됩니다. 따라서 압력, 통증, 절개, 온도 변화 등에 민감하며, 이러한 자극에 의한 통증은 명확하게 국소화됩니다. 2. 내장측 복막(Visceral Peritoneum): 대부분의 복부 내장 기관을 덮고 있으며, 내장 중배엽에서 유래합니다. 이 층은 덮고 있는 장기와 동일한 자율 신경 공급을 받습니다. 내장측 복막은 신장 및 화학적 자극에만 민감하며, 이로 인한 통증은 일반적으로 명확하게 국소화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통증은 해당 장기와 관련된 피부 영역(피부분절)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 두 층 사이에는 소량의 장액이 존재하여 장기들이 서로 마찰 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제 역할을 합니다. 복막은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복부 장기들을 보호하고 지지하며, 원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78
CT상 복막과 인대, 장간막이 구분되어 보일 수 있는가?
그렇다. 다만, 건강한 CT 복부 소견에서는 장기와 그 장기 주의에 지방으로 둘러싸인 혈관만 관찰된다. 복수가 차거나 염증, 종양이 있는 환자로부터 인대와 장간막이 구분되어 보일 수 있다.
79
조영제 급성 이상반응의 고위험군 환자는 누구인가?
이전에 조영제 과민반응을 일어킨 과거력이 가장 중요하다
80
CT 촬영 중 조영제 이상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환자군과 조영제 요인은 각각 무엇이 있는가?
환자 요인 - 70세 이상 고령, 급성신부전 - 동맥 투여 전 eGFR 60 미만, 정맥 투여 전 eGFR 45 미만 조영제 요인 - 동맥 내 투여 - 다량의 조영제 사용 - 24시간 이내의 반복적인 조영제 노출(조영제 완전 배출까지 20시간 소요) - 고삼투성 조영제 사용
81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Falcifarum ligament
82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Transverse mesocolon
83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Gastrosplenic Ligament
84
다음 영상촬영 결과는 무엇을 indicate하는가?
Small bowel mesentery
85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는 장기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 장기들로는 췌장, 상행 및 하행 결장, 십이지장 두번째 부위 이하, 신장, 부신이 있습니다.
86
CT의 기법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X선을 여러 각도로 인체에 투영해서 컴퓨터로 재구성하고 내부의 단면 영상을 얻는 것이다.
87
CT의 기준이 되는 물질은 무엇이며, 뼈와 공기는 각각 그 기준으로 어느정도의 수치를 보이는가?
CT는 증류수가 0HU이며, 이를 기준으로 뼈는 1000HU, 공기는 -1000HU이다.
88
흉부 CT는 4가지의 종류가 존재한다. 각각이 무엇이며, 그들이 가진 특징은 무엇인가?
1. 다중검출기 CT(Multi detector CT, MDCT) - 조영제를 사용한 증강 CT촬영이 가능하며, 3차원 단면에 대한 영상 재구성이 가능하다.(Axial -> Coronary, Sagittal) 2. 고해상 CT(High resolution CT, HRCT) - 해상도를 높여서 미세한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다. - 호기 시 영상 촬영과 복와위 촬영이 가능하다. - Airway disease와 폐 섬유화를 진단할 수 있다. 3. 저선량 CT(Low Dose CT, LDCT) - 증상이 없는 patient의 폐암 여부를 진단할 때 등, 방사선 조사량을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하는 촬영기법 4. 이중에너지 CT(Dual Energy CT, DECT) - 서로 다른 준위의 X선을 사용하여 다른 물질간의 감쇄차이를 증폭 - 혈관과 폐 조직을 더욱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 폐혈관 조영술에서 폐의 perfusion defect를 찾을 때 사용한다.
89
기관(trachea)는 어디에서 시작해서 어디에서 끝나는가?
Thyroid Cartilage에서 시작해서 Carnia(기관분기부)에서 끝난다.
90
기관(Trachea)의 전벽과 후벽은 각각 어떤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는가?
전벽: 연골 후벽: 근섬유막
91
다음 영상촬영에서 볼 수 있는 분혹색 구조물, 초록색과 파란색 선, 노란색 공간은 각각 무엇인가?
분홍색 구조물: Thyroid 초록색 선: Cartilage 파란색 선: 근섬유막 노란색 공간: Trachea
92
주기관지의 좌측과 우측 중 어디가 더 긴가?
좌기관지(5cm)가 우기관지(2-3cm)보다 더 길다.
93
Right main bronchus과 Left main bronchus에서 분지되는 Lobar bronchi는 각각 몇 개인가?
Right main bronchus: 3개의 엽기관지 Left main bronchus: 2개의 엽기관지
94
다음 CT 촬영 결과에서 확인되는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 공간은 각각 어떤 구조물인가?
빨간색: Main pulmonary trunk 초록색: Left main pulmonary artery 파란색: Right main pulmonary artery
95
가슴림프관(Thoracic duct)와 림프절은 CT 상에서 각각 어떠한 형태로 관찰되는가?
가슴림프관: 정상적인 상태에서 CT 내에서 관찰불가 림프절: ovoid shape(원형 혹은 난원형)의 연부조직음영
96
Bronchiectasis, Bronchiolectasis, emphysema를 각각의 병변의 위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가?
Bronchiectasis는 Bronchus가 확장 Bronchiolectasis는 Bronchiole이 확장 Emphysema는 respiratory bronchiole, alveolus level에서 폐포가 파괴
97
HRCT 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의 폐 조직은 무엇인가?
Bronchiole level까지 관찰할 수 있으며 bronchiole 확장이 심할 경우 Terminal Bronchiole까지 관찰가능하다.
98
이차 폐소엽(Secondary pulmonary lobule)의 정의는 무엇이며,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이차폐소엽은 CT에서 폐병변의 육안적 분석의 기본이 되는 해부학적 단위로, 3~24개의 세엽(acinus)로 구성되어있다. #구성요소 Interlobular septa(pulmonary vein) central core structure(pulmonary artery, respiratory acinus) 소엽 실질
99
그림의 좌측 화살표는 정상구조, 우측 화살표는 비정상 구조이다. 이 구조물은 무엇이며, 어떤 경우에 우측과 같은 모습을 보일 수 있는가?
Interlobular septa(소엽간 중격)이며, 이차폐소엽의 경계를 이루는 조직이다. CT상으로 얇은 선상으로 보이는게 정상이지만, 부종이나 섬유화, 암전이로 인한 세포침윤에 의해 비정상적이로 두꺼워지면서 잘 보일 수 있다.
100
Visceral pleura와 parietal Pleura 중 정상 폐의 CT상으로 관찰될 수 있는 흉막은 무엇인가?
둘 다 아니다. 정상에서는 관찰 불가능하며 Effusion에 의해서만이 관찰가능하다.
101
다음 구조물은 무엇인가?
빨간색은 Major fissure 파란색은 Minor fissure
102
다음 구조물은 무엇인가?
횡격막이다.
103
HRCT 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음성증가성 병변은 큰 틀에서 어떤 종류가 있는가?
1. Mass/Nodule - 원형/타원형 형태의 병변이 관찰되며 주 요인으로는 암, 감염, Granuloma가 있다. 2. Linear/Reticular - 선형/그물형태의 병변이 관찰되며 Edema, Interstitial disease, Pulmonary fibrosis
104
HRCT 상에서 관찰되는 Mass/Nodule 형태의 음성증가성 병변의 형상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중심소엽성 병변(Centrilobular), 림프관 주위 병변(perilymphatic), 임의분포 병변(random)
105
HRCT 상에서 관찰되는 Linear/Reticular 형태의 음성증가성 병변의 형상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기관지혈관주위 간질 비후(peribronchovascular or axial interstitium), 소엽간중격 비후(interlobular septa or peripheral interstitium), 소엽내 간질비후(intralobular or parenchymal interstitium)
106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림프종 전이의 형상이며, Linear/Reticular 형태를 띄고 기관지혈관주위 간질이 비후되어있다. * axial bronchovascular bundle을 따라서 metastatic cell이 침착하여 두꺼워진 경우 peripheral interstitium도 선모양으로 두꺼워짐
107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사르코이드증이며, Linear/Reticualr 형태를 띄고 기관지혈관주위 간질이 비후되어있다. * axial bronchovascular bundle을 따라서 granuloma가 침착하여 nodular하게 보임 주로 lymphatics 따라서 침착하는 질환
108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간질성 폐부종이며, Linear/Reticular 형태를 띄고 소엽간중격이 비후되어있다. * 소엽간 중격이 두꺼워져 secondary pulmonary lobule의 형태가 그려지게 하는 선상 음영의 질환
109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상용 간질 폐렴이며, Linear/Reticular 형태를 띄고 소엽 내 간질이 비후되어있다. * 소엽간 중격이 두꺼워질 경우 주로 폐의 말초부분에서 발생하며 marking한 선형이 관찰될 수 있다면, 소엽내 실질의 비후 같은 경우 불규칙적인 망상구조를 특징적으로 가진다.
110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미만성범세기관지염(diffuse bronchiolitis)이며, Mass/Nodule 형태를 띄고 중심소엽성 결절 형태를 가진다. * 중심소엽성 결절 형태를 가지면서 기관지 확장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111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과민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a; 곰팡이,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한 폐렴)이며, mass/Nodule 형태를 띄고 중심소엽성 결절 형태를 가진다. * 중심소엽성 결절 형태를 가지면서 기관지 확장이 드물다. * Ground glass opacity; 혈관과 기관지가 보이면서도 폐가 유리너머로 보이듯 혼탁(회색)으로 보인다.
112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규폐증이며, mass/nodule 형태를 띄고 림프관주변 결절 형태를 가진다. * 작은 결절이 여럿 관찰되고 석회화된 폐문도 관찰된다.(상부 중부에 주로 존재한다.)
113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좁쌀결핵이며, mass/nodule 형태를 띄고 임의 결절 형태를 가진다.
114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간유리 음영(Ground glass opacity)이다. Aleolus이 부분적으로 액체에 찬 상태이지만, 완전히 형태를 잃어버리지는 않았다.
115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폐경화(Consolidation)이다. 폐포 내 공기가 완전히 혹은 대부분 사라진 경우이다. 음영이 완전히 소실된다.
116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폐기종(Emphysema)이다. 폐의 중심소엽성, 중격주위, 범세엽성 기종(벽이 무너지고 공기공간이 만들어짐) 발생으로 인해 정상치보다 훨씬 음영이 검게 감소해버린다.
117
다음 영상결과는 어떤 질병이며, 어떠한 음성증가성 병변 형태를 띄는가?
림프관평활근종증으로, 낭성폐병변(Cystic lung lesion)이다.
118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3)
119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3)
120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2)
12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1)
122
배아기(Embryonic stage)에서는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이 존재한다. 각각은 어떤 기능을 가진 기관으로 분화하는가?
내배엽(Endoderm): 장기(창자, 간, 췌장, 호흡계) 중배엽(Mesoderm): 진피, 근육, 골격계, 분비/순환계 외배엽(Ectoderm): 감각기관, 피부, 신경계
123
발생과정에서 일차뇌소포(Primary brain vesicle)이 이차뇌소포(secondary brain vesicle)로 변하며 최종적으로 성인의 뇌가 되기까지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해보시오.
1. 일차뇌소포(primary brain vesicle) - 수정 후 4주 말까지 - Forebrain, Medbrain, Hindbrain 2. 이차뇌소포(secondary brain vesicle) - 5주차부터 출생까지 1) Forebrain으로부터 분지된 것 - telencephalon - Diencephalon 2) Midbrain으로부터 분지된 것 - Mesencephalon 3) Hindbrain으로부터 분지된 것 - metencephalon - myelencephalon 3. 성인의 뇌 1) Telencephalon으로부터 분지된 것 - Cerebrum 2) Diencephalon으로부터 분지된 것 - Thalamus, hypothalamus 3) Mesencephalon으로부터 분지된 것 - midbrain 4) Metencephalon으로부터 분지된 것 - pons, upper medulla, cerebellum 5) Myelencephalon으로부터 분지된 것 - Lower medulla
124
경계고랑(Sulcus limitans)란 무엇인가?
발생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신경관(neuronal tube)의 고랑으로 이를 기점으로 앞부분은 운동신경이 되며, 뒤쪽은 감각신경이 된다.
125
뇌의 발달은 수정 후 몇 주뒤부터 일어나는가?
수정 후 4주 뒤부터이다.
126
뇌 전체를 두고 보았을 때 크게 몇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가?
총 4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Cerebrum Diencephalum(Thalamus, hypothalamus) Cerebellum Brain stem
127
대뇌피질의 Landmark가 되는 대표적인 sulcus 4가지는 무엇인가?
Central sulcus Lateral sulcus Parietooccipital sulcus Calcarine sulcus
128
뇌의 Central sulcus의 다른 이름은 무엇인가?
Rolandic sulcus
129
발생과정에서 존재했던 고랑인 Sulcus limitans는 성인이 되면 무엇이 되는가?
Central sulcus가 된다
130
Axial view Brain MRI 상에서 Central sulcus를 찾을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 몇가지를 말해보시오.
1. Bracket Sign - 뇌의 후면 중앙에 위치한 Marginal Sulcus의 바로 앞에 존재하는 고랑이 Central sulcus이다. 2. Omega Sign + T sign - PreCentral gyrus는 운동기능을 담당하기에 두껍고, Axial view에서 오메가 형을 띈다. 3. Central sulcus를 이루는 뇌부위에서는 Gray/White matter이 연해진다. 4. Central sulcus를 기점으로 앞의 gyrus가 더욱 두껍고, 뒤가 얇다.
131
Sagittal view Brain MRI 상에서 Central Sulcus를 어떻게 찾는가?
Cingulate gyrus와 marginal branch의 바로 앞에 있는 고랑이 Central sulcus이다.
132
다음 중 Central sulcus는 무엇인가?
Bracket 앞쪽에 있는 2,3번 중 T sign을 보이는 2번이다.
133
다음 중 Central sulcus는 무엇인가?
Bracket 앞쪽에 있으며 Gray/White 음영이 감소한 3번이다.
134
다음 중 Central sulcus는 무엇인가?
Bracket 앞쪽에 있으며 Gray/White 음영이 감소한 2번이다.
135
다음 중 Central sulcus는 무엇인가?
Bracket 앞쪽에 있으며 Omega 를 보이는 3번이다.
136
다음 중 Central sulcus는 무엇인가?
Bracket 앞쪽에 있는 2번과 3번 중, 음영이 감소되어있으며 앞과 뒤의 두께차이가 있고, T sign을 보이는 2번이 Central sulcus이다.
137
뇌의 Lateral Sulcus를 다르게 부르는 이름은 무엇인가?
Sylvian sulcus
138
Brain의 Precentral gyrus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Primary motor cortex로, 운동기능을 통합하고 반대편의 수의적운동을 조절한다.
139
Brain의 Superior frontal gyrus, Middle frontal gyrus, Inferior frontal gyrus는 각각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1. Superior frontal gyrus - 인지기능 2. Middle frontal gyrus - 다른 영역에서 들어온 정보 처리 3. Inferior frontal gyrus - Processing of motor component of speech and language in Broca's area
140
다음 부위의 이름은 무엇이며, 의학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Straight Gyrus/Gyrus rectus로 불리며, 수술 시 이쪽을 통해 많이 접근한다.
141
Frontal lobe에서 Sulcus별로 구분한 해부학적 구조가 아닌, 기능적으로 구분한 Brodmann area에서 Prefrontal lobe는 어떻게 불리는가?
Brodmann area 4 - Primary motor cortex
142
Brodmann area 6과 9의 위치와 역할은 무엇인가?
위치는 Frontal Lobe에 속하며 Central sulcus를 기준으로 앞에 4 -> 6 -> 9 순이다. Brodmann area 6 - Premotor and supplemental motor cortex Brodmann area 9 - 운동을 계획하고 준비 조절하는 역할
143
Brodmann area 10의 위치와 역할은 무엇인가?
Anterial prefrontal cortex에 위치하며 Memory retrieval로 기억 검색 및 실행에 관여한다.
144
Brodmann area 44와 45는 어디에 위치하며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Frontal lobe에 존재하며 Lateral sulcus의 바로 상부에 위치한다. Motor speech programming에 연관되어있다. 다른 말로 Broca's area라고 불린다.
145
Brain의 Parietal Lobe의 해부적 구조를 Sulcus를 통해 구분하고, 그곳에 위치한 Brodmann area 번호와 각각의 역할은 무엇인가?
1. Postcentral sulcus - Brodmann 1,2,3이 위치한다. - Primary somatosensory cortex이다(통증, 촉각, 온도 등 국소적 감각) 2. Superior parietal Lobe - Interparietal sulcus의 상부이다. - Brodmann 5,7이 위치한다. - 감각과 운동기능의 연합 3. Inferior parietal Lobe - Interparietal sulcus의 하부이다. - Brodmann 39, 40이 위치한다. - Angular gyrus와 Supramarginal gyrus가 존재한다. - 청각과 시각피질의 정보를 수용한다. - Wernike's area에 연관된다.
146
Gerstmann syndrome은 무엇이며, 어떨 때 발생할 수 있는가?
Gerstmann syndrome is a rare neurological disorder that is typically caused by damage to the dominant parietal lobe of the brain, often affecting the left hemisphere. It was first described by the neurologist Josef Gerstmann in 1940. The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a constellation of four primary symptoms, although other issues may also be present: Agraphia: The inability to write or difficulty in writing. Acalculia: Impaired ability to perform basic mathematical calculations. Finger Agnosia: Inability to recognize or identify fingers, often resulting in difficulty distinguishing between one’s own fingers or others’ fingers. Left-Right Disorientation: Difficulty distinguishing between left and right.
147
Balint's syndrome이 무엇인가?
양측 두정엽 병변으로 인해 Optic ataxia(시각성 운동실조; 눈으로 보는 물건을 손으로 따라가지 못한다)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
148
Brain의 Temporal Area를 구분짓는 Sulcus에는 무엇이 있으며, 그 사이의 부위는 어떤이름을 가지고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Superior Temporal gyrus: 일차 청각(Brodmann area 41, 42)과 이차 청각 수용부(Broadmann area 22) --Superior Temporal sulcus-- Middle Temporal gyrus: 시각 정보 인식 --Inferior Temporal sulcus-- Inferior Temporal gyrus: 시각 정보 인식
149
편측 측두엽 병변은 어떤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가?
Smell, sound, vision, memory에 대한 환각이 발생한다.
150
우성 측두엽 병변은 어떤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가?
151
양측 측두엽 병변은 어떤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가?
152
Occipital lobe에 존재하는 Brodmann area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각각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Brodmann area 17, 18, 19가 있다.
153
Occipital lobe의 시각 연합 영역이 손상되면 어떠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가?
본 것을 인지하지 못 한다.
154
Brain의 Insula가 손상되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은?
155
뇌의 Frontal Lobe의 Brodmann area를 설명하시오.
156
뇌의 Parietal Lobe의 Brodmann area를 설명하시오.
157
뇌의 Temporal Lobe의 Brodmann area를 설명하시오.
158
뇌의 Occipital Lobe의 Brodmann area를 설명하시오.
159
뇌에 존재하는 Wernike와 Broca area를 설명하시오.
160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번
16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번
162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번
163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번
164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4번
165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5번
166
뇌의 Brain stem area 중 도파민을 분비하는 부위는?
Midbrain에 있는 Substantai nigra에서 Dopamine을 분비한다.
167
도파민 과잉일 때 발생하는 질병과 도파민 부족일 때 발생하는 질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도파민 과잉: 헌팅턴병 도파민 부족: 파킨슨병
168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번
169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2번
170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4번
17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번
172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73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74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4번
175
임상시험이란?
의약품 등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반응을 조사하는 시험
176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전쟁 당시에 이루어졌던 무분별한 인체실험에 대한 반성으로 나온 선언은?
뉘벤베르크 강령 : 의학자, 과학자의 양심에만 시험을 맡길 수 없기에 정한 원칙으로, 임상시험에 관한 10가지 조항으로 구성되어있음. 핵심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 후 자발적인 동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시험이어야 할 것
177
탈리도마이드 사건의 의의가 무엇인가?
국제사회는 의약품에 대해 이루어지는 임상시험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야한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178
터스키키 매독 연구 사건의 의의는 무엇인가?
인간을 대상으로하는 연구를 더이상 연구자의 분별력에 맡겨서마는 안된다는 인식을 하게되므로써 의무적으로 연구기관에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를 설치하는 현대적 IRB 체계를 확립하게 되었고 임상시험에 관한 국가차원의 위원회 설립의 근거가 되는 국가연구법이 제정을 촉발하였다.
179
벨몬트 보고서의 의의는 무엇이며, 그 안에 담고 있는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
의의: 미국이 국가차원에서 연구윤리와 생명 윤리 체제의 기본 원칙을 설정한 문서 핵심가치: 연구와 치료를 구분하는 궁극적이 목적은 "연구 대상자"를 보호하는 것이며, 어떠한 활동에도 연구의 목적이 조금이라도 포함되어있다면 그 활동은 검토대상이 되어야 한다.
180
헬싱키 선언은 어떤 내용을 포함하고 있나?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인체유래물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할 경우 의사는 인체유래물에 관해 충분히 설명에 의한 동의를 얻어야 한다.
181
제 1상, 2상, 3상, 4상 임상시험의 목적은 무엇이며, 각 시험에 포함되는 인원 수는 몇 명인가?
제 1상 임상시험 - 안전성 집중 검사, 비교적 한정된 인원(통상 20~80명, 때로 20명 이하)의 건강인 제 2상 임상시험 - 적응증의 탐색과 최적용량 결정, 100~200명의 소규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물의 약효와 부작용을 평가 제 3상 임상시험 -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약물의 유용성 확인, 비교대조군과 시험처치군을 동시에 설정하여 효능, 효과, 용법, 용량,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을 결정 제 4상 임상시험 - 시판 후 안정성, 유효성 검사
182
임상시험은 어떤 가치가 있는가?
더 이상의 치료 방법이 없는 환자가 임상시험에 참여한다면 새로운 치료를 빠르게 접할 수 있고,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은 이렇게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삶의 희망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이고, 장기간에 걸쳐 개발된 신약을 인류의 복지와 건강에 큰 기여를 하게 됩니다.
183
국내 임상시험의 절차를 서술하시오.
184
임상 시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반응을 관리해야하는 이유를 세 가지 측면에서 서술하시오.
과학적 측면 - 연구 목적을 충족하고 안정성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함 윤리적 측면 -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함 법적 측면 - GCP(Good Clinical Practice;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 보고 의무
185
임상시험계획서를 작성할 때 윤리적 측면에서 주요 검토사항은 어떤 것인가?
186
RCT는 무엇인가?
RCT는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의 약자로, 무작위대조군연구 또는 무작위 비교연구를 뜻합니다. 임상시험, 의약품 개발, 제약연구 등에서 사용되는 연구방법입니다. RCT의 특징 시험 대상자를 무작위로 치료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수행합니다. 대조군은 활성대조군과 위약대조군으로 구분됩니다. 인간의 주관이 개입할 여지를 최대한 차단하여 가장 객관적인 실험 결과를 낳기 위한 기법입니다. 의약품의 허가에 근거가 됩니다. 기존의 의약품보다 저렴하고 효과가 뛰어나면 가치가 높게 평가됩니다.
187
Randomized Control Trial에서 Cofounder이란 무엇인가?
변수 중 Exposure과 Outcome 모두에 Correlation이 있는 변수를 의미한다.
188
의학연구에서 T test는 어떨 때 사용하는가?
189
의학연구에서 chi-square test는 언제 사용하는가?
190
T test와 chi-square test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19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두 그룹의 **평균 혈압 수치(연속형 데이터)**를 비교하므로 T-test가 맞아요!
192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흡연 여부(Yes/No)와 폐암 발생 여부(Yes/No)는 범주형 데이터이므로 Chi-square test가 맞아요!
193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정답: (1) 연속형 데이터, (2) 범주형 데이터
194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 A: 평균 체중 비교 → T-test 사용! → C: 평균 시험 점수 비교 → T-test 사용! → B와 D는 범주형 데이터 비교이므로 Chi-square test를 사용해야 해요.
195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P-value가 0.02로 0.05보다 작으므로 차이가 유의미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어요!
196
헬싱키 선언은 언제 어디서 처음 채택되었는가?
1964년에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한 제 18차 세계의사회 총회에서 채택되었다.
197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와 동료 평가(Peer review)는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가?
1. 동료평가 - 동료평가는 같은 분야의 전문가들과 모여서 연구를 심사하는 것이다. 연구가 끝난 후 논문을 학술지에 실을 수 있을지 심사하게 된다. 2. IRB - 생명윤리와 연관된 연구를 하는 기관에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조사, 교육, 심의하는 기관이다.
198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4번
199
체외순환보조장치(ECMO)가 의술에서 가지는 가치는 무엇인가?
*체외순환보조치료는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숔 및 인공호흡기 치료에 효과가 없는 호흡 부전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치료 방법* 1. 생명 유지 심장이나 폐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된 환자에게 ECCD는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심장 수술이나 장기 이식 수술 중에 심장과 폐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신하여 환자의 생명을 유지합니다. 2. 회복 시간 제공 급성 심부전이나 폐부전으로부터 회복이 필요한 환자에게 일시적으로 심폐 기능을 대신하여 신체가 회복할 시간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자가 회복 능력을 촉진하고 치료의 성공률을 높입니다. 3. 이식 수술의 성공률 향상 심장이나 폐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환자에게 체외 순환 보조 장치는 이식 전까지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수술 중에도 안정적인 순환과 산소 공급을 통해 성공적인 이식을 돕습니다. 4. 응급 상황에서의 활용 심장마비나 급성 호흡부전 같은 응급 상황에서 빠르게 적용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환자실에서의 응급 처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0
재활의학에서 Major하게 다루는 분야 4가지는 무엇인가?
뇌신경재활(전체의 50%정도 차지) 척수신경재활(반신불수 등) 근골격계재활 및 통증 소아재활
201
다음은 소화기센터에서 사용하는 내시경의 구조물이다. 검은 선으로 표식된 것들에 대해 각각 설명하시오.
12시방향: Nozzle - 물이 나와서 장 내부를 깨끗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1시, 6시 방향: Light-guide lens - 빛이 나온다. 10시 방향: Objective Lens - 렌즈로 장 내부를 본다. 4시 방향: Forceps - 포셉
202
HBV에 대표되는 치료약 2가지는?
Tenofovir alafenamide Entecavir
203
HCV에 대표되는 치료약 2가지는?
Glecaprevir/Pibrentasvir Sofosburvir/Velpatasvir
204
간 경화와 혈관 occlusion에 의해 발생하는 주변 장기의 이상증을 두 가지 말한다면?
식도정맥류, Splenomegaly
205
수술이나 치료를 도입하기 전 의사-환자 관계를 수립할 때 가장 기피해야하는 행동은?
환자에게 지나치게 안심감을 주거나 경고를 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206
환자의 가족과 의사소통을 할 때 가장 적절한 방식은 무엇인가?
환자에게 심리적,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Key person에게 소통하고 설명함으로써 그 Key person이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 소통하게 한다.
207
의무기록을 작성 중 Present illness를 작성할 때에는 환자의 나이/성별에 대해 언급한다. (O/X)
X Initial Data Base 속 history에는 처음에 Identifying Data가 존재하며, 그때 언급한 나이/성별은 재언급이 금지된다.
208
의무기록을 작성할 때에 환자의 Risk factor은 어디에 쓰는 것이 옳은가?
Present Illness에 쓰는 것이 옳다.
209
의무기록을 작성 중, history의 Family history가 없다면 어떻게 작성해야하는가?
not remarkable, insignificant (non-specific은 틀린 말이다.)
210
의무기록을 작성 중 Current medication & Allergy는 어디에 작성해야하는가?
Present Illness에 작성한다.
211
의무기록을 작성 중 Physical examination을 수행하였다. 환자의 의식상태를 설명하는 용어를 단계별로 설명한다면 어떻게 되는가?
alert/lethargic/obtunded/stuporous/comatose 1. Alert (명료) 정의: 환자가 깨어있고, 외부 자극에 잘 반응하며, 환경을 명확하게 인지하는 상태입니다. 특징: 질문에 정확하고 빠르게 대답하며, 지남력(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인지력)이 정상입니다. 예시: 대화 중에 질문에 바로 반응하고,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명확하게 이해함. 2. Lethargic (기면) 정의: 환자가 졸리거나 나른한 상태로, 약간의 자극에 반응하지만 쉽게 다시 졸음에 빠집니다. 특징: 큰 소리나 가벼운 자극에 반응하나 반응이 느리고, 주의력이 쉽게 분산됩니다. 예시: 이름을 부르면 잠깐 눈을 뜨고 대답하지만 금방 다시 졸음에 빠지는 경우. 3. Obtunded (혼미) 정의: 환자가 심하게 졸린 상태로, 강한 자극이 있어야 반응을 보입니다. 반응이 느리고 제한적입니다. 특징: 단순한 질문에 대한 대답도 지연되거나 불명확하고, 자극이 없으면 바로 잠에 빠집니다. 예시: 세게 흔들거나 큰 소리로 불러야 눈을 뜨고, 질문에 대한 반응이 느린 경우. 4. Stuporous (혼돈) 정의: 강력한 통증 자극에만 반응하는 상태로, 자발적인 움직임이나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특징: 자극에 대한 반응이 비정상적이고, 목적성 없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합니다. 지남력도 거의 없습니다. 예시: 가슴을 세게 꼬집거나 뺨을 세게 때려야 눈을 뜨지만, 질문에 대한 이해나 반응이 없는 경우. 5. Comatose (혼수) 정의: 어떠한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 상태로, 의식이 완전히 소실된 상태입니다. 특징: 통증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으며, 반사 작용도 감소하거나 소실됩니다. 자발적인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이 필요합니다. 예시: 강한 통증 자극에도 전혀 반응이 없고, 눈도 뜨지 않는 상태.
212
의무기록을 작성하는 중 Initial Assesment & Plans에서 R/O을 쓰는 것을 금한다.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는 완화적 표현은 무엇인가?
More likely, Less likely, Least likely
213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Safety Code 중 Code Blue는 무엇인가?
심정지이다.
214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Safety Code 중 Code Red는 무엇인가?
화재이다.
215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Safety Code 중 Code Pink는 무엇인가?
아동유괴이다.
216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Safety Code 중 Code Green는 무엇인가?
재난이다.
217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Safety Code 중 Code gray는 무엇인가?
위험인물 출현이다.
218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Safety Code 중 Code white는 무엇인가?
전산장애이다.
219
안구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가?
220
다음 질문에 답하고, 이 test의 이름이 무엇인지 말하시오.
1번이다.
221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222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223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224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225
동맥 천자(Arterial Puncture)은 왜 필요한가?
1. PO2, PCO2, Base 등 혈액 성분을 알아야 할 때 2. Pulmonary function을 알아야 할 때 3. Acidosis와 Alkalosis의 정도와 여부를 파악할 때
226
동맥 천자 시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인가?
End artery를 천자할 시 말초 조직에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괴사할 수 있다. End artery가 아니더라도 Anastomosis가 이루어지지 않는 혈관의 경우 말초의 조직이 괴사할 수 있으므로 Allen's test를 반드시 수행한다.
227
Allen's test란 무엇인가?
Allen's test는 동맥 천자 시 Radial a.와 Ulnar a.가 손바닥으로의 혈행에 anastomosis를 이루는지 확인하는 시험으로, 이를 통해 한 쪽 동맥의 천자 시에도 손바닥 조직 괴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얻을 수 있다. 1. 주먹을 꽉 쥐어서 손바닥의 혈액을 밀어낸다. 2. Radial a.와 ulnar a.를 압박해서 혈행을 막는다. 3. Radial a.의 압력은 유지하면서 Ulnar a.의 압력을 제거한다. 4. 손바닥에 혈색이 돌아온다면 Positive. 안 돌아오면 Negative - Negative라면 Ulnar a.로부터의 anastomosis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Radial a.로부터 동맥 천자가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228
기관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발적 호흡이 불가능한 상황(의식저하, Airway obstruction etc) 자발적 호흡이 가능하지만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Hypoxemia) 기관 내 직접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실시한다.
229
기관 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시에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인가?
Laryngoscope를 삽입한 뒤에 Epiglottis 앞에 위치시키고, 전방으로 전진시키는 힘으로 기관을 확장시킨다. 이때 힘이 부족해서 앞니를 지랫대 삼아 기관을 열어준다면 그 압력으로 인해 치아가 손상되고, 손상된 치아가 확장된 기관으로 굴러들어가서 기관지를 아예 막아버릴 수 있다.
230
기관 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Complication을 다섯 가지 말한다면?
1. 국소 손상 - 치아 손상: 기관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힘을 잘못 실어서 치아가 손상될 수 있다. - Epiglottis를 누르기 때문에 자극받아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2. 부정맥 - 관이 들어가면서 자극을 일으켜서 발생할 수 있다. 3. 위 내용물의 기관 내 흡인 - 환자의 자연스러운 구역반응으로 인해 위 내용물이 기관 내로 흡인될 수 있다. 4. 식도 내 삽관 - 위로 들어간 관에 의해 위가 팽창하여 기관지를 누르게 되거나 위가 터져버릴 수 있다. 5. 기관지 내 삽관 - 삽관 위치가 Trachea보다 Low level로 들어간다면(보통 Right bronchus가 vertical하기 때문에 이쪽으로 잘 들어감) 추후 다른 쪽 폐를 아예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좌측 폐의 무기폐).
231
경비위관 삽입(L-tube)의 목적은 무엇인가?
1. 진단이나 치료 목적으로 위의 내용물을 꺼내야 할 때 2. 스스로 먹을 수 없는 환자에게 음식을 넣어줄 때
232
경비위관 삽입 시 환자에게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가?
앉은 상태로 고개를 숙이도록 한다. - 구토를 하다가 기관을 막아버리지 않기 위함. - 고개를 숙이면 자연스럽게 기관이 막히기 때문에 Trachea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33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2021)
3번. 수술 환자의 경우 nonsteroidal agents의 사용이 금기이다. 대신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다. 🔹 NSAIDs가 수술 환자에게 금기인 이유 1. 출혈 위험 증가 NSAIDs는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액의 응고 능력을 감소시킵니다. 특히 Aspirin은 비가역적으로 혈소판 기능을 억제하므로, 출혈 위험이 더욱 높아집니다. 수술 후 출혈이 발생하면 지혈이 어렵고, 이는 수술 부위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위장관 출혈 및 궤양 위험 NSAIDs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여 위장 점막을 보호하는 기능을 약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위염, 위궤양, 출혈의 위험이 증가하며, 수술 후에는 이러한 합병증이 더욱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3. 신장 기능 저하 프로스타글란딘은 신장 내 혈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술로 인한 체액 손실, 출혈, 저혈압 등이 있는 상황에서 NSAIDs를 사용하면 신혈류 감소로 인해 **급성 신손상(AKI)**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골유합 지연 NSAIDs는 프로스타글란딘 억제를 통해 뼈의 치유와 재생을 방해합니다. 특히 정형외과적 수술 후에는 골유합이 지연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5. 심혈관계 위험 일부 NSAIDs는 심혈관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고위험군의 환자에게는 수술 후 심근경색, 뇌졸중의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234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 정답: ④ Dantrolene sodium 🔥 진단: 악성 고열(Malignant Hyperthermia, MH) 문제의 내용은 **악성 고열(MH)**의 전형적인 증상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악성 고열은 흡입마취제(할로겐계 마취제)나 근이완제인 Succinylcholine에 의해 유발되는 유전성 근육 질환으로, 마취 유도 후 전신성 대사 이상이 발생합니다. 🔹 악성 고열의 주요 증상 근육 강직(Muscle rigidity): 특히 masseter muscle rigidity가 흔합니다. 고열(Fever): 급격한 체온 상승으로 40도 이상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부정맥(Arrhythmia):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심장 부정맥 산증(Metabolic acidosis)와 고혈탄산혈증: ABGA에서 pCO₂ 증가와 pH 감소 고칼륨혈증(Hyperkalemia): 근육 파괴로 인한 혈중 칼륨 증가 고혈압, 근육 강직, 다발성 장기 부전: 중증의 경우 생명을 위협합니다. 🔹 치료법 원인 약제 중단: 즉시 흡입마취제 및 Succinylcholine 투여 중단 체온 조절: 외부 냉각으로 체온 낮추기 산증 교정: Bicarbonate 투여로 대사성 산증 교정 환기 조절: 고유량 산소 공급으로 CO₂ 제거 고칼륨혈증 교정: Glucose와 Insulin 병용, 칼슘제제(Calcium gluconate) 투여 가능 **특이적 치료제: Dantrolene sodium 근육 내 칼슘 방출을 억제하여 근육의 과도한 수축을 막습니다. 초기 용량: 2.5mg/kg IV 투여, 필요시 반복 🔹 선지 해설 Succinylcholine: 악성 고열의 유발 원인 중 하나로 금기 KCL: 고칼륨혈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금기 Epinephrine: 심정지나 쇼크의 경우 사용 가능하지만, 근본적인 치료제는 아님 Dantrolene sodium: 악성 고열의 유일한 특이적 치료제 ✅ Calcium gluconate: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심장 보호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는 아님 따라서, 악성 고열의 치료제로 Dantrolene sodium이 가장 적절합니다! 😊
235
답)3번 풀이) MI가 발생해 stent를 삽입한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4~6주 기다리는 것을 권장한다.
236
60세 여자 환자가 심방세동으로 와파린을 복용하며 지내던 중 대장암이 발견되어 수술을 받게 되었을 때, 다음 중 와파린 복용과 관련하여 수술 전 바른 처치를 고르시오. ①수술 일주일 전 와파린을 아스피린으로 교체 투약 ②수술 전 날 신선냉동혈장 수혈 진행 ③수술 당일 Vit K 정맥주사 ④수술 3일전 와파린 중단 후 헤파린 사용 ⑤와파린 중단한 뒤 1개월 후 수술 시행
답)4번 풀이) 항응고제 와파린은 헤파린에 비해 반감기가 길다. 따라서 수술과 같은 심한 출혈의 가능성이있을 때에는 반응이 빠른 헤파린을 사용한다.
237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답: 1 장폐색 환자에서 비위관으로 감압을 시행한다. 🌟 **비위관(Nasogastric Tube, NGT)**이란? **비위관(NGT, Nasogastric Tube)**은 **코(비강, Nasal cavity)**를 통해 **위장(Gastric)**까지 삽입하는 얇고 긴 관입니다. 주로 비강 → 인두 → 식도 → 위로 이어지는 경로로 삽입합니다. 의료적으로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그중 하나가 **감압(Decompression)**입니다. 🔹 비위관을 통한 감압(Decompression) 비위관으로 감압을 시행한다는 것은 위장이나 장의 내용물을 빨아들여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위장 내부의 압력을 낮추고, 장폐색이나 위장관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238
52세 남자환자가 외상 후 발생한 복막염으로 장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후 10일 동한 광범위 항생제(piperacillin/tazobactam)을 유지했지만 발열 지속되었다(사진). 발열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시행한 복부 씨티에서 조절되지 않는 감염원은 확인되지 않았다. 문진, 이학적 검사에서 감염병을 의심할 만한 증상,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항생제를 중단한다. 2. 재수술을 시행한다. 3. 항생제를 카바페넴으로 변경한다. 4. 항생제를 반코마이신으로 변경한다. 5. 발열 호전 시까지 항생제를 현재대로 유지한다.
🔹 **정답: ① 항생제를 중단한다.** --- 🔹 **문제 해설** - **수술 후 지속적인 발열**은 흔히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환자는 **장절제술 후 복막염**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10일간 발열**이 지속되었습니다. - 복부 CT에서 **조절되지 않는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았고, **임상적으로 감염의 증거**도 없는 상태입니다. - 이러한 상황은 **항생제 관련 발열(Antibiotic-associated fever)**이나 **비감염성 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 🔹 **수술 후 지속적 발열의 감별진단** 1. **감염성 원인** - 복강 내 감염, 농양, 창상 감염, 폐렴, 요로 감염, 중심정맥관 감염 등 - 그러나 CT에서 감염원이 없고, 임상적으로 감염 증거가 없다면 가능성 낮음 2. **비감염성 원인** - **약물열(Drug fever):** 항생제, 특히 β-lactam계 항생제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음 - **심부정맥 혈전증(DVT) 또는 폐색전증(PE)** - **수술 후 염증 반응:** 무균성 염증 반응으로 인한 발열 - **기저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콜라겐 혈관 질환 등 --- 🔹 **항생제 관련 발열의 특징** - **항생제 관련 발열**은 보통 항생제 투여 **5~10일 이후**에 발생하며, 특정 감염 징후 없이 체온이 상승합니다. - 감염의 증거가 없고 항생제 외 다른 발열 원인이 의심되지 않는다면 항생제를 중단하고 경과를 관찰합니다. - 항생제 중단 후 **48~72시간 이내**에 발열이 호전되면 **약물열**로 판단합니다. --- 🔹 **선지 해설** 1. **항생제를 중단한다:** - 감염의 증거가 없고, 항생제 관련 발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절 ✅ 2. **재수술을 시행한다:** - CT에서 감염원이 없고, 임상적으로 감염 증거가 없으므로 부적절 3. **항생제를 카바페넴으로 변경한다:** - 감염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광범위 항생제의 추가 사용**은 불필요 4. **항생제를 반코마이신으로 변경한다:** - MRSA나 특정 내성균 감염의 증거가 없으므로 부적절 5. **발열 호전 시까지 항생제를 현재대로 유지한다:** - 항생제 관련 발열의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항생제 유지보다는 **중단 후 경과 관찰**이 필요 --- 🔹 **결론** 복막염으로 인한 장절제술 후 발열이 **광범위 항생제 치료에도 지속**되고, CT상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으며 감염 증상이 없다면, **항생제 관련 발열**을 의심하고 **항생제를 중단**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239
54세 남자 환자 10년 전 S 결장암으로 수술 받은 과거력 외에 특이 사항 없는 환자로 검진상 위전정부위 위선암 진단을 받고 위 아전절제술 및 루와이 위 공장문합술을 시행받았다. 환자는 수술 후 5일째 저녁부터 급성 복통 및 구토를 시작하였고 밤 사이에 수차례 분출성 구토가 있었고 노란색 액체를 토한다고 한다. 환자는 급성 병색 소견을 보였다. 응급으로 촬영한 복부 영상은 그림과 같다. Vital sign : BP 120/55, PR 120/min, RR 20회, BT 36.0도 혈액검사 WBC 4100/ul, BUN 12.5 mg/dL, creatinine 1.01 mg/dL, GOT 30 U/L, GPT 199 U/L, Total Bilirubin 0.7 mg/dL, CRP 5.2 mg/dL 필요한 조치는 무엇인가? 1. 관장 2. 응급 개복 수술 3. 항생제 및 수맥 치료 4. 항구토제 투여 5. 조영제를 먹고 막힌부위를 확인하는 위장관 조영술 촬영
이 환자는 **위전정부위 위선암**으로 **위 아전절제술** 및 **루와이 위 공장문합술**을 받은 후, **급성 복통**, **분출성 구토**, **병색 소견**을 보이며, **응급 복부 영상**에서 문제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자의 상태 분석** - **분출성 구토**와 **노란색 액체**는 **위장관 폐쇄**나 **배설물 역류**를 시사합니다. - **급성 병색 소견**(즉, 위중한 상태)은 **복부 내 문제**가 급격히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 **혈액 검사**에서 **GPT 상승**(간 효소 상승)과 **CRP 증가**는 염증 반응을 시사합니다.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환자는 **수술 후 5일째 급성 복통 및 구토**를 보이고 있으며, **복부 영상**에서 장폐색이 의심되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분출성 구토**와 같은 증상은 **위장관 폐쇄**나 **수술 후 유착**, **장 천공**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조치** **정답: ② 응급 개복 수술** --- **이유:** 1. **장폐색**이 가장 의심됩니다. 수술 후 유착 등으로 인한 장폐색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분출성 구토**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급성 병색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응급 수술**을 통해 폐쇄 부위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유착 제거 또는 장 절제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3. **응급 개복 수술**은 장폐색이나 천공, 혈관 손상 등이 의심될 때 **생명을 구하는 가장 중요한 치료**입니다. --- **다른 선지 분석:** 1. **관장**: - 장폐색이 의심될 경우, **관장**은 **금기**입니다. 오히려 장의 **천공**이나 **내장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 **항생제 및 수액 치료**: - 항생제는 **감염**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지만, 환자가 **장폐색**의 위험이 있는 상태에서는 먼저 **응급 수술**이 필요합니다. 3. **항구토제 투여**: - **항구토제**는 증상 완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원인**인 **장폐색**을 해결하지 않기 때문에 **응급 수술**이 우선입니다. 4. **조영제를 먹고 막힌 부위를 확인하는 위장관 조영술 촬영**: - **조영술**을 통해 **장폐색**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미 급성 복통과 구토, 급성 병색 소견이 있는 환자에게 **조영술**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응급 수술**이 더 적절합니다. --- **결론:** 환자는 **장폐색**이 의심되며, **응급 개복 수술**을 통해 상태를 바로 확인하고, 필요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조치입니다.
240
43세 남자가 상행결장의 천공성 게실염으로 정주용 3세대 세팔로스포린과 메트로니다졸을 사용하였다. 약물치료 6일 후 복부통증은 호전되었으나. 다량의 물설사가 발생하였다. 신체진찰에서 좌하복부에 경미한 압통이 있었으나 반동압통은 없었다. 대변 잠혈 검사서 2+ 였다. 대장내시겅소견은 다음과 같다. 치료는? 1)좌반대장 절제술 2)메트로니다졸 중단 3)정주용 반코마이신 추가 4)내시경 점막 절제술 5)정주용 항생제 중단 및 경구용 반코마이신 사용
**환자의 상태 분석** - **상행결장 천공성 게실염**으로 3세대 세팔로스포린과 메트로니다졸을 사용하고 있으며, **복부통증**은 호전되었으나, **다량의 물설사**와 **대변 잠혈 검사 2+**가 양성으로 나타났습니다. - **대장내시경 소견**에서의 정보가 중요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대장내시경 결과를 통한 **장염**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C. difficile)** 감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C. difficile 감염**은 항생제 사용 후 **설사**와 **대변 잠혈**을 동반하는 경우 자주 발생합니다. **C. difficile 감염** - 항생제 치료(특히 메트로니다졸과 같은 광범위 항생제 사용)가 **장내 정상 세균총**을 교란시켜 **C. difficile**이 과잉 증식하게 되는 **항생제 유발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C. difficile 감염의 증상은 **설사**, **배변빈도 증가**, **복부통증**, **대변에 혈액 포함** 등입니다. **진단**: - **대변 잠혈 검사 2+**는 **혈변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대장내시경**에서 C. difficile의 **점막염** 소견이 확인된다면, 이는 C. difficile 감염을 의심하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치료** - **C. difficile 감염**이 의심되면, 첫 번째 치료는 **항생제 중단**입니다. 메트로니다졸은 C. difficile 감염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반코마이신** 또는 **fidaxomicin**이 필요합니다. - 또한, **경구용 반코마이신**은 C. difficile 감염에서 **표준 치료법**으로 사용됩니다. --- **정답: ⑤ 정주용 항생제 중단 및 경구용 반코마이신 사용** --- **다른 선지 분석**: 1) **좌반대장 절제술**: - 절제술은 **심한 장의 괴사**나 **천공**이 있는 경우에 필요하지만, 현재 환자에게는 그런 증거가 없으므로 부적절합니다. 2) **메트로니다졸 중단**: - 메트로니다졸은 **C. difficile 감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 경우 **반코마이신**이 더 효과적인 치료법일 수 있으므로 경구용 반코마이신으로 변경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3) **정주용 반코마이신 추가**: - **정주용 반코마이신**은 **C. difficile** 감염의 치료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C. difficile의 경우 **경구용 반코마이신**이 효과적입니다. 4) **내시경 점막 절제술**: - 점막 절제술은 **C. difficile 감염**이나 **장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이러한 환자에게는 **항생제 치료**가 우선입니다. --- **결론**: 환자는 **C. difficile 감염**이 의심되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는 **정주용 항생제 중단**과 **경구용 반코마이신 사용**입니다. C. difficile 감염은 **항생제 중단 후**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241
14세 남자 환아가 Periappendiceal abscess로 수술을 시행하였다. Halogen을 이용한 흡입마취를 하면서 수술하던 도중 EKG상에서 arrythmia가 발생하였고 복부의 muscle rigidity가 생기면서 fever가 40도로 check되었다. 동맥혈가스분석(ABGA)에서 metabolic acidosis와 pCO2가 60mmHg, pO2가 55mmHg로 check되었다. 즉시 흡입마취제를 중단하였으며 cooling을 시행함과 동시에 acidosis를 교정하였다. 이 환아에서 쓸 수 있는 약제는? ①Succinylcholine ②KCl ③Epinephrine ④Dantrolene sodium ⑤Calcium gluconate
이 환아는 **수술 중 마취 후** 발생한 **심장 부정맥 (arrhythmia)**, **복부의 muscle rigidity**, **고열(40도)**, 그리고 **동맥혈가스분석(ABGA)**에서 **대사성 산증**, **pCO2 상승**, **pO2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견은 **Malignant Hyperthermia (MH)**를 의심하게 합니다. **Malignant Hyperthermia (MH)**란? - **Malignant Hyperthermia**는 **흡입마취제**(주로 **halothane** 및 **sevoflurane**)와 **succinylcholine**을 사용한 수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상태입니다. - 주요 증상은 **급성 고열**, **근육 강직 (muscle rigidity)**, **심박수 증가**, **불규칙한 심장 리듬 (arrhythmia)**, **대사성 산증**, **고탄산혈증**(pCO2 상승), **저산소증**(pO2 감소) 등이 포함됩니다. **치료**: - **Dantrolene sodium**은 **Malignant Hyperthermia**의 **1차 치료제**로, 마취제와 관련된 과도한 근육 수축을 완화시켜 체온을 낮추고 대사성 산증을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흡입마취제 중단**, **체온 하강**, **산증 교정**, **기타 supportive care**와 함께 사용합니다. **정답: ④ Dantrolene sodium** --- **다른 선택지 분석**: 1) **Succinylcholine**: - **Succinylcholine**은 **Malignant Hyperthermia**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2) **KCl (칼륨염)**: - **KCl**은 칼륨이 부족할 때 사용하는 약물로, **Malignant Hyperthermia**와 관련된 치료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3) **Epinephrine**: - **Epinephrine**은 심정지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상태에서 사용되지만, **Malignant Hyperthermia**의 주요 치료법은 아닙니다. 4) **Calcium gluconate**: - **Calcium gluconate**는 심장 문제나 저칼슘혈증을 교정할 때 사용하지만, **Malignant Hyperthermia**의 치료에서는 **Dantrolene sodium**이 우선입니다. --- **결론**: 이 환자는 **Malignant Hyperthermia**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Dantrolene sodium**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242
60세 여자환자가 심방세동으로 와파린을 복용하며 지내던 중 대장암이 발견되어 수술을 받게 되었을 때, 다음 중 와파린 복용과 관련하여 수술 전 올바른 처치를 고르시오. ① 수술 일주일 전 와파린을 아스피린으로 교체 투약 ② 수술 전날 신선냉동혈장 수혈 시행 ③ 수술 당일 Vit.K 정맥 주사 ④ 수술 3일 전 와파린 중단 후 헤파린 사용 ⑤ 와파린 중단한 뒤 1개월 후 수술 시행
이 환자는 **심방세동**으로 **와파린**을 복용 중이고, **대장암** 수술을 받게 된 상태입니다. **와파린**을 복용하는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출혈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혈전 예방**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입니다. 와파린의 관리 원칙 와파린은 **비타민 K 의존성 응고인자**(II, VII, IX, X)의 합성을 억제하여 **항응고작용**을 하므로, 수술 전에는 이를 적절히 관리해야 합니다. 수술 전 와파린의 처치 방법은 수술의 출혈 위험과 혈전 예방을 고려하여 조정해야 합니다. 와파린 처치와 관련된 수술 전 준비: - **수술 전 와파린 중단**: 와파린은 **5일 정도** 전에는 중단하고, 혈액 응고가 회복되도록 해야 합니다. **INR**을 정상 범위로 돌아오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헤파린 교체**: 와파린 중단 후, **헤파린**을 **브리지 요법**(Bridge therapy)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헤파린은 빠르게 작용하는 항응고제이며, 수술 전 **일시적인 혈전 예방**을 위해 사용됩니다. - 수술 당일에 **와파린**이나 **헤파린**을 사용하지 않으며, 대신 **수술 전 혈액 응고가 정상화**되도록 해야 합니다. **정답: ④ 수술 3일 전 와파린 중단 후 헤파린 사용** --- **다른 선택지 분석**: 1) **수술 일주일 전 와파린을 아스피린으로 교체 투약**: - **아스피린**은 항응고작용보다는 항혈소판제입니다. 와파린을 아스피린으로 교체하는 것은 **효과적인 항응고 관리**가 되지 않으며, **출혈 위험**을 오히려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수술 전날 신선냉동혈장 수혈 시행**: - **신선냉동혈장**은 **INR**이 매우 높은 상태에서 응고인자를 보충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수술 전 **와파린 중단** 후에는 **헤파린**으로 혈전 예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리 방법입니다. 신선냉동혈장 수혈은 **INR이 매우 높은 경우**에만 사용되며, 정상 범위로 돌아가도록 와파린을 중단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3) **수술 당일 Vit.K 정맥 주사**: - **비타민 K**는 **와파린**의 효과를 역전시킬 수 있지만, **수술 전 비타민 K 주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비타민 K가 혈액 응고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출혈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술 전에는 **와파린 중단** 후, **헤파린 교체**가 일반적입니다. 5) **와파린 중단한 뒤 1개월 후 수술 시행**: - **와파린을 1개월 후에 중단**하는 것은 너무 오래 미루는 것이며, **수술의 적절한 시점**을 놓칠 수 있습니다. 와파린을 **3-5일 전**에 중단하고, 이후 **헤파린**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 **결론**: 수술 전 **와파린을 중단한 후**, **헤파린**을 사용하여 혈전 예방을 하고, **INR**을 정상화한 뒤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처치**입니다.
243
45세 남자가 괴사성 급성충수염 수술후 큰 문제 없이 퇴원하였다. 수술 후 일주일 째 상처의 봉합 사가 제거되었고, 그 1주 후 다시 우하복부 통증으로 왔다. 활력증후는 혈압 120/70 mmHg, 맥박 수 89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8.5℃ 이었고, 신체진찰에서 상처부위의 압통은 없었고, 우하복 부에 압통 및 반동압통이 관찰되었다. 혈액검사 소견이다. 가능성 높은 진단은? * 혈액검사 백혈구 16,500/mm^3(호중구 95%, 림프구 10%), 혈색소 13.5g/dL, 혈소판 157,000/mm^3, 적혈구침강속도 42mm/hr ① 신우신염 ② 복강내 농양 ③ 맹장 게실염 ④ 메켈씨 게실염 ⑤ 대장암
이 환자는 **괴사성 급성충수염** 수술 후 1주일 뒤에 **우하복부 통증**과 **발열**(38.5°C)을 겪고 있으며, 신체 검사에서 **우하복부의 압통**과 **반동압통**이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 상승(16,500/mm³)**과 **호중구 증가(95%)**가 보입니다. 이 경우 **감염**이나 **복강 내 농양**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능성 높은 진단 분석:** - **복강 내 농양 (Intra-abdominal abscess)**: - **복강 내 농양**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흔한 합병증입니다. 수술 후 발생하는 **농양**은 **우하복부 통증**, **발열**, **백혈구 수치 증가**, **반동압통**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우하복부의 압통 및 반동압통**은 농양이나 감염성 질환을 시사하며, **수술 후 복강 내 감염**에 의해 농양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신우신염**: - 신우신염은 **배뇨 관련 증상**(예: 배뇨 시 통증, 빈뇨 등)이나 **허리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환자는 **배뇨 증상**이 없고, **우하복부 통증**이 주로 발생하였으므로 신우신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 **맹장 게실염 (Appendiceal diverticulitis)**: - **맹장 게실염**은 **맹장의 게실**에서 발생하는 염증으로, 수술 후 재발은 드물며, 이 환자의 증상(수술 후 우하복부 통증, 발열 등)과 잘 맞지 않습니다. - **메켈씨 게실염 (Meckel's diverticulitis)**: - 메켈씨 게실염은 **소장의 선천적 구조물**인 메켈 게실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대개 **우하복부 통증**을 유발하지만, 수술 후 발생한 문제와 일치하지 않으며, 이 환자는 수술을 받았고, **우하복부의 압통과 반동압통**은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 **대장암**: - **대장암**은 주로 **배변 변화**, **체중 감소**,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환자는 **대장암**의 전형적인 증상은 보이지 않으며, **수술 후 합병증**을 고려한 진단이 더 적합합니다. **정답: ② 복강내 농양** **복강 내 농양**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수술 부위나 주변 장기에서 **농양**이 형성되면서 **우하복부 통증**, **발열**, **백혈구 수치 상승**, **반동압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부 CT**나 **초음파**를 통해 농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244
Surgical Site Infection의 위험요소가 아닌 것은? ① 고혈압 ② 당뇨 ③ 고령 ④ 비만 ⑤ 영양결핍
**Surgical Site Infection (SSI)**의 위험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는 환자의 기저 질환, 나이, 영양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선택지를 살펴보면: 1) **고혈압 (Hypertension)**: - 고혈압은 **혈관 건강**에 영향을 미쳐 수술 후 **상처 치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SI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당뇨 (Diabetes)**: - 당뇨병은 **면역 기능 약화**와 **상처 치유 지연**을 초래할 수 있어 **Surgical Site Infection의 위험 요소**입니다. 고혈당 상태는 감염에 대한 취약성을 높입니다. 3) **고령 (Advanced age)**: - 고령자는 **면역력이 약해지고** **상처 치유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SSI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4) **비만 (Obesity)**: - 비만은 **지방조직의 증가**로 인해 **상처 치유가 지연되고**,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비만은 또한 **호흡기 및 순환기 문제**를 증가시켜 수술 후 합병증을 높일 수 있습니다. 5) **영양결핍 (Malnutrition)**: - 영양결핍은 **면역 기능 저하**, **상처 치유 능력 감소** 등을 초래하여 **Surgical Site Infection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정답: ① 고혈압** **고혈압** 자체는 **Surgical Site Infection (SSI)**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다른 선택지들은 **SSI의 위험 요소**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245
과거력상 10년 전에 충수절제술을 시행했던 적이 있는 환자가 구토,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응급실에서 시행한 복부 X-ray 촬영상 다음과 같은 소견을 보였다. 다음 중 이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처치는? ① 비위관을 삽입하여 감압을 시도한다. ② 발열과 심한 통증 동반 시 응급수술을 계획한다. ③ 혈중 전해질검사를 하여 전해질 균형을 유지시킨다. ④ 금식을 유지하고 도뇨관을 삽입하여 시간당 소변량을 확인한다. ⑤ 체내 수분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으므로 수액을 절대 주지 않는다.
이 환자는 과거에 충수절제술을 시행한 후 구토와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복부 X-ray에서 장폐색 소견이 보인 상태입니다. 장폐색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충수절제술 후 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장 유착입니다. 각 선택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비위관을 삽입하여 감압을 시도한다: 장폐색 환자에서 비위관을 삽입하여 위장관을 감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처치입니다. 비위관을 삽입하면 구토와 복통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장에 대한 압력을 줄여주기 때문에 이 처치는 적절합니다. 발열과 심한 통증 동반 시 응급수술을 계획한다: 발열과 심한 통증은 장폐색이 심화되었거나, 장 천공이나 복막염을 동반했을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응급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처치는 적절한 처치입니다. 혈중 전해질검사를 하여 전해질 균형을 유지시킨다: 장폐색이 발생하면 구토, 수분 손실, 전해질 불균형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로 전해질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히 교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처치도 적절합니다. 금식을 유지하고 도뇨관을 삽입하여 시간당 소변량을 확인한다: 금식은 장폐색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시행해야 할 처치입니다. 또한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량을 측정하는 것은 환자의 수액 상태와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처치도 적절합니다. 체내 수분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으므로 수액을 절대 주지 않는다: 장폐색 환자에게 수액을 전혀 주지 않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장폐색이 있을 때 환자는 탈수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수액 공급은 필수적입니다. 과도한 수액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지만, 수액을 전혀 주지 않는 것은 잘못된 처치입니다. 정답: ⑤ 체내 수분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으므로 수액을 절대 주지 않는다. 수액은 장폐색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며, 적절히 수액을 공급해야 합니다. 과도한 수액을 주지 않도록 조절해야 하지만, 수액을 절대 주지 않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246
수술 후 상처 벌어짐과 관련이 없는 요인은? ① Technical error in fascial closure ② Intraabdominal infection ③ Young age ④ Obesity ⑤ Radiation therapy
수술 후 **상처 벌어짐 (wound dehiscence)**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술 후 상처의 **치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처가 벌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상처 벌어짐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Technical error in fascial closure**: - **복막(근막) 봉합 시 기술적 오류**는 상처가 벌어지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봉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처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요인입니다. 2) **Intraabdominal infection**: - **복강 내 감염**은 상처 치유를 방해하고, 상처가 벌어지는 주요 원인입니다. 감염이 있으면 상처 부위에 염증이 생기고, 이는 상처가 벌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3) **Young age**: - **어린 나이**는 **상처 치유에 유리**한 요소입니다. 젊은 사람은 보통 **면역력이 좋고, 상처 치유가 빠르기** 때문에 상처 벌어짐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 항목은 **상처 벌어짐과 관련이 없는 요인**입니다. 4) **Obesity**: - **비만**은 **상처 벌어짐의 중요한 위험 인자**입니다. 과도한 지방은 상처 치유를 방해하고, **내압을 증가시켜 상처가 벌어지기 쉽습니다**. 5) **Radiation therapy**: - **방사선 치료**는 **조직의 혈류를 감소시키고, 상처 치유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상처 벌어짐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정답: ③ Young age** **어린 나이**는 **상처 치유에 유리**한 요인으로, 상처 벌어짐과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은 **③ Young age**입니다.
247
당뇨로 치료받던 72세 남자환자가 우측 서혜부 탈장으로 수술을 받은 후 절개부위에 감염이 발생하였다. 다음 중 가장 흔한 원인균은 무엇인가? ① Legionella ② Enterococcus ③ Escherichia coli ④ Staphylococcus aureus ⑤ Pseudomonas aeruginosa
수술 후 절개 부위에 감염이 발생한 경우, 감염의 원인균은 **수술 부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서혜부 탈장 수술**은 주로 **복부와 장기와 연관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선택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Legionella**: - **Legionella**는 **레지오넬라증**을 일으키는 균으로, 주로 **호흡기 감염**에 관련이 있으며, **수술 상처 감염의 주요 원인균**은 아닙니다. 2) **Enterococcus**: - **Enterococcus**는 **장내 세균**으로, **배뇨기계 감염**, **복강 내 감염**, 또는 **수술 후 감염**에서 원인균이 될 수 있지만, **절개 부위 감염**의 원인균으로는 흔하지 않습니다. 3) **Escherichia coli (E. coli)**: - **E. coli**는 **장내 세균**으로, **복부 수술** 후 감염에서 중요한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서혜부 탈장 수술** 후 감염에서도 **E. coli**는 흔히 원인균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aureus**는 **절개 부위 감염**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 중 하나입니다. 특히 **수술 후 감염**에서 자주 발생하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균**입니다. **스태필로코커스**는 **피부와 상처 감염**에서 주요한 원인균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5) **Pseudomonas aeruginosa**: - **Pseudomonas aeruginosa**는 **면역 저하 환자**나 **병원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의 원인균으로, 일반적인 수술 후 감염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정답: ④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는 **수술 후 절개 부위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입니다. 특히 **피부와 연조직**에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균으로, **서혜부 탈장 수술** 후 감염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248
70세 여자 환자가 담낭 농양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고 7일째부터 복통과 하루 2L 설사, 고열, 복부팽만이 나타났다. 본 합병증과 관련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원인균은? ① Escherichia coli ② Clostridium difficile ③ Klebsiella pneumoniae ④ Staphylococcus aureus ⑤ Pseudomonas aeruginosa
이 환자는 **담낭 절제술**을 받은 후 **7일째 복통**, **설사**, **고열**, **복부 팽만** 등의 증상이 발생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수술 후 합병증**을 시사하며, 그 중에서 **감염**에 의한 **장내 문제**나 **배양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각 선택지의 가능성: 1) **Escherichia coli (E. coli)**: - **E. coli**는 **장내 세균**으로, **담낭염, 담도 감염**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원인균입니다. 그러나 **설사와 복통**을 일으킬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증상 발생 시간이 **7일째**로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다른 균**도 고려해야 합니다. 2) **Clostridium difficile**: - **Clostridium difficile**은 **항생제 사용 후** 장내 균형이 깨졌을 때 **급성 설사, 복통, 고열** 등을 유발하는 주된 원인균입니다. 이 균은 특히 **항생제 치료 후** 흔하게 발생하며, **장내 독소**를 생산하여 증상을 일으킵니다. 환자가 **담낭절제술 후** **항생제 치료**를 받은 경우, **C. difficile 감염**이 가능성이 높습니다. 3) **Klebsiella pneumoniae**: - **Klebsiella pneumoniae**는 **호흡기 감염**과 **복부 감염**에서 흔히 나타나는 세균입니다. 그러나 **설사와 복통**을 주된 증상으로 유발하는 균은 아닙니다. 이 균은 주로 **폐렴**과 **혈류 감염**에서 중요합니다. 4)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aureus**는 **피부 및 상처 감염**, **혈류 감염**, **심내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균입니다. 수술 후 감염에서 흔히 발견되지만, **설사와 복통**을 주로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수술 후 감염**으로 인해 다른 종류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5) **Pseudomonas aeruginosa**: - **Pseudomonas aeruginosa**는 **병원 감염**, **면역저하 환자**에서 자주 발생하며, **수술 후 감염**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설사와 복통**을 주된 증상으로 유발하는 균으로는 드뭅니다. **정답: ② Clostridium difficile** **Clostridium difficile**은 **항생제 사용 후** 발생할 수 있는 **설사**, **복통**, **고열**을 유발하는 주된 원인균입니다. 이 환자가 **담낭절제술 후 항생제** 치료를 받은 경우 **C. difficile 감염**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균입니다.
249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관해 옳은 것은? ① clean wound에서는 1세대 세팔로스포린 사용은 상처 감염을 줄이는데 아무 이익이 없다. ② 수술 전 상처가 감염이 되었지만 수술적으로 깨끗이 제거되면 항생제 투여가 별 이득이 없다. ③ 장관이나 담도계 수술에는 2세대 세팔로스포린을 주로 사용한다. ④ 수술 절개가 가해지기 2시간 전에 투여해야 한다. ⑤ 수술 범위가 크더라도 수술 시간과는 상관없이 수술 후 1회 투여만으로 충분하다.
3번. Clean wound의 경우 논란이 있지만 1세대 Cephalosporin 사용이 이익이 있다고 하며, 장관수술이나 담도계 수술에서는 2세대 Cephalosporin을 사용한다. Skin incision 30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하며 수술 중 4시간 마다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250
저체온증에 대해 옳은 것은? ① 출혈경향이 감소하여 혈전이 생길 수 있다. ② 대사성 산증으로 조직 내 산소 해리가 감소한다. ③ 심한 경우 고혈압이나 빈맥이 발생한다. ④ 대식세포 기능 결함이나 콜라겐 대사 이상으로 상처 회복이 잘 안되고 감염이 증가한다. ⑤ 마취제나 마약성 진통제는 체내 발열을 촉진한다.
답: 4번 ④ 대식세포 기능 결함이나 콜라겐 대사 이상으로 상처 회복이 잘 안되고 감염이 증가한다. 정확한 주장입니다. 저체온증은 대식세포와 면역세포의 기능을 저하시켜, 상처 회복에 필요한 면역 반응을 약화시키고,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콜라겐 대사에 영향을 미쳐 상처 치유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① 저체온증에서는 오히려 혈소판기능결함/응고인자이상으로 출혈경향이 증가한다. ② 저체온증이 생기면 열을 발생하기 위해 ATP를 생산하는 대사과정이 촉진되며 그 과정에서 산소가 부족하면 lactate가 과하게 생겨 대사성산증이 유발된다. 대사성산증이라는 것은 조직 내 산소가 부족하다는 뜻이므로 산소 해리는 증가한다. ③ 심한경우 저혈압, 서맥이 발생한다. ⑤ opioid는 수술 중 shivering을 감소시켜 체내 발열을 줄인다.
251
Branched chain keto acid 3가지를 말해본다면?
Isoleucine, Leucine, Valine("I love Vermont")
252
외과적 수술을 겪는 것 자체가 Trauma를 겪는 것과 동일하다고 한다. 이런 수술을 마친 후 우리 몸의 에너지 대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우리 몸은 회복을 위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렇기에 포도당신생성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대사가 이루어진다. 1. Carbohydrate - Gluconeogenesis by Proteolysis(Alanine, Glutamine) - Insulin resistence 2. Lipid metabolism - Trauma의 Major energy source이다. - beta-oxidation을 통해 Ketone body를 생성하고 TCA cycle을 돌린다. 3. Protein metabolism - Proteolysis를 일으킨다.
253
외과적 수술을 마춘 후 우리 몸에서는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Lipid metabolism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lipolysis에 관여하는 호르몬 7가지를 말한다면?
Catecholamine (+) Cortisol (+) Tyroid hormone (+) Growth hormone (+) ACTH (+) Glucagon (+) Insulin (-)
254
Q1. 선택적 위절제술 후 대사반응은? 1) 단백질 합성 증가 2) 지방 합성 증가 3) 포도당 합성 증가 4) 혈중 코르티솔 감소 5) 소변으로 질소 배설 감소
3번
255
Q2. Starvation 시 항상성의 유지(homeostasis)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가. 지방 산화 (fat oxidation)가 증가 나. 에너지 소비의 감소 다. Ketone 증가와 ketogenesis 증가 라. 포도당산합성 (gluconeogenesis)의 감소
가, 나, 다
256
입원환자의 경구 식이가 어려울 경우 사용할 수 있는 Enteral Feeding의 종류를 네 가지 말한다면?
Naso-gastric tube, Oro-gastric tube, Naso-duodenal tube, Naso-jejunal tube
257
입원 환자에게 Enteral Feeding을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Complication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 Vomiting, Distension - 과량의 음식물을 주입할 경우 (Abnormal swelling and bloating) 2. Diarrhea & Dehydration - 음식의 Osmolarity(Concentration)이 높아서 장으로부터 수분을 지나치게 흡수해갈 경우 3. Hyperglycemia 4. Hyperosmolar nonketotic coma -> 앞서 말한 증상들의 집합체로, Hyperglycemia와 Dehydration에 의해 Hyperosmolar 한 상태가 되므로써 세포 내 수분이 혈액으로 분출되며 증상이 나타난다. - 증상으로는 Dry mouth, eyes / excessive thirst & urination / coma가 있다
258
수술 이후 인공 영양 보조가 필요한 경우, 가능한 경구 섭취를 권장하되 수술 후 7일 이내 경구 식이가 불가능하다면 Enteral Feed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심지어 Enteral Feeding 조차 7일 이내 불가능하다면 Parenteral Feeding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Parenteral Feeding이 효과적이라고 입증된 질병에는 무엇이 있는가?
1. Gastrointestinal cutaneous fistula 2. Short bowel syndrome 3. Acute Burns 4. Renal failure(Acute tubular necrosis) 5. Hepatic failure GPT Parenteral feeding, also known as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is a method of providing nutrition directly into the bloodstream through an intravenous (IV) line. It's typically used when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cannot be used effectively for nutrition absorption due to severe illness, injury, or complications. Below, I'll explain why parenteral feeding is necessary for each of the five conditions you listed: --- 1. **Gastrointestinal Cutaneous Fistula** - **Reason for Parenteral Feeding:** - GI cutaneous fistulas cause abnormal leakage of digestive fluids to the skin, leading to **fluid loss**, **malabsorption**, and **nutrient deficiencies**. - Oral or enteral feeding may worsen the leakage or increase the risk of infection. - Parenteral feeding provides nutrition while minimizing stimulation of the GI tract, promoting fistula healing. --- 2. **Short Bowel Syndrome (SBS)** - **Reason for Parenteral Feeding:** - SBS occurs when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mall intestine** has been surgically removed or is non-functional. - The reduced absorptive surface leads to **malabsorption** of nutrients, fluids, and electrolytes. - Parenteral nutrition compensates for the body's inability to absorb adequate nutrients and prevents severe malnutrition and dehydration. --- 3. **Acute Burns** - **Reason for Parenteral Feeding:** - Severe burns cause a **hypermetabolic state**, increasing the body's demand for calories, protein, and essential nutrients. - Extensive burns can damage the GI mucosa, impairing absorption. - Patients with severe burns often experience **intestinal ileus** (temporary lack of movement in the intestines), making enteral feeding difficult. - Parenteral feeding helps meet increased nutritional needs and supports wound healing and recovery. --- 4. **Renal Failure (Acute Tubular Necrosis)** - **Reason for Parenteral Feeding:** - In acute tubular necrosis (ATN), the kidneys are unable to filter waste products effectively, leading to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s. - Patients may need **fluid restriction** to prevent fluid overload, limiting the use of enteral feeding. - Parenteral nutrition allows precise control of fluid, electrolyte, and nutrient intake, tailored to the patient's renal function. --- 5. **Hepatic Failure** - **Reason for Parenteral Feeding:** - Severe liver failure can lead to **hepatic encephalopathy**, in which excess protein in the diet worsens neurological symptoms. - Impaired liver function disrupts the metabolism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leading to **malnutrition**. - Parenteral feeding can provide specialized, adjusted nutrition that minimizes nitrogen buildup while meeting energy and nutrient requirements. --- Summary: Parenteral feeding is essential in these conditions because: 1. The **GI tract is compromised**, leading to poor nutrient absorption or inability to tolerate enteral feeding. 2. There is a need for **precise control** of fluid, electrolytes, and nutrient intake to prevent further complications. 3. The body requires **specialized nutrition** due to altered metabolic states caused by critical illness or injury. If you need further details or specific information on any of these conditions, feel free to ask!
259
Q3. 소화관 고영양의 합병증이다. 옳은 것은? 가. 고삼투비케톤 혼수 나. 흡인 다. 설사 라. 탈수 및 전해질 소실
가, 나, 다, 라
260
Q4. 장기간의 PN 시 장내세균의 세균전위(translocation) 방지에 가장 유용하다고 알려진 물질은? 1) 지방 2) 아르기닌 3) 글루타민 4) 글루코코르티코이드 5) 비타민 & 미네랄
정답은 3) 글루타민입니다. 🔹 Explanation: **장내 세균의 전위(translocation)란 장 내의 세균이나 독소가 장벽을 통과하여 혈류나 림프계를 통해 체내 다른 부위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패혈증, 다발성 장기부전(MODS)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의 총 비경구 영양(Parenteral Nutrition, PN)**을 시행할 경우, 장이 사용되지 않으면서 장 점막의 위축, 장내 세균군의 불균형, 장관 내 면역 기능 약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세균 전위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글루타민(Glutamine)의 역할: 장 점막 세포의 주요 에너지원 글루타민은 장 점막의 **장세포(Enterocyte)**가 선호하는 에너지원으로, 장벽의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면역 기능 강화 장내 면역세포(림프구, 대식세포 등)의 기능을 강화하여 장관 면역 기능을 향상시킵니다. 항산화 효과 글루타민은 **글루타티온(Glutathione)**의 전구체로 작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킵니다. 장 점막 위축 방지 장내 점막의 위축을 방지하여 세균 전위의 위험성을 줄여줍니다. 🔹 다른 선택지 설명: 지방: 주로 열량 공급원이며, 세균 전위 방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 아르기닌: 면역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글루타민만큼 장 점막 보호에는 특화되지 않음.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면역 억제 작용이 있어 오히려 장내 세균 전위를 촉진할 수 있음. 비타민 & 미네랄: 결핍 시 면역 기능 저하가 가능하나, 장 점막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지 않음. 따라서 장기간의 PN 시행 시 장내 세균 전위를 방지하기 위해 가장 유용한 물질은 글루타민입니다. 😊
261
Q5. 총정맥영양(TPN)의 치료효과가 증명된 것은? 1) 암에 의한 악액질 2) 창자피부샛길 3) 신경성 식욕부진 4) 궤양성 결장염 5) 허혈성 결장염
2번
262
수술 이후 인공 영양 보조가 필요한 경우, 가능한 경구 섭취를 권장하되 수술 후 7일 이내 경구 식이가 불가능하다면 Enteral Feed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심지어 Enteral Feeding 조차 7일 이내 불가능하다면 Parenteral Feeding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Parenteral Feeding이 효과적이라고 보여지지 **않은** 질병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Chro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Anorexia nervosa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그리고 anorexia nervosa는 각각의 이유로 **총 비경구 영양(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이 효과적이지 않거나 최선의 선택이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그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 1. Crohn's Disease와 Ulcerative Colitis (염증성 장질환, IBD) 🔹 TPN이 효과적이지 않은 이유: 장 점막 회복을 위한 장 사용의 중요성: 염증성 장질환(IBD) 환자의 경우, 장 점막의 위축과 세균 전위를 예방하기 위해 가능한 한 **장관을 통한 영양 공급(Enteral Nutrition, EN)**을 권장합니다. 장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장 점막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면역 기능을 지킬 수 있습니다. EN이 장 점막의 회복을 촉진하고, 장 내 세균총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합병증 위험성: 장관을 사용하지 않으면 장 점막의 위축으로 인해 **세균 전위(translocation)**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장기간의 TPN은 감염(특히 중심정맥관 감염), 전해질 불균형, 간 기능 장애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영양 흡수 가능성: 대부분의 IBD 환자는 적절한 치료 후에 장을 통해 영양 흡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EN이 더 선호됩니다. 📌 2. Anorexia Nervosa 🔹 TPN이 효과적이지 않은 이유: 심리적 요인: 거식증 환자는 심리적 문제로 인해 음식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으며, TPN을 통해 강제로 영양을 공급하면 거부감이나 신체상 왜곡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치료의 핵심은 심리 치료와 함께 구강 섭취 또는 경관 영양으로 점진적으로 체중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재급식 증후군(Refeeding Syndrome)의 위험성 증가: 장기간의 영양 결핍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고칼로리의 TPN을 투여하면 전해질 불균형, 저인산혈증, 심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강 또는 경관 영양으로 천천히 영양을 보충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TPN의 의존성 문제: 거식증 환자에게 TPN을 오랜 기간 사용하면 장기간의 영양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의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요약 Crohn's disease와 ulcerative colitis는 가능한 **장관을 통한 영양 공급(EN)**이 우선입니다. Anorexia nervosa는 심리적 치료와 점진적인 구강 섭취가 핵심입니다. 세 경우 모두에서 TPN의 부작용과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 TPN은 최선의 선택이 아닙니다. 😊
263
Q6. 55 세 남자가 총정맥영양을 받고 있다. 5 일 전부터 설사를 하루 5~6 회, 눈이 부시고 원형탈모증, 입 주위 화농성 염증이 생겼을 때 결핍인자는? 1) 철 2) 구리 3) 아연 4) 마그네슘 5) 셀레늄
정답은 **3) 아연(Zinc)**입니다. 🔹 문제 분석: **총정맥영양(Parenteral Nutrition, PN)**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 설사 눈부심 원형탈모증 입 주위의 화농성 염증 이러한 증상은 아연 결핍의 전형적인 징후입니다. 🔹 아연 결핍의 원인과 증상: 원인: 총정맥영양(PN) 시 아연 보충 부족: PN을 통해 영양 공급을 할 때 아연을 충분히 보충하지 않으면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화기 질환: 설사로 인한 아연 손실이 많으면 결핍 위험이 높아집니다. 장기간의 설사: 아연은 주로 소장에서 흡수되므로 설사가 지속되면 결핍이 쉽게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 피부 및 점막 병변: 입 주변, 항문 주위의 화농성 염증, 습진성 피부염 탈모: 원형탈모증이나 머리카락이 가늘어짐 면역력 저하: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 설사: 장 점막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 시각 장애: 눈부심이나 시력 저하 미각 및 후각의 저하 성장 지연: 아동의 경우 성장 지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다른 선택지 설명: 철(Fe): 빈혈, 피로, 창백함을 유발. 원형탈모나 입 주위 염증과의 관련성은 낮음. 구리(Cu): 빈혈, 골다공증, 신경계 이상이 주로 나타남. 원형탈모와는 연관이 적음. 마그네슘(Mg): 경련, 근육 경련, 심장 부정맥 등이 나타남. 피부 및 점막의 화농성 염증과 관련은 적음. 셀레늄(Se): 심부전, 근육통, 면역력 저하. 피부염이나 원형탈모와의 연관성은 낮음.
264
Q7. 오른쪽 빗장뼈밑 정맥 천자에 의한 경정맥 고영양법을 시행받던 40 세 여자가 오른팔 부종과 경부 기저부의 통증을 호소할 때 가장 가능성이 있는 진단은? 1) 오른쪽 기흉 2) 오른빗장뼈밑 정맥의 혈액누출 3) 오른빗장뼈밑 정맥 혈전 4) 카테터 색전 5) 우상완 신경총 손상
정답은 **3) 오른빗장뼈밑 정맥 혈전**입니다. --- 🔹 **문제 분석:** - **경정맥 고영양법(총정맥영양, TPN)**을 위해 **오른쪽 빗장뼈밑 정맥(subclavian vein) 천자**를 시행한 후 - **오른팔의 부종** - **경부 기저부의 통증** 위의 증상들은 **오른쪽 빗장뼈밑 정맥 혈전(thrombosis)**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 🔹 **오른빗장뼈밑 정맥 혈전의 원인과 증상:** ### ✅ **원인:** - **카테터 삽입**: 중심정맥관 삽입 시 **혈관 내막의 손상**으로 인해 혈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장기적인 카테터 유지**: TPN은 장기간 중심정맥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혈전 위험이 증가합니다. - **혈액 점도 증가**: TPN에 의한 고삼투압성 용액이 투여되면 혈액이 농축되어 혈전이 잘 생길 수 있습니다. - **움직임 제한**: 장기 입원으로 인해 상지의 움직임이 제한될 경우 혈류가 정체되어 혈전 형성 위험이 증가합니다. ✅ **증상:** - **팔의 부종**: 혈전으로 인한 혈액의 흐름이 막혀 림프 부종과 혈관 부종이 발생 - **경부의 통증**: 경부 기저부로 이어지는 정맥의 울혈로 인해 통증 발생 - **얼굴과 경부의 부종**: 심한 경우 **상대정맥증후군(SVC Syndrome)**으로 진행될 수 있음 --- 🔹 **다른 선택지 해설:** 1) **오른쪽 기흉**: 흉통과 호흡 곤란이 주요 증상이며, 팔의 부종이나 경부 통증과는 관련이 적음. 2) **오른빗장뼈밑 정맥의 혈액누출**: 혈종이나 부종이 나타날 수 있으나, 경부 기저부 통증은 일반적이지 않음. 4) **카테터 색전**: 색전이 발생하면 호흡곤란이나 폐 색전증의 증상이 나타나며, 팔의 부종은 드뭄. 5) **우상완 신경총 손상**: 감각 이상이나 운동 장애가 주로 나타나며, 부종과 경부 통증과는 관련성이 낮음. --- 🔹 **결론:** **오른쪽 빗장뼈밑 정맥 혈전**은 중심정맥관 삽입의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팔의 부종과 경부 기저부 통증이 주요 증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 오른빗장뼈밑 정맥 혈전**입니다. 😊
265
42세 남자 환자분 자동차 사고로 인해 장기간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하였다. Enteral nutrition feeding을 위해 고려될 route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Nasogastric route ② Nasojejunal route ③ Gastrostomy ④ Ileostomy ⑤ Jejunostomy
정답은 **④ Ileostomy**입니다. --- 🔹 **문제 분석:** - 이 환자는 **장기간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하며, **Enteral nutrition(경장영양)**을 위한 경로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 **Enteral nutrition**은 소화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소화 및 흡수 기능이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선택지 중에서 **Enteral nutrition에 적합하지 않은 경로**를 찾는 문제입니다. --- 🔹 **각 경로의 특징 및 적합성 분석:** **1) Nasogastric route (비위관)** - **적합성:** 단기 경장영양에 주로 사용하며, 장기 사용도 가능. 위의 기능이 정상일 때 선호. - **적응증:** 연하곤란, 의식 저하, 구강 섭취 불가 등의 경우 사용. --- **2) Nasojejunal route (비공장관)** - **적합성:** 위 배출이 원활하지 않거나, 역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사용. 장기간의 경장영양에도 적합. - **적응증:** 위 마비, 중증의 역류성 식도염 등이 있는 경우. --- **3) Gastrostomy (위루관)** - **적합성:** 장기적인 경장영양이 필요할 때 외과적 또는 내시경적으로 시행. 가정에서도 관리 가능. - **적응증:** 장기적인 연하장애, 구강 섭취 불가 등의 경우. --- **4) Ileostomy (회장루) — 부적절한 경로** - **부적합성:** **회장루(Ileostomy)**는 대장을 우회하여 장 내용물이 피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술입니다. - 경장영양을 위한 **섭취 경로**가 아닌 **배출 경로**이기 때문에 경장영양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5) Jejunostomy (공장루)** - **적합성:** 장기적인 경장영양이 필요할 때 시행. 특히 위와 십이지장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선호. - **적응증:** 위장관의 해부학적 문제나 수술 후 장기간의 경장영양이 필요한 경우. --- 🔹 **결론:** **Ileostomy**는 경장영양을 위해 영양을 공급하는 경로가 아니라 배출 경로이므로 **Enteral nutrition의 경로로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Ileostomy**입니다. 😊
266
65세 남자환자가 최근 혈변을 보아서 대장내시경을 시행받았고 내시경 상에서 S자 경장암이 진단되어 대장의 전방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시행 받은 직후 환자의 대사반응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백질 분해 (proteolysis) 증가 2. 지방 분해 (lipolysis) 증가 3. 포도당 합성 (gluconeogenesis) 증가 4. 혈중 코르티솔 감소 5. 소변으로 질소 배설 증가
정답은 **4. 혈중 코르티솔 감소**입니다. --- 🔹 **문제 분석:** - **S자 결장암**으로 인해 **전방 절제술(anterior resection)**을 받은 후의 **대사 반응**을 묻는 문제입니다. - **수술 후 스트레스 반응**은 **대사적, 내분비적 변화**를 유발하며, 이러한 변화는 주로 **스트레스 호르몬**의 영향을 받습니다. --- 🔹 **수술 후 대사 반응의 주요 변화:** 수술 직후에는 **급성 스트레스 반응**으로 인해 **대사적 변화**가 발생합니다. 이는 생체가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반응입니다. ✅ **1. 단백질 분해 (Proteolysis) 증가**: -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카테콜아민 등)으로 인해 근육 단백질의 분해가 촉진됩니다. - 분해된 아미노산은 **포도당신생합성(Gluconeogenesis)**의 기질로 사용됩니다. ✅ **2. 지방 분해 (Lipolysis) 증가**: - **카테콜아민**과 **코르티솔**에 의해 지방 분해가 촉진되고,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방출됩니다. - 방출된 지방산은 **에너지**로 사용되며, 글리세롤은 포도당신생합성의 기질이 됩니다. ✅ **3. 포도당 합성 (Gluconeogenesis) 증가**: - 수술 후 **스트레스 호르몬**의 증가로 간에서 포도당 신생합성이 활성화됩니다. - **혈당**을 상승시켜 조직에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 **5. 소변으로 질소 배설 증가**: - 단백질 분해 증가로 인해 체내에서 **아미노산의 탈아미노화**가 증가합니다. - 이로 인해 생성된 **요소(urea)**가 소변을 통해 배설되므로 질소 배설이 증가합니다. --- 🔹 **정답이 틀린 이유:** ### **4. 혈중 코르티솔 감소** ❌ - 수술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혈중 코르티솔이 증가**합니다. - 코르티솔은 **단백질 분해**, **지방 분해**, **포도당 신생합성**을 촉진하여 신체의 대사적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 혈중 코르티솔이 감소하는 것은 **회복기**나 만성 질환의 말기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수술 직후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 **결론:** 수술 직후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작용으로 **단백질 분해**, **지방 분해**, **포도당 신생합성**이 증가하며, 혈중 **코르티솔은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 혈중 코르티솔 감소**입니다. 😊
267
66세 특이 내과적 과거력 없는 남자가 최근 대장내시경 시행 후 대장암이 발견되어 대장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대장절제수술 직후 환자의 대사반응 중 맞는 것은? ① 단백질 합성 증가 ② 지방합성 증가 ③ 포도당합성증가 ④ 혈중 코르티졸 감소 ⑤ 소변으로 질소 배설 감소
정답은 **③ 포도당 합성 증가**입니다. --- 🔹 **문제 분석:** - **66세 남성**이 **대장암 수술** 직후의 대사 반응을 묻고 있습니다. - **수술 후 스트레스 반응**으로 인해 신체는 대사적, 내분비적 변화를 겪게 됩니다. - 이 변화는 주로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카테콜아민, 글루카곤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 🔹 **수술 후 대사 반응의 특징:** 🔥 **1. 대사적 변화 (Hypermetabolism):** - **단백질 분해 증가**: 근육 단백질이 분해되어 아미노산으로 전환되고, 이는 **포도당신생합성**의 기질로 사용됩니다. - **지방 분해 증가**: 지방이 분해되어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방출됩니다. 글리세롤은 **포도당신생합성**의 기질로 사용됩니다. - **포도당신생합성(Gluconeogenesis) 증가**: 간에서 아미노산과 글리세롤을 이용하여 포도당을 생성합니다. 이로 인해 혈당이 증가합니다. - **혈중 코르티솔 증가**: 스트레스 반응으로 코르티솔이 분비되어 단백질과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포도당 합성을 촉진합니다. - **소변으로 질소 배설 증가**: 단백질 분해로 인해 질소 대사가 증가하고, 요소 배설이 증가합니다. --- 🔹 **선택지 분석:** 1) **단백질 합성 증가** ❌ - **오답:** 수술 직후에는 단백질 합성보다 **분해**가 증가합니다. 근육의 단백질이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2) **지방 합성 증가** ❌ - **오답:** 수술 직후에는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지방 분해**가 증가합니다. 지방 합성은 회복기나 안정기에서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3) **포도당 합성 증가** ✅ - **정답:**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간에서 **포도당신생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혈당을 높여 에너지 공급을 보장합니다. 4) **혈중 코르티졸 감소** ❌ - **오답:** 수술 직후에는 **혈중 코르티솔이 증가**하여 대사적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합니다. 5) **소변으로 질소 배설 감소** ❌ - **오답:** 단백질 분해가 증가하면 질소 배설이 증가합니다. 소변으로 요소 형태의 질소가 많이 배출됩니다. --- 🔹 **결론:** 대장 절제술 직후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영향**으로 단백질과 지방의 분해가 증가하고, **포도당신생합성**이 활발해지며, 혈당이 상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포도당 합성 증가**입니다. 😊
268
교통사고로 중환자실에 장기간 입원하고 있는 환자에게 경장 영양 (enteral feeding)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경장 영양 경로 (Enteral Nutrition Feeding Routes) 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코-위 경로(Nasogastric tube) ② 코-십이지장 경로 (Nasoduodenal tube) ③ 위루 형성술 (Gastrostomy) ④ 공장 조루술 (Jejunostomy) ⑤ 결장조루술 (Colostomy
정답은 **⑤ 결장조루술 (Colostomy)**입니다. --- 🔹 **문제 분석:** - 교통사고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한 환자에게 **경장 영양(enteral feeding)**을 시행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경로를 찾는 문제입니다. - **Enteral feeding**은 **소화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소화 및 흡수 기능이 있는 경우 사용합니다. --- 🔹 **각 선택지 분석:** ✅ **1) 코-위 경로(Nasogastric tube)** - 비위를 통해 위에 직접 영양을 공급합니다. - **단기적**이거나 위 기능이 정상일 때 적합합니다. - **적절한 경로**입니다. --- ✅ **2) 코-십이지장 경로(Nasoduodenal tube)** - 비위를 넘어 십이지장에 도달하는 방법입니다. - 위 배출이 지연되거나 역류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적절한 경로**입니다. --- ✅ **3) 위루 형성술(Gastrostomy)** - 장기적인 경장영양이 필요할 때 외과적 또는 내시경적으로 시행합니다. - 경구 섭취가 불가능하거나, 장기간의 경장영양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 **적절한 경로**입니다. --- ✅ **4) 공장 조루술(Jejunostomy)** - 위나 십이지장을 우회하고 공장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 장기적인 경장영양이나 위 배출 기능이 없는 경우 사용합니다. - **적절한 경로**입니다. --- ❌ **5) 결장조루술(Colostomy) - 부적절한 경로** - 결장조루술은 대장의 일부분을 체외로 연결하여 배변의 배출을 돕는 수술입니다. - **영양 공급의 경로가 아니라 배출 경로**이므로 **경장영양의 경로로는 부적절**합니다. --- 🔹 **결론:** **결장조루술(Colostomy)**는 배출 경로로 사용되므로, **경장 영양 경로**로는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결장조루술 (Colostomy)**입니다. 😊
269
우리 몸에서 분비하는 호르몬 중 수술 등 Surgical Stress 상황에서 감소하는 호르몬은? ① Growth hormone ② Corticosteroid ③ Vasopressin ④ Insulin ⑤ Aldosterone
정답은 **④ Insulin**입니다. --- 🔹 **문제 분석:** - **Surgical Stress** 상황에서 분비가 **감소**하는 호르몬을 찾는 문제입니다. - 수술과 같은 급성 스트레스는 체내 **대사적·내분비적 변화**를 유발하며, 이때 대부분의 **스트레스 호르몬**은 증가합니다. - 그러나 일부 호르몬은 **감소**하게 되는데, 이 부분이 핵심입니다. --- 🔹 **Surgical Stress 상황에서의 호르몬 변화:** **수술이나 외상**은 신체의 심한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주요 호르몬의 분비에 영향을 미칩니다. **급성 스트레스 반응**은 주로 **교감신경계**와 **HPA 축(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을 통해 발생합니다. ✅ **증가하는 호르몬들:** 1. **Growth hormone (성장호르몬)**: - 급성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 증가 - 혈당 상승을 유도하고, 단백질 합성을 촉진 2. **Corticosteroid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로 코르티솔)**: - 부신피질에서 분비 증가 - 단백질 분해, 지방 분해 증가 → 혈당 상승 - 면역 억제 효과 3. **Vasopressin (항이뇨 호르몬, ADH)**: - 체액 보존을 위해 분비 증가 - 혈압 상승과 수분 재흡수를 촉진 5. **Aldosterone (알도스테론)**: - 수분과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칼륨을 배설 - 혈압 조절에 기여 --- ❌ **감소하는 호르몬:** 4. **Insulin (인슐린) - 정답** - 급성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교감신경 활성화**로 인해 인슐린 분비가 억제됩니다. - 반대로 **글루카곤** 분비가 증가하여 혈당을 상승시킵니다. - 이는 **혈당을 상승**시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생리적 반응입니다. - 따라서 **Surgical Stress** 상황에서는 인슐린 분비가 감소합니다. --- 🔹 **정리:** - **증가하는 호르몬:** Growth hormone, Corticosteroid, Vasopressin, Aldosterone - **감소하는 호르몬:** **Insulin** 따라서, **정답은 ④ Insulin**입니다. 😊
270
4. 총정맥영양(TPN)의 치료 효과가 증명된 것은? 가. 신경성 식욕부진 나. 허혈성 결장염 다. 골수이식 환자 라. 단장 증후군 ① 가, 나, 다 ② 가, 다 ③ 나, 라 ④ 라 ⑤ 가, 나, 다, 라
271
입원 환자에게 영양보조를 실시할 때, Nutritional Assessment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1. History - 체중, 주관적 평가 2. 신체구성요소 분석 - 체성분 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 이온의 이동과 반응 추적(Exchange of labeled ions) - 원소 분석(Neutron activation analysis) - 단면 이미징 기술(MRI, CT) 3. 열량 간접 측정 - 산소 소비량, 호흡지수( respiratory quotient) 결정 4. 신체 계측 : Ideal body weight, BMI, skinfold thickness 5. 생화학적 측정 : Albumin, transferrin, prealbumin 6. 질소 평형 측정 7. 면역 기능 측정
272
75세 남자가 수일전부터 경구 섭취가 불가능하여 병원에 왔다. 환자의 신체계측 결과 키 160cm, 몸무게 45kg이었다. 이 환자의 영양 선별검사와 영양 평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지표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Indirect calorimetry (호흡지수 즉정) ② Bioelectrical impedance ③ 환자의 나이 ④ 피부두겹두께 (skinfold thickness) ⑤ 트랜스페린 (transferrin)
정답은 **③ 환자의 나이**입니다. --- 🔹 **문제 분석:** - **영양 선별검사 및 평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지표를 묻고 있으며, **부적절한 지표**를 고르는 문제입니다. - 영양 상태를 평가할 때 **신체계측**, **생리적 지표**, **임상 지표** 등을 사용하여 평가합니다. --- 🔹 **각 지표에 대한 분석:** ① **Indirect calorimetry (호흡지수 즉정)** - **호흡지수**(respiratory quotient, RQ)는 호흡을 통해 소비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측정하여 에너지 소비를 추정합니다. - **영양 상태 평가**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기 위해 유용합니다. - **적절한 지표**입니다. --- ② **Bioelectrical impedance (생체 전기 임피던스)** -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은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여 **체성분 분석**(체지방, 근육량 등)을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영양 상태 평가**에서 체성분 분석은 매우 중요한 지표이므로 **적절한 지표**입니다. --- ③ **환자의 나이** - **환자의 나이**는 영양 상태를 평가할 때 **직접적인 지표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나이는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영양 선별검사나 평가에서 직접적인 기준으로 활용되지 않습니다**. - 나이는 참고할 수 있는 정보일 수는 있으나, **영양 상태를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는 아닙니다.** - **부적절한 지표**입니다. --- ④ **피부두겹두께 (skinfold thickness)** - **피부두겹두께** 측정은 **체지방량**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 **영양 평가**에서 **체지방량**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적절한 지표**입니다. --- ⑤ **트랜스페린 (transferrin)** - **트랜스페린**은 **철의 운반 단백질**로, **영양 상태 평가**에서 단백질 영양 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 **저단백혈증**이나 **영양 결핍**이 있을 때 트랜스페린 수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지표**입니다. --- 🔹 **결론:** **환자의 나이**는 **영양 상태 평가**에 직접적인 지표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부적절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환자의 나이**입니다. 😊
273
외상이나 패혈증, 수술 후와 같은 상태에서 포도당신합성 (gluconeogenesis)을 위해 근육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아미노산을 고르시오. ① Glycine ② Leucine ③ Glutamine ④ Arginine ⑤ Valine
정답은 **③ Glutamine**입니다. --- 🔹 **문제 분석:** - 외상, 패혈증, 수술 후와 같은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포도당신합성 (gluconeogenesis)**을 위해 체내 **근육이 분해**되면서 아미노산이 사용됩니다. - **아미노산**은 포도당 합성의 원료로 사용되며, 이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을 찾는 문제입니다. --- 🔹 **각 아미노산의 역할 분석:** ① **Glycine (글라이신)** - **글라이신**은 주로 **단백질 합성**과 관련이 있지만, **포도당 합성**에 직접적인 기여는 적습니다. - 따라서 **포도당신합성의 원료로 사용되기보다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 ② **Leucine (류신)** - **류신**은 **케톤체**를 생성하는 **분지쇄아미노산**입니다. - **Gluconeogenesis** 과정에서는 주요 아미노산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 **주로 에너지로 사용**되며, **포도당신합성**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③ **Glutamine (글루타민)** - **글루타민**은 **스트레스 반응**에서 **포도당신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근육에서 분해되어 발생한 **글루타민**은 **간으로 이동**하여 **포도당신합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또한 **면역 기능**과 **세포 성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따라서 정답은 글루타민**입니다. --- ④ **Arginine (아르기닌)** - **아르기닌**은 주로 **질소 대사**와 관련이 있으며, **호르몬 분비**나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포도당신합성**의 주요 아미노산으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 ⑤ **Valine (발린)** - **발린**은 **분지쇄아미노산** 중 하나로, **주로 근육에서 에너지 원으로 사용**됩니다. - **포도당신합성**과는 관계가 적습니다. --- 🔹 **결론:** **글루타민**은 **근육에서 분해되어** **포도당신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Glutamine**입니다. 😊
274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서 경정맥 고영양법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은 환자에게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는 치료법이다. 다음 중 TPN의 치료적 효과가 입증된 질환을 고르시오. ① 신경성 식욕부진증 ② 크론병에 의해 반복적인 장 절제술 후 발생한 짧은 창자 증후군 (short bowel Syndrome) ③ 진행성 위암 ④ 직장암으로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심한 방사선 장염 ⑤ 패혈증
정답은 **② 크론병에 의해 반복적인 장 절제술 후 발생한 짧은 창자 증후군 (Short Bowel Syndrome)**입니다. --- 🔹 **문제 분석:** TPN(총정맥영양법)은 **소화기계 기능이 상실되거나 불완전할 때** 필요한 영양소를 **정맥을 통해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문제에서는 **TPN의 치료적 효과가 입증된 질환**을 묻고 있습니다. --- 🔹 **각 질환에 대한 분석:** ① **신경성 식욕부진증 (Anorexia Nervosa)** -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정신적 원인**으로 인해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 **TPN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이 질환에서 **TPN이 치료적 효과**로 널리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 주로 **심각한 영양 결핍**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장기적인 치료법으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 ② **크론병에 의해 반복적인 장 절제술 후 발생한 짧은 창자 증후군 (Short Bowel Syndrome)** - **짧은 창자 증후군**은 **장 절제**로 인해 소장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아져 **영양소 흡수**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 이 환자들은 정상적인 **영양 흡수**가 어려워 **TPN**을 통해 **필수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이 **치료적 효과가 입증**된 방법입니다. - **따라서, 짧은 창자 증후군에서는 TPN이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 ③ **진행성 위암 (Advanced Stomach Cancer)** - 진행성 위암은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TPN**이 치료법으로 사용되긴 하지만 **TPN이 진행성 위암의 치료적 효과**로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 이 질환에서는 **수술이나 항암치료**가 주요 치료법입니다. --- ④ **직장암으로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심한 방사선 장염** -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장염**은 **TPN을 통한 영양 보충**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 질환에서 **TPN이 치료적 효과**로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 **방사선 장염**의 치료는 **약물치료, 수술**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됩니다. --- 🔹 **결론:** **짧은 창자 증후군**은 **TPN의 치료적 효과**가 입증된 주요 질환 중 하나로, **정답은 ② 크론병에 의해 반복적인 장 절제술 후 발생한 짧은 창자 증후군**입니다.
275
다음 중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환자의 체중변화 ② 피부주름 두께 (skin fold thickness) ③ 혈청 알부민 ④ 호흡지수 (respiratory quotient) ⑤ 총 백혈구 수
정답은 **⑤ 총 백혈구 수**입니다. --- 🔹 **문제 분석:** - 영양 상태를 평가할 때, **체중**, **체성분**, **혈청 지표** 등을 이용하여 **영양 상태**를 측정합니다. - 문제에서 주어진 항목 중에서 **영양 상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지표**를 고르는 문제입니다. --- 🔹 **각 지표에 대한 분석:** ① **환자의 체중변화** - **체중변화**는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체중 감소는 **영양 결핍**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반대로 체중 증가가 **비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지표**입니다. --- ② **피부주름 두께 (skin fold thickness)** - **피부두겹두께** 측정은 **체지방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체지방이 많을수록 두께가 두꺼워집니다**. - **체지방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적절한 지표**입니다. --- ③ **혈청 알부민** - **혈청 알부민**은 **단백질 영양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알부민 수치가 낮으면 **단백질 결핍**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지표**입니다. --- ④ **호흡지수 (respiratory quotient)** - **호흡지수**는 **산소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비율로, **에너지 대사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영양 상태 평가**에서 **에너지 소모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 **적절한 지표**입니다. --- ⑤ **총 백혈구 수** - **총 백혈구 수**는 **면역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감염**이나 **염증 상태**를 나타냅니다. - **영양 상태**를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는 아니며, **영양 상태와는 간접적인 연관**만 있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부적절한 지표**입니다. --- 🔹 **결론:** **총 백혈구 수**는 **영양 상태**를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적합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⑤ 총 백혈구 수**입니다.
276
총정맥영양(TPN)을 투여했을 경우 치료 효과가 입증된 경우를 고르시오. ① 위암 4기로 경구 투여가 감소한 63세 환자 ② 허혈성 대장염으로 지속적인 설사를 하는 54세 환자 ③ 인공판막 수술이 예정되어 있는 72세 환자 ④ 3일간 경구로 영양공급을 투여 받지 못한 80세 환자 ⑤ 소장절제술 시행 후 장피누공이 발생한 35세 환자
정답은 **⑤ 소장절제술 시행 후 장피누공이 발생한 35세 환자**입니다. --- 🔹 **문제 분석:** 총정맥영양(TPN)은 **정맥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소화기계 기능**이 상실되었거나 불완전할 때 사용됩니다. TPN의 효과가 입증된 경우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 🔹 **각 경우에 대한 분석:** ① **위암 4기로 경구 투여가 감소한 63세 환자** - **위암 4기**는 진행된 암 상태로, **경구 섭취**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하지만, **TPN이 위암의 치료적 효과로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치료의 핵심은 **수술, 항암치료**입니다. - **따라서 TPN은 치료 효과가 입증된 경우가 아닙니다.** --- ② **허혈성 대장염으로 지속적인 설사를 하는 54세 환자** - **허혈성 대장염**은 대장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지속적인 설사는 **TPN**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TPN의 치료 효과**가 **입증된 질환은 아닙니다**. - **따라서 TPN이 치료적 효과가 입증된 경우는 아닙니다.** --- ③ **인공판막 수술이 예정되어 있는 72세 환자** - **인공판막 수술**은 **심장 수술**로, **TPN이 필요한 경우는 아닙니다**. 수술 전후 영양을 경구나 다른 방법으로 보충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TPN의 치료 효과가 입증된 경우는 아닙니다.** --- ④ **3일간 경구로 영양공급을 받지 못한 80세 환자** - **3일간 경구 영양을 받지 못한 경우**라면, **일시적으로 TPN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보충**으로 치료 효과가 입증된 경우는 아닙니다. - **따라서 TPN이 치료적 효과가 입증된 경우는 아닙니다.** --- ⑤ **소장절제술 시행 후 장피누공이 발생한 35세 환자** - **소장절제술 후 장피누공**이 발생한 경우, 소화기계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TPN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 TPN은 **장기적인 영양 공급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용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TPN의 치료 효과**가 **입증된 상황**입니다. - **따라서 TPN이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상황**입니다. --- 🔹 **결론:** **소장절제술 후 장피누공**이 발생한 경우는 **TPN의 치료 효과가 입증된 경우**로, **정답은 ⑤ 소장절제술 시행 후 장피누공이 발생한 35세 환자**입니다.
277
입원해서 Parenteral Feeding이 필요한 환자에게 하루 동안 접종해야하는 킬로그램 당 총 칼로리는 얼마인가?
25-35kcal/kg/day
278
입원해서 Parenteral Feeding이 필요한 환자에게 하루 동안 접종해야하는 단백질은 몇 그램인가?
1.5g/kg/day
279
입원해서 Parenteral Feeding이 필요한 환자에게 하루 동안 접종해야하는 총 칼로리 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몇 퍼센트가 되어야지 이상적인가?
20%
280
70kg의 환자가 입원해서 TPN이 필요할 때, 총 몇 g의 Glucose가 필요한가?
총 필요 칼로리 = 30*70 = 2100kcal (25-35kcal/kg/day) 단백질 그람 수 = 1.5 * 70 = 105g 단백질 칼로리 = 105 * 4 = 420kcal 지방 칼로리 = 2100 * 0.2 = 420kcal 추가로 필요한 당류 = 2100 - 420 - 420 = 1260kcal Dextrose의 1kcal 당 그램 = 3.4kcal/g 1260 / 3.4 = 370g/dextrose needed
281
282
De novo Infectious disease와 Surgical Site infection(SSI)의 차이는 무엇인가?
1. De novo Infectious disease - 치료에 수술(surgery)이나 무언가 처치(procedural interventions)를 필요로 하는 감염질환 - 대표적으로 농양, 담도염이나 맹장염같은 복강내감염, 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s, 급성충수염이 있다 2. Surgical Site Infection(SSI) - 수술 뒤에 생기는 감염 질환으로, 보통 30일 이내에 감염이 발생한다. -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입원기간과 비용을 늘린다
283
SSI(Surgical Site Infection)의 주요 원인균은 보통 어떤 종류인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상재균이다.
284
SSI(Surgical Site Infection)에 의해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부위는 어디인가?
Urinary Tract(40%) Respiratory Tract(15%) Bacteremia(5%)
285
수술 이후 발생하는 SSI로, 피부-구강-비강에 가장 흔한 감염 원인균은 무엇인가?
Staphylococcus spp.
286
수술 이후 발생하는 SSI로, 대장에 감염 원인균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그람음성균(eg. E.coli)
287
SSI(Surgical Site Infection)의 특징을 다섯 가지 말한다면?
1. 입원 기간이 늘어난다. 2. 입원 비용이 늘어난다. 3. 수술한 환자의 2~5%에서 발생한다. 4. 모든 병원 내 감염의 20%를 차지한다. 5. 합병증의 가능성이 11배까지 오른다.
288
SSI(Surgical Site Infection)을 감염 깊이에 따라 세 단위로 분류한다면?
1. Superficial Incisional SSI - Skin/Subcutaneous 2. Deep incisional SSI - Deep soft tissue(Fascia, Muscle) 3. Organ/Space SSI - 창자나 Organ에 발생
289
SSI(Surgical Site Infection)을 감염 수준에 따라 네 단위로 분류한다면?
1. Clean - 균이 파고 들지 않은 깨끗한 상처(non traumatic wound) - 호흡계, 장관계, 생식계에 침습하지 않음 - 항생제 x - ex) 멍, 타박상 등(자연치유됨) 2. Clean-Contaminated - Gastrointestinal or Respiratory 에 진입은 했으나, 내용물이 노출되지는 않은 상태 - 인두, 자궁, 감염되지 않은 요로생식계에 침습조치를 시행한 경우 3. Contaminated - 교통사고 환자 등 - Traumatic wound가 발생한 경우 - 위장관에서 내용물 누출이 발생한 경우 - 요관, 담관 등에 침습을 해야하지만, 이미 이들이 감염이 진행된 경우 4. Dirty - Old traumatic Wound - Contaminated Wound를 치료 없이 방치했을 때 - 교통사고 당한 지 한참 뒤에 올 경우
290
SSI(Surgical Site Infection)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1. Identifying Pathogen and Immediate Source Control 2. Antibiotic Coverage 3. Wound Care
291
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s(NSTI)란 무엇인가?
괴사성 연부 조직 감염을 뜻하며, 박테리아 감염으로 인해 피부, soft tissue, Muscle layer까지 균이 퍼져서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Chat GPT- NSTI(괴사성 연조직 감염, 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는 피부와 연조직에 심각한 괴사를 일으키는 감염으로, 빠르게 진행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Fournier gangrene도 NSTI의 한 유형입니다. --- 🔹 **NSTI의 주요 증상** ### 1. **초기 증상** (감기와 유사할 수 있음) - **갑작스러운 통증:** 상처나 감염 부위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통증의 정도가 외관상의 증상과 비교해 **과도하게 강함**. - **발적과 부종:** 감염 부위가 붓고 붉어집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염증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발열과 오한:** 전신적으로 열이 나고 춥다고 느끼며, 피로감이 큽니다. --- 2. **진행된 증상** - **피부 변색:** 붉은색이 점점 **청색이나 자주색으로 변색**되고, 나중에는 검은색으로 괴사됨. - **물집과 분비물:** 감염 부위에 **물집이나 수포**가 생기고, 악취가 나는 **고름**이나 분비물이 나타남. - **무감각:** 통증이 심하다가 괴사가 진행되면 신경이 손상되어 **무감각해질 수 있음**. - **크레피투스(crepitus):** 괴사 부위에 **가스가 차면서 누르면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날 수 있음. --- 3. **중증 증상** - **저혈압과 쇼크:** 패혈증으로 인해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며, 혼수 상태에 이를 수 있음. - **다발성 장기부전:** 심장, 폐, 신장 등이 기능을 상실할 수 있음. - **의식 변화:** 혼란이나 혼수 상태로 이어질 수 있음. --- 🔥 **NSTI는 응급 상황입니다!** **즉시 응급실에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하며, 신속한 수술적 절제와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할수록 예후가 좋습니다.
292
NSTI(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 Fournier Gangrene - 회음부(Perineum)와 생식기(Genitalia)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성 괴저 - Staphylococcus가 주요 원인균 2. Meleney Streptococcal Gangrene - Streptococcus에 의해 생기는 괴저 3. Clostrial Myonecrosis - Clostridium에 의해 발생하는 괴저
293
NSTI(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의 가장 중요한 진단기법은 무엇인가?
CT 촬영 - Sensitivity 100%, Specificity 98%이다.
294
NSTI(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의 Treatment는 무엇인가?
1. Surgical Debridement - 이미 감염이 조직 전체에 퍼진 상태이므로 외과적으로 제거해내야한다. 2. 항생제(Broad-Spectrum antibiotics) - 모든 균을 커버할 수 있는 항생제를 사용한다. 3. Wound care and Reconstruction
295
IntraAbdominal Abscess가 발생할 수 있는 복강 내 부위는 어디이며, Intraabdominal Abscess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Peritoneum, Retroperitoneum, Pelvic place에서 발생할 수 있다. 1. Primary - 질병 자체가 고름집을 형성하는 것 - 맹장, 충수염, 게실염 2. Delayed Primary - 위웨양, 장천공 등에 의해 누출된 병인이 감염되거나, 수술 이후 연결부위가 터져서 발생한다. 3. Secondary - 질병에 의해 발생한 물질이 감염되어 생기는 것(Pseudocyst가 Infection되어 Abscess가 생긴다) 주신 설명을 토대로 **Primary, Delayed Primary, Secondary Intraabdominal Abscess**의 개념을 다시 정리해볼게요! 😊 --- 🔥 **Primary, Delayed Primary, Secondary Intraabdominal Abscess 개념 정리** **1. Primary Intraabdominal Abscess** - **개념:** 질병 자체가 곧바로 농양(abscess)을 형성하는 경우 - **원인 예시:** 충수염(맹장염)이나 게실염이 농양을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경우 - **핵심:** **장기의 염증성 질환이 직접 농양을 만들며, 별도의 외부적 요인이 없는 경우** --- **2. Delayed Primary Intraabdominal Abscess** - **개념:** **GI tract의 천공(perforation)이나 수술 후 합병증**으로 인해 농양이 **지연되어 발생** - **원인 예시:** - 위궤양이 천공되면서 위 내용물이 흘러나와 복강 내에 감염을 일으킴 - 수술 부위의 문합부(anastomosis)가 터지면서 농양이 형성됨 - **핵심:** **복강 내 손상이나 수술 후 합병증으로 인해 시간이 지난 후에 농양이 생기는 경우** --- **3. Secondary Intraabdominal Abscess** - **개념:** 다른 질병으로 인해 형성된 구조물(pseudocyst 등)이 감염되어 농양으로 발전한 경우 - **원인 예시:** - 췌장염에서 생긴 **pseudocyst(가성낭종)**가 감염되며 농양 형성 - 담낭염에서 형성된 담낭 농양이 감염되며 발생 - **핵심:** **원래 있던 병리적 상태(가성낭종, 담낭염 등)가 감염되어 농양으로 발전하는 경우** --- 🔥 **쉽게 이해하기 위한 비유** - **Primary:** 감기(질병) 걸려서 바로 열이 나는 경우. **(질병이 직접 문제를 일으킴)** - **Delayed Primary:** 수술이나 상처를 입은 후 바로는 괜찮다가 나중에 염증이 생겨 고름이 잡히는 것. **(시간이 지나서 문제 발생)** - **Secondary:** 화상이나 상처가 생긴 자리에 세균이 들어가 염증이 생기는 경우. **(다른 손상이나 병리적 변화가 감염으로 이어짐)** --- 이렇게 정리하면 **세 가지 타입의 발생 기전과 예시가 명확하게 구분**되죠? 필요하면 더 보충해볼게요! 😊 | 구분 | 발생 기전 | 예시 |
296
Intraabdominal Abscess의 증상은 무엇이며, 어떻게 진단하는가?
일반적인 감염의 증상(발열, 빈맥, 빈호흡, 오한)과 위장관 질환(Obstruction, nausea, Vomiting) CT가 Gold standard이며 UltraSound 역시 가격경쟁력이 좋다.
297
Intraabdominal Abscess의 치료 준칙은 무엇인가?
일차적으로 수액처치(혈액 내 세균 희석)와 IV Antibiotics를 처치한다. Source Control을 위해 1) PCD(Precutaneous Catether Drainage; First Approach) - 피부를 통해 카테터를 삽입해서 Abscess의 농양을 유도한다. 2) Surgical removal - PCD가 실패했을 때 고려한다.
298
Intrathrocic Abscess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Pleural Empyema, Intrapharenchymal Lung Abscess ---------- 🔹 1. Pleural empyema (늑막농양) 위치: 폐를 둘러싸고 있는 **늑막강(pleural cavity)**에 고름이 찬 상태 발생 원인: 주로 감염성 질환이나 수술,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 유형별 특징: Acute post-pneumonia empyema: 폐렴 후 급성으로 발생 Chronic empyema: 급성 농양이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아 만성으로 지속 Post-thoracic surgery empyema: 흉부 수술 후 생기는 합병증 Post-traumatic empyema: 외상(총상, 칼에 찔림 등)으로 인한 감염 ➡️ 쉽게 말하면: 폐 바깥쪽의 늑막강에 고름이 찬 경우로, 폐렴이나 수술, 외상으로 인해 발생해요! 🔹 2. Intraparenchymal lung abscess (폐 실질 농양) 위치: 폐 자체의 **실질 조직(폐포와 기관지 사이의 조직)**에 고름이 생긴 것 발생 원인: 폐렴, 기관지 폐쇄, 흡입성 폐렴 등으로 인해 세균이 침투해 발생 특징: 고름이 폐 조직 내에 고이면서 괴사와 감염이 심해짐. 폐 실질 내 고름이 가득 찬 동굴 같은 공간이 생기는 모습 객담에서 악취가 나며,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함 ➡️ 쉽게 말하면: 폐 조직 안에 고름이 모여 '고름 주머니'처럼 농양이 생긴 것이에요!
299
Intrathrocic Abscess의 치료준칙은 무엇인가?
항생제 치료 -> PCD(Precutaneous catheter Drainage) -> Surgical debridement
300
병원 내 감염 중 가장 흔하게 유발되는 요로감염의 증상은 무엇인가?
1. dysuria (소변보기 힘듦) 2. urgency (소변을 봐도 계속 마려움) 3. pelvic or flank pain (방광쪽 통증) 4. fever and chills 항문과 가깝기 때문에 여성에서 더 많이 생긴다.
301
수술 전 항생제 투여 원칙(Antimicrobial Prophylaxis)에는 무엇이 있는가?
1. 항생제 선택: 수술 부위에 있을 세균에 맞춰 선택 2. 투여 시기: 수술 전 30분~1시간 전에 투여하여 조직 내 충분한 농도 유지 3. 단회 투여 원칙: 단 한 번 투여, 3~4시간 이상 길어지면 추가 투여
302
수술 당시 항생제를 Antimicrobial Prophylaxis에 맞춰 진행하였으나 환자의 Improving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때 고려해야할 4가지 사안은 무엇인가?
환자가 항생제 예방요법 후에도 회복되지 않는다면, **수술 과정의 문제, 합병증 발생, 새로운 감염, 약물 용량**을 모두 재평가하는 것이 필요해요. 이 네 가지를 점검하면 문제의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 (1) The initial operative procedure was not adequate. 초기 수술 절차가 충분하지 않았을 때 의미: 감염 부위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거나, 감염된 조직이나 고름이 남아 있는 경우 예시: 복강 내 농양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았음 괴사 조직이 남아 있어 세균의 온상이 됨 결과: 감염이 계속 진행되며 항생제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음 ➡️ 쉽게 말하면: 수술이 충분히 잘 되지 않아서 감염원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 (2) The initial procedure was adequate but a complication has occurred. 초기 수술은 잘 되었지만, 합병증이 생긴 경우 의미: 수술 자체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수술 후 새로운 문제가 생긴 경우 예시: 수술 부위의 출혈이나 혈종(hematoma)으로 세균 증식 장 누출(anastomotic leakage)로 복강 내 오염 수술 부위의 2차 감염(secondary infection) 발생 결과: 예상하지 못한 합병증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하거나 악화됨 ➡️ 쉽게 말하면: 수술은 잘 됐는데, 이후에 다른 문제가 생긴 거예요! (3) A superinfection has developed at a new site. 새로운 부위에 2차 감염(superinfection)이 생긴 경우 의미: 원래의 감염과는 다른 세균이나 진균 등에 의해 새로운 감염이 발생한 경우 예시: 광범위 항생제 사용으로 장내 세균총이 파괴되어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 발생 항생제 내성을 가진 **다제내성균(MRSA, VRE)**에 의한 감염 결과: 기존 항생제로는 효과가 없는 새로운 감염이 발생하여 환자의 상태가 악화됨 ➡️ 쉽게 말하면: 다른 종류의 세균이 새롭게 감염을 일으킨 거예요! (4) The drug choice is correct, but not enough is being given. 항생제 선택은 맞지만, 용량이 부족한 경우 의미: 항생제의 종류는 맞지만 용량이나 투여 간격이 적절하지 않아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음 예시: 체중이나 신장 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투여하여 혈중 농도가 낮음 농양이 크거나 깊어 항생제가 충분히 도달하지 않음 항생제의 반감기와 투여 간격이 적절하지 않음 결과: 감염 부위에 항생제가 충분히 도달하지 못해 세균이 계속 생존함 ➡️ 쉽게 말하면: 약은 맞는데, 충분히 투여되지 않은 경우예요!
303
그람양성균에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는?
Glycopeptide(Vancomycin, telavancin)
304
그람음성균에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는?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not ceftriaxone)
305
혐기성 세균에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는?
Metronidazole
306
Pseudomonal spps.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는?
Piperacillin, Tazobactam Ciprofloxacin, Levofloxacin
307
광범위 항생제가 필요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는?
Carbapenems
308
MRSA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는?
Vancomycin
309
간에 무리를 줄 수 있어 주의를 요해야 하는 항생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Isoniazid, Rifampin
310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어 주의를 요해야 하는 항생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Aminoglycosides Cephalosporins Vancomycins
311
CRE, CDC, VRE는 각각 어떤 것을 의미하며, 이들의 함의는 무엇인가?
CDC; Clostridium difficile colitis 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이들은 모두 Clinically Important Pathogens이다.
312
Surgical Site Infection중 Skin Infection을 야기하는 가장 흔한 피부 상재균은? 1.E.coli 2.Staphylococcus 3.Fungus 4.Streptococcus 5.COVID-19
2
313
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NSTI)를 진단하기 위해 가장 좋은 Imaging modality는? 1.X-ray 2.USG 3.CT 4.MRI 5.PET
3
314
만성 신부전 환자의 수술 후 항생제 사용에 있어서 용량을 줄여서 사용해야 하는 항생제가 아닌것은? 1) Penicillin 2) Aminoglycoside 3) Cephalosponn 4) Vancomycin 5) Metronidazole
5
315
78세 여자가 신우신염으로 입원하여 경구 ciprofloxacin 투여 중이다. 입원 후 10일째 발열, 객담 량 증가가 확인되어 시행한 흉부 단순사진에서 폐렴이 확인되었다. 혈압 80/60 mmHg, 맥박 96회 /분, 호흡 24회/분, 체온 38.6도씨 이었다. 다음 조치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모든 항균제를 중단한다. 2) Oseltamivir 투여를 시작한다 3) 경구 ciprofloxacin을 유지한다 4) 주사제로 전환하여 ciprofloxacin을 유지한다 5) 혈액, 객담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병원획득 폐렴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 투여를 시작한다.
이 환자는 **신우신염으로 입원 후 경구 ciprofloxacin을 복용 중이었으나, 입원 10일째에 폐렴 증상이 나타났고, 혈압 저하와 발열 등으로 패혈성 쇼크의 가능성**도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 상황은 **병원획득 폐렴(Hospital-acquired pneumonia, HAP)**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 **병원획득 폐렴(HAP)** - **정의:** 입원 후 **48시간 이상** 경과한 시점에 발생하는 폐렴으로, 입원 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폐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원인균:** 주로 **다제내성균(MDRO)** — MRS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ESBL 생성 장내세균 등 - **고위험군:** 고령, 면역억제 상태, 중환자실 입원, 항생제 장기 사용, 기계적 환기 치료 등 --- 🔥 **문제 상황 분석** 1. **환자의 상태:** 고령(78세), **입원 후 10일째** 발열과 객담 증가, 흉부 X-ray에서 폐렴 소견, 저혈압, 빈맥, 호흡 증가 — **패혈성 쇼크 가능성** 2. **항생제 상태:** 경구 ciprofloxacin 사용 중 → 하지만 병원획득 폐렴의 주요 원인균에는 불충분할 수 있음 3. **필요한 조치:** - **혈액 및 객담 배양 검사:** 원인균 확인을 위한 필수 검사 - **경험적 항생제 투여:** 중증 HAP의 경우 **광범위 항생제(반코마이신 + 항녹농균 β-lactam계 항생제)**를 경험적으로 사용함 - **패혈성 쇼크 관리:** 혈압 저하 시에는 수액과 승압제 투여 필요 --- 🔥 **선택지 검토** 1) **모든 항균제를 중단한다:** 폐렴과 패혈성 쇼크 의심 상황에서 항생제 중단은 위험하므로 부적절 2) **Oseltamivir 투여를 시작한다:** 인플루엔자 감염에 대한 치료제로, 현재 폐렴 원인으로 보기 어려움 3) **경구 ciprofloxacin을 유지한다:** 병원획득 폐렴의 원인균에 비해 효과가 부족할 수 있음 4) **주사제로 전환하여 ciprofloxacin을 유지한다:** ciprofloxacin의 주사제 전환만으로는 광범위 항생제가 부족함 5) **혈액, 객담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병원획득 폐렴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 투여를 시작한다:** 정확한 원인균 파악과 함께 다제내성균을 커버하는 경험적 항생제 투여는 가장 적절한 조치임 ✅ --- **정답:** ### **5) 혈액, 객담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병원획득 폐렴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 투여를 시작한다.** --- 🔥 **경험적 항생제 예시 (HAP의 경우)** - **MRSA 가능성 있는 경우:** - 반코마이신(Vancomycin) 또는 리네졸리드(Linezolid) - **녹농균을 포함한 다제내성균 커버:** - Piperacillin-tazobactam - Cefepime - Meropenem 또는 Imipenem **💡 결론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하고, 원인균을 파악하며, 신속하게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16
수술환자에서 항생제 사용의 원칙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술 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일반적으로 1가지 항생제를 쓴다 2) 수술 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1번만 투여한다 3) 수술 후 항생제 투여는 최대 용량으로 장기간 쓰는 것이 좋다 4) 수술 후 항생제 사용의 투여의 시점은 발열이 기준이 된다 5) 수술 후 감염발생 시 배양검사 결과를 기다린 후 적절한 항생제 투여가 좋다.
수술 환자에서의 항생제 사용 원칙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 --- 🔥 **수술 환자에서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 원칙** 수술 중 **감염을 예방**하고 **수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는 그 원칙들입니다. --- **1) 수술 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일반적으로 1가지 항생제를 쓴다. ✅** - **옳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단일 항생제**로도 충분히 예방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 **대표적 항생제:** 1세대 세팔로스포린(cefazolin)이 주로 사용됩니다. - **복합 항생제 사용:** 다제내성균 감염의 위험이 높거나 고위험 수술일 경우에만 고려됩니다. --- **2) 수술 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1번만 투여한다. ❌** - 일반적으로 **수술 시작 30분~1시간 전에 1회 투여**합니다. - 하지만 수술이 **3~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출혈이 많을 경우 추가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1회 투여'가 원칙이지만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추가 투여가 필요합니다. --- **3) 수술 후 항생제 투여는 최대 용량으로 장기간 쓰는 것이 좋다. ❌** - **최소한의 용량으로 짧은 기간**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장기간 항생제 사용은 **항생제 내성균** 발생 위험을 높이고, **신장이나 간 기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보통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 항생제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4) 수술 후 항생제 사용의 투여의 시점은 발열이 기준이 된다. ❌** - 발열은 감염의 여러 징후 중 하나일 뿐입니다. - 항생제 사용의 시점은 **감염의 위험도, 수술 부위의 청결도**에 따라 결정되며, 발열 여부만으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 **5) 수술 후 감염발생 시 배양검사 결과를 기다린 후 적절한 항생제 투여가 좋다. ❌** - 수술 후 **감염이 의심**되면 배양검사를 시행하지만, 결과가 나오기 전 **경험적 항생제**를 먼저 투여합니다. - 배양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감염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경험적 항생제 투여 후 결과에 맞춰 조정**합니다. --- 🔥 **정답:** ### **1) 수술 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일반적으로 1가지 항생제를 쓴다.** ✅ --- 혹시 더 궁금한 점이나 설명이 필요하시면 말씀해주세요! 😊🚑
317
Surgical Site Infection의 위험요소가 아닌 것은? 1. 고혈압 2. 당뇨 3. 고령 4. 비만 5. 영양결핍
1번
318
당뇨로 치료받던 72세 남자환자가 우측 서혜부 탈장으로 수술을 받은 후 절개부위에 감염이 발생하였다. 다음 중 가장 흔한 원인균은 무엇인가? ① Legionella ② Enterococcus ③ Escherichia coli ④ Staphylococcus aureus ⑤ Pseudomonas aeruginosa
4번
319
다음은 수술부위 감염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설명은? ① 수술 후 감염으로 특정 부위에 한정되어 생긴다. ② 수술 후 1개월 이내에 생기는 창상감염으로 정의한다. ③ 가장 흔한 원인은 환자의 상재균이다. ④ 가장 흔한 감염 부위는 호흡기계이다. ⑤ 구강 내 가장 흔한 상재균은 enterococci이다
3번
320
평소 건강했던 52세 여자 환자가 우측 유방암으로 유방 절제술 후 절개 부위에 감염 발생. 가장 흔한 원인균? ① Streptococcus ② Staphylococcus ③ E.coli ④ Enterobacter ⑤ Pseudomonas
2번
321
인간의 60%는 액체로 이루어져있다고 한다. 이 60%의 Fluid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크게 ECF(1/3)와 ICF(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중 ECF의 20%는 Plasma이며 나머지 80%는 Interstitial Fluid이다.
322
Trauma, Burn, Diuretics, Ileus, G-I loss(Vomiting, Diarrhea) 등으로 인해 발생한 ECF Loss는 어떤 증상을 유발하는가?
anorexia(식욕부진), nausea, postural hypotension, tarchycardia, poor skin tugor(피부탄력성 감소), shock
323
수액 처치시 Colloid와 Crystalloid의 특성을 6 가지 측면에서 비교 설명할 수 있는가? (Intravascular Persistence, Hemodynamic Stabilization, Required Infusion Volume, Risk of Tissue Edema, Enhancement of Capillary Perfusion, Risk of Anaphylaxis, Colloid Oncotic pressure, Cost)
1. Intravascular Persistence (혈관 내 유지) 정질(Crystalloid): 짧은 시간 동안 혈관 내에 존재하고, 빠르게 세포 외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액을 투여한 후 30분 내외로 대부분 혈관 외로 확산되어 효과가 단기적입니다. 교질(Colloid): 긴 시간 동안 혈관 내에 유지되며, 혈관 내 수분을 유지하는 효과가 몇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교질은 큰 분자들이 혈관 내에서 머물면서 수분을 혈관 내로 끌어들입니다. 2. Hemodynamic Stabilization (혈역학적 안정화) 정질(Crystalloid): 혈압 상승 효과가 단기적입니다. 수액이 빠르게 세포 외로 이동하면서 혈압을 일시적으로 올리지만,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습니다. 교질(Colloid): 혈역학적 안정화에 더 효과적입니다. 혈관 내 수분을 오래 유지하므로, 혈압을 지속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습니다. 3. Required Infusion Volume (필요한 수액 양) 정질(Crystalloid): 동일한 혈액량 증가를 위해 교질보다 더 많은 양을 투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리터의 정질 수액을 투여하려면 교질에 비해 더 많은 양이 필요합니다. 교질(Colloid): 혈관 내에서 효과적으로 수분을 유지하기 때문에, 같은 양의 혈액량 증대를 위해 적은 양의 수액으로 충분합니다. 4. Risk of Tissue Edema (조직 부종 위험) 정질(Crystalloid): 조직 부종을 유발할 위험이 더 높습니다. 수액이 빠르게 세포 외 공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부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교질(Colloid): 조직 부종의 위험이 낮습니다. 교질은 혈관 내에서 수분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어, 세포 외로 빠져나가는 수분이 적어 부종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5. Enhancement of Capillary Perfusion (모세혈관 관류 향상) 정질(Crystalloid): 모세혈관 관류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지만, 혈관 내 수분이 빠르게 세포 외로 이동하면서 그 효과는 짧습니다. 교질(Colloid): 교질은 모세혈관의 관류를 장기적으로 개선하는데 더 효과적입니다. 혈관 내 수분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모세혈관에 지속적인 압력을 제공하여 관류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6. Risk of Anaphylaxis (아나필락시스 위험) 정질(Crystalloid):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위험이 매우 낮습니다. 정질 수액은 대개 물질적으로 단순하고, 알레르기 반응이 거의 없습니다. 교질(Colloid):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덱스트란(Dextran)**과 같은 고분자 교질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7. Colloid Oncotic Pressure (교질 삼투압) 정질(Crystalloid): 교질 삼투압이 거의 없습니다. 정질 수액은 작은 분자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혈관 내 삼투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교질(Colloid): 교질 삼투압이 높습니다. 교질은 큰 분자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혈관 내 삼투압을 증가시켜 수분을 혈관 내로 끌어들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량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8. Cost (비용) 정질(Crystalloid): 저렴한 비용이 특징입니다. 정질 수액은 쉽고 저렴한 제조로 인해 대개 비용이 낮습니다. 교질(Colloid):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교질 수액은 제조 과정이 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324
수액으로 사용되는 정질(Crystalloid)과 교질(Colloid)는 각각 무엇인가?
1. 정질(Crystalloid) 수액 정의: Crystalloid 수액은 작은 분자로 이루어진 수액으로, 물에 용해된 전해질, 당류 등의 작은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로 체액 보충과 수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징: 낮은 분자량의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어, 혈관 내와 세포 외로 쉽게 확산됩니다. 혈액 속으로 수분이 빠르게 이동하여 짧은 시간 안에 효과를 나타냅니다. 혈액량 증가는 일시적이며, 수액을 투여한 후 시간이 지나면 세포 외 공간으로 수분이 이동하여 혈관 내 수분 양은 다시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예시: 생리식염수(0.9% NaCl) 락타트 링거(Lactated Ringer's solution) 글루코스 용액(5% Dextrose) 용도: 수분 보충과 전해질 보충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탈수 상태, 수술 후 회복, 경미한 저혈압 치료 등에 사용됩니다. 2. 교질(Colloid) 수액 정의: Colloid 수액은 큰 분자(단백질이나 고분자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 수액으로, 이들 물질은 혈액 내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고 혈관 내에 오래 머무는 특징을 가집니다. 이로 인해 혈관 내 수분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징: 큰 분자들이 포함되어 있어, 수액이 혈관 내에 오래 남아 혈장량을 증가시킵니다. 혈액 내에서 수분을 끌어들이는 특성이 있어, 혈액량을 빠르게 증가시키는 데 유용합니다. 주로 혈액량의 빠른 증대가 필요하거나, 심한 탈수 및 쇼크 상태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알부민(Albumin) 헤마토크리트(Hetastarch) 젤라틴 용액(Gelatin solutions) 덱스트란(Dextran) 용도: 혈장량 보충과 혈압 유지가 필요한 상태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심한 출혈, 쇼크 상태, 큰 수술 후 등에서 사용됩니다.
325
Na의 Plama 정상치는?
135-145mEq
326
K의 Plasma 정상치는?
3.5-4.5mEq
327
Hyponatremia의 기준은 무엇이며, 최소 어느정도 수치부터 증상이 발현되는가?
Na의 Plasma 농도가 130mEq 이하일 때 Hyponatremia라고 한다. 120-125mEq 이하일 때부터 증상이 발현되기 시작한다.
328
Plasma Na의 농도가 치료가 필요한 수준은 상방과 하방에서 각각 어느 수준이어야 하는가?
정상치 135-145mEq 하방: 130mEq 상방: 150mEq 부터 치료가 요한다.
329
Plasma K의 농도가 치료가 필요한 수준은 상방과 하방에서 각각 어느 수준이어야 하는가?
정상치: 3.5-4.5mEq 하방: 3mEq 상방: 5mEq
330
Hyponatremia의 최고 치료원칙은 무엇인가?
Normal Saline 투여가 원칙이며, Hypertonic Saline 투여가 금기이다. ---- Hypertonic saline은 고농도의 나트륨을 포함한 수액으로, 저나트륨혈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나트륨 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이 뇌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금기가 될 수 있습니다. 저나트륨혈증이 만성적일 경우, 치료는 서서히 진행해야 하며, 급격한 나트륨 농도 변화는 Osmotic Demyelination Syndrome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31
Hypernatremia의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치료해야하는가?
급격한 수분 손실(일사병)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Half-Saline(0.45%)로 서서히 교정해야한다. 급격한 농도 교정은 Brain edema를 유발할 수 있다.
332
Hypernatremia의 증상은 어떤 것이 있는가?
빈맥, 저혈압, 불안정, 타액분비 감소, 피부와 점막의 건조, 피부는 홍조, 발열 Hypernatremia로 인한 증상들을 생리-병리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요약 및 정리** - Hypernatremia는 **체액 부족**으로 인한 탈수와 삼투압 변화로 발생합니다. - **혈관 내 혈액량 감소** → **저혈압, 빈맥, 타액 감소, 건조한 피부 및 점막** - **신경세포의 탈수** → **불안정성, 신경과민성** - **체온 조절 장애** → **발열**
333
Hypokalemia의 원인은 무엇인가?
GI tract Loss(설사 등), Urinary Loss(이뇨제 등), Acidosis의 급격한 교정
334
Hyponatremia의 원인은 무엇인가?
Water의 Renal excretion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오랜 기간 금식을 했을 때 발생한다. Water의 Renal Excretion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금식을 했을 때 Hyponatremia(저나트륨혈증)**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생리적 기전들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 **Water의 Renal Excretion 이상과 Hyponatremia** Water의 Renal Excretion은 신장에서 **물 배출을 조절**하여 체내 삼투압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전입니다. 만약 이 기능이 손상되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Hyponatremia가 발생합니다. 1. **수분 배출의 감소** -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여과된 물을 충분히 배출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됩니다. - 물의 과도한 축적은 **혈장 희석**을 유발하여 **혈중 나트륨 농도를 낮춥니다.** 2. **항이뇨호르몬(ADH) 증가** -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저혈량 상태가 발생하여 **ADH 분비가 증가**합니다. - ADH는 신장에서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소변 배출을 억제합니다. - 이로 인해 체내 물이 과다하게 축적되고, 나트륨이 희석되어 **Hyponatremia**가 발생합니다. --- 🥛 **금식과 Hyponatremia** 금식은 체내 전반적인 영양 및 전해질 상태에 영향을 미쳐 Hyponatremia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체내 에너지 고갈과 물 보존** - 금식으로 인해 **체내 탄수화물 고갈**이 발생하면, **지방과 단백질**이 대체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이 생성되지만 나트륨은 보충되지 않습니다. - 금식 상태에서는 저혈량을 보상하기 위해 **ADH 분비**가 증가하고, 수분이 재흡수되며 희석성 Hyponatremia가 발생합니다. 2. **저혈당과 ADH 분비** - 금식으로 **저혈당** 상태가 되면, 스트레스 호르몬과 ADH 분비가 증가합니다. - 이는 체내 수분 보유를 증가시켜 희석성 Hyponatremia를 유발합니다. 3. **영양소 결핍과 전해질 불균형** - 금식 중에 전해질 보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나트륨이 부족해집니다. - 수분 섭취는 지속되지만, 나트륨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대적 Hyponatremia**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종합적인 요약** 1. **Water의 Renal Excretion 이상**: 물의 배출 장애 → **체내 수분 축적** → **혈중 나트륨 희석** 2. **금식 상태**: 체액 보존을 위한 ADH 증가 → **수분 재흡수 증가** → **나트륨 희석** 3. **전해질 보충 부족**: 나트륨 결핍과 수분 섭취 불균형 → **상대적 Hyponatremia** 이와 같이 물의 배출 이상이나 금식은 **수분과 나트륨의 균형을 깨트려** Hyponatremia를 일으킵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면 알려주세요! 😊
335
Hypokalemia의 증상은 무엇인가?
Weakness, paralysis, stupor **Hypokalemia(저칼륨혈증)**에서 나타나는 **Weakness(쇠약), Paralysis(마비), Stupor(혼미)**의 병태생리를 설명드릴게요! --- 🔬 **Hypokalemia의 병태생리 기초** - **칼륨(K+)**은 주로 세포 내에 존재하며, 세포 외액의 칼륨 농도는 매우 낮습니다. - 칼륨은 **세포막 전위(membrane potential)**를 조절하여 **신경 자극 전달과 근육 수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Hypokalemia에서는 세포 외액의 칼륨 농도가 감소하여 세포 내외의 전기적 균형이 깨지면서 신경계와 근육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 **각 증상의 병태생리** 1. **Weakness (쇠약)** - **세포막의 과분극(Hyperpolarization):** - Hypokalemia로 세포 외 칼륨 농도가 감소하면, **세포막 전위가 더 음전하화(과분극)**됩니다. - 이로 인해 **역치 전위(threshold potential)**에 도달하기 어려워져 **신경과 근육의 흥분성**이 감소합니다. - **근섬유의 수축력 감소:** - 근육 세포 내 칼륨 감소는 **칼슘 대사에도 영향을 주어** 근섬유의 수축력을 감소시킵니다. - **결과:** 근육의 수축이 약해져서 전신 쇠약감을 느끼게 됩니다. --- 2. **Paralysis (마비)** - **운동 신경의 흥분성 감소:** - 심한 Hypokalemia는 근육과 신경의 흥분성을 심각하게 억제하여 **신경 자극 전달**이 거의 불가능해집니다. - 이로 인해 **운동 마비**가 발생하며, 특히 **하지 근육**에서 먼저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호흡근 마비 위험:** - 중증의 Hypokalemia는 **횡격막과 호흡 근육**에도 영향을 주어 호흡 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결과:** Hypokalemia가 심해지면 **Flaccid Paralysis(이완성 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3. **Stupor (혼미)** - **중추신경계의 억제:** - Hypokalemia는 **중추신경계(CNS)의 신경세포**에도 영향을 주어 신경 전도 속도를 감소시킵니다. - 중증의 Hypokalemia에서는 **뇌의 전기적 활동**이 억제되어 혼미나 혼수 상태(Stupor)에 빠질 수 있습니다. - **저혈압 및 뇌 혈류 감소:** - Hypokalemia로 인해 **심박출량 감소**와 **혈압 저하**가 발생하면 뇌로의 혈류 공급이 줄어듭니다. - 이로 인해 뇌의 대사 저하와 혼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요약** | 증상 | 원인 | 결과 | |----------------|------------------------------------------------------------|--------------------------------------| | **Weakness** | 과분극으로 신경, 근육의 흥분성 감소 | 근육 수축력 감소, 쇠약감 | | **Paralysis** | 신경 전도 차단, 운동 마비 | 하지 마비, 중증 시 호흡근 마비 | | **Stupor** | CNS 흥분성 감소, 혈류 감소 | 의식 저하, 혼미, 혼수 상태 | --- Hypokalemia는 신경계와 근육계 모두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증상의 발현에 따라 빠른 교정이 필요합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나 추가적으로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
336
Hypokalemia의 치료법은 무엇인가?
oral therapy로 경구 칼룜을 보충하며 서서히 농도를 높인다. IV Therapy도 가능하지만, 고농도를 한꺼번에 주입한다면 Cardiac Arrest가 와서 안락사 할 수 있다.
337
Hyperkalemia가 발생 시 어느정도 농도 수준이 올라오면 Cardiac manifestation을 관찰할 수 있는가?
6.5mEq/L일 때부터 심장 이상 증상이 관찰되기 시작한다.
338
수액 및 전해질 요법으로 Hypernatremia, Hyponatremia, Hyperkalemia, Hypokalemia를 치료하는 방법을 각각 설명해본다면?
- Hyponatremia: 대개 normal saline 사용 - Hypernatremia: half saline 투여, 서서히 교정 - Hypokalemia: mix K+ to fluid (IV는 서서히 투여) - Hyperkalemia: calcium gluconate, sodium bicarbonate, insulin+glucose, Kayexalate enema, HD
339
간부전증 환자에게 수액이나 전해질 요법이 필요하다면, 어떤 것을 주의해야하는가?
간부전증 환자에게는 Sodium과 lactate가 없는 수액을 줘야 한다. 5% D/W 가 적당하다. Sodium (나트륨) 수치 불균형: 간부전증 환자는 종종 간의 나트륨 조절 능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과도한 나트륨이 체내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고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종(몸이 붓는 증상), 고혈압,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나트륨이 많은 수액을 사용하면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Lactate (젖산) 축적: 간은 젖산을 분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부전이 있을 경우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젖산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Lactate가 포함된 수액을 사용할 경우, 이를 처리할 간의 기능이 부족하여 젖산 축적이 심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사성 산증(혈액의 산성도 증가)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간의 대사 기능 저하: 간부전이 있는 환자는 물질 대사와 독소 제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Lactate가 간에서 처리되지 않으면, 혈액 내 젖산 농도가 높아져 산증을 유발할 수 있고, 체내에서 나트륨과 같은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전해질 요법이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340
Shock의 종류를 네 가지로 분류한다면 어떤 것이 있는가?
1. Distributive Shock 2. Hypovolemic Shock 3. Cardiogenic Shock 4. Obstructive Shock 1. **분포성 쇼크 (Distributive Shock)**: - **특징**: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혈액이 적절히 분포되지 않는 상태. - **원인**: -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감염으로 인한 전신 염증 반응(SIRS)으로 혈관이 확장됩니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Anaphylactic Shock)**: 알레르기 반응으로 혈관이 확장됩니다. - **신경성 쇼크(Neurogenic Shock)**: 척수 손상으로 자율 신경 조절이 안 되어 혈관이 확장됩니다. - **호르몬성 쇼크(Endocrine Shock)**: 호르몬 불균형(예: 부신기능저하증)으로 혈관이 확장됩니다. 2. **저혈량 쇼크 (Hypovolemic Shock)**: - **특징**: 체내 혈액량이 감소하여 장기들이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 - **원인**: 출혈, 탈수, 화상, 구토, 설사 등으로 체액이 빠져나가면 혈액량이 줄어듭니다. - **보상 기전**: 초기에 혈관이 수축하여 혈액이 중요한 장기로 더 많이 공급되려 하지만, 혈액량이 너무 적으면 보상도 불가능해집니다. 3. **심인성 쇼크 (Cardiogenic Shock)**: - **특징**: 심장의 펌프 기능이 떨어져 혈액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는 상태. - **원인**: 심근병증, 부정맥, 대동맥 판막 역류, 승모판막 역류 등으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순환이 부족해집니다. 4. **폐쇄성 쇼크 (Obstructive Shock)**: - **특징**: 심장 외의 원인으로 인해 좌심실의 혈류가 방해되는 상태. - **원인**: - **폐색성 쇼크**: 폐색전증(혈전이 폐를 막음), 폐고혈압, 기흉, 심장 압전(심장 주위에 액체가 차서 압박됨) 등이 혈류를 막아서 발생합니다. 이렇게 각 쇼크는 원인과 혈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341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SIRS)의 진단 Criteria는 무엇인가?
다음 조건 중 두 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SIRS이다. 1. 체온이 36도 이하 / 38도 이상 2. 심박수 90/min 이상 3. 호흡수 20/min 이상 / PaCO2<32torr 4. WBC count >12,000 cells/mm3 , or <4000 cells/mm3, or >10% immature (band) cells in peripheral blood smear
342
Septic Shock의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원인의 교정 - 항생제, 배농, 수술적 교정 2. 수액 공급 - Colloid보다는 Crystalloid(NS, Hartman's solution) 3. 혈압의 조절 - Norepinephrine
343
Hypovolemic Shock가 발생할 시에 관찰될 수 있는 Sign을 혈액 Loss의 수준에 따라 설명한다면?
혈액을 잃어서 Hypovolemic Shock가 발생하면, 우전적으로 맥박 증가가 관찰된다. 그러다가 혈압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여러 저혈합 증세가 보인다.
344
Hypovolemic Shock의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원인의 교정 - 수술, Embolization, 항생제 2. 수액 공급 - 급성 출혈이라면 혈압이 낮아지는 것을 잡는 것이 최 우선이기 때문에 Colloid를 처치한다. - 하지만 화상, 설사로 인한 탈수 등이 원인이라면 Crystalloid를 고려한다. 3. 혈압 조절 - Norepipnephirne을 사용해하지만, 우선 충분한 수액이 공급된 상태에서 고려한다.
345
다음 중 shock 의 치료 성과를 가장 잘 판단할 수 있는 요소는? 1) blood pressure 2) CVP 3) Urinary outflow 4) Pulse rate 5) Hb & Hct
**Shock**의 치료 성과를 가장 잘 판단할 수 있는 요소는 **3) Urinary outflow (배뇨량)**입니다. **이유:** - **Urinary output (배뇨량)**은 **신장 혈류량**과 관련이 깊습니다. 신장은 혈액을 여과하는 기관으로, 혈액의 순환 상태나 조직 관류 상태를 잘 반영합니다. - **Shock 상태에서는 조직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므로, 신장은 **우선적으로 혈류 공급이 감소**하게 되어 배뇨량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배뇨량은 **혈역학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 **정상적인 배뇨량**은 보통 **시간당 0.5-1 mL/kg** 정도인데, 배뇨량이 적으면 **조직관류 상태가 불안정**하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다른 항목에 대한 설명:** 1. **Blood pressure (혈압)**: 혈압은 중요한 지표지만, **저혈압**은 항상 **Shock**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혈압은 **과잉 보상**이나 **약물**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충분한 판단 지표**가 되지 않습니다. 2. **CVP (Central Venous Pressure, 중심정맥압)**: CVP는 **심장 전두부 압력**을 반영하는 지표로 **수액 상태**나 **심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Shock의 초기 단계**에서는 변화가 적을 수 있어, **단독 지표로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Pulse rate (맥박)**: 맥박은 심박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체액 상태나 교체가 부족**할 때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맥박만으로 **치료 성과**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약물의 영향**이나 **심박수 조절 약물**로 인해 맥박이 조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Hb & Hct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헤모글로빈 농도**와 **헤마토크릿 값**은 혈액 내 산소 운반 능력과 관계가 있지만, **급성 쇼크의 치료 반응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체액 보충**이 필요한 경우, 혈액량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수치 변화**가 느릴 수 있습니다. 결론: **Urinary output** (배뇨량)은 **shock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배뇨량이 증가**하면 조직 관류가 개선되고, **Shock 상태가 호전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346
수술 후 7 일 째, 복강 내 세균성 농양이 발견되어 배농을 하였다. 환자가 갑자기 의식이 혼미해지고 숨을 가쁘게 쉬면서 호흡수 27 회/min, BP 70/50mmHg, Pulse rate 140/min, 체온 섭씨 39 도였다. 다음 중 이 환자에게서 보기 어려운 항목은? 1) 심박출량 증가 2) 말초저항 감소 3) 동,정맥 산소분압 증가 4) Serum lactate level 증가 5) 중심정맥압 증가
이 환자의 상태는 **쇼크**를 나타내고 있으며, 주어진 임상 증상(혼미, 호흡 곤란, 저혈압, 고열, 빠른 맥박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패혈증성 쇼크**(Septic shock)가 의심됩니다. 패혈증성 쇼크는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혈관 확장**, **심박출량 증가**, **말초혈관 저항 감소** 등의 특징적인 변화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항목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심박출량 증가 (Cardiac output increase)** 패혈증에서는 **심박출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심박수 증가**와 **심박출량 증가**가 발생할 수 있지만, 병이 진행되면서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초기에는 혈액이 제대로 분포되지 않아 **심박출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말초저항 감소 (Decrease in peripheral resistance)** 패혈증에서는 **말초혈관 확장**이 일어나므로 **말초 저항이 감소**합니다. 이는 **혈관 확장**과 **혈액 분포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화입니다. 3. **동, 정맥 산소분압 증가 (Increase in arterial and venous oxygen tension)** 패혈증에서는 **산소 소모량 증가**와 **혈액 산소 농도 감소**로 인해 **동정맥 산소분압이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동정맥 산소분압 증가**는 패혈증 상태에서 보기 어려운 변화입니다. 패혈증에서는 **산소 공급이 부족**하고, **산소 소비는 증가**하기 때문에 산소분압은 **감소**해야 합니다. 4. **Serum lactate level 증가 (Increase in serum lactate level)** 패혈증성 쇼크에서는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젖산**이 **산소 결핍 상태에서 대사**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혈중 젖산 수치**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패혈증의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5. **중심정맥압 증가 (Increase in central venous pressure)** 패혈증성 쇼크에서는 **혈액의 순환이 비효율적**이거나 **심박출량의 감소**로 인해 **정맥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패혈증에서는 **혈관 확장**과 **혈액 순환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중심정맥압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진행된 상태에서는 **중심정맥압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결론: **3) 동, 정맥 산소분압 증가**는 패혈증성 쇼크에서는 보기 어려운 변화입니다. 패혈증에서 산소 소모가 증가하고, 조직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동정맥 산소분압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47
70 세 남자가 직장암으로 복강경하 저위전방절개술 (low anterior resection)을 시행 받았다. 환자는 수술 후 5 일 째 39 도의 고열 및 갑작스런 복통을 호소하였고, 혈압 69/48 mmHg, 맥박 152 회/분, 호흡 34 회/분, 배액관(J-P drain)으로 대변과 고름이 섞여 나왔다. 혈액검사는 다음과 같았다. 환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수액은? 혈색소 12.3 g/dL, 백혈구 23,900/mm3, 혈소판 101,000/mm3, 총단백질 6.8 g/dL, 알부민 2.1 g/dL 총빌리루빈 1.0 mg/dL, 직접 빌리루빈 0.3 mg/dL, 알칼리인산분해효소 23 U/L,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32 U/L, 알라닌아미노천달효소 23 U/L, 혈액요소질소 62.2 mg/dL, 크레아티닌 3.4 mg/dL, pH 7.21, PaCO2 23 mmHg, PaO2 70 mmHg, bicarbonate 12.1 mmol/L, base excess -11.3, lactic acid 4.5 mmol/L 1) 0.9% 생리식염수 2) 10% 포도당 3) 하이드록시에틸전문 (colloid, hydroxyethyl starch) 4) 0.45% 생리식염수 5) 플라즈마 솔루션 (plasma solution)
이 환자는 **수술 후 감염**과 **패혈증**의 징후가 있으며, 수술 후 5일째 갑작스러운 **고열**, **복통**, **저혈압**, **빈맥**, **호흡곤란** 등을 보이고 있습니다. 배액관에서 **대변과 고름이 섞여 나오는** 상황은 **복강 내 농양**이나 **장누공**(anastomotic leak)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패혈증성 쇼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환자의 검사 결과 분석: - **백혈구 23,900/mm³**: 고백혈구증, 감염이 있을 가능성. - **혈액요소질소(BUN) 62.2 mg/dL, 크레아티닌 3.4 mg/dL**: **급성 신부전**이 의심됩니다. - **pH 7.21**: 산증, 산-염기 불균형이 있음. - **PaCO2 23 mmHg, bicarbonate 12.1 mmol/L**: **호흡성 알칼리증**과 **대사성 산증**이 있을 수 있음. - **lactic acid 4.5 mmol/L**: **젖산 증가**는 **조직 산소 부족**과 **패혈증**의 전형적인 소견. - **알부민 2.1 g/dL**: 저단백혈증, **심각한 혈관 내 저단백 상태**. 수액 치료에 대한 접근: 이 환자는 **패혈증성 쇼크**, **저혈압**, **산증**이 특징적입니다. 적절한 수액 치료의 목표는 **혈압 회복**, **조직 관류 개선**, **체액 균형 유지**입니다. 이 환자의 상태에서는 **콜로이드**나 **결합된 수액**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 문항 분석: Septic Shock에서의 적절한 수액 선택** --- **1. 환자의 상태 파악** - **기본 상태:** 직장암 수술 후, 복강 내 감염으로 인한 **Septic Shock** 발생 - **활력 징후:** 저혈압(69/48 mmHg), 빈맥(152회/분), 빈호흡(34회/분) → **쇼크 상태** - **검사 소견:** - **고혈구 증가, 저혈소판증**: 염증 반응과 패혈증 의심 - **알부민 2.1 g/dL**: 저알부민혈증 → 혈관 내 삼투압 감소 - **크레아티닌 3.4 mg/dL**: 급성 신손상 가능성 - **대사성 산증**(pH 7.21, HCO₃⁻ 12.1 mmol/L, BE -11.3, 젖산 4.5 mmol/L): 말초 저산소증과 젖산 증가로 인한 산증 --- **2. Septic Shock에서의 수액 선택 원칙** ### **🔹 초치료: Isotonic Crystalloid (0.9% 생리식염수 또는 Ringer's lactate)** - 혈액량 증가를 통해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저혈압** 교정 - **0.9% 생리식염수(NS):** 가장 흔히 사용됨. → 대량 투여 시 **고염소성 대사성 산증**의 위험성 존재 - **Ringer's lactate:** 젖산염이 포함되어 있어 산증 완화 가능, 다만 간 기능 이상 시 주의 --- **3. Plasma Solution의 필요성** ### **플라즈마 솔루션(Plasma Solution)이 적절한 이유** - 환자는 **심한 저알부민혈증**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혈관 내 삼투압을 낮춰 혈액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 **부종**을 유발하고, **저혈압**을 심화시킵니다. - 일반적으로 **Colloid(콜로이드) 용액**은 혈관 내 삼투압을 증가시켜 혈액량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Colloid**는 출혈 위험을 높이거나 신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초기에는 선호되지 않습니다. - **Plasma Solution(플라즈마 솔루션):** - **크리스탈로이드의 장점**과 **콜로이드의 일부 효과**를 갖춘 용액 - 삼투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전해질을 공급하여 **대사성 산증**을 교정하고 **혈액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킴 - **저알부민혈증**이 심한 상황에서는 **Plasma Solution**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 **4. 답안 분석** 1) **0.9% 생리식염수(NS):** 일반적인 Septic Shock의 초기 치료에 사용되나, 이 경우 **저알부민혈증**이 심하여 혈관 내 삼투압 회복이 중요합니다. 2) **10% 포도당:** Hypoglycemia 시 사용되며, 쇼크 상태의 주요 치료제가 아닙니다. 3) **하이드록시에틸전분(Colloid):** 혈관 내로 수분을 끌어들이지만, 신장 손상이 있는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4) **0.45% 생리식염수:** 저삼투성 용액으로 저나트륨혈증 치료에 사용되며, 쇼크 치료에는 부적절합니다. 5) **플라즈마 솔루션(정답):** 심한 저알부민혈증을 보이는 Septic Shock에서 **혈관 내 삼투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혈액량 증가**에 효과적입니다. --- **📌 결론** - 이 환자는 **수술 후 감염에 의한 Septic Shock**으로 **심한 저알부민혈증**과 **대사성 산증**을 보이고 있습니다. - 따라서 단순한 Isotonic Crystalloid보다는 혈관 내 삼투압을 빠르게 회복하고 전해질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Plasma Solution**이 적절합니다. 💡 추가적인 질문이나 다른 부분이 궁금하다면 말씀해주세요! 😊.
348
혈액 내 크레아티닌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0.7-1.4mg/dL
349
정상 성인의 하루 평균 수분 손실은 몇 mL이며 이들은 어떤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2500mL이다. Sensible: 소변(1500mL), 대변(100mL) insensible: 평균 900mL(Lung1/3+피부2/3)
350
만성 신부전 환자로 소변량이 하루에 200cc에 불과한 환자로서 현재 금식 중이다. 하루 동안 공급해야 할 수분의 최소한의 양은?
정상 성인의 하루 평균 수분 손실은 2500mL이며, 이중 소변이 차지하는 양은 1500mL이다. 이 환자는 소변량이 200cc 줄어들었으므로 1300mL만큼의 추가 수분 손실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따라서 2500mL - 1300 = 1200mL의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351
53세 남자 환자는 공사장에서 작업중 7미터 높이에서 떨어져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검사상 경증의 경막하 출혈과 우측 대장 파열이 확인되어, 우측 대장 절제술을 시행하고 경과 관찰 중이었다. 환자 수술 4일 째 38도 이상의 고열과 함께 의식 저하가 발생되었으며, 혈압 70/30 mmHg, 심박수 140회/분, 호흡수 30회/분 이었고 세균 배양검사에서 그람 음성균이 자라고 있었다.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치료는? 1. 하이드록실에틸전분 2. 20% 알부민 3. 정질액 (crystalloid fluid) 4. 바소프레신 5. 수혈
이 환자는 **우측 대장 파열**로 인해 **복강 내 감염**(복막염)이나 **패혈증**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고열**, **의식 저하**, **저혈압**, **빈맥**,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세균 배양검사에서 그람 음성균**이 자라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이는 **패혈증성 쇼크**(septic shock)로 진단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패혈증성 쇼크에서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치료**는 **수액 보충**과 **혈압 회복**입니다. 환자의 **저혈압**(70/30 mmHg)은 **쇼크 상태**를 반영하므로 **즉각적인 수액 보충**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정질액(crystalloid fluid)**을 우선적으로 투여해야 합니다. 각 항목에 대한 설명: 1. **하이드록실에틸전분 (Hydroxyethyl starch)**: - **콜로이드 수액**인 하이드록실에틸전분은 **체액 보충**에 사용될 수 있지만, **신장에 미치는 영향**과 **패혈증 환자에서의 부작용**으로 인해 **초기 수액 치료에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신장 기능이 이미 악화된 상태에서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20% 알부민**: - **알부민**은 **저단백혈증**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지만, **패혈증성 쇼크** 초기에는 **정질액**(crystalloid fluid)로 먼저 수액 보충을 해야 합니다. 알부민은 **혈관 내 체액 보충**을 위한 추가적인 선택지로, **초기 수액 치료**가 마무리된 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정질액 (Crystalloid fluid)**: - **정질액**은 **패혈증성 쇼크**와 같은 **체액 부족** 상태에서 **먼저 사용해야 할 수액**입니다. 정질액(예: 0.9% 생리식염수)은 **혈압 회복**과 **조직 관류 개선**에 효과적이며, **초기 치료**로서 가장 적합합니다. 환자는 저혈압을 보이므로 **즉시 정질액으로 수액 보충**을 시작해야 합니다. 4. **바소프레신 (Vasopressin)**: - **바소프레신**은 **혈압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수액 치료 후에도 혈압이 회복되지 않으면**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치료** 단계에서는 **수액 보충**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5. **수혈 (Blood transfusion)**: - 이 환자는 **혈액 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므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수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패혈증성 쇼크**로 인한 **저혈압**에 대한 즉각적인 수액 보충이 더 시급합니다. 결론: **3) 정질액 (Crystalloid fluid)**이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치료**입니다. 패혈증성 쇼크의 경우, **수액 보충**이 가장 중요한 초기 치료이며, 이를 통해 **혈압을 회복시키고 조직의 관류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352
수술 후 금식 중인 정상 성인에서 하루 동안의 수액공급량과 만성신부전 환자의 수액공급량은? ① 정상성인(2000 ml), 만성신부전환자(500ml) ② 정상성인(2000 ml), 만성신부전환자(1000ml) ③ 정상성인(2500 ml), 만성신부전환자(1000ml) ④ 정상성인(2500 ml), 만성신부전환자(1500ml) ⑤ 정상성인(3000 ml), 만성신부전환자(1500ml)
3번) 정상 성인의 하루 수분 손실량은 2500ml이므로 금식 시에는 2500ml를 수액공급으로 보충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만성신부전환자의 경우 소변을 통한 수분 손실이 없으므로 대변을 통한 수분 손실량 (100ml)과 insensible하게 피부와 폐를 통해 손실되는 수분량(900ml)만을 보충해주면 된다.
353
수 일 동안 발열 및 복통을 호소하였다. 응급실 내원 당시, 체온 39도, 맥박수 120회/분, 혈압 70/40 이었다. 다음은 본 환자의 처치에 있어서 가장 우선되는 것은? ① 원인 규명을 위한 복부 CT scan ② 항생제 투여 및 혈액 균 배양 검사 ③ 스테로이드 투여 ④ 수액 공급 ⑤ 도파민 투여
이 환자는 **발열**, **복통**, **저혈압**(70/40 mmHg), **빈맥**(120회/분)을 보이며, 이는 **패혈증성 쇼크**를 시사하는 증상입니다. 패혈증성 쇼크에서는 **저혈압**과 **장기 기능 부전**이 동반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수액 공급과 항생제 투여**가 치료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각 항목에 대한 분석: 1. **원인 규명을 위한 복부 CT scan**: - 원인 규명은 중요하지만, 패혈증성 쇼크의 초기 치료는 **수액 공급과 항생제 투여**가 가장 시급합니다. **복부 CT**는 감염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쇼크 상태에서 우선적으로 해야 할 치료는 **수액 공급**과 **항생제 투여**입니다. 2. **항생제 투여 및 혈액 균 배양 검사**: - **패혈증성 쇼크**의 초기 치료는 **항생제**의 **즉각적인 투여**입니다. 또한 **혈액 균 배양**은 감염의 원인균을 확인하는 데 중요하지만, 항생제는 **배양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초기부터 투여해야 합니다. 3. **스테로이드 투여**: - 스테로이드는 패혈증성 쇼크에서의 **혈압 회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수액 공급**과 **항생제 투여**가 우선되어야 하며, 스테로이드는 **수액과 항생제 투여 후에도 혈압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고려됩니다. 4. **수액 공급**: - **수액 공급**은 패혈증성 쇼크에서 **혈압을 회복**시키고 **장기 관류**를 개선하는 데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정질액**(crystalloid fluid)을 통해 **체액을 즉시 보충**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치료입니다. 5. **도파민 투여**: - **도파민**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약물로, **수액 공급 후에도 혈압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파민은 초기 수액 공급 후 고려**되는 치료 옵션입니다. 결론: **4) 수액 공급**이 **가장 우선되는 치료**입니다. 패혈증성 쇼크에서 **수액 보충**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며, 이후 항생제 투여와 혈액 균 배양이 필요합니다. **즉시 수액 공급**을 시작해야 합니다.
354
교통사고로 55세 여자환자가 응급실로 내원했다. 혈압 80/60mmHg, 맥박수 120회/분이며 가장 먼저 투여해야 할 수액들의 조합은? ① Hartmansolution + dextran ② Wholeblood + 5% D/W ③ Hartmansolution + 5% D/W ④ Hartmansolution + Whole blood ⑤ Hartmansolution + Albumin
이 환자는 **교통사고**로 **저혈압**(80/60 mmHg)과 **빈맥**(120회/분)을 보이며, **쇼크 상태**로 의심됩니다. **쇼크**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치료는 **즉각적인 수액 보충**입니다. 이 경우 **혈액 손실**이 의심되므로 **수액과 혈액 보충**이 동시에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각 수액 옵션 분석: 1. **Hartman solution + dextran**: - **Hartman's solution**은 **정질액**으로, **체액 보충**을 위한 좋은 선택입니다. - **Dextran**은 **콜로이드** 수액으로, **혈관 내 체액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급성 신부전**이나 **과민 반응**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초기 치료에는 정질액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2. **Whole blood + 5% D/W**: - **Whole blood**는 **급성 출혈**이 의심될 때 **혈액 보충**을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5% D/W**(5% 포도당수액)는 **수액 보충**보다는 **칼로리 공급**용으로, **쇼크 치료**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혈액 보충**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Whole blood**가 필요하지만, **5% D/W**는 부적합합니다. 3. **Hartman solution + 5% D/W**: - **5% D/W**는 **수액 보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혈당 수치 관리** 및 **칼로리 보충**에는 적합하지만, **체액 보충**과 **혈압 회복**을 위한 초기 치료로는 **Hartman's solution**이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조합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4. **Hartman solution + Whole blood**: - **Hartman solution**은 **정질액**으로, **체액 보충**과 **혈압 회복**에 유용합니다. - **Whole blood**는 **급성 출혈**이 있는 경우 **혈액 보충**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 두 가지 조합은 **혈액 손실**을 보충하고 **혈압을 회복**시키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5. **Hartman solution + Albumin**: - **Albumin**은 **콜로이드** 수액으로, **저단백혈증**이 있는 환자나 **혈관 내 체액 유지**에 유용합니다. 하지만 **급성 출혈**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혈액 보충**이 더 중요한 경우에는 **Whole blood**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lbumin보다는 Whole blood**가 더 적합합니다. 결론: **4) Hartman solution + Whole blood**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출혈이 의심되는 쇼크 환자**에게는 **정질액**(Hartman solution)으로 **체액을 보충**하고, **Whole blood**로 **혈액 손실을 보충**해야 합니다.
355
무더운 여름날 운동회 도중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얼굴은 약간 홍조를 띠었으며 체온은 38도였다. 적당한 조치는? ① Normal saline 투여 ② Hartman solution 투여 ③ 5% D/W 투여 ④ Half saline 투여 ⑤ Normal saline과 albumin을 투여
!!!! 논란의 여지가 있음 서브노트(20학번)에 기록된 정답은 4번. 일사병으로 인한 Hypernatremia 상황에서 치료원칙은 half Saline이다. Chat gpt 설명: 일사병일 경우 고열로 인한 산증이 유발되는데, 저혈압과 기타 모든 것을 고려할 때 Hartman solution이 더 좋은 대안이다. 이 환자는 **무더운 여름날 운동회 도중 의식을 잃고 쓰러진** 상태로, **체온**이 **38도**로 발열이 있으며, **홍조**가 있다는 점에서 **열사병(heat stroke)**이 의심됩니다. **열사병**은 **과도한 열 축적**으로 인해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고, **체액의 이상**과 **중추신경계**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에는 **체온 상승을 급격히 낮추고** **수분 및 전해질 보충**이 중요한 치료입니다. 각 수액 옵션 분석: 1. **Normal saline 투여**: - **Normal saline**(0.9% 생리식염수)는 **체액 보충**을 위한 **정질액**으로, **열사병** 환자에게 **수분 보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열사병에서는 체액 보충뿐만 아니라 체온을 내리는 것도 중요한 치료**이므로 **단순한 수액 투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Hartman solution 투여**: - **Hartman solution**은 **정질액**으로, **체액 보충**과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데 유용합니다. **열사병** 환자에게 적합한 선택일 수 있으며, 체액 보충과 **산염 균형을 개선**하는 데 유리합니다. 3. **5% D/W 투여**: - **5% D/W**(5% 포도당 수액)는 **칼로리 공급**을 위해 사용되지만, **체액 보충**이나 **전해질 보충**을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열사병**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선택입니다. 4. **Half saline 투여**: - **Half saline**(0.45% 생리식염수)는 **전해질이 적고** **체액 보충**에 사용될 수 있지만, **열사병 환자**에게는 **체액 보충과 전해질 균형**을 더 잘 맞출 수 있는 **Hartman solution**이 더 적합합니다. 5. **Normal saline과 albumin을 투여**: - **Albumin**은 **콜로이드** 수액으로, **저단백혈증** 또는 **혈관 내 체액 유지**가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그러나 **열사병**에서는 **정질액**(Normal saline 또는 Hartman solution)으로 **체액 보충**을 우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lbumin**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론: **② Hartman solution 투여**가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열사병** 환자에게는 **체액 보충과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며, **Hartman solution**이 그 역할을 잘 수행합니다.
356
복막염 수술 후 3일째 발생한 쇼크로 측정한 심박출량이 2.0 L/min, PaWP가 10 mmHg일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① IV dopamine ② IV dobutamine ③ IV dopamine, dobutamine ④ IV diuretics ⑤ Fluid Therapy
이 환자는 **복막염** 수술 후 3일째 **쇼크** 상태로, **심박출량 2.0 L/min**과 **PaWP (폐동맥 폐쇄압) 10 mmHg**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이 환자는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나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 또는 **패혈성 쇼크**(septic shock)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체액 보충**입니다. 각 선택지 분석: 1. **IV dopamine**: - **Dopamine**은 **저혈압**을 개선할 수 있는 **카테콜아민**으로, **저혈량성 쇼크**나 **심장성 쇼크**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쇼크의 원인**이 **체액 부족**에 의한 것이라면, **체액 보충**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2. **IV dobutamine**: - **Dobutamine**은 **심장 기능 향상**을 위한 **심장 자극제**로, **심장성 쇼크**에서 **심박출량 증가**를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체액 부족**이 원인인 경우에는 **체액 보충**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3. **IV dopamine, dobutamine**: - **Dopamine**과 **dobutamine**의 조합은 **심장성 쇼크**에 대한 치료로 사용될 수 있으나, **쇼크 상태**에서 우선적으로 **체액 보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체액 보충**이 우선입니다. 4. **IV diuretics**: - **이뇨제**는 **과다한 체액**이 있을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환자는 **쇼크 상태**에 있고, **체액 부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뇨제는 부적합**입니다. 5. **Fluid Therapy**: - **Fluid Therapy**는 **쇼크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치료입니다. **체액 보충**을 통해 **심박출량**을 개선하고, **조기 수액 치료**는 **저혈량성 쇼크**를 예방하고 **혈압 회복**에 필수적입니다. 이 환자는 **체액 부족**에 의한 쇼크 상태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체액 보충**을 먼저 해야 합니다. 결론: 이 환자의 경우 **체액 부족**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체액 보충**이 우선적인 치료입니다. 따라서 **⑤ Fluid Therapy**가 가장 적절한 조치입니다.
357
허혈성 쇽환자에서 가장 먼저 투여해야 할 수액은? ① Hartman solution ② whoIe blood ③ 5% D/W ④ 5% D/S ⑤ AIbumin
허혈성 쇼크 환자에서 **가장 먼저 투여해야 할 수액**은 **체액 보충**을 통해 **혈액량을 증가**시키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때, 가장 적합한 수액은 **정질액**(crystalloid solution)입니다. 각 수액의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선택지 분석: 1. **Hartman solution**: - **Hartman solution**(Ringer's lactate)은 **정질액**(crystalloid)로, **체액 보충**과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데 유용합니다. **허혈성 쇼크**에서는 체액을 **빠르게 보충**하고 **혈압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하므로, **Hartman solution**이 효과적입니다. 2. **Whole blood**: - **Whole blood**(전혈)는 **출혈로 인한 쇼크**에서 **혈액량과 적혈구 수치를 회복**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허혈성 쇼크**는 **출혈**보다는 **혈류 감소**나 **순환부전**으로 인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혈**을 사용하기보다는 **체액 보충**이 우선입니다. 3. **5% D/W (5% dextrose in water)**: - **5% D/W**는 **포도당 수액**으로 **칼로리 공급**을 위해 사용되지만, **체액 보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허혈성 쇼크**에서는 **체액 보충**이 가장 중요한 치료이므로 **5% D/W**는 부적합합니다. 4. **5% D/S (5% dextrose in saline)**: - **5% D/S**는 **포도당과 염화나트륨 혼합 수액**으로 **체액 보충**이 가능하지만, **허혈성 쇼크** 환자에게는 **순수한 정질액**이 더 우선적으로 사용됩니다. 5. **Albumin**: - **Albumin**은 **콜로이드 수액**으로, **혈장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지만, **허혈성 쇼크**에서는 우선적으로 **정질액**을 통해 **체액을 빠르게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lbumin**은 **체액 보충 후** 사용될 수 있으며, **저알부민혈증**이 동반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결론: **허혈성 쇼크**에서는 **체액 보충**을 우선적으로 해야 하므로, **① Hartman solution**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Hartman solution**은 **체액 보충과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데 효과적**이므로, **허혈성 쇼크** 환자에게 가장 먼저 투여해야 할 수액입니다.
358
허혈성 쇼크란 무엇이며 어떤 수액으로 처치할 수 있는가?
**허혈성 쇼크(Ischemic shock)**는 **Hypovolemic shock**(저혈량성 쇼크)와는 다릅니다. 허혈성 쇼크는 특정한 **원인**에 의한 **혈액 공급 부족**을 의미하지만, **저혈량성 쇼크**와는 구분됩니다. **허혈성 쇼크**는 주로 **혈류의 감소**나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해 조직이나 장기들이 **산소와 영양분 부족**을 겪는 상태입니다. 이는 **혈관 수축, 혈관 폐쇄**, 또는 **조직의 혈류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장, 뇌, 또는 말초혈관**에서 **혈류 부족**이 일어날 때 허혈성 쇼크가 발생합니다. 반면에,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는 **혈액량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출혈**, **탈수**, 또는 **체액 손실** 등이 주된 원인입니다. **혈액량 부족**으로 인해 **심박출량**이 감소하면서 전신으로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며, **저혈압**, **심박수 증가**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요약: - **허혈성 쇼크(Ischemic shock)**는 **혈액의 흐름**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장기 및 조직의 허혈 상태**입니다. -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는 **혈액량**이나 **체액**의 급격한 손실로 인해 **혈액 순환 부족**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허혈성 쇼크**는 **Hypovolemic shock**과는 다르며, **Distributive shock**(분포성 쇼크)와도 다른 개념입니다. **Distributive shock**는 **혈관 확장**이나 **혈류 분포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수액으로는 Hartman Solution을 사용합니다.
359
복통의 원인은 크게 복부기원 통증과 복부 외 기원으로 나눌 수 있다. 복부에서 기원한 통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1. 복부 기원 (복부 자체의 문제로 발생하는 복통) 🔹 복막 자극 복막자극은 복강 내 장기들이 터지거나, 출혈 또는 담즙이 새면서 복막을 자극할 때 발생합니다. 예시: 복강 내 공기 누출(Pneumoperitoneum), 출혈(Hemoperitoneum), 담즙성 복막염(Bile peritonitis) → 통증이 매우 심하고 날카롭게 느껴집니다. 🔹 위장관 폐색 장이 막혀서 음식물이나 가스가 지나가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예시: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탈장(Hernia) → 배가 팽팽하고 통증이 간헐적으로 발생합니다. 🔹 혈관계 장애 장기로 가는 혈액이 차단되면 통증이 발생합니다. 예시: 장 허혈 및 괴사(Intestinal infarction) → 통증이 매우 심하고, 장의 괴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복벽 문제 복벽에 있는 근육이나 혈관의 문제로 통증이 생깁니다. 예시: 복직근 초막혈종(Rectus sheath hematoma) → 배를 만지면 국소적인 압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염증 복부 내 장기의 염증이 통증을 유발합니다. 예시: 충수염(Appendicitis), 위궤양(Peptic ulcer) → 지속적이면서 점차 심해지는 통증이 특징입니다. 🔹 임신 관련 여성에서 임신 관련 문제로 복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시: 자궁외임신(Ectopic pregnancy), 난소 염전(Ovarian torsion) → 출혈이 동반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360
복막 자극 증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통의 예시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어떤 Sign을 보이는가?
🔹 복막 자극 복막자극은 복강 내 장기들이 터지거나, 출혈 또는 담즙이 새면서 복막을 자극할 때 발생합니다. 예시: 복강 내 공기 누출(Pneumoperitoneum), 출혈(Hemoperitoneum), 담즙성 복막염(Bile peritonitis) → 통증이 매우 심하고 날카롭게 느껴집니다.
361
장 폐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통의 예시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어떤 Sign을 보이는가?
🔹 위장관 폐색 장이 막혀서 음식물이나 가스가 지나가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예시: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탈장(Hernia) → 배가 팽팽하고 통증이 간헐적으로 발생합니다.
362
혈관계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복통의 예시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어떤 Sign을 보이는가?
🔹 혈관계 장애 장기로 가는 혈액이 차단되면 통증이 발생합니다. 예시: 장 허혈 및 괴사(Intestinal infarction) → 통증이 매우 심하고, 장의 괴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363
복벽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복통의 예시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어떤 Sign을 보이는가?
🔹 복벽 문제 복벽에 있는 근육이나 혈관의 문제로 통증이 생깁니다. 예시: 복직근 초막혈종(Rectus sheath hematoma) → 배를 만지면 국소적인 압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복직근 초막혈종--- **복직근 초막혈종(Rectus sheath hematoma)**은 배의 근육인 **복직근(Rectus abdominis muscle)**과 그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초막(sheath)** 사이에 **출혈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 **복직근 초막혈종의 원인** 1. **외상(Trauma)**: 복부를 세게 부딪히거나 맞았을 때 2. **수술 후 합병증**: 복부 수술이나 복강경 시술 후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과도한 근육 긴장**: 기침, 구토, 심한 복압 상승으로 근육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4. **항응고제 복용**: 와파린(warfarin) 같은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출혈 위험이 큽니다. 5. **혈관 문제**: 노화나 혈관 질환으로 인해 혈관이 약해졌을 때 출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 **증상** - **복통**: 주로 배꼽 주변이나 아래쪽에서 국소적인 통증이 나타납니다. - **종괴(Mass)**: 만졌을 때 단단한 종괴가 느껴질 수 있습니다. - **피부 변색**: 출혈로 인해 피부에 멍이나 색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빈혈 증상**: 출혈량이 많으면 어지러움, 빈맥,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Cullen's sign**이나 **Grey-Turner's sign**: 복부 주변의 멍으로 나타날 수 있는 징후들이며, 심한 출혈 시 나타납니다. - **Cullen's sign**: 배꼽 주위의 멍 - **Grey-Turner's sign**: 옆구리의 멍 --- 📌 **진단** 1.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 외상력, 항응고제 복용 여부 등을 확인 2. **영상 검사**: - **복부 초음파**: 출혈 유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음 - **복부 CT**: 혈종의 크기와 범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 3. **혈액 검사**: 빈혈 정도와 혈액 응고 수치를 확인 --- 📌 **치료** 1. **보존적 치료**: - 출혈이 경미한 경우 안정, 수액 공급, 진통제 사용 - 항응고제 복용자의 경우 약물 중단 또는 조절 2. **중재적 치료**: - 출혈이 심하거나 혈압이 떨어질 경우 **수혈** 필요 - 혈관 조영술을 통한 **색전술(Embolization)**로 출혈 부위를 막을 수 있습니다. 3. **수술적 치료**: - 보존적 치료와 색전술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개복하여 혈종을 제거하고 지혈합니다. --- 📌 **예후 및 주의사항** - 대부분은 **보존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 항응고제 복용자는 출혈 위험을 인지하고 복부 외상이나 심한 운동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복부에 외상이 있거나 심한 통증이 지속되면 신속한 검사와 진단이 필요합니다. --- 요약하면, **복직근 초막혈종**은 복직근과 초막 사이에 **출혈이 생겨 복통과 덩어리(종괴)**가 발생하는 상태로, 원인과 증상에 따라 **보존적 치료**나 **중재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364
염증에 의해 발생하는 복통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떤 임상적인 Sign을 보이는가?
🔹 염증 복부 내 장기의 염증이 통증을 유발합니다. 예시: 충수염(Appendicitis), 위궤양(Peptic ulcer) → 지속적이면서 점차 심해지는 통증이 특징입니다.
365
임신에 의해 발생하는 복통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떤 임상적인 Sign을 보이는가?
🔹 임신 관련 여성에서 임신 관련 문제로 복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시: 자궁외임신(Ectopic pregnancy), 난소 염전(Ovarian torsion) → 출혈이 동반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366
복통의 종류는 복부 기원 통증과 복부 외 기원 통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복부 외 기원 통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 복부 외 기원 (복부 외의 문제로 발생하는 복통) 🔹 심장/흉부 문제 복부와 가까운 심장이나 폐의 문제로 복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시: 급성 심근경색 → 가슴 통증과 함께 명치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비뇨생식기 문제 신장이나 요관에 문제가 있으면 복통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예시: 요관 폐쇄, 급성 신우신염 → 옆구리 통증이나 소변 문제와 함께 나타납니다. 🔹 대사 문제 체내 대사 이상으로 복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시: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 혈당 조절이 안 되어 발생하며, 구토나 탈수가 동반됩니다. 🔹 감염 바이러스나 감염으로 복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시: 대상포진 → 발진과 함께 신경통성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67
복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왔을 때, Physical Examination의 순서는 어떻게 되는가?
시진 - 청진 - 타진 - 촉진 순으로 진찰한다. 최대한 앞의 진찰기법이 후의 진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68
unstable angina이나 hypertension 때문에 anticoagulation 하는 환자가 심한 기침 후 심한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case. midline넘지 않는 mass-like region이 abdominal cavity에 튀어나와 보인다. 이 환자의 진단은 무엇입니까?
이 환자의 진단은 **복직근 초막혈종(Rectus sheath hematoma)**으로 보입니다. --- 📌 **진단 근거** 1. **기저질환**: **불안정 협심증(unstable angina)**나 **고혈압(hypertension)**으로 인해 항응고제 치료를 받고 있음 - 항응고제는 출혈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2. **유발 원인**: **심한 기침** - 기침으로 인해 복압이 급격히 상승하면, 약해진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주증상**: **심한 복통**과 **mass-like region** - 출혈로 인한 혈종이 복직근과 초막 사이에 형성되어 덩어리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 **midline을 넘지 않는 mass**는 복직근의 해부학적 구조에 의한 특징입니다. 4. **영상 소견**: 복부에 국한된 mass-like region - 복직근 초막혈종은 대개 **midline을 넘지 않으며**, 복부의 한쪽에 국한된 mass로 나타납니다. --- 📌 **추가적 진단 방법** 1. **복부 초음파**: 빠르게 출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복부 CT**: 혈종의 크기와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다른 복부 이상을 배제합니다. 3. **혈액 검사**: 혈액 응고 수치, 빈혈의 정도를 평가합니다. --- 📌 **치료** - **보존적 치료**: 안정, 수액 공급, 진통제 사용 - **항응고제 조절**: 출혈 위험이 큰 경우 항응고제 중단 또는 조절 - **중재적 치료**: 심한 출혈 시 혈관 색전술(Embolization) - **수술적 치료**: 혈종이 크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개복 수술 --- 따라서, 이 환자의 진단은 **복직근 초막혈종**으로 볼 수 있으며, 항응고제 복용과 기침으로 인해 발생한 출혈에 의한 것입니다. 😃
369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시진했을 때 황달이 관측된다. 만약 황달이 이 환자의 PI와 연관이 있다면, 이 환자는 무엇으로 의심할 수 있겠는가?
강의: CBD Stone을 의심할 수 있다. 복통과 황달이 동반될 때는 담관 폐색, 간담췌계의 종양, 간염, 간경변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병력과 신체검사, 영상 검사(복부 초음파, CT, MRI), 혈액 검사(LFT, Bilirubin, AFP 등)를 통해 원인을 감별합니다.
370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시진했을 때 피부가 보라색으로 보인다면 이 환자는 무엇으로 의심할 수 있겠는가?
심한 복막염, 장폐색이 발생했을 때 Fat이 얇은 구간에서 보라색으로 피부바 관찰될 수 있다.
371
장 폐색이 발생할 경우, 시간에 따라 청진음이 어떻게 변화하는가?
장폐색 초기에는 증가(Increased, Hyperactive)한 장음이 들린다. 장폐색 후기(Irreversible)에는 Bowel necrosis가 발생해서 감소(Decreased, Hypoactive)한 Silent Abdomen이 관측될 수 있다.
372
장 폐색이 일어난 환자로부터 들을 수 있는 특징적인 청음 소견 3가지는 무엇인가?
1. Silent Abdomen 2. Tinkling Sound 3. Metalic Sound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이 발생한 환자에서 청진을 통해 다양한 복부 음이 들릴 수 있는데, 각 소리는 폐색의 **단계**, **원인**, **중증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아래에서 설명드릴게요! --- 🔊 **1. Silent Abdomen (무음성 복부)** - **의미:** 장음이 거의 없거나 완전히 소실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 **원인:** - **장폐색의 후기 단계:** 지속적인 폐색으로 인해 장이 심하게 팽창하거나, **허혈**이나 **괴사**가 발생하여 장의 운동이 정지된 상태입니다. - **복막염(peritonitis):** 장의 마비(paralytic ileus)로 인해 장 운동이 멈추게 됩니다. - **중증의 전신적 쇽(shock):** 저혈압으로 인해 장으로의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 장의 운동이 억제됩니다. --- 🔊 **2. Tinkling Sound (딸랑거리는 소리)** - **의미:** 높은 음조의 금속성 장음으로, 간헐적이고 날카롭게 들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 **원인:** - **기계적 장폐색(mechanical obstruction)의 초기 단계:** 장폐색 부위에서 **장 내용물과 가스**가 정체되며 장이 과도하게 수축하여 발생합니다. - **가스와 액체가 섞여 강한 연동운동을 할 때** 들립니다. 폐색이 **불완전**하거나, **장 운동이 왕성하게 유지**되고 있을 때 관찰됩니다. - **임상적 의미:** - 장의 **과활동성(hyperactive bowel sound)**을 의미하며, 장폐색의 진행이 초기이거나 부분적일 때 나타납니다. --- 🔊 **3. Metallic Sound (금속성 소리)** - **의미:** 종 모양의 금속음으로 매우 강하고 날카롭게 들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 **원인:** - **장폐색의 진행된 단계:** 장이 심하게 팽창하고 내용물이 압력을 받아 **연동운동이 극대화**될 때 발생합니다. - 장 폐색이 점점 심해져서 장의 수축력이 강해질 때 들릴 수 있습니다. - **임상적 의미:** - 장이 심하게 팽창되고 장압이 증가하여 장벽이 얇아지며 들리는 소리입니다. - 장 천공의 위험성이 있어 **응급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정리** | 소리 | 상태 | 원인/의미 | |-----------------|-----------------------------------|--------------------------------------| | Silent Abdomen | 장 운동 정지 (마비성 장폐색 등) | 허혈, 괴사, 복막염, 쇽 | | Tinkling Sound | 과활동성 장음 (초기 장폐색) | 가스와 액체의 정체, 과도한 연동운동 | | Metallic Sound | 장 팽창과 높은 압력 (진행된 장폐색) | 장의 심한 팽창, 천공의 위험성 | --- 🔔 **결론:** 장폐색 환자에서 청진으로 들리는 복부음은 질병의 상태와 중증도를 반영하므로, 신속한 원인 파악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합니다. 특히 **무음성 복부**와 **금속성 소리**는 응급 처치가 필요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73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촉진을 시행할 때, 우선 복부의 근육을 이완시켜서 장 내부의 고형장기를 제대로 촉진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의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 누워서 양쪽 무릎을 세우도록 한다. 2. 환자가 심호흡하면서 숨을 내뱉거나, '아'소리를 내도록 한다.
374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촉진을 시행할 때, 복통이 느껴지는 부위부터 촉진을 해야하는가 아니면 복통이 느껴지지 않는 부위로부터 촉진을 해야하는가?
촉진은 증상이 없는 쪽부터 시행한다.
375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관찰되는 Murphy's sign은 무엇인가?
**Murphy's Sign**는 **급성 담낭염(acute cholecystitis)**의 진단에 중요한 신체검사 소견입니다. --- 🔎 **Murphy's Sign의 정의와 검사 방법** - **정의:** - 우상복부(오른쪽 갈비뼈 아래)를 압박하면서 깊게 숨을 들이마실 때 **통증이 심해져서 숨을 멈추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검사 방법:** 1. 환자를 편안하게 눕힌 상태에서 검사자는 환자의 **우상복부(RUQ)**에 손을 올립니다. 이 부위는 **담낭**이 위치한 곳입니다. 2. 환자에게 깊은 숨을 들이마시라고 지시합니다. 이때 **횡격막**이 내려오면서 간과 담낭이 하강하게 됩니다. 3. 숨을 깊이 들이쉴 때 압박을 가하면, 염증이 있는 담낭이 손에 닿아 통증이 발생합니다. 4. 환자가 **통증으로 인해 숨을 멈추면** **양성(+)**으로 판정합니다. --- 🔥 **Murphy's Sign의 의의** - **양성(Positive):** 급성 담낭염(acute cholecystitis)을 강하게 시사합니다. - 급성 담낭염에서는 담낭의 염증으로 인해 담낭벽이 두꺼워지고 부어올라, 손가락의 압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음성(Negative):** 담관 결석이나 다른 원인의 우상복부 통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 **Murphy's Sign과 관련된 주의점** - 고령자나 당뇨 환자에서 담낭염이 있어도 **통증이 경미하거나 느껴지지 않을 수 있음** - 중증 환자나 혼수상태의 환자는 통증 반응이 약해서 **검사 결과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음** - **담석증**이 있어도 담낭염이 없으면 Murphy's sign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다른 감별 진단과의 비교** - **McBurney's Point Tenderness:** 충수염(appendicitis)의 진단 - **Rovsing's Sign:** 충수염에서 좌하복부를 누를 때 우하복부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 **Courvoisier's Sign:** 담낭 비대가 있으나 통증이 없는 경우로, 주로 췌장암에서 관찰됨 --- 💡 **요약:** **Murphy's Sign**은 **급성 담낭염**을 강하게 시사하는 신체검사 소견으로, 우상복부의 통증과 관련하여 중요한 진단적 의미를 가집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다를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영상 검사나 혈액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76
* 55/F * C/C; abdominal pain (onset-내원 6시간 전) * Vomiting (+) * Op Hx; 20년전 C-sec, 요실금 개복수술 * P/Ex – Abdominal distension – Decreased bowel sound – Tenderness & rebound tenderness on lower abdomen Dx) ???
Dx) Intestinal Obstruction
377
급성 충수염(Appendicitis)와 Mesenteric Lymphadenitis(장간막 림프절염)은 모두 우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할 수 있으나, 급성 충수염은 수술적 절제가 필요한 반면 장간막 림프절염은 보존적 치료를 수행해야 한다. 이 둘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 **Appendicitis(급성 충수염)와 Mesenteric Lymphadenitis(장간막 림프절염)의 비교** 1. **Appendicitis (급성 충수염)** - **원인:** 충수돌기의 염증으로 발생 - **증상:** - **복통:** 처음에는 배꼽 주위의 심한 통증 → 시간이 지나면서 우하복부(RLQ)로 이동하는 통증 - **입맛 없음(anorexia):** 충수염의 흔한 증상으로 식욕이 떨어집니다. - **기운 없음:** 전신 쇠약감이 나타나고 **변비**가 흔합니다. **설사는 드뭄** - **구역, 구토:** 복통 후에 발생 - **복부 진찰:** - **McBurney's point tenderness:** 우하복부의 압통점 (배꼽과 우측 전상장골극의 중간점) - **Rebound tenderness (반발통):** 손으로 누른 후 갑자기 뗄 때 통증이 더 심해지는 현상 - **Rovsing's sign:** 좌하복부를 누를 때 우하복부에 통증이 나타남 - **Psoas sign:** 오른쪽 다리를 뻗은 상태에서 들어 올릴 때 통증 - **Obturator sign:** 고관절을 굽히고 내회전시킬 때 통증 - **진단적 검사:** - **WBC(백혈구 증가):** 보통 10,000 이상으로 증가 - **복부 초음파/CT:** 충수의 비후와 염증 소견 - **CRP 상승:** 염증성 지표 증가 - **치료:** - 수술적 절제(appendectomy)가 원칙이며, 항생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합니다. --- 2. **Mesenteric Lymphadenitis (장간막 림프절염)** - **원인:**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장간막 림프절이 부어 염증을 일으킴 - **증상:** - **복통:** 우하복부 통증이 충수염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복통의 양상이 덜 심하거나 파동적일 수 있음 - **식욕 왕성:** 충수염과 달리 **식욕이 왕성하고 잘 먹으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감기 기왕력:** 보통 **일주일 전후에 감기나 상기도 감염**의 병력이 있습니다. - **설사:** 충수염과 달리 설사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복부 진찰:** - 충수염과 비슷한 위치에서 압통이 나타날 수 있지만, **반발통이나 심한 압통은 적습니다.** - **간비대나 비장비대**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진단적 검사:** - **WBC 상승:** 염증이 있는 경우 증가하지만, 충수염만큼 높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복부 초음파/CT:** 장간막 림프절의 비대가 확인됩니다. - **치료:** - 보존적 치료가 대부분으로, 수분 공급과 진통제, 필요시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 🔎 **진찰 및 진단 포인트** 1. **환자의 얼굴 관찰:** 진찰 시 **압통**이 나타날 때 환자가 찡그리거나 반응하는지 확인 2. **반발통 검사:** 손을 눌렀다가 갑자기 떼었을 때의 반응 3. **영상 검사와 혈액 검사:** 진단의 보조적인 역할. 두 가지 이상에서 충수염이 의심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함. 4. **식욕 저하 vs 식욕 왕성:** 충수염은 식욕이 저하되고, mesenteric lymphadenitis는 식욕이 왕성한 특징이 있음. 5. **과거력:** 감기나 바이러스 감염의 병력이 있는지 확인 (mesenteric lymphadenitis와 연관) --- 💡 **요약:** - **Appendicitis:** 식욕 감소, 변비, 반발통, McBurney's point 통증 → **수술적 절제 필요** - **Mesenteric Lymphadenitis:** 식욕 왕성, 감기 병력, 비교적 덜 심한 통증 → **보존적 치료** 충수염이 의심될 때는 신속한 진단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장간막 림프절염과의 감별이 중요합니다. 😊
378
항문을 수술하기 위해 환자가 취하는 자세는 무엇인가?
jack-knife Position
379
항문을 진찰하기 위해 대부분의 경우에서 환자가 취하는 자세는 무엇인가?
Sims position(좌측방위)
380
85세 여자가 일주일 전부터 왼쪽 아랫배가 아파서 병원에 왔다. 뇌경색과 치매로 치료 중이다. 식사를 거의 하지 못했고, 구토가 동반되었다고 한다. 2일 전부터 왼쪽 사타구니 부위가 부풀어 올랐다고 한다. (사진1) 내원 당시 촬영한 복부 X-ray 사진은 다음과 같았다. 혈압은 80/50 mmHg, 맥박수 124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8.5도였다. 치료는? 1) 냉찜질 2) 절개배농 3) 가는바늘흡인 4) 맨손위치복원 5) 응급개복수술
이 환자는 **폐쇄성 허혈성 탈장(Strangulated Obstructed Hernia)**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폐쇄성 페미날 탈장(Femoral Hernia)**의 가능성이 큽니다. 페미날 탈장은 주로 **여성, 고령, 영양 상태가 나쁜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탈장낭이 사타구니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장 폐색이나 장 괴사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 🔍 **진단 근거** 1. **증상과 신체 소견** - 왼쪽 아랫배의 통증과 구토, 식사 불능 → 장 폐색 의심 - 왼쪽 사타구니 부위의 부풀어 오름과 피부의 보라색 변색 → 탈장의 감돈과 허혈 의심 - 혈압 저하와 빈맥, 고열 → **패혈증성 쇼크**의 가능성 2. **복부 X-ray 소견** - 장 폐색의 소견이 보일 수 있음 (확장된 장 루프나 air-fluid level) --- 💊 **치료의 원칙** - **폐쇄성 허혈성 탈장**은 장의 혈류가 차단된 **응급 외과적 상태**입니다. - **복막염, 패혈증, 장 괴사**로 진행할 수 있어 **응급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따라서, 단순한 냉찜질이나 절개 배농, 가는 바늘 흡인, 수기적 복원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 🔑 **정답:** **5) 응급개복수술** **수술적 치료 방법:** - 탈장의 교정과 괴사된 장 절제 및 봉합이 필요합니다. - 만약 장 괴사가 없다면 단순한 탈장 교정 및 복벽 강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응급 개복수술이 지연되면 **괴사된 장 절제**의 범위가 커지고 **패혈증성 쇼크**로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으니, 신속한 처치가 필요합니다! 🚨
381
고혈압, 만성신부전의 과거력이 있는 52세 여자가 심장판막 수술 후 항응고제를 복용하던 중 갑작스럽게 발생한 좌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심하게 기침을 한 후 시작이 되었다고 한다. 신체 검사상 좌하복부에 압통을 동반한 단단한 종괴가 만져졌다. 이 환자의 복벽 초음파 검사 (그림)를 보고 생각할 수 있는 진단명을 기술하시오. 1) 배꼽염 (omphalitis) 2) 복벽탈장 (ventral hernia) 3) 소변 정체 (urinary retention) 4) 급성 충수염 (acute appendicitis) 5) 배곧은집 혈종 (rectus sheath hematoma)
**진단: 배곧은집 혈종 (Rectus Sheath Hematoma)** --- 🔍 **진단 근거** 1. **환자 상태 및 병력** - **고혈압, 만성신부전**으로 인해 혈관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항응고제 복용**은 출혈 위험을 높이며, 심한 기침 후 갑작스러운 통증이 시작되었으므로 출혈 가능성이 큽니다. 2. **신체 소견** - 좌하복부의 압통과 단단한 종괴는 혈종을 의심하게 합니다. 3. **초음파 소견** - 복벽 내에 저음영의 불규칙한 종괴가 보이며, 혈종의 전형적인 소견입니다. - 근육 층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면 출혈에 의한 혈종일 가능성이 큽니다. --- 🔑 **정답:** **5) 배곧은집 혈종 (Rectus Sheath Hematoma)** --- 🩺 **Rectus Sheath Hematoma의 주요 특징** - **원인:** 외상, 항응고제, 심한 기침, 복압 증가 등 - **증상:** 국소적인 통증, 종괴 형성, 압통 - **진단:** 신체검사, 복부 초음파, CT - **치료:** 안정적이면 보존적 치료(압박, 냉찜질, 중단 가능한 항응고제 중단).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382
54세 남자 환자 10년전 S 결장암으로 수술받은 과거력 외에 특이사항 없는 환자로 검진산 위 전정부위 위선암 진단을 받고 위 아전절제술 및 루와이 위 공장 문합술을 시행받았다. 환자는 수술 후 5일째 저녁부터 급성 복통 및 구토를 시작하였고 밤 사이에 수차례 분출성 구토가 있었고 노란색 액체를 토한다고 한다. 환자는 급성 병색 소견을 보였다. 응급으로 촬영한 복부 영상은 그림과 같다. Vital sign: BP 120/55, PR 120/min, RR 20회, BT 36.0도 혈액검사 WBC 4100/ul, BUN 12.5 mg/dL, creatinine 1.01 mg/dL, GOT 30 U/L, GPT 199 U/L, Total Bilirubin 0.7mg/dL, CRP 5.2 mg/dL 필요한 조치는 무엇인가? 1) 관장 2) 응급 개복 수술 3) 항생제 및 수액 치료 4) 항구토제 투여 5) 조영제를 먹고 막힌 부위를 확인하는 위장관 조영술 촬영
**진단: 수술 후 장폐색 (Postoperative Ileus) 또는 문합부 협착 (Anastomotic Stricture)** --- 🔍 **진단 근거** 1. **병력 및 증상** - S결장암 수술 및 위아전절제술 후 상태로 장유착이나 문합부 협착 가능성 있음. - 급성 복통과 분출성 구토는 장폐색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 노란색 액체 구토는 소장 내의 위액 정체를 의미합니다. 2. **영상 소견** - X-ray와 CT에서 확장된 장의 모습이 보이며, 이는 장폐색을 시사합니다. - 기계적 장폐색이 의심되므로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3. **Vital Sign** - 맥박수가 상승한 것은 통증과 체액 불균형에 의한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혈압은 안정적이나, 병색이 급성이므로 신속한 처치가 필요합니다. --- 🔑 **정답:** **2) 응급 개복 수술** --- **수술적 개입이 필요한 이유** - 분출성 구토와 장폐색이 명확할 경우 비수술적 처치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장천공이나 괴사를 예방하기 위해 **응급 개복 수술**이 필요합니다. - 단순한 수액 치료나 항구토제로는 해결되지 않으며, 조영제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보다는 즉각적인 수술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 **수술적 처치 고려사항** 1. 장유착으로 인한 기계적 폐색일 경우 **유착박리술**을 시행합니다. 2. 문합부 협착의 경우 협착 부위 절제와 재문합을 고려합니다. 3. 폐색 부위에 괴사가 있다면 손상된 장을 절제합니다.
383
복통 환자에 대한 문진 및 복부 진찰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복통의 위치 및 통증의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2) 시진 – 촉진 – 청진 - 타진의 순서로 진찰해야 한다. 3) 복통의 양상이 주기적인지, 간격은 어떤지 확인해야 한다. 4) 환자의 과거력, 복용 약물, 수술력 등의 병력 청취가 중요하다. 5) 급성 심근경색이나 일부 대사질환 등 복부 장기 이외의 원인으로도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
2번
384
항문진찰을 위한 자세 둥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위는? 1) Sims position 2) jack-knife position 3) chest-knee position 4) semi-fowler position 5) Trendelenburg position
1번
385
37세 남자 환자가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 차에 치여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복부 CT에서 간열상 및 혈복강 소견이 관찰되었고 복부 검진에서 복막자극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생체징후는 안정적이었고 혈색소는 11.8g/dL로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보전적 처치를 하기로 하였다. 환자는 내원 2일 후 38도의 고열과 복부 전체의 압통 및 반발통이 발생하였고 혈색소는 10.5g/dL이었다. 흉부 x-ray 소견은 다음과 같았다. 이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를 고르시오. 1. 복통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한다. 2. 세침 흡인으로 간열상에 의한 혈복강을 배액한다. 3. 장천공에 의한 복막염이 의심되므로 즉시 개복한다. 4. 고열이 발생하였으므로 항생제 종류를 변경하여 투여한다. 5. 혈색소가 감소하였으므로 지혈을 위해 간동맥 색전술을 실시한다
1. 복통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한다. - **진통제 투여는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 환자에게서는 복통의 원인이 심각한 복막염(장천공에 의한 복막염)이므로 단순히 진통제 투여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복막염의 경우 응급 수술이 필요**하며, 진통제 투여는 통증을 일시적으로 완화할 수 있지만 장천공과 복막염의 진행을 막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는 적절한 치료 방법이 아닙니다. 2. 세침 흡인으로 간열상에 의한 혈복강을 배액한다. - 간열상에 의한 혈복강이 발견되었지만, **이 환자는 복막자극 증상이 없고 생체징후도 안정적**입니다. 복강 내 출혈이 있다고 해도 현재 상태로는 혈액의 배액을 목적으로 세침 흡인을 하는 것보다는 **보존적 치료와 관찰**이 우선입니다. 또한, **혈복강을 배액하는 것보다는 출혈의 원인과 복막염의 예방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이 방법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3. 장천공에 의한 복막염이 의심되므로 즉시 개복한다. - **정답입니다.** 이 환자는 **Pneumoperitonium** (복강 내 공기) 소견을 보였으며, 이는 **장천공을 의미**합니다. 장천공이 발생하면 복막염이 진행되어 **감염과 염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즉시 개복하여 장천공을 봉합하고 복막염을 치료**해야 합니다. 이는 응급처치로 매우 중요한 결정입니다. 4. 고열이 발생하였으므로 항생제 종류를 변경하여 투여한다. - 고열이 발생한 것은 **복막염이나 감염**이 의심되는 신호일 수 있지만, 단순히 항생제의 변경만으로는 복막염을 해결할 수 없습니다. **항생제는 감염을 억제할 수 있지만, 장천공이 생긴 경우에는 수술이 우선**입니다. **복막염이 의심되면 즉시 수술을 통해 장천공을 치료**하고, 이후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항생제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5. 혈색소가 감소하였으므로 지혈을 위해 간동맥 색전술을 실시한다. - **혈색소의 감소**는 출혈의 징후일 수 있지만, 현재 복부에 발생한 문제는 **장천공으로 인한 복막염**입니다. 간동맥 색전술은 간에서 출혈이 발생했을 때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장천공과 복막염**은 이와 무관합니다. 또한 **출혈이 복부 내 다른 부위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은 낮으며**, 복막염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이므로 지혈을 위한 간동맥 색전술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결론 따라서 **3번이 가장 적절한 치료법**입니다. 장천공이 의심되며 복막염이 진행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즉시 **수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386
다음은 복통 환자에 대한 진단적 접근을 설명한 것이다. 다음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1. 혈액검사에서 백혈구증다증이 보이지 않으면 급성충수돌기염의 진단을 배제할 수 있다. 2. 열(fever)이 관찰되면 응급수술이 필요하다. 3. 복통 환자에서 오진을 피하기 위해 진통제를 처방해서는 안된다. 4. 복통의 원인이 노인 환자보다 젊은 환자에서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더 많다. 5. 복통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복통의 변화 양상이 통증의 위치보다 더 중요하다.
답: 5번 4번이 아닌 이유: 노인에서가 젊은 사람보다 두 배 더 많다고 합니다. <아래는 Chat GPT 설명> 복통 환자에 대한 진단적 접근을 설명한 각 선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혈액검사에서 백혈구증다증이 보이지 않으면 급성충수돌기염의 진단을 배제할 수 있다. - **틀렸습니다.** 급성충수돌기염은 **백혈구증다증이 있을 수 있지만**, 항상 백혈구 수치가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백혈구 수치가 정상이라도 급성충수돌기염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혈구증다증이 없다고 해서 급성충수돌기염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2. 열(fever)이 관찰되면 응급수술이 필요하다. - **틀렸습니다.** 열(fever)은 복통을 유발하는 여러 가지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응급수술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급성충수돌기염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지만, 열만으로는 반드시 응급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수술이 필요한지 여부는 임상적 판단과 다른 진단적 소견에 따라 결정**됩니다. 3. 복통 환자에서 오진을 피하기 위해 진통제를 처방해서는 안된다. - **틀렸습니다.** 진통제를 처방하는 것이 오진을 유발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복통 환자에게 진통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은 **진단을 방해하지 않고 환자의 불편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진통제를 사용한다고 해서 반드시 진단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은 아니며, **진단적 검사**와 **정확한 병력 청취**가 중요합니다. 4. 복통의 원인이 노인 환자보다 젊은 환자에서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더 많다. - **맞습니다.** 젊은 환자에서 복통의 원인 중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예를 들어, **급성충수돌기염**, **담석증**, **소장폐색** 등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원인들이 많습니다. 반면, **노인 환자**에서는 복통의 원인으로 **내과적 질환**(예: 심혈관 질환, 소화기계 질환)이 더 흔하게 나타나며, 외과적 치료가 덜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복통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복통의 변화 양상이 통증의 위치보다 더 중요하다. - **맞습니다.** 복통의 평가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와 양상**은 진단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급성충수돌기염**에서는 **통증이 초기에는 상복부에서 시작해 점차 오른쪽 하복부로 이동**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통증의 위치도 중요하지만**, 변화 양상도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결론 **정답은 4번과 5번**입니다: - **4. 복통의 원인이 노인 환자보다 젊은 환자에서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더 많다.** - **5. 복통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복통의 변화 양상이 통증의 위치보다 더 중요하다.**
387
57세 남성이 2일전부터 발생한 상복부 통증으로 방문하였다. 복부 청진에서 장음이 다소 감소되어 있었고, 숨을 들이쉴 때 우상복부를 촉진했을 때 숨을 멈추며 비명을 지르면서 통증을 호소하였다. 생징후는 혈압 110/70mmHg, 맥박 95/분, 체온 38.6도, 호흡수 25/분 이었다. 가장 필요한 검사 한 가지는? 1. 소변검사 2. 혈액배양검사 3. 복수천자 4.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 5. 복부 초음파 검사
이 환자는 57세 남성으로, **상복부 통증**과 **우상복부 촉진 시 통증**이 발생했으며, **고열(38.6도)**과 **장음 감소**(급성 담낭염에 의한 복막 자극으로 인해 장운동이 둔화되거나 저하되어 장음 감소가 관측될 수 있습니다)가 관찰되었습니다. **숨을 들이쉴 때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은 **급성 담낭염**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명을 지르며 숨을 멈추는 반응**은 **헬리히 징후 (Murphy's sign)**가 양성임을 나타냅니다. 헬리히 징후는 **급성 담낭염**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징후입니다. 가장 필요한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는 **담낭염**을 포함한 **담석증** 등 **담낭과 관련된 질환을 평가**하는 데 가장 유용한 검사입니다. **복부 초음파**는 **담낭에 염증, 담석, 담즙의 응집** 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각 선지에 대한 설명: 1. **소변검사**: 소변검사는 주로 **신장 질환**이나 **배뇨 증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환자의 증상은 상복부와 관련되어 있으며, 담낭과 관련된 질환을 평가하는 것이 우선이므로 소변검사는 이 경우 주요한 검사가 아닙니다. 2. **혈액배양검사**: 고열과 함께 감염이 의심되므로 **혈액배양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 환자의 주요 증상은 담낭염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므로 **초음파를 먼저 시행**하는 것이 더 우선입니다. 3. **복수천자**: 복수천자는 **복부에 부종이나 복수**가 있는 경우에 시행됩니다. 환자의 증상은 복수보다는 **담낭 질환**과 관련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이므로 복수천자는 이 경우 적합하지 않습니다. 4.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 상부위장관내시경은 **위장관 질환**을 평가하는 검사로, 환자의 증상은 담낭에 관련된 질환이 의심되므로 내시경은 이 경우 가장 필요한 검사가 아닙니다. 5. **복부 초음파 검사**: **담낭염**, **담석증** 등 **복부 질환**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며, **헬리히 징후**가 양성인 경우 담낭염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복부 초음파**가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결론: **정답은 5. 복부 초음파 검사**입니다.
388
42세 여성이 어젯밤부터 발생한 복통으로 방문하였다. 복통은 쥐어짜는 듯이 간헐적으로 아팠고 묽은 변을 아침에 두 번 보았으며 발열 등은 없었다. 신체 검사에서 침대에 누웠을 때 안절부절 못하였고, 아픈 부위가 어디냐고 물어도 잘 구분하지 못하였다. 장음은 항진되어 활발하게 들렸고 장음이 클 때 통증도 더 호소했다. 타진에서 가스 맹만음을 거의 없었고 촉진에서 하복부 전반에 걸쳐 압통을 호소하였으나 반발통은 없었다. 가능한 진단은? 1. 급성 충수 돌기염 2. 급성 담낭염 3. 십이지장 궤양 천공 4. 급성 장염 5. 장폐쇄증
이 환자의 증상은 **간헐적인 복통**, **묽은 변**, **발열 없음**, **활발한 장음** 등으로 나타납니다. **하복부 전반에 걸친 압통**, **반발통 없음**과 같은 소견도 중요한 단서입니다. 각 진단을 살펴보겠습니다: 1. **급성 충수 돌기염**: - 급성 충수돌기염의 통증은 일반적으로 **오른쪽 하복부에 집중**되며, 초기에 상복부나 중앙 복부에서 시작하여 나중에 오른쪽 하복부로 이동합니다. 또한, **반발통**과 **복막 자극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환자는 **하복부 전반에 걸친 압통**과 **반발통 없음**이 있기 때문에 급성 충수돌기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2. **급성 담낭염**: - 급성 담낭염은 **우상복부 통증**, **발열**, **오심 및 구토**와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환자는 **우상복부의 통증**이나 **담낭염에 흔한 증상**이 없으며, **발열이 없다**는 점에서 급성 담낭염은 가능성이 적습니다. 3. **십이지장 궤양 천공**: - 십이지장 궤양 천공은 **급격하고 극심한 복통**과 함께 **반발통**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가스 맹만음**이 있을 수 있으며, **묽은 변**과는 관계가 적습니다. 이 환자는 **반발통이 없고** 급성 복막염의 징후가 없으므로 십이지장 궤양 천공 가능성은 낮습니다. 4. **급성 장염**: - 급성 장염은 **묽은 변**과 **복통**이 특징적입니다. 이 환자는 **간헐적인 복통**과 **묽은 변**을 보였으며, **발열이 없고 장음이 항진된** 점이 급성 장염과 일치합니다. 또한 **하복부 전반에 걸친 압통**과 **반발통 없음**도 장염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에서 **급성 장염**이 가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장폐쇄증**: - 장폐쇄증은 보통 **심한 복통**, **구토**, **복부 팽만**을 동반하며, **타진에서 가스 맹만음**이 관찰됩니다. 또한 **장음이 감소**하거나 **복부 팽만**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이 환자의 증상과는 맞지 않습니다. 결론: **정답은 4. 급성 장염**입니다. 급성 장염은 **간헐적인 복통**, **묽은 변**, **장음이 항진된** 소견이 있으며, **발열이 없고 반발통이 없으므로** 가장 가능성이 큽니다.
389
화상의 정도를 구분하는 4 단계 중 First Degree의 피부 침입 정도, 특징, 치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390
화상의 정도를 구분하는 4 단계 중 Superficial Second Degree의 피부 침입 정도, 특징, 치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391
화상의 정도를 구분하는 4 단계 중 Deep Second Degree의 피부 침입 정도, 특징, 치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392
화상의 정도를 구분하는 4 단계 중 Third Degree의 피부 침입 정도, 특징, 치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393
화상의 정도를 구분하는 4 단계 중 Fourth Degree의 피부 침입 정도, 특징, 치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394
Burn Size를 평가할 때 성인에게 사용하는 Rule of Nine에 대해 설명하시오.
머리 9% 목 1% 상지 한 쪽 씩 9% 하시 한 쪽 씩 18% 몸통 전면 18% 몸통 후면 18% 로 총 100%이다.
395
화상 전문 병원에서 치료 받아야하는 수준의 화상을 8 가지 말하자면 무엇인가?
1. 전체 체표면적(TBS)의 10% 이상 침범하는 2도 화상 2. 얼굴, 손, 발, 성기, 회음부, 주요 관절부위 피부 3. 3도 이상 화상 4. 전기화상(electrical burns) 5. 화학화상(chemical burns) 6. 흡입화상(inhalation burns) 7. 내과적 질환이 동반된 경우 8. 골절이나 다른 trauma가 동반된 화상
396
화상 환자를 초기 평가(Initial Assessment) 할 때 응급환자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화상 환자에 대한 **초기 평가**는 응급상황에서 환자의 **생명 유지**와 **심각한 손상의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화상 환자의 **ABC**(airway, breathing, circulation) 평가를 통해 **호흡, 순환, 기도 유지** 상태를 신속하게 점검하고, 필요한 처치를 즉시 시행해야 합니다. 각 항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Airway (기도 확인)** **기도 확인**은 생명유지에 가장 중요한 첫 단계입니다. 화상 환자에서 **기도 손상**을 의심할 때는 즉시 **기도 확보**가 필요합니다. 기도 손상이 있을 경우,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기도 손상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 - **얼굴 화상**: 얼굴에 화상이 있으면, **기도가 화상으로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입과 코** 주변의 화상은 기도 손상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 **그을린 콧털**: 코나 얼굴에서 **그을린 콧털**이 보이면 **흡입 화상**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흡입 화상은 기도 내 염증, 부종, 기도 폐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객담에 까만 물질**: 기도 내에 **그을음이나 까만 물질**이 있는 경우, **연기**나 **유해 가스**를 흡입한 흔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기도 손상 또는 **흡입 손상**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 **호흡곤란**: 호흡이 어려운 경우는 기도에 **부종**이나 **폐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즉시 기도를 확보하고, 필요한 처치를 시작해야 합니다. 환자의 **쉰 목소리**: - 화상 환자가 **쉰 목소리**를 내면, 기도의 **상부 (후두 및 기관)**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기도가 **부풀어 오르거나 좁아져** 기도가 폐쇄될 위험이 높습니다. 이러한 경우 **기도 확보가 필요**하며, **기도 삽관 (endotracheal intubation)**을 통해 기도를 확보해야 합니다. 2. **Breathing (호흡 평가)** 화상 환자에서 **호흡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호흡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호흡 평가 항목: - **Chest expansion (흉부 확장)**: 흉부가 **규칙적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즉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흉부가 정상적으로 확장되지 않거나 **호흡이 어려운 경우**에는 **폐손상**, **기흉**, **기타 흉부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호흡음**: 흉부 청진을 통해 **호흡음**을 확인합니다. 흡입과 내쉬는 호흡 소리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호흡기 손상이나 **폐의 부종**이 있을 수 있습니다. - **CO2 return (이산화탄소 회수)**: **호흡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CO2)** 회수 상태를 점검합니다. 만약 CO2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으면, 호흡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는 **호흡기 문제**나 **폐손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Circulation (순환 평가)** 순환 상태는 환자의 **혈류**와 **혈액량**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화상 환자에서는 **탈수**, **출혈**, **심박수 증가** 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순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필요한 처치를 해야 합니다. 순환 평가 항목: - **Pulse (맥박)**: 맥박이 **규칙적이고 강한지**, **맥박이 약한지** 확인합니다. 맥박이 약하거나 빠르면 **출혈** 또는 **체액 부족** (탈수)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Doppler signal (도플러 신호)**: **도플러 신호**를 통해 말초 신체 부위, 특히 **말초 동맥**에 대한 **혈류 신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순환 상태**가 잘 유지되고 있는지, **혈액 공급**이 정상인지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말초 신호가 없으면 **순환 부전**이나 **출혈**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화상 환자에 대한 초기 평가는 **기본적인 생명 유지 기능**을 확보하는 과정입니다. **ABC**(Airway, Breathing, Circulation)를 평가하여, 환자의 **기타 합병증**을 미리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화상 환자에서는 **기도 손상**, **호흡기 문제**, **순환 부전** 등이 빠르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초기에 평가하고 즉시 대응하는 것이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397
화상 환자에게 수액 처치(Fluid Management)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Parkland Formula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때 투여하는 수액의 종류는 무엇인가?
첫 24시간 동안은 환자의 몸무게 * 화상 부위의 면적 * 4mL로 계산한 것이 총 수액량이며, 그 중 50%를 첫 8시간 내에 실시해야한다. 가장 자주 사용하는 수액은 Lactated Ringer's Solution without Dextrose이다.
398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399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400
심각한 화상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혈류차단과 압력 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적 처치는 무엇인가?
**Escharotomies**와 **Fasciotomies**는 심각한 화상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혈류 차단**과 **압력 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시행되는 **수술적 처치**입니다. 화상으로 인해 **조직의 손상**이나 **부종**이 발생하면, **혈류 순환**이나 **조직의 산소 공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때 **Escharotomy**와 **Fasciotomy**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Escharotomy (에스카로토미)** **Escharotomy**는 **화상으로 인한 딱딱한 각질층(Eschar)**이 **혈류 차단**을 일으킬 때, **각질층을 절개**하여 **혈류 및 산소 공급을 개선**하는 절차입니다. **Eschar**는 화상 부위가 **딱딱하고 두꺼워지며** (불에 탄 부위) 피부가 **수축**하여 혈액 순환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절개하여 부종이나 압력을 완화시키는 것이 **Escharotomy**의 목적입니다. **Escharotomy의 적응증:** - **심각한 화상**으로 인해 **수축된 피부**가 **혈관을 압박**하고 **혈액 순환을 차단**하는 경우. - **피부나 근육에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말단조직의 괴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 - **호흡 문제**나 **순환 장애**를 유발하는 **흉부 화상**이나 **사지 화상**에서 필요합니다. **Escharotomy 수행 방법:** - **상처 부위**나 **화상 부위**에 수직으로 절개를 가하여, **피부가 수축**된 부분을 풀어줍니다. - **흉부 화상**의 경우, **흉곽에 대한 절개**를 통해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사지 화상**에서는 **사지의 각질층**을 절개하여 **혈류 차단**을 풀어줍니다. 2. **Fasciotomy (파시오토미)** **Fasciotomy**는 **근막(fascia)**에 대한 절개로, **압력 증가**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근막을 절개**하여 압력을 해소하는 수술입니다. 화상에 의한 **심한 부종**이나 **근육 조직의 부풀어 오름**은 **근막** 내에 압력을 증가시켜 **혈류와 산소 공급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Fasciotomy**는 이런 경우에 압력을 완화시켜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asciotomy의 적응증:** - **심각한 부종**이나 **근육의 과도한 부풀어 오름**으로 인해 **근막 내 압력 증가**가 **혈류를 차단**할 수 있는 상황에서 필요합니다. - **화상**으로 인해 **근육 부종**이나 **혈관 압박**이 발생할 때, **근막 내 압력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수술 후 6시간 이상** 압박이 지속될 경우 **근육 손상**이나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Fasciotomy**를 시행합니다. **Fasciotomy 수행 방법:** - **근막 절개**를 통해 **근육 내 압력**을 해소하고, **혈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듭니다. - **다리나 팔**의 **근육**이 부풀어 오르면 해당 부위를 절개하여 **압력 해소**를 시킵니다. **Escharotomy와 Fasciotomy의 차이점** | 항목 | **Escharotomy** | **Fasciotomy** | |-------------------|----------------------------------------|---------------------------------------| | **목적** | **화상으로 인한 피부의 수축**과 **혈류 차단**을 해소 | **근막 내 압력 증가**로 인한 **혈류 차단**을 해소 | | **대상 조직** | 피부의 **Eschar** | **근막 (fascia)** | | **적응증** | 화상으로 인한 피부 수축 및 혈류 차단 | 부종으로 인한 근막 내 압력 증가 및 혈류 차단 | | **절개 위치** | 피부와 각질층 (Eschar) | 근막 (fascia) | | **예시** | **흉부 화상**에서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개 | **사지 화상**에서 근육의 부풀어 오름에 대한 절개 | **Escharotomy와 Fasciotomy의 중요성** 화상 환자에서 **Escharotomy**와 **Fasciotomy**는 **혈류 차단**, **부종**, **압력 증가**를 해소하여, **조직의 괴사**를 예방하고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혈류가 회복**되고 **조직에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면,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회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Escharotomy**는 **화상 후 피부의 수축**을 완화하고, **호흡과 순환을 개선**합니다. - **Fasciotomy**는 **근막 내 압력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근육 손상**과 **신경 손상**을 예방합니다. 따라서 두 수술은 **화상 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생명**과 **기능 회복**을 돕는 중요한 처치 방법입니다.
401
Melanoma의 역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남성에게서 호발하며, 주로 백인에게서 발생한다.
402
Melanoma와 Benigh nevus를 초기에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이때 Melanoma를 감별해낼 수 있는 특징에는 무엇이 있는가?
ABCDE's
403
Melanoma의 예후가 좋을 것으로 예측되는 특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두꺼운 것보단 얇은 것, 종양이 없는 것, mitotic<1mm^2인 것, 젋은 사람, 사지말단, 여성에서 예후가 좋고, 반대일 수록 예후가 좋지 않음
404
흑색종을 Surgical하게 management할 때 가장 특징적인 것은?
wide excision: 넓게, 주변에 있는 정상 조직도 같이 제거하여 safety margin을 확보한다.
405
Sentinal Lymph node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Sentinel Lymph Node (SLN)**는 **주변 림프절 중에서 가장 먼저 암세포가 전이되는 림프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암 세포는 **림프계를 통해 전이**되는데, **Sentinel Lymph Node**는 해당 암이 **림프절로 전이되기 전에 첫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림프절**이기 때문에, 이 림프절을 확인함으로써 **암의 전이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Sentinel Lymph Node의 중요성** 1. **암 전이의 중요한 지표**: - Sentinel Lymph Node는 **암이 주변 림프절로 전이되는 첫 번째 지점**이기 때문에, 이를 검사하면 **림프절 전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이 림프절에 **암 세포가 발견되지 않으면** 나머지 림프절에 전이가 없을 가능성이 크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림프절 제거 수술**을 피할 수 있습니다. 2. **림프절 절제 수술의 감소**: - Sentinel Lymph Node를 평가함으로써 **전이가 없는 경우** 나머지 림프절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필요한 림프절 절제 수술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이를 통해 **환자의 수술 후 합병증**이나 **불필요한 림프절 제거**를 피할 수 있으며,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정상 림프 순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Sentinel Lymph Node Mapping (SLN 맵핑)** **SLN 맵핑**은 **Sentinel Lymph Node**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보통 **방사선 동위원소**(radioactive tracer)나 **염료**(blue dye)를 사용하여 **Sentinel Lymph Node**를 추적합니다. **과정**: 1. **방사선 동위원소**나 **염료**를 종양 주변에 주입합니다. 2. 이 물질이 **림프계를 따라 이동**하면서 **Sentinel Lymph Node**로 향하게 되며, 이를 **핸드헬드 기계나 특별한 기기**를 사용해 추적합니다. 3. 이후 **Sentinel Lymph Node**를 찾아 **생검**하여 암세포가 있는지 검사합니다. **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 생검)** **SLN 생검**은 **Sentinel Lymph Node**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암세포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주로 유방암, 피부암(흑색종)**, **자궁경부암** 등에서 흔히 시행됩니다. SLN 생검을 통해 암의 전이가 **전신으로 퍼지지 않았음을 확인**하거나, 전이 여부에 따라 **추가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Sentinel Lymph Node의 위치** Sentinel Lymph Node는 암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 **유방암**에서는 **겨드랑이 림프절**이 Sentinel Lymph Node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흑색종(피부암)**에서는 **주변 림프절**이 Sentinel Lymph Node가 될 수 있습니다. - **자궁경부암**에서는 **골반 림프절**이 Sentinel Lymph Node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Sentinel Lymph Node의 역할 요약** - **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 - **불필요한 림프절 절제 수술**을 피할 수 있게 해줌. - **전이가 없는 경우** 예후가 좋다는 신호일 수 있음. **Sentinel Lymph Node**는 암의 전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수술만을 시행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암 치료의 정확성**과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406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답: 2 풀이: epidermis 만 침범한 화상이므로, 위 사진은 1도 화상을 나타냅니다. 1.물집은 2도 화상중 superficial한 것 2.국소적 완화용법으로 치료합니다. 3.epidermis + dermis는 2도 화상입니다. 4.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은 2도 화상중 Deep한 것 5.hair follicle & sweat galnd에서 재생이 일어나는 것은 2도 화상중 Deep한 것
407
39.Sentinel lymph node(SNL) biopsy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LN는 종양으로부터 구역림프절에 첫 번째로 유입된 림프절로 정의한다. 2. SLN는 구역림프절 전이 상태를 대표한다. 3. Vital dye를 종양 주위 혈관에 주입하여 operation field에서 염색된 SLN를 찾을 수 있다. 4. Radioactive substance를 이용하는 경우 수술 전 lymphoscintigraphy를 찍어서 SLN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5. SLN에 전이 소견이 없을 경우 더 이상의 lymph node dissection은 필요없다.
해설: **1. SLN은 종양으로부터 구역 림프절에 첫 번째로 유입된 림프절로 정의한다.** - **맞습니다.** - **SLN**은 종양에서 발생한 암세포가 **첫 번째로 전이되는 림프절**로 정의됩니다. 이 림프절은 구역 림프절 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LN을 통해 암세포의 전이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SLN은 구역 림프절 전이 상태를 대표한다.** - **맞습니다.** - SLN은 **암세포가 가장 먼저 전이되는 림프절**로, 이 림프절에서 전이가 없으면 다른 림프절로의 전이 가능성도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SLN에 전이가 없으면 전신 림프절 전이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3. Vital dye를 종양 주위 혈관에 주입하여 operation field에서 염색된 SLN을 찾을 수 있다.** - **틀립니다.** - **Vital dye**는 **종양 주위의 혈관에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종양 주변의 림프관에 주입**하여 림프관을 타고 **SLN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염색된 SLN**을 수술 중에 확인하여 **SLN 생검**을 진행합니다. 혈관에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림프관에 주입**하여 SLN을 추적하는 것이 정확한 방법입니다. **4. Radioactive substance를 이용하는 경우 수술 전 lymphoscintigraphy를 찍어서 SLN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맞습니다.** - **Radioactive substance**를 사용하여 **Lymphoscintigraphy**라는 검사 방법을 통해 수술 전 SLN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SLN의 위치를 미리 확인하여 수술 중에 SLN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5. SLN에 전이 소견이 없을 경우 더 이상의 lymph node dissection은 필요 없다.** - **맞습니다.** - SLN에 **전이 소견이 없다면**, 추가적인 **림프절 절제**가 필요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SLN에 전이가 없다면 구역 림프절에 대한 추가적인 절제는 불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암의 종류나 병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추가 림프절 절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SLN에 전이가 없다면 **대부분의 경우 추가 절제가 필요 없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결론:** **틀린 설명은 3번**입니다. - 3번의 설명에서 **"Vital dye를 종양 주위 혈관에 주입"**이라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 **Vital dye는 혈관이 아닌 림프관에 주입**하여 SLN을 추적합니다.
408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답 : 4번 해설 : 감시림프절 생검술 (Sentinel Lymph Node Biopsy)에 관한 문제입니다. 사진은 Step 1에서 preoperative lymphoscintigraphy입니다.SLN 전이 양성일 때만 림프절 청소술을 시행합니다. 전이 소견이 없다면 따로 림프절을 제거 하지는않습니다. 나머지는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409
화상을 입었을 때 매우 급박한 처치가 필요한 상황을 다음 보기 중 고르시오 1) 손, 발, 성기, 회음부, 주요관절에 손상을 입었을 경우 2) 환자의 목소리가 급격하게 쉰소리로 바뀌는 경우 3) 신체 진찰 시 사지 말단에서 맥박이 느껴지지 않은 경우 4) 골절이 동반된 화상의 경우 5) 화상 부위의 신경 노출로 통증이 심한 경우
화상을 입었을 때 **매우 급박한 처치가 필요한 상황**은 **2번**입니다. **2) 환자의 목소리가 급격하게 쉰소리로 바뀌는 경우** - **맞습니다.** 화상 환자에서 목소리가 **급격히 쉰소리로 바뀌는 경우**는 **기도가 부종이나 화상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막힐 위험이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기도 폐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기도 확보 및 산소 공급**이 필요합니다. - **목소리의 변화**는 **기도가 붓거나 손상**되어 **호흡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신호**이므로, **긴급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각 보기의 해설: 1) **손, 발, 성기, 회음부, 주요관절에 손상을 입었을 경우** - **급박한 상황**일 수 있지만, 이 자체가 반드시 **긴급한 기도 확보**나 **순환에 위협을 줄 정도의 급박한 상태**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부위들은 **기능적, 심미적 중요성**이 크기 때문에 **빠른 처치가 필요**합니다. 2) **환자의 목소리가 급격하게 쉰소리로 바뀌는 경우** - **정답**입니다. **기도 부종**이나 **화상으로 인한 기도 폐쇄**를 의미할 수 있어 **매우 급박한 처치가 필요**합니다. 3) **신체 진찰 시 사지 말단에서 맥박이 느껴지지 않은 경우** - **급박한 상황**일 수 있으나, 이는 **순환 문제**를 의심할 수 있으며, **출혈**이나 **심각한 저혈압**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화상과 관계 없이 다른 급박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골절이 동반된 화상의 경우** - 골절이 **동반된 화상**은 **급박한 치료**를 요구할 수 있지만, **골절 부위 고정 및 통증 관리**가 중요하므로 기도 확보나 호흡에 직결된 **긴급 처치**는 아닙니다. 5) **화상 부위의 신경 노출로 통증이 심한 경우** - **통증 관리**가 필요하지만, 이는 **응급 치료**에 있어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신경 노출이나 심한 통증은 **진통제 및 신경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 화상에서 **매우 급박한 처치**가 필요한 상황은 **2번**입니다. **쉰 목소리**는 **기도 부종**이나 **기도 폐쇄**의 위험을 나타내므로 **즉각적인 기도 확보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410
50세 여자가 주방에서 일하던 중 뜨거운 물을 쏟아 화상을 입고 응급실로 후송되었고, 진찰시에 왼쪽팔 전체와 왼쪽 다리 앞면에 3도 화상을 입은 소견이 보였다. 환자의 신장은160 cm 체중은 60kg 일때 parkland 공식에 의해 첫 8시간 동안 투여해야 할 lactated ringer’s solution의 양은?
답: 2160ml Parkland’s공식 : 4ml/kg *화상입은 총 체표면적 * 환자의 몸무게 왼쪽팔 전체 (9%)+왼쪽다리 앞면(18/2=9%) = 18% 4 x 18 x 60 =4320하루에 투여해야 할 총 수액양 -> 4320 ml 첫 8시간동안은 하루에 넣을 양의 반을 한번에 넣어준다고 했죠-> 2160ml입니다
411
55세 여자가 우측 흉벽에 생긴 흑색종으로 수술을 받을 예정이다. 수술 날 다음 사진과 같은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다음 중 이 사진과 관련된 검사 및 술기에 대한 내용 중 맞는 것을 고르시오. 1. 흑색종 병변 중 원발부위의 절제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다. 2. 이 방법을 통해 구역림프절의 전이 상태를 대표하는 림프절을 찾을 수 있다. 3. 겨드랑이 림프절 외에 다른 구역 림프절의 적용에는 제한이 되는 단점이 있다. 4. 흉부 CT 및 초음파에서 흑색종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림프절에 전이 소견 보였을 때 이 검사 및 술기를 적용할 수 있다. 5.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vital blue dye를 이용하거나 또는 겨드랑이에 만져지는 림프절을 찾아 시행할 수 있다
**정답: 2번**입니다. 해설: **SLN Mapping**(Sentinel Lymph Node Mapping)은 **원발성 종양에서 가장 먼저 전이가 일어나는 림프절(Sentinel Lymph Node, SLN)**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해당 림프절이 **구역 림프절 전이 상태를 대표**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 선지에 대한 해설: 1. **흑색종 병변 중 원발부위의 절제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다.** - **틀림.** - SLN mapping은 **원발 부위의 절제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림프절 전이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는 **원발 부위의 절제 범위**와는 다른 목적을 가집니다. 2. **이 방법을 통해 구역림프절의 전이 상태를 대표하는 림프절을 찾을 수 있다.** - **맞습니다.** - SLN mapping은 **가장 먼저 전이가 일어나는 림프절**을 확인하여, 그 림프절의 전이 상태를 검사합니다. 이를 통해 **구역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SLN이 전이가 없으면 다른 림프절 전이 가능성도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겨드랑이 림프절 외에 다른 구역 림프절의 적용에는 제한이 되는 단점이 있다.** - **틀림.** - SLN mapping은 **겨드랑이 림프절**뿐만 아니라 다른 **구역 림프절**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방암**에서는 겨드랑이 림프절에 주로 적용되지만, **다른 부위의 암**에서도 SLN mapping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흉부 CT 및 초음파에서 흑색종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림프절에 전이 소견 보였을 때 이 검사 및 술기를 적용할 수 있다.** - **틀림.** - SLN mapping은 **전이된 림프절**을 찾는 것이 아니라, **전이가 첫 번째로 발생할 림프절(SLN)**을 찾기 위한 검사입니다. **전이된 림프절**이 이미 있는 상태에서는 SLN mapping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어렵습니다. 5.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vital blue dye를 이용하거나 또는 겨드랑이에 만져지는 림프절을 찾아 시행할 수 있다.** - **맞습니다.** -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vital blue dye**를 이용하여 **SLN을 염색**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겨드랑이에 만져지는 림프절**을 찾을 수 있으면 해당 림프절을 대상으로 SLN 생검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결론: - **2번**이 **맞는 답**입니다. SLN mapping은 **구역 림프절 전이 상태를 대표하는 림프절을 찾는 검사**로, 주로 **암의 전이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412
35세 남자가 왼쪽다리 전체, 몸통 앞면에 3도 화상을 입고 내원하였다. 환자의 키는 180cm, 체중은 70kg 일때 parkland 공식에 의해 첫 8시간 동안 투여해야 할 Lactated ringer’s solution의 양은?
Parkland’s공식 : 4ml/kg *화상입은 총 체표면적 * 환자의 몸무게왼쪽다리(18%)+몸통 앞면(18%) = 36% 하루에 투여해야 할 총 수액양 -> 10080ml 이때 첫 8시간은 총 수액양의 절반을 투여해야 하므로 답은 5040ml
413
50대 남성의 등에 모반이 있을 때 흑색종의 감별을 위해 확인해 보아야 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 은? 1.병변의 경계 2.병변의 크기 3.병변의 색상 4.병변의 위치 5.병변의 대칭성진단
(ABCDE) (양성 nevus와 early melanoma는 구별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i. Asymmetry(병변자체가 색상의 진함 등등이 대칭적이지 않고 한쪽으로 쏠린 걸 말합니다) ii. irregular border(경계가 말끔하지 않고 울퉁불퉁한경우 입니다) iii. variable color iv. Diameter greater than 6mm v. Evolution or chage over time(시간이 지날수록 커짐- bleeding이 생길수도 있음) 답 4번, 멜라노마 진단 ABCDE중에 위치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414
흑색종으로 의심되는 병변의 조직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병변의 위치 2. 병변의 경계 3. 병변의 색상 4. 병변의 크기 5. 병변의 대칭성
1번
415
superficial skin lesion중 흑색종을 조기 발견할수 있는 임상양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Asymmetrical outline 2.border irregularity 3.uneven and dark color 4.greater diameter 5.change in consistency (soft & friability)
**정답: 5번**입니다. 해설: 흑색종(melanoma)은 **피부의 악성 종양**으로,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 흑색종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임상적 특징**으로는 **ABCDE 규칙**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규칙은 흑색종의 특징적인 변화를 통해 의심할 수 있는 점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ABCDE 규칙**: - **A: Asymmetry (비대칭)** - 종양의 양쪽이 비대칭일 수 있습니다. - **B: Border irregularity (경계 불규칙성)** - 경계가 고르지 않거나 흐릿한 모양을 보일 수 있습니다. - **C: Color variation (색의 불균일)** - 색상이 고르지 않고, 여러 색이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 **D: Diameter (직경)** - 6mm 이상으로 크기가 커질 수 있습니다. - **E: Evolving (변화)** - 기존의 형태나 크기, 색상이 변할 수 있습니다. 각 선지에 대한 해설: 1. **Asymmetrical outline (비대칭적인 윤곽)** - 흑색종은 **비대칭적인 형태**를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조기 발견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2. **Border irregularity (경계 불규칙성)** - 흑색종은 **경계가 불규칙**하거나 **흐릿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조기 발견의 중요한 징후**입니다. 3. **Uneven and dark color (불균일하고 어두운 색)** - 흑색종은 **여러 색상이 혼합되어 있거나** **어두운 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조기 발견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4. **Greater diameter (큰 직경)** - 흑색종은 **직경이 6mm 이상**으로 커질 수 있습니다. 이는 흑색종의 중요한 특징으로, **조기 발견을 위한 지표**입니다. 5. **Change in consistency (soft & friability) (일관성 변화: 부드럽고 부서지기 쉬운 상태)** - **일관성 변화**는 **흑색종**의 **전이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지만**, **조기 발견의 핵심 특징**은 아닙니다. 흑색종의 조기 발견에서는 주로 **모양, 경계, 색상, 직경 변화** 등이 더 중요한 지표입니다. 결론: **5번**인 **"change in consistency"**는 흑색종의 **조기 발견을 위한 주요 임상양상**이 아니며, 흑색종이 **전이된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화입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과 관련된 주요 특징은 **Asymmetry**, **Border irregularity**, **Uneven and dark color**, **Greater diameter**가 됩니다.
415
50 세 남성이 우측 상지에 생긴 반점으로 내원하였고 절제생검에서 2mm 두께의 흑색종으로 진단되었다. 영상검사에서 이학적 및 영상학적 검사에서 우측겨드랑이 구역 림프절 전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적절한 치료방법은? 1. 항암치료 2. 방사선 치료 3. 광범위 절제술 4. 광범위 절제술 + 우측 겨드랑이 감시림프절생검술 5. 광범위 절제술 + 우측 겨드랑이 림프절 청소술
**정답: 4번**입니다. 해설: 해당 환자는 **2mm 두께의 흑색종**으로 진단되었고, **우측 겨드랑이 구역 림프절 전이 소견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흑색종의 경우 **원발부위**의 절제 외에도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의 일환입니다. 이 경우 **겨드랑이 감시림프절 생검(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을 시행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방법**입니다. 각 선지에 대한 해설: 1. **항암치료** - 흑색종에서 **항암치료**는 **주로 전이가 발생한 경우**나 **치료 후 보조요법**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환자**는 **전이 소견이 없다**고 하셨기 때문에 **초기 흑색종에 대한 항암치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2. **방사선 치료** - 흑색종에서 **방사선 치료**는 **전이가 있는 경우**나 **수술 후 보조치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환자는 **전이 소견이 없고**, 원발 병변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우선이므로 방사선 치료는 이 단계에서 필요하지 않습니다. 3. **광범위 절제술** - 흑색종이 **2mm 두께**인 경우, **광범위 절제술**(wide local excision)은 기본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두께 1mm 이상**인 흑색종은 **기본적으로 광범위 절제술**을 통해 원발 병변을 절제해야 합니다. 그러나 **림프절 전이가 없다는 전제 하에서는** 추가적인 **림프절 절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4. **광범위 절제술 + 우측 겨드랑이 감시림프절생검술** - **맞습니다.** - **광범위 절제술**을 통해 원발병소를 절제한 후, **감시림프절생검(SLN biopsy)**을 통해 **우측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적절한 치료법**입니다. SLN 생검을 통해 **전이가 없으면 추가적인 림프절 절제**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5. **광범위 절제술 + 우측 겨드랑이 림프절 청소술** - **틀립니다.** - **림프절 청소술**(lymph node dissection)은 **SLN에서 전이가 발견된 경우**에 고려되는 방법입니다. 이 환자는 **림프절 전이 소견이 없다**고 하였으므로, **청소술**을 진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SLN 생검 후 전이가 없으면 추가적인 림프절 절제는 필요 없습니다. 결론: 이 환자는 **광범위 절제술**과 **우측 겨드랑이 감시림프절 생검**이 **적절한 치료 방법**입니다. SLN 생검을 통해 **전이가 없는 경우 추가적인 림프절 절제**는 필요하지 않으며, **전이가 있는 경우에만** 추가 림프절 절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416
melanoma에 관한 내용중 틀린 것을 고른 것은? 1.superficial spreading type이 가장 흔하다. 2.남성보다 여성에서 예후가 좋음 3.local invasion이 심하거나 피부궤양은 불량한 예후를 나타낸다. 4.백인 또는 흑인 등의 피부색에 따른 발생빈도 차이가 없다. 5.침습의 깊이가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정답: 4번**입니다. 해설: 흑색종(Melanoma)은 피부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여러 가지 유형과 예후 인자가 존재합니다. 각 선지에 대한 해설을 살펴보겠습니다. 1. **Superficial spreading type이 가장 흔하다.** - **맞습니다.** - **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는 가장 흔한 형태의 흑색종으로, 약 70%의 경우에서 나타납니다. 피부의 표면에 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2. **남성보다 여성에서 예후가 좋음** - **맞습니다.** - 흑색종에서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예후가 좋습니다. 이는 여성에서 흑색종이 더 **조기에 발견**되는 경향이 있고, **생리적 특성**이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Local invasion이 심하거나 피부궤양은 불량한 예후를 나타낸다.** - **맞습니다.** - **Local invasion**이 심하거나 피부에 **궤양**이 발생한 경우는 흑색종의 **불량한 예후**를 나타냅니다. 이는 종양의 **침습성**이 강해졌음을 의미합니다. 4. **백인 또는 흑인 등의 피부색에 따른 발생빈도 차이가 없다.** - **틀립니다.** - **피부색에 따른 흑색종의 발생 빈도 차이가 있습니다.** 백인에서는 **흑색종 발생 빈도가 높고**, 특히 **햇볕에 노출되는 부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반면, 흑인 및 아시아계 사람들은 흑색종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발생하는 경우 주로 **비노출 부위(발, 손바닥 등)**에서 발생합니다. 5. **침습의 깊이가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 **맞습니다.** - 흑색종의 **침습 깊이**(Breslow thickness)는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 중 하나입니다. 깊이가 **깊을수록 예후가 나쁘며**, **5mm 이상**으로 침습이 깊어지면 예후가 **불량**해집니다. 결론: 흑색종은 피부색에 따른 발생 빈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4번이 **틀린 답**입니다.
417
알부민의 혈장 내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3.5-5.2g/dL
418
Damage Control Surgery는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치료 Protocol이다. 1983년의 Military Term에서 가져온 기법으로, 배가 가라앉을 때에 배에 물이 세는 것을 일차적으로 막고, 자세한 수리는 항구에 정박한 뒤에 정비하는 것에서부터 따온 것이다. 이때 Damage Control Surgery는 Phase 0부터 3까지 존재하는데, 각각은 무엇인가?
Damage Control Surgery(DCS)는 심각한 외상을 입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단계적 치료 접근법**으로, 빠르게 생명을 구하고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한 후에 최종적인 복구 수술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은 **Phase 0부터 Phase 3까지**의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마다 목표와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아래는 각 단계를 자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 🔹 **Phase 0: Transport, Triage (이송과 분류)** - **목적:** 현장에서 병원까지의 신속하고 안전한 이송과 환자의 상태에 따른 우선순위 결정 - **주요 활동:** - 응급의료팀에 의해 현장에서 **생명 징후를 평가**하고, **외상 정도를 신속히 파악**합니다. - 중증 환자는 **가장 먼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트리아지(Triage)**가 이루어집니다. - 이송 중에는 **기본적인 응급 처치**(출혈 조절, 기도 확보, 산소 공급 등)를 통해 생명 유지를 시도합니다. --- 🔹 **Phase 1: Abbreviated Resuscitative Surgery (약식 소생 수술)** - **목적:** 응급 상황에서 **출혈을 신속하게 조절**하고, **생명 위협 요인을 최소화**하여 환자를 안정화함 - **주요 활동:** - **대량 출혈 조절:** 출혈 부위를 결찰하거나 봉합하여 출혈을 막습니다. - **오염 방지:** 개방성 상처나 손상된 장기로 인한 감염을 예방합니다. - **신속성:** 생명을 구하기 위한 최소한의 수술로 시간을 절약합니다. - **임시적 처치:** 장기 복원보다는 **응급성**을 우선하여 **일시적인 손상 통제**를 목표로 합니다. - 수술 후 환자는 즉시 **중환자실(ICU)로 이동**합니다. --- 🔹 **Phase 2: ICU Resuscitation (중환자실 소생 치료)** - **목적:** 생명 징후를 안정화하고, 장기 기능을 회복하여 이후의 최종 수술을 준비함 - **주요 활동:** - **혈압, 맥박, 호흡 등의 생명 징후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합니다. - **체액 및 전해질 균형 조절**을 위해 수액 공급과 전해질 보충을 합니다. - **감염 관리:** 항생제 투여와 상처 관리로 감염을 예방합니다. - **장기 기능 보조:** 인공호흡기, 투석기 등의 장비를 통해 장기 기능을 보조합니다. - 환자의 상태가 안정되면 최종 수술(Definitive Surgery)을 계획합니다. --- 🔹 **Phase 3: Definitive Surgery (최종 수술)** - **목적:** 손상된 장기나 조직을 **영구적으로 복구하고, 기능을 회복**함으로써 환자의 회복을 돕습니다. - **주요 활동:** - **영구적 손상 복구:** 파열된 장기나 골절된 뼈를 복원합니다. - **기능 회복:** 신체의 원래 기능을 최대한 회복합니다. - **합병증 예방:** 장기적인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처치를 합니다. - **미용적 재건:** 필요한 경우, 외관을 복원하는 성형적 접근도 고려합니다. --- 🔥 **Damage Control Surgery의 핵심 요약** - **Phase 0:** 생명 위협 요인의 신속한 파악과 이송 - **Phase 1:** 최소한의 응급 수술로 생명 유지 - **Phase 2:** 중환자실에서 생명 징후 안정화와 장기 기능 회복 - **Phase 3:** 최종 수술로 영구적 복원과 회복
419
쇼크가 발생할 경우, 불안정한 혈류 흐름에 의해 저산소증이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Lactic acidosis가 유발된다. 이때 lab 결과상 확인할 수 있는 lactic acid의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0.5~2.2mmol/L
420
WBC는 감염, 염증, 외상에 반응하여 높아질 수 있다. 이때 Lab 결과상 확인할 수 있는 WBC의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4000~10000/uL
421
Hb의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남자: 13.5~17.5g/dL 여자: 12.0~16.0g/dL
422
혈소판(PLt)의 정상수치는 얼마인가?
150,000~400,000/uL
423
간 기능장애, 와파린 복용 등에 의해서 응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응고 속도를 구분하는 기준을 INR(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국제 표준화 비율)로 정해고 있습니다. INR의 정상범위는 얼마입니까?
0.8~1.2
424
위 흉부 CT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이상소견은 무엇인가?
1. 흉부 말단부의 혈관 음영이 존재하지 않는다. - Pneumothorax를 의심할 수 있다. 2. Diaphragm 아래로 공기가 찬 음영을 확인할 수 있다. - Pneumoperitonium, 장 어딘가에 공기가 찼을 수 있다.
425
중증 응급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해서 바로 실시하게 되는 Phase 1(Abbreviated Resuscitative Surgery; 약식 소생 수술)에서 가장 중요하게 실시해야하는 요점 두 가지는 무엇인가?
1. Control hemorrhage - Artery의 Bleeding: Ligation(결찰) or Shunt(우회) - Resect severely damaged non-essential organs(e.g. GB, Spleen) 2. Limit Contamination - Primary repair: 구멍이 있으면 구멍을 막기 - Resection: 장이 너덜너덜하거나 찢어져 있으면 절제 - Re-anastomosis는 하지 않는다: 시간이 오래걸림 3. Temporary abdominal closure - 다시 수술방에 들어올 것이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abdominal closure만 진행 ---- 🔹 Phase 1: Abbreviated Resuscitative Surgery (약식 소생 수술) 목적: 응급 상황에서 출혈을 신속하게 조절하고, 생명 위협 요인을 최소화하여 환자를 안정화함 주요 활동: 대량 출혈 조절: 출혈 부위를 결찰하거나 봉합하여 출혈을 막습니다. 오염 방지: 개방성 상처나 손상된 장기로 인한 감염을 예방합니다. 신속성: 생명을 구하기 위한 최소한의 수술로 시간을 절약합니다. 임시적 처치: 장기 복원보다는 응급성을 우선하여 일시적인 손상 통제를 목표로 합니다. 수술 후 환자는 즉시 중환자실(ICU)로 이동합니다. --- 🔹 **Artery Ligation (동맥 결찰)** **정의:** 손상된 동맥을 묶어 혈류를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 **목적:** 출혈을 즉시 멈추게 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추가적인 출혈로 인한 쇼크를 방지합니다. - **적용 상황:** 출혈이 심각하고, 혈관을 재건할 시간이 없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주로 손상된 동맥이 생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장점:** - 신속한 출혈 통제 가능. - 수술 시간이 짧고, 절차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 **단점:** - 동맥을 결찰하면 혈류가 차단되어 해당 부위의 허혈(ischemia)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괴사나 기능 상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중요한 혈관에 결찰을 하게 되면 그 부위의 조직이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Artery Shunt (동맥 우회)** **정의:** 손상된 동맥 부위를 일시적으로 우회하여 혈류를 다른 경로로 우회시키는 방법입니다. 보통 "shunt"는 인공적인 관을 삽입하여 혈액의 흐름을 새로운 경로로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 **목적:** 출혈을 통제하면서도 혈류를 유지하여 해당 부위의 허혈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 **적용 상황:** 중요한 동맥이 손상되어 혈류를 차단할 수 없거나, 동맥 결찰이 장기적인 문제가 될 수 있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대동맥이나 주요 혈관이 손상된 경우에 시술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혈류를 유지할 수 있어, 허혈로 인한 조직 손상을 예방합니다. - 출혈을 통제하면서도 장기적인 혈류 차단 없이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기술적으로 어렵고, 우회 경로를 유지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 수술 후 감염 위험이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shunt가 막히거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Ligation vs. Shunt 비교** | 항목 | Ligation | Shunt | |-------------------|------------------------------|-----------------------------| | **목적** | 출혈을 신속히 멈추고, 생명 유지 | 혈류를 유지하며 출혈을 통제 | | **적용 상황** | 급성 출혈, 재건이 어려운 혈관 손상 | 중요한 혈관 손상, 혈류 유지 필요 | | **절차** | 혈관 결찰, 출혈 통제 | 인공적인 우회 관 삽입, 혈류 유지 | | **장점** | 신속하고 간단한 출혈 통제 | 혈류 유지, 허혈 예방 | | **단점** | 허혈, 괴사 위험 | 기술적 난이도, 감염 위험 | --- ✅ **적용 사례** - **Ligation (결찰):** - 말초 혈관 손상이나 출혈이 심각한 경우, 예를 들어 팔이나 다리의 외상에서 중요한 동맥에 결찰을 하는 경우. - 시간이 부족하거나 환자의 생명이 위급할 때 빠르게 결찰하여 출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 **Shunt (우회):** - 대동맥이나 주요 동맥에 손상이 있을 경우, 혈류를 계속 공급해야 하는 중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대동맥 손상 시 바로 결찰하면 허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우회를 통해 혈류를 우회시키며 치료할 수 있습니다. --- DCS에서 두 방법은 모두 출혈을 통제하고 환자의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각각의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손상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426
Damage Control Surgery 의 Phase 1 단계에서 간에서의 출혈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는 Organ Specific Technique는 무엇인가?
Pringles Maneuver - 출혈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portal triad를 한꺼번에 묶는다.
427
Hemorrhagic Shock(출혈이 과도해서 발생하는 Hypovolemic Shock)의 Class는 I~IV로 나눌 수 있다. 특이 사항은 II부터 확인할 수 있는데, II와 III에서는 어떤 특이점이 확인되는가?
Class II - 호흡수>20 / 맥박 >100 / 혈압 정상 Class III - 호흡수>30 / 맥박>120 / 혈압 감소 시작
428
중증 응급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Lethal Triad(Trauma Triad of Death)란 무엇인가?
**Lethal Triad (Trauma Triad of Death)**는 중증 외상 환자에서 사망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는 **세 가지 주요 생리학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세 가지가 동시에 발생하면 환자의 생명에 큰 위협이 되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Lethal Triad (Trauma Triad of Death)의 구성 요소** 1. **저체온 (Hypothermia)** - **정의:**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진 상태로, **36도 이하**로 떨어지면 저체온증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 **영향:** 저체온은 혈액 응고 능력을 저하시켜 출혈이 더 심해지고, 심장 박동과 호흡 기능이 저하되어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치료:** 환자가 외상으로 인한 저체온 상태에 있을 때는 **따뜻한 수액, 체온 유지 장치** 등을 통해 체온을 안정적으로 회복시켜야 합니다. 2. **산혈증 (Acidosis)** - **정의:** 혈액 내 산성도가 증가하는 상태로, pH가 **7.35 이하**로 떨어지면 산혈증이 발생합니다. - **영향:** 외상 후 산혈증은 **산소 공급 능력**을 저하시켜 조직에 필요한 산소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심혈관계, 호흡계** 등의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산혈증이 지속되면 **혈액 응고 장애**와 **장기 부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료:** **산-염기 균형 회복**을 위해 **수액 투여**, **호흡 지원** 등을 통해 pH를 조절해야 합니다. 3. **출혈 (Coagulopathy)** - **정의:** 혈액이 응고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응고되어 **출혈이 지속**되는 상태입니다. 출혈은 **외상** 후 발생하며, 심한 출혈로 인해 혈액량이 급격히 줄어들면 장기 기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영향:** 출혈은 **저혈량성 쇼크**, **장기 손상**을 유발하고, 응급처치가 늦어지면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응고 능력**이 저하되면 출혈이 더 심해지고, **다발성 장기 부전**에 빠질 수 있습니다. - **치료:** **출혈 통제**, **수혈** 및 **응고 장애 치료**가 필요합니다. --- **Lethal Triad의 상호 작용** - **저체온, 산혈증, 출혈**은 서로 악순환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저체온**은 혈액 응고 기능을 저하시켜 출혈을 악화시키고, **출혈**이 심해지면 산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혈증**은 체온 조절을 어렵게 하여 저체온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이 세 가지가 동반되면 치료가 더욱 어려워지며, **생명 유지**가 어렵습니다. --- **치료 및 관리** 1. **저체온 관리** - **온열 치료**: 따뜻한 수액 주입, 체온 유지 장치 등을 통해 체온을 안정적으로 조절합니다. - **환자 보온**: 따뜻한 담요나 수술실 온도 조절로 체온을 유지합니다. 2. **산혈증 치료** - **호흡 관리**: 산소 공급을 충분히 하고, 필요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산소화 상태를 회복합니다. - **산-염기 균형 교정**: pH와 이온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알칼리성 수액**을 투여하거나, **혈액가스 분석**을 통해 수시로 교정합니다. 3. **출혈 통제 및 응고 능력 회복** - **출혈 부위 지혈**: 출혈을 통제하기 위한 응급 수술이나 응급 처치를 시행합니다. - **수혈 및 응고 치료**: 출혈이 심한 경우 **수혈**을 통해 혈액을 보충하고, **응고 인자**(예: 신선 동결 혈장, 비타민 K 등)를 보충하여 응고 능력을 회복시킵니다. --- **Lethal Triad 예방 및 관리 중요성** - **신속한 대응:** Lethal Triad는 **응급 상황에서 생명에 위협을 주는 삼중적 위험**이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빠르고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 **다학제적 접근:** **중환자실(ICU)**에서의 치료와 **외상 센터**에서의 집중 치료가 중요하며, **응급팀**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 **요약** **Lethal Triad**는 중증 외상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체온, 산혈증, 출혈**의 **세 가지 생리학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발생하면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이 악순환을 차단**해야 합니다.
429
Hemorrhagic Shock가 발생한 환자에게서 많은 혈액 Loss가 확인되었을 때에는 수액보다는 수혈처치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때 수혈 비율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위 내용은 **Hemorrhagic Shock (출혈성 쇼크)** 치료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내용을 정리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Hemorrhagic Shock의 치료 원칙** - **수액보다는 수혈이 중요**: 출혈성 쇼크 환자에서는 **수혈**이 **수액 보충**보다 우선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적혈구(pRBC)**, **혈장(FFP)**, **혈소판(PC)**를 보충해야 합니다. - **Coagulopathy correction (응고 이상 교정)** - **수혈 비율**: **pRBC : FFP : PC = 1:1:1** 비율로 수혈합니다. - **pRBC (Packed Red Blood Cells)**: 적혈구 농축액으로,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개선합니다. - **FFP (Fresh Frozen Plasma)**: 신선 동결 혈장으로, 혈액 응고 인자들을 보충합니다. - **PC (Platelet Concentrate)**: 혈소판 농축액으로, 출혈을 억제하는 데 필요합니다. - **칼슘 보충**: 출혈성 쇼크 환자에서는 **칼슘**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칼슘은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출혈을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전혈에 가까운 보충**: 가능한 한 **전혈에 가까운 비율**로 pRBC, FFP, PC를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응고 능력과 혈액량을 적절히 보충하기 위함입니다.
430
Hemorrhagic Shock가 발생한 환자에게서는 혈압 하강을 관측할 수 있다. 이때, 출혈이 없는 환자 / 출혈이 여전한 환자 / Septic Shock가 있는 환자에게는 각각 Mean BP를 어느정도 기준으로 잡아야 하는가?
**출혈성 쇼크 환자의 혈압 관리** - **혈압 목표**: - **출혈이 없는 환자**: 혈압을 **Mean BP 65mmHg**를 기준으로 조절합니다. - **출혈이 있는 환자**: 혈압을 **Mean BP 50~55mmHg**로 맞추어야 합니다. 출혈에 의한 혈액 손실이 크므로 혈압을 낮게 유지하면서, 적절한 수혈로 혈액량을 보충합니다. - **Mean BP 계산**: - **Mean BP** = **2 * DBP (이완기 혈압) + SBP (수축기 혈압) / 3** - 예를 들어, **120/80 mmHg**인 경우 Mean BP는 약 **90 mmHg**입니다. - **Septic Shock 환자의 경우**: Septic shock에서는 **Mean BP 60mmHg**를 목표로 설정합니다. 이때, **감염에 의한 혈관 확장**으로 혈압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431
혈관을 수축시키는 작용으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약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노르에피네프린
432
심장 박동수를 높이는 작용으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약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에피네프린
433
중증 응급 환자에게 Phase 2(ICU Resuscitation)까지 완료한 뒤에 Defenitive Surgery를 시행하고자 한다. 이때 고려해야할 점과, Defenitive Surgery에서 시행해야하는 것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ICU Resuscitation**을 마친 후, **Definitive Surgery**를 시행하는 과정은 중증 외상 환자에게 필요한 중요한 치료 단계입니다. 이 과정은 환자가 생명 위협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로 돌아간 후, 본격적인 치료를 위해 필요한 수술적 개입을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아래에 각 항목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ICU에서 24-48시간 이내에 진행** - **24-48시간 이내에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배가 열려있을 경우 감염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복부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 환경과의 접촉으로 **박테리아**나 **균**이 침투할 수 있어,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대한 빨리 수술을 진행해야 합니다. --- 2. **Remove Packing (포장 제거)** - 환자가 **복부 외상** 등으로 인해 **배를 열었을 때** 출혈이나 장기의 손상을 제어하기 위해 복부에 **패킹**(압박)을 할 수 있습니다. - **Definitive Surgery** 단계에서 환자가 안정되었고, **출혈이 제어**되었을 경우, 이 패킹을 **제거**하고 **복부를 다시 봉합**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패킹을 제거하면, 복부 내부의 압력이 줄어들고, 감염 및 염증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GI (Gastrointestinal) – 위장관 수술** - **Anastomosis (문합술)**: - **문합술**은 절단된 장기를 다시 연결하는 수술입니다. 예를 들어, **장 천공**으로 인한 외상이나 **장 절제** 후, **장기 재연결**을 통해 정상적인 위장관 기능을 회복시키는 수술입니다. - **Stoma (인공항문) 생성**: - **Colostomy (결장루)**는 장이 손상되어 재건이 불가능하거나, 복부에 적절한 연결을 할 수 없는 경우 **인공 항문**을 만들어주는 수술입니다. 이를 통해 **배설물**이 체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합니다. - 이 수술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인 관리**와 **재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4. **Vessel (혈관)** - **Ligation (결찰)**: - 만약 출혈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혈관 결찰**(Ligation)을 통해 출혈을 막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결찰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 **Graft (이식) 또는 Bypass (우회)**: - 혈관 손상이 심하고 결찰이 불가능할 경우, **혈관 이식**(Graft)이나 **우회 수술**(Bypass)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손상된 부위를 **기계적 장치나 인공혈관**을 사용해 우회시키거나 이식하여 혈액 공급을 회복합니다. - **Bypass vs Shunt**: - **Bypass**는 손상된 혈관을 우회하여 혈류를 재건하는 수술입니다. - **Shunt**는 혈류를 다른 경로로 우회시키는 방법으로, 보통 **단기적인 해결책**으로 사용됩니다. --- 5. **Bone (골)** - **Internal fixation (내부 고정)**: - 골절이 발생한 부위에 대해 **내부 고정**을 시행합니다. 이는 골절된 뼈를 **수술적으로 맞추고 나사나 판** 등을 이용해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 특히 **골반 교정** 수술에서는 뼈를 **내부적으로 고정**하여 정상적인 구조로 복원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외부에서 보기에는 **못이 박힌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Tension-free abdominal closure (긴장 없는 복부 봉합)**: - 복부를 봉합할 때 **긴장 없이 봉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부가 과도하게 **팽창하거나 압박**되면 **봉합이 잘 안 될 수** 있고, **상처가 터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긴장을 최소화하여 복부를 안전하게 봉합합니다. - **Delayed abdominal closure (지연된 복부 봉합)**: - **부종이나 염증**이 있는 경우, 즉각적으로 복부를 봉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복부를 봉합하는 방법입니다. **부종이나 염증이 가라앉은 후**, 복부를 안전하게 닫을 수 있도록 합니다. 보통 **24-48시간 후**에 복부를 다시 닫습니다. --- **요약** - **ICU에서 24-48시간 내에 수술**을 시행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최종 수술**을 진행합니다. - 수술 과정에서는 **패킹 제거**, **위장관 수술**, **혈관 이식/우회**, **골절 수술**, **긴장 없는 복부 봉합** 등이 이루어집니다. - 이러한 수술들은 환자가 회복할 수 있도록 **복부를 다시 닫고, 장기 기능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생명 유지와 기능 회복**을 최우선으로 하여,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치료하는 것입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434
노인이 되면 인체의 여러 기능 저하가 발생한다. 이때, 아무리 나이가 들었다고 하더라도 비교적 보존되는 기능/수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 Systolic Function of Heart - Diastolic Funtion은 감소한다. 2. Total Lung Capacity(총폐활량) - Forced Vital Capacity는 감소한다. 3. Serum Creatinine Level 4. Hepatic Function - Number of Hepatocytes는 감소한다. - 담석이나 담석 합병증 발병은 증가한다. - Biliary tract disease is the single most common indication for abdominal surgery in the elderly population 5. Neutrophil Count - However, the ability of the bone marrow to increase neutrophil production in response to infection may be impaired 이 내용은 **노인의 심장 기능**과 관련된 설명으로, 나이가 들면서 변화하는 심장 기능의 특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수축기 기능 (Systolic function)**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수축기 기능 (Systolic Function) – 수축기에서는 괜찮음** - **수축기 기능**은 심장이 **혈액을 펌프**하여 순환계로 내보내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동맥으로 밀어내는 과정**입니다. - **노인의 경우** 수축기 기능은 **상대적으로 잘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나이가 들어도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는 기능**(수축 기능)은 **크게 저하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2. **Well preserved with increasing age** - 나이가 들면서 **수축기 기능은 보존**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심장의 벽**이 두꺼워지거나 **혈관의 경직** 등과 같은 노화로 인한 변화를 겪으면서도, **심장 박출량(cardiac output)**을 유지하려는 **자기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 3. **The aging heart maintains cardiac output by increasing ventricular filling (preload)** - **노화된 심장**은 혈액을 효율적으로 펌프하기 위해 **심실 충만 (preload)**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심박출량을 유지**합니다. - **Preload**는 심실이 **수축을 시작하기 전에** 받는 혈액량을 의미하는데, **심실 충만**이 많을수록 심장은 더 강하게 수축할 수 있습니다. - **나이가 들면서 심장은** 이 메커니즘을 통해 **충분한 혈액량을 받아들이고**, 심박출량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 4. **Minor hypovolemia can result in significant compromise in cardiac function** - 그러나, **경미한 저혈량 (minor hypovolemia)**이라도 심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체내의 혈액량이 조금만 감소해도**, 나이가 든 심장은 **충분한 혈액을 받아들이기 어렵고** 이로 인해 **심장 기능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노인의 심장**은 **충분한 혈액 공급**이 없을 경우, 적절하게 기능하지 못하거나 **심박출량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탈수**나 **과도한 출혈**이 발생하면, **혈액량의 변화가 심장 기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 **요약** - **노인의 심장**은 **수축기 기능**이 잘 보존되며,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심실 충만(preload)**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대응합니다. - 그러나, **경미한 저혈량**이라도 심장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혈액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내용은 노인 환자들에게 **탈수**, **출혈**, **저혈압** 등으로 인해 **심장 기능의 저하**가 더 빠르게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35
노년층에게 발생할 수 있는 수술 후 합병증 중 가장 흔한 합병증은 무엇인가?
Respiratory Problems - Atelectasis, Pneumonia - Swallowing dysfunction -> aspiration 전신마취 수술 후 발생가능한 가장 흔한 합병증? > 호흡기합병증 무기폐 > 폐포들이 펴지지 않으면서 기능이 저하됨 첫째날, 둘째날에 발생하는 열은 무기폐로 인한 것일 확률이 높으므로 폐의 운동을 시켜주는 것이 중요 무기폐가 진행될 시 폐렴으로 이어질 수 있음 수술 후 합병증은 호흡기 계통의 합병증이 가장 흔히 발생한다.
436
노인층이 수술을 하기 전에 시행하는 Preoperative Assesment에서는 세 가지를 측정한다. 무엇인가?
: Function, cognition, nutrition 장기 기능 평가도 중요하지만, 인지 기능 및 영양 상태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
437
다음 중 고령환자에서 복부 수술의 적응증이 되는 가장 흔한 질환은? ① 위궤양천공 ② 대장게실염 ③ 췌장염 ④ 담석증 ⑤ 직장용종
4번
438
노인 환자 기능 평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검사실 소견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② 치료 효과 모니터링의 기준점이다. ③ 영양 상태는 내과적 질환과 관련이 적다. ④ 일상 생활 활동 기능은 포함하지 않는다. ⑤ 경제적 상태 및 거주 환경은 치료 계획 결정에 필요하지 않다.
노인 환자 기능 평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② 치료 효과 모니터링의 기준점이다**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검사실 소견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검사실 소견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노인 환자의 기능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일상 생활 활동 기능**과 같은 **기능적 평가**입니다. 검사실 소견만으로 전체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부족합니다. - **② 치료 효과 모니터링의 기준점이다.** 맞습니다. 노인 환자의 기능 평가는 치료의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중요한 기준점이 됩니다.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일상 생활 활동 능력**의 변화나 **기능적인 상태**의 개선 또는 악화를 추적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③ 영양 상태는 내과적 질환과 관련이 적다.** 틀렸습니다. **영양 상태는 내과적 질환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노인 환자에서는 영양 부족이나 불균형이 많은 질병과 연결되므로 영양 상태는 기능 평가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④ 일상 생활 활동 기능은 포함하지 않는다.** 틀렸습니다. **일상 생활 활동 기능**은 노인 환자 기능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는 환자가 얼마나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데 필요합니다. - **⑤ 경제적 상태 및 거주 환경은 치료 계획 결정에 필요하지 않다.** 틀렸습니다. **경제적 상태**와 **거주 환경**은 치료 계획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노인의 경우, 경제적 상황이나 거주 환경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② 치료 효과 모니터링의 기준점이다**가 옳은 답입니다.
439
70. 다음 중 고령환자에서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한 합병증은? ① Respiratory problem ② Hepatic dysfunction ③ Cardiac dysfunction ④ Infection ⑤ Uncontrolled bleeding
1
440
1. 다음 중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은? ① Diastolic function ② Strength of the respiratory muscles ③ Serum creatinine ④ Number of hepatocytes ⑤ Hematopoietic stem cell pool in bone marrow
3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은 **③ Serum creatinine**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Diastolic function**: 노화와 함께 심장의 **이완기 기능**(diastolic function)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장 근육의 경직과 관련이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적으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② Strength of the respiratory muscles**: 호흡 근육의 힘도 나이가 들면서 점차 약해질 수 있습니다. 노화는 호흡 근육의 **근력**과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③ Serum creatinine**: **혈청 크레아티닌**(Serum creatinine)은 신장 기능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노화 자체로는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에 큰 변화**가 없을 수 있습니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지만,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는 근육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상적인 노화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다른 항목들에 비해 크게 변하지 않는 지표입니다. - **④ Number of hepatocytes**: 간세포의 수는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할 수 있습니다. - **⑤ Hematopoietic stem cell pool in bone marrow**: **골수의 조혈모세포 풀**도 노화에 따라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혈액 세포 생산 능력**의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혈청 크레아티닌**은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지표로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441
다음 중 노인에서 복부 수술 적응증이 되는 가장 흔한 질환은? ① 담석증 ② 위궤양천공 ③ 대장게실염 ④ 췌장염 ⑤ 직장용종
1
442
31. 다음 중 고령환자에 있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고령환자는 다양한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수술 전 철저한 평가가 요구된다. ② 고령환자는 젊은 환자군과 질환 진행양상이 유사하므로 동일한 접근을 시행할 수 있다. ③ 수술 및 마취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그 사망률이 높아 가급적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④ 고령환자라 하더라도 질환의 치료를 위한 적극적인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⑤ 수술 전 평가를 시행할 때 기저질환 및 현재 문제가 되는 질환 위주로 평가한다
답) 1 풀이 2) 진행양상이 다르다. 증상이 늦게 나타나거나 임상경과가 지연되기도한다 3) 수술 사망률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4) 질환의 치료보다는, 증상의 해소를 목표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도 생각해야한다. 5) 기저질환 등 뿐만 아니라, 영양상태 및 기능적 상태에 대한 평가도 같이 해야한다 고령 환자에 있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고령환자는 다양한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수술 전 철저한 평가가 요구된다**입니다. 이유: - **① 고령환자는 다양한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수술 전 철저한 평가가 요구된다.** - 맞습니다. 고령 환자는 **여러 가지 기저질환**(심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을 갖고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술 및 마취에 대한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 철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기저질환뿐만 아니라, **신체 기능**과 **심리적 상태**도 고려해야 합니다. - **② 고령환자는 젊은 환자군과 질환 진행양상이 유사하므로 동일한 접근을 시행할 수 있다.** - 틀렸습니다. 고령 환자는 **질환 진행 양상**이 **젊은 환자와 다를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한 **신체 기능 저하**와 **대사 변화**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접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젊은 환자와 동일한 접근을 시행할 수 없습니다. - **③ 수술 및 마취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그 사망률이 높아 가급적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 틀렸습니다. 수술 및 마취 기술이 발전했지만, 고령 환자에서 **수술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비수술적 치료**만을 고려하는 것은 아닙니다. 각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 **④ 고령환자라 하더라도 질환의 치료를 위한 적극적인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 맞는 면도 있지만, **수술적 접근**을 고려할 때는 **위험성과 혜택**을 신중하게 평가해야 합니다. 고령 환자에서 적극적인 치료 방법이 항상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 있으므로, **개별적인 평가와 조심스러운 결정**이 필요합니다. - **⑤ 수술 전 평가를 시행할 때 기저질환 및 현재 문제가 되는 질환 위주로 평가한다.** - 틀렸습니다. **수술 전 평가**는 **기저질환**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건강 상태**, **심리적 상태**, **약물 사용** 등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고령 환자는 여러 측면에서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질환과 현재 문제** 외에도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① 고령환자는 다양한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수술 전 철저한 평가가 요구된다**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443
53. 다음 중 고령환자의 수술 전 평가에 있어 옳지 않은 것은? ① 동반질환 평가: 심혈관계, 호흡기계 등 환자 동반질환에 대해 정확히 평가한다. ② 기능적 평가: ADL 수행 가능여부, 수술 전 활동 가능범위 등을 평가한다. ③ 인지 기능 평가: 치료 방향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심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한다 ④ 위약 정도 평가: 동일 연령, 동일 질환의 환자라 해도 개개인의 reservoir가 다를 수 있으므로 평가를 시행한다 ⑤ 영양상태 평가: 체중, BMI, 혈중 albumin 수치 등을 통해 평가한다.
답) 3 풀이 환자 본인의 치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치료방향에 대한 결정 가능여부를 파악해야하므로 설명해주어야 한다. 고령환자의 수술 전 평가에 있어 **옳지 않은** 것은 **③ 인지 기능 평가: 치료 방향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심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한다**입니다. 이유: - **① 동반질환 평가: 심혈관계, 호흡기계 등 환자 동반질환에 대해 정확히 평가한다.** - 맞습니다. 고령 환자는 여러 **동반질환**(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심혈관계**, **호흡기계** 등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수술과 마취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필요합니다. - **② 기능적 평가: ADL 수행 가능여부, 수술 전 활동 가능범위 등을 평가한다.** - 맞습니다. **ADL(일상 생활 활동)** 수행 능력이나 **활동 가능 범위**를 평가하는 것은 고령 환자가 수술 후 회복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회복에 필요한 지원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③ 인지 기능 평가: 치료 방향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심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한다.** - 틀렸습니다. **인지 기능 평가**는 고령 환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치료 방향을 설명하는 것은 **환자의 이해**를 돕고, **치료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지 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 치료 방침을 설명하는 것 자체가 **심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인지 기능 평가**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한 절차입니다. - **④ 위약 정도 평가: 동일 연령, 동일 질환의 환자라 해도 개개인의 reservoir가 다를 수 있으므로 평가를 시행한다.** - 맞습니다. **위약 정도**(즉, 환자가 스트레스나 병리적 상태를 얼마나 잘 견딜 수 있는지)는 환자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나이와 질병이 같아도 개인차가 존재하므로 **개별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⑤ 영양상태 평가: 체중, BMI, 혈중 albumin 수치 등을 통해 평가한다.** - 맞습니다. **영양 상태**는 수술 후 회복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체중**, **BMI**, **혈중 albumin** 수치를 통해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특히 고령 환자에게 중요한 요소입니다. 결론: **③ 인지 기능 평가**에 대한 설명이 틀렸습니다. 인지 기능을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고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이 부분**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444
아시아권을 기준으로 했을 때 1단계 비만, 2단계 비만, 고도비만(3단계 비만)의 BMI는 얼마인가?
1단계 비만: 25~29.9 2단계 비만: 30~34.9 3단계 비만: 35~ WHO 기준에서 -5씩 한 것이다.
445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의 작용은 무엇인가?
식욕을 억제한다.
446
위 기저부에서 분비되는 그렐린의 작용은 무엇인가?
식욕을 촉진한다.
447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작용은 무엇인가?
혈당을 낮춘다.
448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체중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이차적인 비만의 원인으로, 가만히 있어도 살이 찔 수 있다.
449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체중 감량을 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수술이다. 비만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수술 3 가지는 무엇인가?
위 우회술, 루와이위절제술, 위밴드술
450
위소매절제술의 당조절 기전은 무엇인가?
1) 식이 제한 2) 식욕 억제(그렐린 감소; 위 기저부에 존재) 3) 영양소의 급속한 이동(후장가설) 4) 렙틴 저항성 감소
451
위소매절제술의 단점은 무엇인가?
위식도역류가 새로 생기거나 (20%), 심해질 수 있다 (30%): 가장 큰 단점 위가 절제되므로 복원이 안된다: 영양결핍이 심해 위를 키워야겠다고 해도, 복원할 수 없다.
452
루와이위우회술의 당조절 기전은 무엇인가?
1) 식이 제한 2) 식욕 억제(그렐린 감소) 3) 영양소의 급속한 이동(후장가설) 4. 렙틴 저항성 감소 5. 영양분 흡수 제한 6. 상부 소장 배제(전장가설): 호르몬을 덜 분비되게 한다.
453
루와이위우회술은 상부 소장을 배제한 채로 영양분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했을 때의 이점은 무엇인가?
위 상부 소장에는 당뇨를 악화시키는 항인크레틴 호르몬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부 소장을 배제한채로 영양분이 공급된다면 하부 소장에 존재하는 인크레틴의 작용만 받게 되어 당뇨병에 많은 개선을 이룰 수 있다.
454
루와이위우회술의 단점은 무엇인가?
1. 위 내시경으로 우회된 위를 확인 못함: 분리된 위이기 때문에 내시경 진입이 어렵다 >우리나라같이 위암의 발생이 높은 곳에서는 부담스러울 수 있음 2. 장기합병증의 빈도가 높다 (영양결핍, 변연궤양, 덤핑 증후군, 내탈장) - 변연궤양: 위산에 의해 위와 소장 연결부위 영향 - 덤핑증후군: 음식물이 소장으로 빨리 진입할 때 - 내탈장: 해부학적 구조를 바꾸면서 틈이 생겨 소장이 빠져나갈 수 있다
455
대사 질환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루와이위우회술이나 위소매절제술의 효과를 다섯 가지 말한다면?
체중 감소, 제 2형 당뇨 개선, 이상지질혈증 개선, 고혈압 개선,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 개선
456
51. 다음 중 위소매절제술의 당 조절 기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위 용적 감소로 인한 식이 제한 ② 그렐린 호르몬 감소에 따른 식욕 억제 ③ 하부 소장으로 영양소의 급속한 이동 ④ 렙틴 저항성 감소 ⑤ 영양소 흡수 제한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은 비만 수술 중 하나로, 주로 체중 감소와 당 조절을 목표로 합니다. 이 수술의 주요 기전은 위의 크기를 줄여서 식사량을 제한하고,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도록 돕는 것입니다. 각 항목에 대해 살펴보면: ① **위 용적 감소로 인한 식이 제한**: 위 용적이 감소하면 음식 섭취량이 제한되어 식이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당 조절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② **그렐린 호르몬 감소에 따른 식욕 억제**: 위소매절제술 후 그렐린 호르몬 수치가 감소하여 식욕이 억제됩니다. 이는 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③ **하부 소장으로 영양소의 급속한 이동**: 수술 후 하부 소장으로 영양소가 빠르게 이동하면, 인슐린 민감성에 변화가 일어나 당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④ **렙틴 저항성 감소**: 렙틴은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인데, 수술 후 렙틴 저항성이 감소하면 식욕을 더 잘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⑤ **영양소 흡수 제한**: 위소매절제술은 흡수 영역을 변화시키지만, 영양소 흡수는 크게 제한되지 않습니다. 흡수 제한이 주요 기전은 아니므로 이 항목이 당 조절 기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⑤ 영양소 흡수 제한**이 위소매절제술의 당 조절 기전에 해당하지 않는 답입니다.
457
현재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위소매절제술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우회술에 비해 수술의 난이도가 쉽기 때문에 수술 후 합병증 빈도가 낮다. ② 수술 후 영양 결핍이 적다. ③ 수술 후 위내시경으로 남은 위를 확인할 수 있다. ④ 위식도역류가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술 전 위식도역류가 심한 환자에게 추천된다. ⑤ 위가 절제되므로 수술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이 되지 않는다.
답: 4번, 위식도역류질환은 새로 생기거나(20%) 악화될 수 있다(30%) 위소매절제술(Gastric Sleeve Surgery)은 비만 수술의 한 종류로, 수술 후 위의 크기를 줄여서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각 항목을 살펴보면: ① **우회술에 비해 수술의 난이도가 쉽기 때문에 수술 후 합병증 빈도가 낮다**: 위소매절제술은 상대적으로 우회수술보다 수술 난이도가 낮고, 회복이 빠르지만 합병증은 여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합병증 빈도가 낮다는 말은 절대적으로 맞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② **수술 후 영양 결핍이 적다**: 위소매절제술은 위의 크기를 줄이는 것만으로, 흡수 부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영양 결핍이 비교적 적습니다. 그러나 특정 영양소의 부족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③ **수술 후 위내시경으로 남은 위를 확인할 수 있다**: 위소매절제술 후에는 남은 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남게 되며, 위내시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위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④ **위식도역류가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술 전 위식도역류가 심한 환자에게 추천된다**: 위소매절제술은 일부 환자에서 위식도역류 질환(GERD)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그렇지는 않으며, 오히려 악화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위식도역류가 심한 환자에게 무조건 추천되지는 않습니다. ⑤ **위가 절제되므로 수술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이 되지 않는다**: 위소매절제술은 위를 절제하여 크기를 크게 줄이기 때문에, 수술 후 원상태로 복원이 되지 않습니다. 이 말은 정확합니다. 따라서 **④ 위식도역류가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술 전 위식도역류가 심한 환자에게 추천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위식도역류가 심한 환자에게 위소매절제술이 항상 권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458
한국에서 전체 암 발생률 중 유방암 발생지수는 몇 위를 차지하는가?
5위이다.
459
병원에서 확진되는 유방암 환자의 임상 증상으로 가장 흔한 것 3 가지는 무엇인가?
1. 종괴가 있으나 통증이 없음 2. 종괴가 있고 통증이 있음 3. 완전 무증상으로 검사에 의해 파악할 수 있음
460
환자가 유방 클리닉에 처음 내원했을 때 시행해야하는 Breast Cancer Detection 방법 세 가지는 무엇인가?
1. Clinical Breast Exam 2. Self Breast Exam 3. Breast Imaging
461
유방에 임상증상이 있어서 유방클리닉에 방문하는 환자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임상증상 세 가지는 무엇인가?
1. Breast Pain 2. Breast Mass 3. Nipple Discharge
462
Clinical Breast Exam을 할 시에 조명은 환자를 고려해서 간접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O/X)
X 밝은 조명 하에서 실시한다.
463
Clinical Breast Exam 시에는 환자의 수치심을 줄여주기 위해 진찰부위를 최소화한다.
X 가능한 진찰부위의 완전한 노출을 위해 가운을 입힌다.
464
폐경 전 여성이 Breast Self Examination을 실시한다면 언제하는 것이 좋은가?
월경이 끝난 후 2~3일 째 날에 시행한다.
465
폐경 후 여성이 Breast Self Examination을 실시한다면 언제하는 것이 좋은가?
매월 일정한 날에 시행한다.
466
Clinical Breast Examination과 Self Breast Examination을 시행할 때에는 Physical Examination을 세 가지로 나누어서 시행한다. 이 세 가지는 무엇인가?
1. Inspection; Sitting - 유방의 형태, 대칭성, 색깔, 상태 등 2. Palpation; Sitting - 국소 림프절을 촉진하는 것으로 Supraclavicular, Infraclavicular, Axillary Nodes를 촉진한다. 3. Palpation; Supine - 가운데 3개 손가락의 지문부분으로 3가지 다른 Pressure(light, Medium, Deep pressure) 촉진한다.
467
Squizzing the Nipple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실시하지 않는다. 하지만 해야할 때가 있다. 그때는 언제인가?
Spontaneous Nipple Discharge를 호소할 때 시행할 수 있다.
468
특별한 증상이 없는 42세 여자환자가 유방검진을 위해 내원하였다. 이 환자에게 진료실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이 환자는 수술력, 병력 등의 과거력은 없는 상태이다. 1) 환자 분은 폐경 전이어서 자가검진은 매월 일정한 날에 하시면 됩니다. 2) 자가검진하는 방법은 한쪽 손을 모두 이용하여 전체 유방조직을 꼭 쥐어 확인하면 됩니다. 3) 유방 초음파 및 유방촬영을 하셨으면 임상진찰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4) 유방검진은 영상검사 뿐만 아니라 임상진찰까지 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유방촬영에서 확인되지 않은 암 혹은 병적 조직 등은 임상진찰에서도 확인되지 않습니다.
답: 4번 해설: 1) 폐경 전인 경우 자가검진은 생리가 끝나고 2-3일 이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폐경 후에는 매월 일정 한 날에 자가검진을 합니다. 2) 손을 이용하여 자가검진을 할 때는 2,3,4번째 손가락의 pad를 이용하여 유방을 문지르듯이 확인합니다. 3) 임상진찰은 유방촬영이나 초음파로 관찰되지 않는 종양을 발견할 수 있기에 유방 초음파 및 유방촬영을 했더라도 임상진찰은 생략될 수 없습니다. 참고로 임상진찰에서 발견되지 않는 종양 또한 유방촬영이나 유방 초음파로 발견될 수 있습니다. 4) 정답입니다. 그리고 3번과 4번 보기가 상충됩니다. 5) 이 또한 4번 보기와 상충되며 유방촬영에서 확인되지 않았더라고 임상진찰에서 종양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469
55세 여자환자가 우측 유방에 만져지는 증상이 있어 내원하였다. 이 환자를 진찰하는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1) 환자가 진료실에 들어오자마자 바로 신체진찰을 시작하였다 2) 환자에게 신체진찰은 하지 않고 바로 유방초음파 및 유방촬영을 하도록 권유하였다. 3) 혹이 있는 우측 유방을 촉진하면서 손의 압력은 한 가지로만 시행하였다. 4) 양측 유방이외에도 쇄골 상부 및 하부 겨드랑이까지 촉진을 시행하였다. 5) 환자를 촉진할 때에는 앉아서 하는 자세에서만 확인하연 된다.
답: 4번 해설: 1) 진찰과정에서 제일 먼저해야 하는 것은 인사와 주소를 물어보는 것입니다. 그 다음 병력청취를 한 후에야 신체진찰을 합니다. 그러므로 진료실에 들어오자마자 신체진찰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2) 이 또한 앞서 언급하였듯이 신체진찰과 유방촬영 및 유방초음파는 어느 하나가 생략되어서는 안 됩니다. 3) 촉진에서 손의 압력은 3가지 다른 압력으로 시행하며 이는 유방조직의 여러 깊이를 진찰하기 위함입니다. 4) 정답입니다. 촉진 및 시진은 양측 유방과 Supraclavicular line, Mid-axillary line까지 시행되어야 합니다. 5) 환자를 촉진할 때에는 sitting, supine 두가지 자세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470
SIRS(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은 네 가지 조건 중 두 가지를 성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네 가지 조건은 무엇인가?
1. 체온이 38도 이상이거나 36도 이하이다. 2. 심박수가 90회/분 이상이다. 3. 호흡수가 20회/분 이상이고 PaCO2가 32mmHg 이하이다. Or 기계환기가 이루어진다. 4. 백혈구 수가 10,000uL 이상이거나 4,000uL 이하이다. Or Band 형태가 10% 이상이다.
471
Inflammation의 중요한 Sign을 다섯 가지 말한다면 무엇인가?
1. Rubor(Redness) 2. Tumor(Swelling) 3. Color(Heat) 4. Dolor(Pain) 5. Funtio Laesa(Loss of Function)
472
Neutrophil의 Rolling & Adhesion 과정에서 각각 관여하는 인자는 무엇인가?
1. Rolling - Neutrophil의 Selectin receptor과 Endothelial cell의 Selection 2. Adhesion - Neutrophil의 integrin과 Endothelial cell의 ICAM - Mast cell이 Endothelial cell 사이의 공간을 벌려준다.
473
Acute Inflammatory Response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우리 몸이 염증이 필요한 상황임을 인지해야한다. 이 상황을 인지 및 유도하는 요인을 세 가지 말한다면?
1. DAMPs (Danger/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조직에 생긴 손상이나 침투 등의 위험신호를 인식해 면역체계를 활성화하는 신호. 2. PAMPs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 면역체계가 인식하는 외부에서 유입된 bacterial pathogens 등의 nonhost invaders 의 생화학적 속성 3. Alarmins (host derived-DAMPs) ▪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트라우마는 endogenous intracellular protein (=alarmin)의 분비를 일으켜 receptor-mediated immune response 를 일으킨다.
474
Acute Inflammatory Response 과정이 발생하게 위해서 외부 침입을 인지하고 유도하는 PRR(Pattern Recognition Receptor)이 존재한다. 이중 Gram Negative Bacteria의 LPS5(PAMP)를 인지하는 PRR은 무엇인가?
TLR4(Toll-Like Receptor 4)
475
내인성 위험 신호(Endogenous Danger Signal)은 우리 몸이 손상이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세포에서 분비하는 물질이다. 대표적인 종류 두 가지를 설명할 수 있는가?
내인성 위험 신호(Endogenous Danger Signals)는 우리 몸에서 손상이나 스트레스가 발생했을 때 세포나 조직이 방출하는 물질들입니다. 이 신호들은 면역계가 손상을 인식하고 반응하도록 도와줍니다. 주요한 내인성 위험 신호로는 **High Mobility Group Box 1(HMGB1)**와 **Heat Shock Proteins(HSPs)**가 있습니다. --- 1. **High Mobility Group Box 1 (HMGB1)** - **구조와 특징**: HMGB1은 세포의 핵에 있는 비히스톤 단백질입니다. 이 단백질은 DNA를 감싸거나 조절하는 데 관여하고, 전기영동에서 빠르게 이동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High Mobility'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기능**: 원래는 세포 내부에서 DNA 안정성과 유전자 발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세포가 손상되거나 죽을 때는 세포 밖으로 방출되어 **면역 반응을 유발**합니다. - **염증 유발**: HMGB1이 방출되면 **TNF(종양 괴사 인자)**와 **NO(질소 산화물)**와 같은 **염증 매개체**를 분비하게 해 염증 반응을 촉진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세균 감염이나 손상에 대한 방어 메커니즘으로 작용합니다. - **분비 시점**: 세포 손상 후 약 30분 이내에 분비되기 시작합니다. --- 2. **Heat Shock Proteins (HSPs)** - **구조와 종류**: HSPs는 열에 의한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염증**, **산화적 스트레스**, **감염** 등의 다양한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그룹입니다. HSP60, HSP70 등이 대표적입니다. - **기능**: HSPs는 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변형된 단백질을 복구하거나 잘못 접힌 단백질을 제거하여 세포를 보호합니다. - **내인성 위험 신호 역할**: 손상된 세포나 조직에서 방출되면 면역세포가 이를 인식하고 반응합니다. 즉, HSP는 손상 신호로 작용하여 면역계의 경고 신호를 보냅니다. - **임상적 의의**: HSP는 암, 자가면역질환, 감염성 질환 등에서 면역 반응 조절과 관련이 있어 치료적 타깃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HMGB1과 HSP는 세포의 손상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방출되어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중요한 신호 분자로 작용합니다. 몸의 손상을 인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작동하지만, 과도한 반응은 자가면역질환이나 만성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더 구체적인 부분이나 관련 질환에 대해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
476
인터페론 감마는 어디에서 분비되며,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Th1에서 분비되며 Macrophage Activation, Promotes differentiation of CD4+ T cells into Th1 cells, Inhibits differentiation of CD4+ T cells into Th2 cells 역할을 한다.
477
TGF-b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통적으로는 Anti Inflammatory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Research에 따르면 Acute phase response에서 proinflammatory response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478
다음 그림에 대해 설명할 수 있겠는가?
이 그림은 외과 환자나 중증 환자들의 면역 반응과 그에 따른 예후를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손상이나 감염에 반응하면서 **과도한 염증 반응**과 **면역 억제 상태**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맞추려고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각 곡선과 의미를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 🔥 **1. Hyper-inflammatory Responses (과염증 반응)** - **초기 염증 반응 (Innate Immunity)**: 빨간색 곡선으로 표현된 부분입니다. 손상이나 감염이 발생하면 **선천 면역(Innate Immunity)**이 활성화되면서 **염증 반응**이 나타납니다. 염증이 과도해지면 **패혈증(Sepsis)**이나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Early Death (조기 사망)**: 염증이 너무 강하면 면역 체계가 고갈되어 조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2~7일 정도의 고비를 넘기면 회복할 가능성이 생깁니다. --- 🌟 **2. Homeostasis (항상성)** -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염증 반응**과 **면역 억제**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 합니다. - 회복(Recovery) 단계로 접어들면 염증 반응이 감소하고 면역 체계가 안정화됩니다. - 이 단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환자는 회복하게 됩니다. --- 🛡️ **3. Immunosuppression (면역 억제)** - **적응 면역 (Adaptive Immunity)**: 노란색 곡선으로 나타나며, 선천 면역의 초기 반응 이후 나타납니다. 염증 반응이 지속되면 면역 체계가 피로해지고, 면역 억제 상태로 전환됩니다. - **Late Death (지연 사망)**: 수술로 인해 초기 원인은 제거했지만, **2차 감염(Secondary Infection)**이 발생할 경우 면역 억제로 인해 지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 **Long-term Death (장기 사망)**: 보라색 곡선으로 표현되며, 만성적인 면역 억제와 대사 이상이 지속되면 장기적인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만성 카테볼리즘(Chronic Catabolism)**은 근육과 체단백질의 소모가 심해지는 상태로, 영양 상태가 악화되고 회복이 어렵습니다. --- 🔎 **각 곡선의 의미 요약** 1. **빨간색 곡선 (Hyper-inflammatory & Early Death)**: 초기 염증 반응이 강해서 **조기 사망** 가능성 있음. 2. **노란색 곡선 (Adaptive Immunity & Late Death)**: 초기 염증 반응을 넘겼으나 면역 억제 상태로 **지연 사망** 가능성 있음. 3. **보라색 곡선 (Chronic Catabolism & Long-term Death)**: 면역 억제가 지속되어 **장기적인 사망** 가능성 있음. --- 💡 **정리** 이 모델은 **급성기 환자들의 면역 반응과 회복 과정**을 설명하며, 염증과 면역 억제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하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특히, 수술 후 염증 관리와 2차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가 큽니다. 😊 좋은 지적입니다! 보라색 곡선이 Hyper-inflammatory response 쪽으로 치우쳐져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순히 **면역 억제(Immunosuppression)**로 인한 **Long-term Death**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릴게요. --- 🔵 **보라색 곡선의 의미 재해석** 🔹 **보라색 곡선의 위치** - 보라색 곡선은 **Hyper-inflammatory response**와 **Immunosuppression**의 중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장기간 동안 지속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 초기에는 과도한 염증 반응이 지속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만성적인 염증과 대사 이상 상태로 이어집니다. - 따라서 이 곡선은 단순히 면역 억제 상태라기보다는 **지속적인 염증 반응의 만성화**와 그로 인한 면역 체계의 **기능 부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보라색 곡선의 실제 임상적 의미** 1. **만성 염증의 지속** - 초기의 과도한 염증 반응이 조절되지 않고 지속되면, 면역 체계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계속해서 분비합니다. - 이로 인해 면역 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서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합니다. - 이러한 만성 염증은 조직 손상을 일으키고, 회복을 방해합니다. 2. **면역 기능의 이중적 부전** - **면역 기능의 과활성화**로 인한 조직 손상 - 동시에 **면역 억제(Immunosuppression)**로 인한 감염 취약성 - 보라색 곡선이 두 영역에 걸쳐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이 상태에서는 면역이 과도하게 반응하면서도 실제 병원체에 대한 방어 능력은 감소하게 됩니다. 3. **Long-term Death의 원인** - **Chronic Catabolism(만성적인 대사 이상)**: 근육 소모, 영양 결핍으로 인한 체력 약화 - **Immune Dysfunction(면역 기능 부전)**: 만성 염증으로 면역 체계의 기능이 왜곡됨 - **Persistent Immunosuppression(지속적 면역 억제)**: 만성 염증이 지속되며 면역계의 피로가 누적됨 -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장기적인 사망(Long-term Death)**으로 이어집니다. --- 🔹 **결론적으로** 보라색 곡선은 단순한 면역 억제(Immunosuppression) 상태라기보다는 **과도한 염증 반응의 만성화와 면역 체계의 기능 부전**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인 상태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따라서 **Hyper-inflammatory response**와 **Immunosuppression**의 경계에서 **면역 균형의 실패**를 의미하며, 이로 인해 장기적인 예후가 나빠질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79
다음 중 gram-negative bacteria의 lipopolysaccharide (LPS)를 인식하는 receptor는? 1) TLR1 (toll-like receptor 1) 2) TLR2 3) TLR3 4) TLR4 5) TLR6
정답은 **4) TLR4 (Toll-like receptor 4)** 입니다! --- 🔹 **TLR4와 LPS** - **TLR4**는 **Gram-negative bacteria**의 **lipopolysaccharide (LPS)**를 인식하는 대표적인 수용체입니다. - **LPS**는 Gram-negative 세균의 세포 외막에 있는 주요 성분으로, 강력한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 **TLR4**는 **MD-2 단백질**과 결합하여 **LPS**를 인식하고, 이 신호가 세포 내로 전달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분비됩니다. - 이러한 반응은 선천 면역(Innate immunity)의 중요한 방어 기전입니다. --- 🔹 **다른 선택지들과의 비교** 1) **TLR1**: **TLR2**와 이합체를 형성하여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지질단백질** 등을 인식 2) **TLR2**: **TLR1** 또는 **TLR6**과 이합체를 이루며 **그람 양성균의 펩티도글리칸**과 **지질단백질**을 인식 3) **TLR3**: 바이러스의 **이중 가닥 RNA(dsRNA)**를 인식 4) **TLR4**: **LPS**를 인식 — **정답** 5) **TLR6**: **TLR2**와 이합체를 이루며 **지질단백질**과 **펩티도글리칸**을 인식 --- 🔥 **정리** **TLR4**는 **LPS**를 인식하는 대표적인 수용체로, **그람 음성균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80
Interleukin (IL)-1과 Tumor necrosis factor (TNF)에 의한 생리학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고르시오. 1) 발열 2) 두통 3) 식욕 부진 4) 호산구증가증 5) 간세포 손상
5번입니다. 🔥 **TNF와 IL-1의 주요 생리적 효과와 차이점** **TNF(종양괴사인자)**와 **IL-1(인터루킨-1)**은 염증 반응의 핵심 사이토카인으로 많은 생리적 효과를 공유하지만, 아래의 **다섯 가지 주요 생리적 효과에서 차이점**이 나타납니다. --- 🔵 **TNF와 IL-1의 다섯 가지 차이점** **1. Hypozincemia (저아연증)** - **TNF:** **Hepcidin**의 분비를 증가시켜 **혈중 아연 수치를 감소**시킵니다. - **IL-1:** 아연 대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저아연증**은 TNF의 특징적 효과입니다. --- **2. Activation of Coagulation Cascades (응고 연쇄 반응의 활성화)** - **TNF:** **Tissue factor**의 발현을 통해 **응고 연쇄 반응**을 활성화하고 **혈전 형성**과 **DIC**의 위험을 높입니다. - **IL-1:** 혈관 내피 활성화를 유발하지만, **응고 활성화**에는 제한적입니다. ➡️ **응고 활성화는 TNF의 주요 효과**입니다. --- **3. Increased Platelet Count (혈소판 증가)** - **IL-1:** **Thrombopoietin**의 분비를 자극하여 **혈소판 수를 증가**시킵니다. - **TNF:** 혈소판 수에 대한 명확한 효과는 불확실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감소를, 일부는 변화를 제시합니다. ➡️ **혈소판 수 증가**는 **IL-1의 대표적 효과**이며, TNF의 영향은 논란이 있습니다. --- **4. Pulmonary Edema (폐부종)** - **TNF:** 혈관 투과성을 강하게 증가시켜 **폐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IL-1:** 혈관 투과성 증가 효과가 있지만 **폐부종**을 직접 유발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 **폐부종 유발은 TNF의 특징적 효과**입니다. --- **5. Hepatocellular Injury (간세포 손상)** - **TNF:** **간세포 독성**을 통해 **아포토시스**와 **괴사**를 유발하여 간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IL-1:** 간세포 손상보다는 염증 반응의 매개에 집중합니다. ➡️ **간세포 손상은 TNF의 직접적 효과**입니다. ---
481
TLR (toll like receptor) 4의 compound와 그 origin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Compound - LPS55, Origin - Gram negative bacteria 2) Compound - LPS5, Origin - Gram positive bacteria 3) Compound - ss-RNA7, Origin - RNA viruses 4) Compound - ds-DNA4, Origin - Viruses 5) Compound - Flagellin, Origin - Gram negative bacteria
**정답: 1) Compound - LPS55, Origin - Gram negative bacteria** --- 🔎 **TLR4와 Ligand의 기원에 대한 설명** - **TLR4**는 **Gram-negative bacteria**의 세포벽 성분인 **LPS (Lipopolysaccharide)**를 인식합니다. - **LPS**는 **TLR4**의 대표적인 ligand이며, 강력한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 📌 **보기 분석** 1. **Compound - LPS55, Origin - Gram negative bacteria** ✔️ **정답**: **LPS**는 **TLR4**의 대표적인 리간드이며 **Gram-negative bacteria**에서 유래합니다. 2. **Compound - LPS5, Origin - Gram positive bacteria** ❌ **LPS**는 **Gram-negative bacteria**의 세포벽에 존재하며, **Gram-positive bacteria**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3. **Compound - ss-RNA7, Origin - RNA viruses** ❌ **ss-RNA**는 **TLR7**이나 **TLR8**에 의해 인식됩니다. 4. **Compound - ds-DNA4, Origin - Viruses** ❌ **ds-DNA**는 **TLR9**에 의해 인식되며, **TLR4**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5. **Compound - Flagellin, Origin - Gram negative bacteria** ❌ **Flagellin**은 **TLR5**에 의해 인식됩니다. **TLR4**와 관련이 없습니다.
482
Interleukin(lL)-1 과 Tumor necrosis factor (TNF)에 의한 생리학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고르시오. 1) 발열 2) 두통 3) 식욕부진 4) 호중구증가증 5) 폐부종
5번
483
장기 이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수혜자와 이식자 사이의 면역 반응은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난관이다. 이때 이식자의 항원을 수혜자의 세포가 인식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Allo-Antigen Recognition의 과정은 두 가지가 있는데, 두 가지는 무엇이며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1. **Allo-antigen recognition** 이식 후 발생하는 면역 반응은 주로 이식된 장기의 항원(allo-antigen)에 대한 면역 시스템의 인식에서 시작됩니다. 이식된 장기나 조직은 수혜자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외부 물질로 인식되며, 그에 대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2. **Direct recognition** - **과정**: 이식받은 장기의 항원 제시 세포(APC, Antigen-Presenting Cell)가 이식자의 MHC(주조직적합복합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분자에 자신이 가진 항원을 제시하고, 이를 수혜자의 T-cell이 인식하는 과정입니다. - **상세 설명**: 이식자가 제공한 APC가 수혜자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이식자의 항원을 그대로 제시합니다. 이 경우, 수혜자의 T-cell은 직접적으로 이식자의 항원을 인식하고 반응하게 됩니다. - **면역 반응의 강도**: Direct recognition은 초기의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혜자의 면역 시스템은 이식된 장기를 외부 물질로 인식하고 강한 거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Indirect recognition** - **과정**: 수혜자의 APC가 이식된 장기의 항원(이식자의 항원)을 자신의 MHC 분자에 결합하여 T-cell에 제시하는 과정입니다. - **상세 설명**: 이식된 장기에서 나온 항원이 수혜자의 APC에 의해 처리되어 수혜자의 MHC 분자에 결합되고, 이를 수혜자의 T-cell이 인식하는 형태입니다. 이 경우, 이식자의 항원은 수혜자의 APC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간접 인식"(Indirect recognition)이라고 부릅니다. - **면역 반응의 경과**: Indirect recognition은 이식 후 발생하는 거부 반응의 일반적인 기전으로, 이식 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발생하는 거부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 **Direct recognition**은 이식 초기에 강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며, **Indirect recognition**은 더 서서히 진행되는 거부 반응에 관여합니다. - 수혜자의 T-cell이 이식된 장기의 항원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면역 반응의 강도와 시점이 달라지며, 이는 이식 후 거부 반응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84
환자의 증상청취를 할 때 어떤 것을 물어보아야 하는가?
OLD CoEx CAFE Onset: 언제부터 아팠나요? Location: 어디가 아픈가요? Duration: 얼마동안 아픈가요? Course: 악화되나요, 호전되나요? 간격이 있나요? Experience: 이전에도 아팠나요? Character: 어떻게 아픈가요? Associated: 연관증상이 있나요? Factor: 악화/완화 요인이 있나요? Exam: 전에 검사를 받아봤나요?
485
환자의 History Taking 과정에서 사회력과 가족력 등 물어봐야하는 것은 무엇인가?
SAMPLE - Social: 직업 - Allergy: 알러지 - Medication: 복용 중인 약물 - Past: 치료받는 질병, 가족 중에 아픈 사람 - Last: 마지막 식사, 마지막 생리 - Event: 아프기 전에 무슨 일?
486
급성 복통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을 장기별로 설명한다면 어떤 것이 있는가?
1. 위장관(충수염, 천공, 소장폐쇄) 2. 췌담도(담낭염, 췌장염, 담도염) 3. 여성생식기(자궁외임신, 난소꼬임) 4. 비뇨기(요관결석, 요로감염) 5. 복강 외(AAA 파열, 탈장)
487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RUQ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Biliary Disease - Cholecystitis - Chonlangitis 2. Liver disease - Hepatitis, Neoplasm, Abscess 3. Lung disease
488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Epigastric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Peptic ulcer disease 2. Gastritis 3. Pancreatitis 4. Cardiac disease - MI, Pericarditis, AAA **Peptic Ulcer Disease(PUD, 소화성 궤양 질환)**은 위 또는 십이지장의 점막이 손상되어 궤양(점막이 헐어서 깊이 패인 병변)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위산과 소화효소(펩신)에 의해 점막이 손상되면서 발생합니다. **원인** 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 – 가장 흔한 원인으로, 위 점막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하여 궤양을 형성함. 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사용** –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의 약물이 위 점막 보호층을 약화시켜 궤양을 유발할 수 있음. 3. **과도한 위산 분비** – 스트레스, 흡연, 과음, 카페인 등이 위산 분비를 촉진하여 점막을 손상시킴. 4. **스트레스와 식습관** –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재발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증상** - **복통** (특히 공복 시나 밤에 심해지고, 음식 섭취 후 완화될 수도 있음) - 속쓰림 및 위산 역류 - 구토, 오심(메스꺼움) - 식욕 감소 및 체중 감소 - 심한 경우 출혈로 인해 흑색 변(검은 변)이나 토혈(피를 토함)이 발생할 수 있음. **진단 및 치료** ✅ **진단 방법** - 위내시경 검사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검사(호기 검사, 혈액 검사, 조직 검사 등) ✅ **치료 방법**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 항생제 +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조합 - **위산 분비 억제제(PPI, H2 차단제)**: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등 - **생활습관 개선**: 카페인, 알코올, 흡연 제한, 규칙적인 식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의 환자가 완치될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위출혈, 천공, 위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89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LUQ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Peptic ulcer disease 2. Splenic disease - Rupture, Infarct 3. Lung disease
490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Right Flank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Kidney disease - APN, Abscess, Stone 2. Abdominal wall
491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Periumbilical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Gastroenteritis 2. Pancreatitis 3. Small bowel obstruction 4. Mesentric Ischemia 5. AAA rupture
492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Left Flank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Kidney disease - APN, Abscess, Stone 2. Abdominal Wall
493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RLQ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Appendicitis 2. IBD 3. Right side diverticulitis 4. Ovarian Tumor, Torsion 5. Ectopic Pregnancy
494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Suprapubic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Urinary Tract Disease - Cystitis, Prostatitis 2. Diverticulitis
495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다. LLQ 통증을 호소한다면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가?
1. Sigmoid Diverticulitis 2. IBD 3. Ovarian Tumor, Torsion 4. Ectopic pregnancy
496
복통의 양상에 '속쓰림/작열감'이 있다면 어떤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의심되는가?
위산 자극에 의한 복통을 의심해볼 수 있다.
497
복통의 양상에 '뒤틀리는' 통증이 있다면 어떤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의심되는가?
연동 운동 시 복통이 느껴지는 것으로 폐색을 의심해볼 수 있다.
498
복통의 양상에 둔한 통증이 있다면 어떤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의심되는가?
팽창에 의한 통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499
복통이 '음식 섭취 후 악화되었다'라고 호소한다면 어떤 것들을 의심해볼 수 있는가?
위궤양, 만성 장간막 허혈
500
복통이 '음식 섭취 후 완화되었다'라고 호소한다면 어떤 것들을 의심해볼 수 있는가?
십이지장 궤양 십이지장 궤양은 보통 **공복 시** 통증이 심해지고, **음식을 섭취하면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산 중화 효과** - 십이지장 궤양은 위산이 십이지장 점막을 자극하여 발생합니다. - 음식을 섭취하면 위산이 음식과 섞여 희석되고, 동시에 십이지장에서 중화 작용이 일어나면서 산도가 낮아져 궤양 부위의 자극이 줄어듭니다. 2. **위산 분비 조절** - 식사가 시작되면 위에서 일시적으로 더 많은 소화액이 분비되지만, 음식이 들어오면서 위산이 희석되기 때문에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는 위산의 양이 줄어듭니다. - 결과적으로 십이지장에서 위산으로 인한 자극이 감소하고 통증이 완화됩니다. 3. **음식이 점막을 보호** - 음식물이 십이지장을 통과하면서 물리적으로 점막을 일시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특히 우유, 죽, 빵 같은 음식은 점막을 감싸면서 자극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위궤양**의 경우는 음식 섭취 후 위산이 증가하면서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십이지장 궤양은 **공복 시 통증**, **음식 섭취 후 완화**가 특징이며, 이는 위산 분비와 중화 작용의 차이 때문입니다. 😊
501
복통이 '기름진 음식을 먹고 악화되었다'라고 호소한다면 어떤 것들을 의심해볼 수 있는가?
담도계 원인 담도계(담낭 및 담관) 질환은 기름진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담즙 분비 증가로 인한 담낭 자극** - 기름진 음식을 섭취하면 지방을 소화하기 위해 **담즙**이 필요합니다. -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고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기름진 음식 섭취 후 **담낭이 수축하면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분비**합니다. - 담석증이나 담낭염이 있는 경우, 담낭이 수축할 때 **담석이 담관을 막거나 담낭벽이 자극**되어 통증이 심해집니다. 2. **담관 폐색 시 압력 증가** - 담석이 담관을 막고 있을 경우, 기름진 음식 섭취 후 담즙 분비가 증가하면서 담관 내 압력이 상승합니다. - 이로 인해 담관이 늘어나고 염증이 악화되어 통증이 심해집니다. - 특히 **담석증, 담관염, 담낭염** 환자들은 기름진 음식을 먹고 **오른쪽 윗배(우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3. **소화 효소 부족으로 인한 소화불량** - 담즙은 지방을 유화(emulsification)하여 효소(리파아제)가 지방을 분해하도록 돕습니다. - 담도계 질환이 있는 경우,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지방 소화가 어려워지고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불량, 복부 팽만**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결론 담도계 질환이 있는 경우,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담낭이 수축하고, 담즙 분비가 증가하며, 담관 내 압력이 상승**하여 통증과 불편함이 악화됩니다. 👉 **담석증, 담낭염, 담관염 환자들은 기름진 음식(튀긴 음식, 치즈, 버터 등)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02
우측 어깨 전면부에 피부 연관통을 느끼는 환자는 어느 장기 질환을 의심하는가?
503
좌측 가슴에서부터 좌측 팔 내측까지 퍼지는 피부 연관통을 느끼는 환자는 어느 장기 질환을 의심하는가?
심장
504
양 가슴 중앙에 피부 연관통을 느끼는 환자는 어느 장기 질환을 의심하는가?
위 식도 역류성 질환
505
허리통증과 LUQ 부위 피부 연관통을 느끼는 환자는 어느 장기 질환을 의심하는가?
신장
506
LLQ로부터 허벅지 내측까지 퍼지는 피부 연관통을 느끼는 환자는 어느 장기 질환을 의심하는가?
뇨관 산통(Ureteral Colic)
507
Suprapubic에서 피부 연관통을 느끼는 환자는 어느 장기 질환을 의심하는가?
Colon
508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혈변, 흑색변을 본다면 어떤 것을 감별해야하는가?
위장관 출혈을 감별해야한다.
509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급격한 체중 감소를 보인다면 어떤 질환을 감별해야하는가?
악성 종양을 감별해야한다.
510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로부터 가스가 안나오는 연관 증상을 보인다면 어떤 질환을 감별해야하는가?
폐쇄성 장 질환을 감별해야한다.
511
복부 진찰 시 청음을 듣는 최소 시간대와, 복부음의 정상치는 몇 회인가?
최소 10~15초 듣는다. 평균 복부음은 5~34회/분이다.
512
Rovsing Sign은 무엇인가?
LLQ 압박 시 대장이 이동하여 RLQ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급성 충수염 소견이다.
513
Psoas Sign은 무엇인가?
왼쪽으로 환자를 눕히고 우측 다리를 신전할 경우 복막이 자극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급성 충수염 소견이다.
514
obturator Sign은 무엇인가?
환자를 바로 눕히고 우측 고관절을 내회전하면 복막이 자극되어 통증을 느낄 수 있다. 급성 충수염 소견이다.
515
급성 담낭염 환자에게서 관찰할 수 있는 신체 진찰 소견은 무엇인가?
Murphy's Sign - Mid Clavicular Line 따라 RUQ 갈비 아래 압박하며 흡기 지시하면 아파서 흡기 멈춤
516
유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통증의 원인이 식이/약물일 수도 있으며, 생리적인 원인일 수도 있다. 반면에 유방의 종양에 의한 통증일 수도 있다. 이때, 유방 종양을 의심하기 전에 먼저 감별해야하는 것은 무엇인가?
유방의 외상을 감별해야한다. 의외로 많다.
517
Shock의 사전적 정의는 무엇인가?
전신적인 순환 장애로 인하여 조직 세포로의 혈액 관류 (tissue perfusion)의 저하와 이로 인한 세포 기능 저하를 총칭하는 증후군 - 결코 저혈압 == Shock 가 아니다.
518
Shock에서 SOFA는 무엇의 약자이며, 무엇인가?
Sequi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의 약자로, 여러 장기들의 기능을 평가하고 점수를 매겨서 기능이 낮을 수록 높은 점수를 매기도록 한다. SOFA 점수를 통해 사망을 예측할 수 있다.
519
Shock을 큰 틀에서 구분한다면 어떤 종류가 있는가?
Hypovolemic, Cardiogenic, Distributive, Obstructive
520
Distributive Shock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패혈성 Shock, 신경성 Shock, Anaphylaxis, 부신 저하성 Shock
521
Obstructive Shock의 원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심장: 심막염, 심장 압전(Cardiac tamponade) 폐: 긴장성 기흉, 폐동맥 색전증
522
Hypovolemic Shock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Hemorrhagic(Trauma, GI Bleeding,, etc)과 Non-Hemorrhagic(Excessive GI loss; Diarrhea, Dehydration,, etc)이 있다.
523
신체 지표상 Neurogenic Shock에서만 관찰될 수 있는 독특한 소견 두 가지는 무엇인가?
Skin perfusion으로, Pale하게 관찰되는 다른 Shock들과는 다르게 Pink하다. Low systemic Vascular resistance이다.
524
Cardiogenic Shock과 Cardiac Compressive Shock에서만 관찰될 수 있는 독특한 소견 두 가지는 무엇인가?
Distended Neck Vein이다. 다른 SHock은 모두 Flat하지만 이 인원들은 Distended Neck Vein 소견을 보인다. High Cardiac Filling Pressure이다.
525
수액제 중, 칼슘이 함유되어 있어서 수혈과 공유가 불가능한 수액은 무엇인가?
Hartman Solution Hartmann's solution(= Ringer's lactate, RL)에는 **칼슘(Ca²⁺)**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수혈 라인과 공유하면 안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트르산과 칼슘의 응고 반응** - 혈액 보존제(anticoagulant)로 사용되는 **시트르산(citrate)**은 **칼슘 이온(Ca²⁺)과 결합하여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그러나 **Hartmann’s solution에는 칼슘이 포함되어 있어**, 수혈 라인에서 칼슘이 추가되면 **시트르산과 결합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혈액 응고가 촉진될 수 있습니다. 2. **미세 응고 및 혈관 폐색 위험** - 칼슘이 포함된 용액(Hartmann's solution, Ringer’s solution 등)을 수혈 라인에서 사용하면, **적혈구와 혈장 내 응고 과정이 촉진**되어 미세한 혈전(clot)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혈전이 혈관 내로 들어가면 **미세혈관을 막아 혈전색전증(thromboembolism)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3. **적혈구 손상 가능성** - 일부 연구에서는 **칼슘이 적혈구의 세포막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용혈(hemolysis)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용혈이 발생하면 혈액 내 칼륨 농도가 증가하고, 신장이나 심장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결론 Hartmann’s solution은 **칼슘을 포함하고 있어 혈액 응고를 촉진할 위험이 있으므로, 수혈 라인과 공유해서는 안 됩니다**. 👉 **수혈 시에는 일반적으로 0.9% 생리식염수(NS, Normal Saline)를 사용**해야 합니다. 🚑
526
수액 중 Plasma Solution은 어째서 산증을 해결할 수 있는가?
Acetate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1. Plasma Solution이란?** **Plasma Solution**은 **Plasma-Lyte (플라스마라이트)**라고도 불리며, 전해질 성분이 포함된 **등삼투압 수액**입니다. - 대표적인 예: **Plasma-Lyte 148, Plasma-Lyte A** - **Hartmann’s solution (Ringer’s lactate)와 유사하지만, 칼슘이 포함되지 않음** - 혈장과 유사한 전해질 조성을 가지고 있어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데 사용**됨 **2. Plasma Solution이 산증을 해결하는 이유** Plasma Solution은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알칼리 전구체(Precursor) 포함** - Plasma Solution에는 **아세테이트(Acetate)와 글루코네이트(Gluconat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 성분들은 **체내에서 대사되어 중탄산염(HCO₃⁻)으로 변환**되므로, **혈액의 pH를 상승**시켜 산증을 해결합니다. - 즉, **HCO₃⁻를 직접 공급하지 않지만, 간에서 중탄산염으로 전환되므로 알칼리 보충 효과**가 있습니다. - 🚨 **Ringer’s Lactate도 비슷한 원리로 작용하지만, Lactate를 간에서 대사해야 하므로 간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 ✅ **② 정상적인 염분 균형 유지** - **0.9% 생리식염수(NS)는 고염소성 대사성 산증(Hyperchloremic Metabolic Acidosis)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반면, Plasma Solution은 **염소(Cl⁻)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어, 대사성 산증을 악화시키지 않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3. Plasma Solution의 주요 사용처** 🔹 **대사성 산증 교정이 필요한 경우** 🔹 **외상성 쇼크(Traumatic Shock) 또는 패혈증(Sepsis) 환자** 🔹 **수술 중/후 수액 보충** 🔹 **신부전 환자 (칼륨 함량을 고려해야 함)** **✅ 결론** Plasma Solution(Plasma-Lyte)은 **아세테이트와 글루코네이트가 포함되어 있어 체내에서 중탄산염(HCO₃⁻)으로 전환되므로, 산증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특히 **고염소성 산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Hartmann’s solution보다 간 대사 부담이 적어 유용**합니다! 🚑
527
파행증(Claudication)이란 무엇인가?
**파행증 (Claudication)이란?** **파행증(Claudication)**은 **걷거나 운동할 때 다리에 통증, 경련, 무겁거나 피로한 느낌이 나타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 일정 거리를 걸으면 **다리(특히 종아리)**가 아프지만, **쉬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 주로 **말초동맥질환(PAD, Peripheral Artery Disease)**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 파행증의 주요 원인** #### ✅ **1. 혈관 문제 (허혈성 파행, Ischemic Claudication)** - **말초동맥질환(PAD)**: - 동맥이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으로 인해 좁아져 **근육으로 가는 혈류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합니다. - 걷거나 운동할 때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통증과 경련**이 발생하며, 쉬면 혈류가 회복되어 증상이 사라집니다. - 주로 **흡연,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이 위험 요인입니다. ✅ **2. 신경 문제 (신경성 파행, Neurogenic Claudication)** -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이 있는 경우, - **척추 신경이 눌려 다리로 가는 신경 신호가 방해**받아 통증이 발생합니다. - **허리를 숙이면 통증이 줄어들고, 서 있거나 걸으면 악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 나이가 들면서 척추가 퇴행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파행증의 증상 차이 (혈관성 vs 신경성)** | 구분 | **혈관성 파행 (허혈성)** | **신경성 파행** | |------|----------------|----------------| | **원인** | 말초동맥질환 (PAD) | 척추관 협착증 | | **통증 위치** | 주로 **종아리** | 허리,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 | **운동 후 증상** | 걸으면 아프고 쉬면 회복 | 서 있거나 걸으면 아프고 허리를 숙이면 회복 | | **주된 원인** | 동맥의 죽상경화 | 신경 압박 | | **검사 방법** | ABI 검사 (발목-상완 혈압비) | MRI, 신경 검사 | --- **🩺 치료 방법** #### **✅ 허혈성 파행 (혈관성)** 1. **생활습관 개선** - 🚭 **금연 (흡연은 혈관 수축을 악화시킴)** - 🥗 **저지방 식단 유지 (콜레스테롤 관리)** - 🚶 **적절한 유산소 운동 (혈관 확장 도움)** 2. **약물 치료** -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 혈전 예방 - **스타틴 (고지혈증 치료제)** → 동맥경화 억제 - **혈관 확장제 (실로스타졸, 펜톡시필린)** → 혈류 개선 3. **시술/수술** - **혈관 확장술(풍선카테터, 스텐트 삽입)** - **우회 수술 (혈류를 다른 경로로 우회)** **✅ 신경성 파행 (척추관 협착증)** 1. **물리치료 및 허리 스트레칭 운동** 2. **진통제, 근육 이완제 복용** 3. **신경 차단술 or 수술 (심한 경우 필요)** --- **✅ 결론** - **파행증(Claudication)**은 **걸을 때 다리에 통증이 발생하지만, 쉬면 회복되는 증상**입니다. - **혈관 문제 (PAD)인지, 신경 문제 (척추관 협착증)인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혈관성 파행증은 심한 경우 다리 괴사(족부 괴저) 위험이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528
Paresthesia와 Palsy는 무엇인가?
**1. Paresthesia (이상 감각)** **Paresthesia(이상 감각)**는 **손, 발, 다리 등에서 저림, 따끔거림, 화끈거림, 마비된 느낌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 흔히 **"손발이 저리다", "얼얼하다", "찌릿찌릿하다"** 같은 표현으로 느껴집니다. - 보통 일시적일 수도 있고, 신경 손상이 있으면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 Paresthesia의 주요 원인** ✅ **일시적인 경우** - 오래 앉아 있거나 다리를 꼬아서 **혈류가 일시적으로 차단**될 때 (ex: "발이 저린 느낌") - **손목 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 손 저림 - **갑작스러운 신경 압박 (예: 팔짱을 오래 낌)** ✅ **만성적인 경우** (신경 손상 가능성) - **말초신경병증 (Diabetic Neuropathy)** → 당뇨병 환자에서 흔함 - **척추 디스크 탈출증** → 신경 압박으로 손발 저림 - **비타민 B12 결핍** → 신경 손상 유발 -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 신경계 질환으로 이상 감각 발생 --- **2. Palsy (마비, 근육 마비)** **Palsy(마비)**는 **근육의 힘이 약해지거나(약화), 완전히 움직일 수 없는 상태(완전 마비)**를 의미합니다. - 신경 손상이나 중추 신경계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 Palsy의 주요 종류** ✅ **말초 신경 마비 (Peripheral Palsy)** - **안면 신경 마비 (Bell's Palsy, 벨 마비)** → **한쪽 얼굴 근육 마비** (입이 한쪽으로 쏠리고 눈을 감기 어려움) - **상완 신경총 마비 (Brachial Plexus Palsy)** → 팔과 손의 마비 - **척수 손상으로 인한 마비** → 사지마비 (Quadriplegia) 또는 하지마비 (Paraplegia) ✅ **중추 신경 마비 (Central Palsy)** - **뇌졸중(Stroke)으로 인한 반신마비(Hemiplegia)** -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 출생 시 뇌 손상으로 운동 장애 발생 --- **✅ Paresthesia vs Palsy 차이점** | 구분 | Paresthesia (이상 감각) | Palsy (마비) | |------|-----------------|----------------| | **정의** | 신경 문제로 인해 저림, 따끔거림, 화끈거림 발생 | 신경 손상으로 근육이 약해지거나 움직이지 않음 | | **증상** | 저린 느낌, 찌릿함, 감각 이상 | 근력 저하, 움직임 제한 또는 완전 마비 | | **원인** | 혈류 차단, 신경 압박, 당뇨병성 신경병증 | 뇌졸중, 안면신경마비, 척수 손상 | | **예시** | 손발이 저리고 화끈거림 | 벨 마비, 뇌졸중으로 인한 반신마비 | --- **✅ 결론** - **Paresthesia(이상 감각)**: 신경 문제로 **저리거나 찌릿한 감각 이상**이 나타나는 증상 - **Palsy(마비)**: 신경 손상으로 **근육이 약해지거나 움직이지 않는 상태** 👉 **감각 이상(Paresthesia)과 운동 기능 이상(Palsy)은 서로 다르지만, 신경 손상으로 인해 함께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 구분 | **혈관성 파행 (허혈성)** | **신경성 파행** |
529
Lerichie's Syndrome은 무엇이며 이 질환의 3대 임상특징은 무엇인가?
발기부전, 대퇴동맥 맥박 감소(소실), 파행증 **Leriche 증후군이란?** **Leriche 증후군**은 **대동맥-장골 동맥(Aortoiliac) 폐색 증후군**으로, ❌ **복부 대동맥 말단부(Aortic bifurcation)와 장골동맥(Iliac artery)이 막히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주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혈류 공급이 차단됩니다. - 남성에서 **50~60대에 흔히 발생**하며, 주된 위험 요인은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입니다. --- **🔍 Leriche 증후군의 3대 특징** **1️⃣ 파행증 (Claudication) – 허리, 엉덩이, 허벅지의 통증** - **"걸으면 다리가 아프고, 쉬면 괜찮아지는 증상"** - Leriche 증후군에서는 **허리, 엉덩이, 허벅지(claudication of buttocks, thighs)의 파행증**이 나타남 - 이유: 대동맥-장골동맥이 막히면서 **다리로 가는 혈류 부족 → 근육 허혈 발생** - 혈관이 좁아져 산소 공급이 부족하므로, **운동할 때 통증**이 나타나고 **쉬면 혈류가 회복되어 통증 완화** --- **2️⃣ 대퇴동맥 맥박 감소 (Diminished femoral pulses)** - **사타구니(서혜부, Inguinal)에서 대퇴동맥(Femoral artery) 맥박이 약하거나 만져지지 않음** - 이유: **대동맥 말단부와 장골동맥이 막히면서, 그 아래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기 때문 - 검사 방법: **서혜부(inguinal region)에서 대퇴동맥을 촉진(palpation)했을 때 맥박이 약하거나 소실됨** - **발목-상완 혈압비(ABI, Ankle-Brachial Index) 감소** --- **3️⃣ 발기부전 (Erectile dysfunction, Impotence)** - **성기(Sexual organ)로 가는 혈류 감소로 인해 발기부전 발생** - 이유: **내장 골동맥(Internal iliac artery)과 음경동맥(Pudendal artery)으로 가는 혈류가 차단됨** - 결과적으로, **음경 혈관 확장이 어려워 발기 불가능 또는 불완전 발기** - **Leriche 증후군이 있는 남성 환자에서 중요한 초기 증상 중 하나!** --- **✅ 정리: Leriche 증후군의 3대 특징** | 특징 | 설명 | 원인 | |------|------|------| | **1. 파행증** | 허리, 엉덩이, 허벅지가 아프고 걸으면 심해짐 | 다리로 가는 혈류 부족 | | **2. 대퇴동맥 맥박 감소** | 서혜부에서 대퇴동맥 맥박이 약하거나 소실됨 | 장골동맥 폐색 | | **3. 발기부전** | 혈류 부족으로 발기 불가능 | 내장골동맥, 음경동맥 혈류 차단 | --- **🩺 진단 방법** ✅ **신체검사** - **서혜부에서 대퇴동맥 맥박 촉진** - **다리 피부색 변화, 냉감 확인** ✅ **혈관 검사** - **ABI 검사(발목-상완 혈압비, Ankle-Brachial Index)** → **0.9 이하**이면 혈관 폐색 의심 - **도플러 초음파 (Doppler Ultrasound)** → 혈류 감소 확인 - **CT/MRI 혈관조영술(Angiography)** → **대동맥-장골 동맥의 폐색 위치 확인** --- **🩹 치료 방법** ✅ **🚭 생활습관 개선** - 금연 (흡연은 혈관 협착을 악화시킴) - 운동 및 체중 조절 ✅ **💊 약물 치료** -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 혈전 예방 - 스타틴(Statin) → 죽상경화 예방 - 혈관 확장제(실로스타졸) ✅ **🩺 시술/수술** - **혈관 확장술 (Angioplasty & Stenting)** → 풍선 카테터로 혈관 확장 후 스텐트 삽입 - **우회로 수술(Bypass Surgery)** → 막힌 혈관을 우회하여 새로운 혈류 통로 생성 --- **✅ 결론** - **Leriche 증후군**은 **대동맥-장골동맥 폐색으로 인해 혈류 공급이 차단되는 질환** - 🚨 **3대 증상**: 1️⃣ **엉덩이/허벅지의 파행증** 2️⃣ **대퇴동맥 맥박 감소** 3️⃣ **발기부전** - ❗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
530
CVI의 약자는 무엇인가?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만성 정맥 기능 부전이다. **CVI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만성 정맥 기능 부전)란?** **CVI(만성 정맥 기능 부전, Chronic Venous Insufficiency)**는 **다리 정맥이 손상되어 혈액이 원활하게 심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정체(울혈)되는 질환**입니다. - 주로 **하지 정맥(다리 정맥)의 판막이 손상**되거나 **정맥 벽이 약해지면서** 발생 - 혈액이 정맥에 고이면서 **다리 부종, 통증, 피부 변색, 궤양** 등이 나타남 --- **🔍 CVI의 주요 원인** ✅ **1. 정맥 판막 손상 (Valve Dysfunction)** - 정상적인 정맥은 **일방통행 판막**이 있어 혈액이 심장으로만 이동 - CVI에서는 **판막이 손상**되어 혈액이 역류(정맥 역류, Venous Reflux) ✅ **2. 정맥 벽 약화 (Venous Wall Weakness)** - 정맥이 확장되면서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음 → 혈액이 정체됨 ✅ **3. 주요 위험 요인** - **혈전증 병력 (DVT, Deep Vein Thrombosis)** → 혈전이 정맥 판막을 손상 - **비만** → 정맥 압력이 증가 -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생활 습관** - **임신** → 호르몬 변화 및 복압 상승 - **고령** → 정맥 탄력 감소 --- **🩺 CVI의 주요 증상** | 증상 | 설명 | |------|------| | **다리 부종 (Edema)** | 오후나 저녁에 심해지는 종아리 부종 | | **중압감, 무거운 느낌 (Heaviness)** | 특히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으면 악화 | | **통증 (Pain, Aching, Cramping)** | **"지끈거리는 느낌"** 또는 **"저릿한 느낌"** | | **하지정맥류 (Varicose Veins)** | 부풀어 오른 구불구불한 정맥 | | **피부 변화 (Hyperpigmentation)** | **갈색 또는 자색 색소 침착** (특히 발목 주변) | | **피부 궤양 (Venous Ulcer)** | 주로 **내측 복사뼈(Medial Malleolus)** 주변에 발생 | --- **🔬 CVI 진단 방법** ✅ **신체검사** - 다리 부종, 정맥류, 피부 색소 변화 확인 - **다리를 올렸을 때 부종이 줄어드는지 관찰** ✅ **초음파 (Venous Duplex Ultrasound)** - 정맥 혈류 흐름 및 판막 기능 확인 - 혈전(DVT) 유무 평가 ✅ **혈관 기능 검사 (Venography, Plethysmography)** - 심한 경우 혈관 조영술로 정맥 상태 확인 --- **🩹 CVI 치료 방법** #### **✅ 1. 생활 습관 개선** - **다리 올리기(Elevation)** → 혈액 순환 촉진 - **운동(특히 걷기)** → 종아리 근육을 활성화하여 정맥 혈류 개선 - **체중 감량** → 다리 정맥 압력 감소 - **장시간 서 있기/앉아 있기 피하기** **✅ 2. 압박 요법 (Compression Therapy)** - **압박스타킹(Compression Stockings)** 착용 → 정맥 혈류 개선 - **경증: 20-30 mmHg / 중증: 30-40 mmHg 강도의 스타킹 추천** **✅ 3. 약물 치료** - **정맥 강화제 (Diosmin, Horse Chestnut Extract 등)** - **항응고제 (DVT 병력이 있는 경우)** **✅ 4. 시술 및 수술** - **경화 요법(Sclerotherapy)** → 작은 정맥 폐쇄 - **레이저 치료(EVLT, Endovenous Laser Therapy) 또는 고주파 치료(RFA, Radiofrequency Ablation)** - **정맥 결찰술(Vein Stripping) 또는 정맥 우회 수술(Severe case)** --- **✅ 결론** - **CVI(만성 정맥 기능 부전)**은 다리 정맥 판막이 손상되어 혈액이 정체되는 질환 - **주요 증상**: 다리 부종, 통증, 무거운 느낌, 피부 색소 침착, 궤양 - **치료법**: 생활습관 개선 + 압박 스타킹 + 필요 시 레이저 치료 or 수술 - **초기 관리가 중요하며, 방치하면 피부 궤양 등 심각한 합병증 발생 가능!** 🚑
531
CVI로 인해 궤양이 일어나는 주요 부위는 어디인가?
복숭아뼈 위이다.
532
CVI의 원인 혈관 두 가지는 무엇인가?
Greater Saphenous v. Lesser Saphenous v.
533
DVT(Deep vein Thrombosis)의 1st Choice 치료제는 무엇인가?
항응고제이다. 그 다음은 혈전 제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