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1 Flashcards
절대온도를 측정한 사람
윌리엄 톰슨 캘빈
수량화는 당연한게 아니다 누구?
장하석
온도계가 수량적으로 정립된 때
1800년대 후반
세계관 worldview란?
서로 밀접한 관계로 엮이고 연결된 믿음 체계
기원전 300년 무렵부터 1600년까지 서구를 지배한 세계관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
- 지구가 우주의 중심
믿음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중심 믿음
주변 믿음 - 바꿔도 전체 세계관은 건재
우리가 지닌 믿음 중 직접 증거 있는 경우는 놀랄만큼 적다
대체로 서로 연결된 커다란 믿음 집합에 어울린다는 이유로 믿는다
참된 믿음을 참으로 만드는 것은 그 믿음이 실재에 대응하는 것이라는 썰
진리대응설
어떤 믿음을 참으로 만드는 것은 그 믿음이 다른 믿음과 정합하거나 일치하는 것이라는 썰
진리정합설
진리대응설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론
표상적 지각이론 (우리의 감각을 믿을 수 있나)
????은 귀납적 추론
????는 연역적 추론
확증 추론
반확증 추론
귀납적 추론의 특성은?
모든 전제가 참이라해도
틀릴 가능성이 (아무리 희박해도) 언제나 있다 (반면 연역적 추론에서는 참인 전제는 참인 결론 보증)
콰인 뒤앙 명제의 사람들
윌러드 콰인 - 철학자
피에르 뒤앙 - 물리학자
콰인 뒤앙 명제란
- 우리 믿음들이 개별적이 아닌 한 무리로 경험의 법정에 출두
- 경쟁하는 두 이론 중 어느 것이 옳은지 가리는 결정적 실험은 없다
- 미결정성 개념. 즉 이용가능한 데이터는 대체로 어떤 이론을 유일하게 옳은 이론으로 가려내지 못 한다
반확증 추론은 항상 ????을 동반할 위험에 있다
보조가설.
그리고 주된 가설을 기각하기보다 보조가설을 기각할 가능성이 항상 열려있다
트라이브, 각자도생을 거부하라
를 쓴 사람
시배스쳔 융거
등교 거부 운동을 시작하기 전까지 나는 활기도, 친구도 없었고 누구와도 이야기하지 않았다. 섭식 장애에 시달리면서 집에 혼자 앉아 있었다. 지금은 그 모든 게 사라졌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에겐 피상적이고 의미 없어 보이는 세상에서 의미를 찾았기 때문이다.23
누구 말?
최선의 고통 | 폴 블룸, 김태훈 저
그레타 툰베리
한의학에는 ‘???’이라고, 의사는 팔뚝뼈가 세 번 정도 부러져봐야 아픈 이들의 통증을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분절삼굉
환자의 통증이 엄청 심하다는 것을 의사는 알아야 한다는 의미이지만, 역설적으로 의사가 환자의 통증에 무덤덤하다는 표현일 수도 있는 단어입니다.
통증을 느끼고 고통스럽다고 인식하지만, 불쾌하게 여기지 않는 질환이다. 이 병에 걸린 사람은 통증을 가하도록 의사나 과학자에게 몸의 일부를 내준다.
최선의 고통 | 폴 블룸, 김태훈 저
통각마비 asymbolia
무통각증과는 다르다
진통제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통각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
통각마비 즉 통각을 느끼되 불쾌하지 않게 하는것
과학적 연구와 일상적 경험 모두 한층 강한 주장을 제시한다. 바로 고통은 ????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최선의 고통 | 폴 블룸, 김태훈 저
좋은 것
에밀리 코네트Emily Cornett는 최근 가슴 아픈 이별을 한 사람들이 왜 이별 노래를 듣기를 즐기는지 궁금해했다.
17 그녀는 그들만 이별을 겪은 것이 아니며, 같은 감정을 느끼는 다른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별 노래가 알려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최선의 고통 | 폴 블룸, 김태훈 저
그는 일 때문에 자신이 불행한 거라는 말을 아내한테 들었다고 동료들에게 털어놓는다. 그러자 동료 중 한 명이 이렇게 대꾸한다. “하지만 자네는 불행할 때 행복하잖아.” 어느 영화
최선의 고통 | 폴 블룸, 김태훈 저
빅쇼트에서 스티브 카렐이 연기하는 마크 바움
얼굴에 주먹을 맞는 일을 즐기게 되고, 뒤이어 얼굴에 주먹을 맞아야 할 필요가 생기는 상태가 된다. 이제 당신은 위험을 반긴다. 위험이 없으면 삶이 공허하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위험은 혈관으로 피가 더 빨리 흐르게 만든다. 눈에 눈물이 고이고 심장이 뛰게 만든다. 세상이 흔들리게 만든다. 신비론자들이 영원이라고 부르는 집중된 현재의 순간으로 잡아당기면서 당신이 필멸의 존재임을 상기시킨다. 누구 말
최선의 고통 | 폴 블룸, 김태훈
조시 로젠블라트
Why we fight?의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