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2 Flashcards
(207 cards)
자아의 통일성은 마빈 민스키는 뭐라 불렀나
마음의 사회
철학자 네드 블록은 ???? 의식이란 퀄리아를 경험하는 것이라 했다
현상적
그는 퀄리아가 다른 정신상태와 완전히 구별되어 있으며 사고 말 행동을 이끄는데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는다고 했다
스티브 수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동양인은
사람은 바꿀 수 있어도
세상은 바꿀 수 없다고 믿는다
서양은 반대이다
하나님이 사랑을 만드니 악마가 결혼을 만들었다. 누구 말?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
그릿을 쓴 사람
앤절라 더크워스
하지만 성실성과 유사한 개념을 재포장했을 뿐 아니라 내용도 문제가 있다고 학계의 커다란 비판을 받았다. 성실성은 성공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그릿은 아니다
그릿과 성실성의 문제점
성실성은 심리학계에서 성격 특성으로 분류된다. 즉 안 바뀐다. 즉 그릿을 가지는 건 성격을 바꾸는 일
‘????’ 현상에 관한 고전적 실험이 있다. 발에 강한 전기충격을 받으면 두 종류의 통증이 느껴지는데, 하나는 거의 즉시 뇌로 전달되는 빠른 신경섬유에 의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2~3초 후에 전달되는 느린 신경섬유에 의한 것이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이중 통증double pain
눈을 누르면 빛이 느껴지는 현상
안내섬광
피터 싱어가 제시한 도덕의 원칙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
공리주의 철학자 싱어는 1975년작 <동물해방>으로 동물권 논의에 불을 지펴 동물해방운동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쾌고감수능력’(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sentience)에 주목한 그는 “인간이 느끼는 정도의 고통을 동물이 느낀다면 그들의 고통을 인간의 고통과 평등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이익평등고려원칙’을 내세웠다.</동물해방>
공리주의 철학자 싱어는 1975년작 <동물해방>으로 동물권 논의에 불을 지펴 동물해방운동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에 주목한 그는 “인간이 느끼는 정도의 고통을 동물이 느낀다면 그들의 고통을 인간의 고통과 평등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이익평등고려원칙’을 내세웠다.</동물해방>
쾌고감수능력’(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sentience)
???은 1983년 <동물권>를 통해 의무론적 입장에 기댄 논의로 동물권 논쟁의 지형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은 공리주의적 해법에 맞서 “삶의 주체는 모두 동등한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는 ‘내재적 가치’(inherent value)를 앞세우고 이를 권리와 연결시켰다.</동물권>
톰 리건
‘??’이라는 용어를 배운 적이 없었다. 실험 조건이 야생 조건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뜻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생태학적 타당성ecological validity
이 책에서 나중에 설명할 현상적 의식 이론의 일부이자 데닛이 늘 하던 주장에 동의하게 되었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감각의 주관적 특성은 궁극적으로 행동 경향behavioral dispositions으로 환산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i모든 사건은 그것이 일어나야 했던 충분한 이유나 원인이 있어야 한다는 원리.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3141
충족인과율 충족이유율
??은 “나는 느낀다, 고로 존재한다I feel, therefore I am”라고 결론을 내렸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흄
???은 시각과 청각 같은 감각과 비교할 때 눈에 띄는 특징이 있다. 동반하는 감각이 없다는 것이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고유감각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는 인식이 결여되어 있다. ???은 신체적 사건 경험, 그 자체다. 이를 유발하는 객관적인 외부 상황과는 별로 관련되지 않는다.i 순수한 느낌의 사례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오르가슴
???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문장을 두고, 치통을 과소평가하는 지성인의 발언이라고 했다. 이렇게 썼다. “자아의 기초는 생각이 아니라 모든 감정의 핵심인 고통이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소설가 밀란 쿤데라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서
이 이론은 신체의 각 원자가 의식의 고유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사이코닉 이론
설상가상으로 ??는 정교한 과학적 버전의 범심론을 제안했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신경과학자 줄리오 토노니Guilio Tononi
파이 뇌로부터 영혼까지의 여행
줄리오 토노니가 제시한 의식 이론
통합 정보 이론
이 이론은 큰 전체의 부분 간에 정보가 조율되면서 의식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살아 있는 뇌뿐만 아니라 어떤 규모의 통합 시스템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이다. 전체 시스템 자체가 체험자이며 경험은 그 자체에 대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전체 시스템 자체가 체험자이며 경험은 그 자체에 대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는 《뉴사이언티스트》 잡지의 ‘우주적 의식’에 대한 기사에서 “수학적으로 가장 성숙한 의식 이론”으로 묘사되었으며, 이론 개발에 기여한 크리스토프 코흐는 이 이론을 “유일하게 유망한 기본적 의식 이론”이라고 했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줄리오 토노니의 통합정보이론
우리는 의식의 시작을 가능한 모든 방식으로 이해하려고 진심으로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그동안 이전에는 그 성질이 존재하지 않았던 우주에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윌리엄 제임스
자연에서 갑작스러운 변화는 없다고들 한다. 성장 혹은 파괴를 말할 때 우리는 항상 점진적 성장이나 점진적 소멸을 가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존재의 변화가 질적 수준에서 갑자기 다른 것으로 도약하는 전환의 사례를 여러 번 목격했다.94 누구
센티언스(Sentience) | 니컬러스 험프리, 박한선 저
헤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