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7 Flashcards
실제의 이동에 적용할 때 속도의 그래프의 아래쪽 부분의 면적을 합산해보면 ??가 나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이동한 거리
가속도의 적분은 속도가 되고, 속도의 적분은 이동 거리가 되고,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반대로 이동 거리의 미분은 속도가 되고, 속도의 미분은 가속도가 됩니다.
미분과 적분은 서로 ?관계
역함수
우리가 살펴본 기관 없는 신체에서 유기체나 기관으로 가는 방향은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현실화, 적분이고, 반대로 유기체에서 기관 없는 신체, 생명 그 자체로 가는 방향은 잠재화, 미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들뢰즈나 20세기 철학자들은 ????의 상태로부터 세상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합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저 아래의 심연에서 꿈틀거리는 에너지와 혼돈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면서 프로이트, 니체, 맑스가 저 아래쪽에서 이 세상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설명하였습니다. 무의식에서, 혼돈에서, 자본에서 이 세상을 설명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플라톤이 생각한 이데아의 세상을 거부하고 저 아래쪽에서의 세상의 발생을 설명하는 생각에 대해서 들뢰즈는 ‘????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반-플라톤주의anti-platonism’
“20세기 프랑스 철학의 근간
스펙터클의 사회의 저자
기 드보르
반-플라톤주의는 ??을 강조하고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영원성보다는 일시성을, 진리보다는 관점을, 동일성보다는 차이를, 실체보다는 관계를, 존재자보다는 사건과 생성
바디우의 입장은 특이한데, 본인은 자신을 플라톤주의자라고 말합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바디우는 진리를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절차로서의 진리입니다. 바디우는 플라톤처럼 수학을 믿는데, 바디우가 사용하는 수학은 집합론이고 무한론이기 때문에 이 수학은 언어의 한계와 역설까지 포함하고, 기존 체계를 넘어서는 사고를 하고 있습니다. 바디우가 말하는 수학은 플라톤이 말하는 기하학과는 차원이 다른 수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라캉의 실재, 하이데거의 존재, 바디우의 무한, 들뢰즈의 잠재태를 들을 때 그것들을 ??로 착각하기 쉬운데, ??로 혼동하시면 절대 안 된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
이데아
실체가 속성과 양태로 표현되면서 세상이 만들어진다는 ??의 설명에서 들뢰즈가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스피노자
니체 이후의 20세기 후반의 프랑스 철학은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저 아래쪽에 대해서 탐구하는 철학입니다. 어려운 말로 심연을 탐구한다고 합니다.
플라톤이 말하는 이데아의 상태가 현실로 나타나는 것은 ???이라고 합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재현representation
프랑스 철학자 ??는 초현실주의가 위sur를 뜻하는 surréalisme이 아니라 밑sous을 뜻하는 sous-réalisme이라고 말했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
바타유Bataille
재현과 유사한 용어인 ??는 라캉, 바디우, 하이데거가 사용하는데, ??는 실재계의 어떤 것이 상징계에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 표지되는 것입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현시presentation
현시는 날것이 나타나는 것이고 직접적인 것인 반면에 재현은 한번 걸러진 간접적인 것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들뢰즈를 비롯한 현대철학자들과 미학자들은 재현의 개념을 매우 싫어합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재현은 이데아의 질서가 현실에 나타나거나 어떤 것이 여러 단계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죠.
들뢰즈는 완전한 혼돈도 완전한 질서도 아닌 그 중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카오스모스 개념 (펠릭스 과타리가 창안)
카오스모스는 라캉이 상징계의 균열을 닫지 말고 열린 채로 유지해야 한다고 말한 것을 들뢰즈적으로 해석한 것입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들뢰즈가 말하는 ??은 현실태의 정체성identity이 확실히 정해진 기존 질서의 체계, 주도권을 잡고 있는 다수자, 고정관념과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운동입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생성
바디우는 심지어 진리를 ???로 표시하기까지 합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여성의 기호(♀)
라이프니츠는 이 세상의 근본적인 입자로 ??라는 개념을 생각했는데요, 이 입자 안에는 전 우주의 모든 시간대의 모든 사건의 계획이 다 들어 있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모나드monade
라이프니츠는 이 세상의 근본적인 입자로 ??라는 개념을 생각했는데요, 이 입자 안에는 전 우주의 모든 시간대의 모든 사건의 계획이 다 들어 있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모나드monade
???는 녹색 안에 미세한 파란색과 미세한 노란색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라캉, 바디우, 들뢰즈의 세계관 3 : 들뢰즈 편 | 장용순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42363
컬러 티비와 같다
들뢰즈의 경험주의와 주체성은 누구에 관해 쓴 것인가
데이비드 흄
정신분석학자 펠릭스 과타리 만나기 전 들뢰즈가 쓴 책
차이와 반복
의미의 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