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강심제, 협심증 치료제, 부정맥 치료제 개념 Flashcards
(11 cards)
강심배당체의 종류와 구분방법
C-17부분의 락톤환의 종류
1) 보통 식물유래 배당체(cardenolide) : 5원환의 알파,베타 불포화 락톤환
2) 동물유래 강심배당체(bufadienolide) : 육원환의 두개의 연결된 이중결합이 있는 락톤환(알파-pyrone)
강심배당체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당
D-glucose
D-digitoxose
L-rhamnose
D-cymarose
(주로 베타구조를 가짐)
- C14 위치에 (1. ) 기를 가지고, C17위치에 불포화 5환 또는 6환 lactone이 치환된 steroid 독특한 구조인 “(2. )”
- C-10과 C-13 위치에 2개의 (3. )그룹
- 4.당이 붙는 위치인 C-( )과, C-( )에 –OH기 존재
- Digoxigenein, digitoxigenin 및 gitoxigenein의 경우 C-12와 C-16 위치의 (5. )의 유무가 각 배당체의 약동학적 성질에 영향
- Aglycone 부분의 C-3에 있는 하이드록시그룹; 단당류나 다당류가 (6. )로 결 합, 당의 종류나 개수는 배당체에 따라 매우 다양
- 당에 있는 (7. )그룹은 배당체의 약동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침
- hydroxyl
- U-shape
- angular 메틸
- 3, 14
- OH
- β-1,4-glucosidic linkage
- O-acetyl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의 작용기전
-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이뇨를 통하여 심장 크기 및 혈액량에도 영향을 미침
- 심근 수축 자극; -> 세포 외 Na+의 세포 내 유입을 촉진하여 탈분극을 일으킴 -> 세포 내의 양전하의 증가는 세포 외 Ca2+의 세포 내 유입을 초래
- 심근 세포 내 Ca2+ 의 증가는 심근 수축 기전을 활성화하여 심근의 수축 -> Na+, K+-ATPase 억제되면 세포 내 Na+가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세포 내 Na+의 양이 정상 상태 보다 높게 유지되고 이는 Ca2+ 의 세포 내 농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와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킴
강심배당체의 구조-활성 관계
강심배당체의 약동학적 성질
지용성이 높은 강심배당체는 신속하게 흡수되며 작용지속 시간은 연장됨
배당체의 당과 비당부의 –OH 그룹의 수가 지용성 결정에 중요한 인자
당의 O-acetyl기의 유무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음
강심배당체의 당부분은 약동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만 약물표적과의 상호작용 (약역학 적 성질)에는 관여하지 않음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의 약물 상호작용
digitoxin
Digitoxin은 P-gp efflux pump를 매개로 세뇨관으로 분비되어 신장으로 배설되고 장 관에서 전신흡수 시, P-gp efflux pump를 매개로 장관 내로 분비되는 성질을 보임
P-gp efflux pump에 대한 타약물과의 경쟁 관계가 약물 상호작용의 주 기전
Quinidine: P-gp efflux pump에 경쟁적 기질로 작용하여 digitoxin의 신장배설억제
Ca2+ channel 차단제인 verapamil; 장관에 있는 P-gp efflux pump를 불활성화하여 digitoxin의 혈중 농도를 상승시킴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의 약물 상호작용
digitalis
Thiazide 류 이뇨제 K+의 배설을 촉진하여 hypokalemia를 유발하는 이뇨제 - digitalis의 작용을 높여 독성을 유발 할 수 있음
강심제로서의 β-아드레날린 효능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심장 근육은 대부분 β-아드레날린 수용체 (특히 β1)
- 수용체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 효능약(agonist)에 의해 활성화되어 심근수축
- cAMP의 농도를 상승시켜 세포내 Ca2+의 농도를 증가 -> 심장 근육의 수축
- 효능약; 심장근육의 β-아드레날린 수용체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원하지 않는 양성 변시 적 효과(positive chronotropic effect), 악성 부정맥, 혈관수축을 일으킴
- 울혈성심부전환자에게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음
예) 도파민 자체는 강력한 β1수용체 자극제이지만 위에 언급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
ex)dobutamine
강심제로서 PDE3저해제의 설명
- 베타 -1 수용체 효능제가 수용체에 결합->-cAMP 합성증가 -> protein kinase A를 활성화 -> 세포 내 칼슘의 농도가 증가 (칼슘의 유입증가, 칼슘의 소포체 내 저장 억제) -> Troponin에 결 합하여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킴
- PDE3 저해제는 cAMP를 분해하는 효소인 심장 세포에 있는 PDE3를 억제하여 세포 내 cAMP의 농도를 높여 유사한 수축력 증대효과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