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교육심리학 Flashcards

1
Q

행동주의

A

-자극과 반응의 연합.
관찰.가능한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

  1. 고전적 조건화-파블로프
  2. 조작적 조건화-스키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

A

-특정한 반응과 전혀 관련이 없는 자극이 일정한 과정을 통해 특정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중립자극(종소리)+무조건자극(고기)=무조건 반응(침)
조건자극(종소리)-조건반응(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고전적 조건화

-일반화/변별/소거

A
  1. 일반화: 똑같지 않은 자극이 동일한 조건 반응을 이끌어 내는 것
  2. 변별: 동일하지 않은 자극에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
  3. 소거: 조건자극만 반복적으로 주어져 조건자극이 더이상 조건반응을 이끌어 내지 못하게되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고전적 조건화 이론을 통한 부적응행등의 교정

A
  1. 소거:행동장애나 나쁜습관이 유발호는 생리적인 만족감을 제공하지않고 조건자극을 반복적으로 제시
  2. 역조건: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반응을 바람직한 조건반응으로 대치하려는 방법
  3. 홍수법:장시간동안 충분하게 경험시켜 공포나 불안을 소거시키는 방법
  4. 체계적 둔감법: 역조건 형성을 이용하여 공포를 일으키는 자극에 점진적으로 노출시켜 공포소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조작적 조건화

A
  • 스키너
  •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가 학습자의 의지가 개입되지 않는 비자발적 학습에는 유용한 설명..학교의 학습에는 적용되기 힘듦-조작적조건화
  • 유발된 행동의 결과에 관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강화란?/ 소거란?/ 벌?

A
  •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작적 조건화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 강화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행동의 빈도가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과정
  •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가정된 행동의 빈도를 약화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과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강화계획/ 간헐

A

계속 강화 계획

간헐적 강화계획

간헐:고정비율, 변동비율, 고정간격, 변동간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조작적 조건화의 행동수정기법

A

모든행동은 학습된다. 행동을 변화시키는 절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기법

A
  1. 프리맥의 원리: 정적 강화방법(보다 선호하는 행동을 강화물로 활용/불쾌자극 먼제, 쾌자극 후)
  2. 토큰강화
  3. 행동조성: 목표행동을 점진적으로 형성(여러 단계로 나누어 강화)
    - 원리: 차별강화+점진적 접근
    - 절차: 1.바람직한 목표행동 선정-기초선 비율 설정-목표행동을 소단위 행동으로 구분한 다음 순서대로 배열-계속적 강화에 따라 접근하는 행동 강화 제공- 목표행동을 할때마다 강화 제공-간헐적 강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문제행동의 교정을 위한 기법

A
  1. 타임아웃: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강화를 받을 수 있는 기회 박탈,추방
  2. 벌: 수여성 벌, 제거성 벌
  3. 상반행동강화:문제가 되는 행동과 반대되는 바람직한 행동을 찾아 강화하는 방법
  4. 차별강화: 여러행동중 하나만 골라 선택적 강화
  5. 소거: 문제행동에 주어지던 강화 중단하여 그 행동의 발생 감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프로그램 학습(PI)

A

행동조성 원리를 수업에 적용.

단계별 학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작동적 조건화 이론의 한계

A
  • 인지적으로 일어나는 학습을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
    1. 잠재적 학습
    2. 지각학습
    3. 통찰학습
    4. 각인현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사회인지학습이론

A

반두라

  •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의 유사점
    1. 강화와 벌의 개념을 포함
    2. 피드백이 중요
  •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의 차이점
    1. 신념,자기 지각, 기대의 역할 강조
    2. 환경, 개인 내 요인, 행동이 서로 의존하는 관계

*강화인과 벌이 기대형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사회인지학습이론

-모델링

A

-여러사람 모델을 관찰한 결과로 발생한 행동, 인지, 정서 변화를 지칭

  • 직접모덱: 직접 시범
  • 상징적모델: 영화,책 녹화된 것들
  • 종합적 모델링: 관찰된 행위의 여러부분을 결합하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대리학습

A

-관찰하고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조절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모델링학습의 과정

A
  1. 주의집중
  2. 파지: 기억속에 저장
  3. 재생산: 기억속 행동 재생산
  4. 동기화: 강화 기대(라는 동기를 가짐)
17
Q

자기조절

A

학습자의 기대가 행동과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만드는 것

18
Q

인지주의

A

인간내부에서 일어나는 인지적 과정
-원리
학습과 발달은 학습자의 경험에 의존한다.

19
Q

형태주의 심리학

A

실제 존재하는 사실과는 다르게 받아들이는것.
전체는 단순히 부분의 합이 아니라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

  • 베르트하이머: 파이현상
  • 쾰러:통찰이론
  • 레빈: 장이론
20
Q

인지주의

A
  1. 형태주의 심리학

2. 정보처리 이론

21
Q

정보처리이론

A

환경으로부터 자극-감각기억- 주의,지각-작업기억-시연,부호화,인출-장기기억

22
Q

작업기억 모형

A

-정보 처리,장기기억으로 옮김

  1. 음운고리
    - 단어와 소리를 단기간 저장
  2. 시공간 스케치판
    - 시각 또는 공간적 정보 단기간 저장
23
Q

장기기억-인지적 부하를 줄이를 전략

A
  1. 청킹(의미있는 단위로 묶는 정신과정)
  2. 자동화(정신적 조작을 수행할 수있는 능력)
  3. 분산된 처리(시각정보, 언어정보, 청각정보 등을 분산하여 처리)
24
Q

장기기억

A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있는 곳

  1. 명시적 기억(의식적): 일화기억(섬광기억), 의미기억(도식-명제, 심상..)
  2. 암묵적 기억(무의식적): 점화, 절차기억, 고전적 조건형성 효과
25
Q

정보처리 과정의 인지과정

A
  1. 주의집중:의식적으로 초점두기
  2. 지각: 자극에 부여된 의미
  3. 시연: 반복을 통한 정보 유지(집중학습, 분산학습)
  4. 부호화: 유의미하게 장기기억에 정보와 관련짓는 과정
  5. 인출
26
Q

정보처리이론 부호화

A
  1. 정교화: 새로운 정보에 의미 부여
  2. 조직화:질서 부여
  3. 맥락화:학습내용과 관련없이 상황과 관련
  4. 심상형성: 시각적인 형태로 변형
27
Q

인출

A
  • 인출단서: 실마리나 힌트

- 부호화 특수성: 정서를 부호화 할때 사용되는 단서(맥락과 정서)

28
Q

정보처리 이론 메타인지

A

인지과정에 대한 지식과 통제

-상위인지의 주요기술은 계획, 점검, 평가

29
Q

동기이론

A

동기란 목표지향적인 활동이 유발되고 지속되는 과정

-외재.내재동기

30
Q

내재적으로 동기화되는 경우

A
  1. 도전을 제시하라
  2. 자율성에 대한 느낌을 촉진하라
  3. 호기심을 자극하라
  4. 창의성과 상상력을 자극하라
31
Q

학습 동기

A
  1. 과잉정당화 효과(과잉 정당화 가설): 외재적 보상이 내재적 동기를 감소시키는 현상

2. 인지평가 이론(데시): 외재적 보상이 내재적 동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본다

32
Q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

A

결핍욕구: 충족되지 않았을 때 인간으로 하여금 그것을 충족하고자 노력하게하는 욕구

성장욕구: 잠재력에 최대한 도달하고 자신실현을 이끌고자 하는 욕구(완전 충족 안됨)

-시사점: 학생을 먼저 인간으로 대하고 다음 학생
안전하고 질서있는 교실 만들기

33
Q

자기결정성 이론

A
  • 자신의 환경에따라 행동하고 환경을 통제하고자 하는 욕구
  • 동기의 변화과정: 무동기-외재적 동기-내재적 동기
  • 인간은 유능성,자율성, 관계성 욕구를 가진다고 가정
34
Q

자기결정이론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A

-유능성: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능력(내재적으로 동기)
화이트

  • 자율성: 독립성에 대한 욕구,학생들에게 선택할 수있는 기회 제공하는 것
  • 관계성: 사회환경 속에서 다른 사람들가 연관되어 있다는 느낌, 강한 인정 욕구.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35
Q

실현경향 -로저스의 실현경향

A

1.실현경향이 동기의 원천이다

2.성장을 위한 노력에는 투쟁과 고통이 수반
이겨나가는 것을 실현 경향이라고 함

3.타인과의 상호작용은 개인의 실현경향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 타인의 역할은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관심’을 통해 각개인이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으로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