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교육심리학(학습동기~) Flashcards

1
Q

기대x가치 이론

A

성공에 대해 개인이 부여하는 가치를 곱한 값만큼 동기화댈 것

  1. 성공에 대한 기대-과제난이도 인식/자기도식
  2. 과제가치-내재적 흥미/중요성/효용가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드웩의 지능에 대한 암묵이론

A

지능에 대해 어떤 믿음을 가지고 있는지가 학생들의 다양한 동기 유형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정보 제공

  • 2가지 유형
    1. 정체이론:고정적 관점/지능은 변화하지 않는다는 입장/보다 긍정적인 평가 받기를 원함

2.증가이론: 변화될수 있음/도전감있는 과제 도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자기효능감

A

능력에 대한 믿음
-개인이 특정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

-구성요인: 개인적 자아효능감(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의 판단) 결과에 대한 기대감(어떤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자신의 판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강한 자아효능감 유발의 방법

A
  1. 성공적인 성과달성
  2. 대리적 경험
  3. 언어에 의한 설득
  4. 정서적 안정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학습된 무기력감

A

계속되는 실패와 좌절통해 의욕상실, 자포자기한 상태에 이르게 되는 현상

  • 학습된 무기력감을 가진 학생 돕는 법
    1. 정기적 성공경험
    2. 노력 인정, 격려, 발전에 대한 기대감
    3. 스스로 학습활동 통제사실 경험시키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귀인

A

성공과 실패의 원인에 대한 학습자의 믿음과 이 믿음이 어떻게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귀인의 발생 차워3가지

4가지 귀인요소

A
  • 소재, 안정성, 통제

- 능력, 노력, 과제난이도,행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목표지향이론

A
  1. 숙달목표: 과제 달성, 이해 증진이 목표(공부잘하기)

2. 수행목표: 다른사람과 비교한 역량에 초점(등수 높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수행목표

A
  1. 수행접근목표:유능하게 보이는 것, 호의적 평가

2. 수행회피목표:무능력하게 보이는것 피하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앳킨스 성취동기이론

A
  1. 성공추구 학습자: 실패의 귀인을 자신의 노력으로
  2. 실패회피 학습자: 아주어렵거나 쉬운과제 선택
  3. 실패수용 학습자:무기력전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동기설계이론-켈러

A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전이

A

이전의 학습이 새로운 학습 혹은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것

-일반적 전이/특수적 전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전이이론

A

1.형식도야설: 기본 정신능력만 잘 훈련시키면 그 효과가 여러 분야에 걸쳐 일반적으로 전이 된다는 주장
(교과중심 교.과)
2.동일요소설: 선행학습 상황과 일어날 새로운 학습상황에 다 같이 나타나는 것

  1. 일반화설(동일원리설): 동일요소설과 대조, 새로운 장면에 적용하거나 일반화할 수있는 일반법칙이나 원리 학습하는 것
  2. 형태이조설: 완전한 형태의 수단-목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전이가 잘 일어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문제해결과정

A

브랜스포드와 슈타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문제해결전략

A

약한전략: 시행착오나 발견법, 초보자들, 일반적 문제해결전략

강한전략: 영역특수 전략, 전문가들, 전이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