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흡수장애 by prof. 박준석) Flashcards
(77 cards)
소화관에서 소화와 흡수의 주된 장소는 어디인가?
➡️ 소장 (Small intestine)
📌 요점 정리
- 십이지장: 소화 시작, 담즙 및 췌장효소 작용
- 공장: 대부분 영양소 흡수
- 회장: Vit B12, 담즙산 재흡수
🧠 Mnemonic
“소-싯-공-회” (소장은 싯고, 공장 회장 순서)
🩺 보충 설명
- 위에서는 소화가 시작될 뿐, 흡수의 대부분은 소장에서 이루어진다.
담즙산과 지방산이 결합하여 흡수되기 쉬운 구조는 무엇인가?
➡️ Micelle (미셀)
📌 요점 정리
- 미셀은 지용성 성분을 수용성 외피로 감싼 구조
- 지방산, monoglyceride, 콜레스테롤 + 담즙산으로 구성
🧠 Mnemonic
“미셀 = 지용성 택시”
🩺 보충 설명
- 미셀은 장상피에 잘 흡수되며, 이후 지방 재합성 후 chylomicron 형성에 기여
소장에서 Fructose를 흡수하는 수송체는?
➡️ GLUT5
📌 요점 정리
- Glc, Gal: SGLT1 (Na+ 의존 능동수송)
- Fru: GLUT5 (촉진확산)
- 모두: 혈관 내 이동 시 GLUT2 사용
🧠 Mnemonic
“프룻은 GLUT5, 글루는 SGLT1”
🩺 보충 설명
- GLUT5는 촉진확산 방식이므로 농도구배가 중요함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소화하는 최종 활성화 효소는?
➡️ Trypsin (트립신)
📌 요점 정리
- 위: Pepsin (Pepsinogen → 산성 환경에서 활성화)
- 소장: Trypsin이 중심 → 다른 효소도 활성화
🧠 Mnemonic
“트립신이 전체 단백질분해 지휘자”
🩺 보충 설명
- Trypsinogen은 Enteropeptidase에 의해 활성화되며, Chymotrypsinogen 등도 활성화
소장에서 Na+와 함께 단당류를 흡수하는 수송체는?
➡️ SGLT1
📌 요점 정리
- Glucose, Galactose: SGLT1 (Na+ 동반 능동수송)
- Fructose: GLUT5
🧠 Mnemonic
“SGLT1은 소금(Na)과 단당을 같이 먹는다”
🩺 보충 설명
- 이 수송체는 ATP를 직접 쓰지 않지만, Na+/K+ 펌프를 통한 2차 능동수송 방식
Short bowel syndrome에서 설사를 완화시키는 약물 기전은?
➡️ 장운동 억제 → 체류 시간 증가
📌 요점 정리
- Loperamide, Codeine 등 사용
- 장의 transit time을 느리게 하여 흡수 기회 증가
🧠 Mnemonic
“짧을수록 천천히 가라”
🩺 보충 설명
- Short bowel에서는 흡수 시간이 부족하므로 장 운동 억제가 핵심 치료
D-xylose test는 어떤 흡수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인가?
➡️ 소장 점막의 흡수능 평가
📌 요점 정리
- D-xylose는 소화 필요 없이 직접 흡수됨
- 소장 점막 손상 시 소변 배출량 ↓
🧠 Mnemonic
“D자 돌려서 점막을 본다”
🩺 보충 설명
- 췌장 기능부전과 감별 가능 (췌장 문제는 정상 수치 유지됨)
Schilling test는 어떤 영양소의 흡수장애를 평가하는가?
➡️ Vitamin B12
📌 요점 정리
- 내인자, 회장, 췌장효소 문제 감별 가능
- B12 방사성 동위원소 투여 후 소변 배출량 분석
🧠 Mnemonic
“슐슐슐~ B12를 잡아라”
🩺 보충 설명
- 내인자 결핍, 회장 절제, 췌장 기능 저하 등 다양한 B12 결핍 원인을 감별 가능
장 림프관 확장증(Intestinal lymphangiectasia)에서 어떤 영양소 흡수에 문제가 생기는가?
➡️ 지용성 영양소 및 지방
📌 요점 정리
- 림프 흐름 막히면 chylomicron 이동 불가
- 지방, ADEK, 단백질 손실 가능
🧠 Mnemonic
“림프 막히면 지방길도 막힌다”
🩺 보충 설명
- 단백질 소실성 장병증(Protein-losing enteropathy)의 한 형태로 간주됨
지방 흡수 장애 시 신장 결석이 발생하는 기전은?
➡️ Hyperoxaluria (과옥살산뇨)
📌 요점 정리
- 남은 지방산이 Ca²⁺와 결합 → Oxalate는 흡수 증가
- 소변 중 oxalate↑ → CaOX 결석 위험
🧠 Mnemonic
“지방이 남으면 칼슘을 묶고, 옥살산은 빠져나간다”
🩺 보충 설명
- CaOX 결석은 지방변 환자에서 흔하며, 칼슘과 수산 결합 억제 때문
회장(ileum) 절제 시 흡수 장애가 발생하는 주요 영양소 2가지는?
➡️ Vitamin B12, Bile acid
📌 요점 정리
- 회장은 B12와 담즙산 재흡수의 핵심 부위
- 회장 절제 시 거대적혈모구 빈혈, 지방변 유발 가능
🧠 Mnemonic
“회B담! 회장은 B12와 담즙의 고향”
🩺 보충 설명
- Vitamin B12는 intrinsic factor와 결합된 형태로 회장에서만 흡수됩니다.
- 담즙산도 회장에서 재흡수되어 간으로 돌아가는 장간순환이 이루어지며, 절제 시 담즙산 부족 → 지방 흡수장애 발생 → 지용성 비타민 결핍과 지방산 설사 발생.
담즙산 설사와 지방산 설사의 차이는?
➡️ 담즙산 설사: 설사만 발생, 지방변 없음 / 지방산 설사: 담즙산 부족으로 지방변 발생
📌 요점 정리
- 담즙산 설사: 재흡수 X → 설사, but bile acid pool은 정상
- 지방산 설사: bile acid 자체가 부족 → 지방 흡수 장애
🧠 Mnemonic
“담설은 설사만, 지방설은 기름 뿜!”
🩺 보충 설명
- 담즙산 설사는 회장 흡수장애(예: 절제)로 인해 담즙산이 대장으로 넘어가 생기는 자극성 설사로, 담즙산 보상 생산으로 지방변은 잘 생기지 않습니다.
- 지방산 설사는 담즙산 생성 자체가 부족하거나 순환이 깨졌을 때 발생하며, 미셀 형성 저해 → 지방변 발생.
흡수장애에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기본 검사는?
➡️ 대변 내 지방 검사 (Stool fat test)
📌 요점 정리
- 정량: 하루 <7g이면 정상
- 정성: Sudan III 염색 등으로 간편 선별
🧠 Mnemonic
“지방 나왔나? 대변 먼저!”
🩺 보충 설명
- 만성 설사, 체중 감소, 지방변이 의심될 경우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1차 검사입니다.
- 비용 효과가 좋고, 정성검사도 가능하여 병원에서 흔히 쓰입니다.
- 양성 시 → 소화 vs 흡수장애 감별 위해 D-xylose, Schilling 등 추가 시행.
크론병 환자에서 회장 절제 후 가장 흔한 영양소 결핍은?
➡️ Vitamin B12
📌 요점 정리
- 회장은 B12 흡수의 유일한 장소
- 결핍 시 거대적혈모구 빈혈 발생
🧠 Mnemonic
“크론병은 회장 노린다 → B12 증발”
🩺 보충 설명
- 크론병은 주로 회장 말단부를 침범하며, 반복적인 염증과 수술로 회장 절제 위험이 높습니다.
- B12는 내인자와 결합된 채로 회장에서만 흡수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손상되면 경구 흡수가 불가하여 평생 주사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Celiac disease에서 손상되는 주 부위와 흡수장애의 양상은?
➡️ Proximal 소장 (주로 공장), 광범위 영양소 흡수장애
📌 요점 정리
- 글루텐 민감성 면역반응 → 점막 위축
- D-xylose test: 감소 소견
🧠 Mnemonic
“시리악은 앞에서 다 망가진다”
🩺 보충 설명
- Celiac disease는 글루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소장 융모가 위축되며, 주로 십이지장과 공장 부위에서 흡수장애를 일으킵니다.
- 철, 칼슘, 엽산 등 광범위한 영양소 결핍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체중 감소, 설사, 피로감 등을 동반합니다.
유당불내증을 진단하는 가장 간단한 비침습 검사는?
➡️ Hydrogen breath test (수소 호기 검사)
📌 요점 정리
- Lactose 분해 안됨 → 세균 발효 → 수소 발생
- 2시간 내 호기 수소 농도 상승
🧠 Mnemonic
“숨에서 수소 나왔다 = 유당 못먹음”
🩺 보충 설명
- 유당불내증 환자는 lactase가 결핍되어 소장에서 유당을 분해하지 못하고, 이는 대장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수소를 포함한 가스를 방출합니다.
- 이 수소는 폐를 통해 배출되므로, 호기에서 농도를 측정하여 유당불내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흡수장애 환자에서 Vit K 결핍을 의심할 수 있는 혈액검사 소견은?
➡️ PT (Prothrombin time) 연장
📌 요점 정리
- Vit K는 지용성 → 지방 흡수장애 시 결핍
- PT는 Vit K 의존성 응고인자 반영
🧠 Mnemonic
“지방 안먹으면 피 멈추는 시간 늘어난다”
🩺 보충 설명
- Vit K는 응고인자 II, VII, IX, X 합성에 필요하며, 흡수는 지용성 형태로 주로 미셀에 의해 일어납니다.
- 지방 흡수장애가 발생하면 Vit K 흡수도 감소해 응고시간(P.T.)이 길어지게 됩니다.
SIBO 환자에서 Vit B12와 Folate 수치 변화는?
➡️ Vit B12 감소, Folate 증가
📌 요점 정리
- 세균이 B12 소비, Folate는 생성
- 거대적혈모구 빈혈 + 복부팽만, 설사 동반
🧠 Mnemonic
“세균이 B12 먹고, Folate는 준다”
🩺 보충 설명
- SIBO(소장 세균 과증식 증후군)에서는 세균이 B12를 소모하거나 흡수를 방해하고, 동시에 일부 세균은 Folate를 생산합니다.
- 이에 따라 혈중 B12는 감소하고 Folate는 증가하는 특징적인 패턴이 관찰됩니다.
단백 소실성 장병증(Protein-losing enteropathy)의 혈액검사 소견은?
➡️ 저알부민혈증, 저글로불린혈증, 림프감소증
📌 요점 정리
- 신장, 간 질환 없이 저단백 상태
- α1-antitrypsin clearance ↑, Tc-albumin 스캔 활용
🧠 Mnemonic
“간-콩팥 정상인데 단백이 빠지면 장 때문!”
🩺 보충 설명
- PLE는 장 점막의 손상이나 림프 정체 등으로 인해 혈장 단백질이 장 내로 빠져나가는 상태입니다.
- 신장/간 기능은 정상이지만 알부민, 글로불린이 떨어지고 림프구 수치도 감소할 수 있으며, 진단에는 방사성 동위원소 검사나 α1-AT clearance가 사용됩니다.
장내 세균 과증식(Bacterial Overgrowth)의 대표 진단 검사는?
➡️ Hydrogen breath test
📌 요점 정리
- 포도당 or 락툴로오스 투여 후 2시간 내 수소↑
- 세균이 당 발효 → 호기 수소↑
🧠 Mnemonic
“숨에서 냄새나는 건 세균 때문이다”
🩺 보충 설명
- SIBO는 소장 내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세균이 존재해 당류를 발효시키며 수소나 메탄을 생성합니다.
- 이 수소가 폐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호기에서 농도를 측정하여 조기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장 절제 위치에 따른 흡수장애에서 Proximal 소장 절제 시 주로 결핍되는 영양소는?
➡️ 철분, 칼슘, 엽산, 마그네슘, 탄수화물
📌 요점 정리
- Proximal 소장은 주로 십이지장과 공장을 의미함
- 철, 칼슘, 마그네슘, 엽산, 탄수화물은 이 부위에서 주로 흡수됨
🧠 Mnemonic
“프로는 철칼엽당 잘 먹는다”
🩺 보충 설명
- Proximal 절제 시 위 영양소 결핍이 흔하며, 특히 철분 결핍성 빈혈과 칼슘 결핍에 의한 골다공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
- 탄수화물도 일부 소장에서 흡수되므로, 당 흡수 장애로 인해 가스 생성 및 설사가 유발될 수 있음.
중쇄지방산(MCT)의 흡수 경로는?
➡️ 장 상피세포 → 문맥 → 간 (림프관 X)
📌 요점 정리
- MCT는 micelle, chylomicron 필요 없이 직접 흡수됨
- 림프관 거치지 않고 간으로 바로 이동
🧠 Mnemonic
“중쇄는 돌아가지 않고 직진!”
🩺 보충 설명
- MCT는 8~12탄소 길이의 지방산으로, 수용성이 높아 장상피세포에 쉽게 흡수되고 바로 혈관(문맥)으로 들어간다.
- 담즙산이나 장 림프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림프 흐름 장애나 담즙산 결핍 환자에게 매우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됨.
췌장 외분비 기능 저하에서 흡수장애가 발생하는 이유는?
➡️ 소화효소(Amylase, Lipase, Protease) 부족
📌 요점 정리
- 소화 전 단계 장애 → 미분해 상태로 영양소 배출
- 특히 지방 흡수에 영향 큼
🧠 Mnemonic
“췌장 고장 = 음식 못 쪼갬”
🩺 보충 설명
- 췌장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하는 주요 효소를 분비하며, 기능이 저하되면 효소가 부족해져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되지 않음.
- 특히 Lipase 결핍이 지방 흡수에 큰 영향을 미쳐 지방변, 체중감소, 지용성 비타민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음.
유당불내증에서 수소 호기검사 결과는?
➡️ 검사 2시간 이내 수소 농도 급증
📌 요점 정리
- 유당이 분해되지 않고 대장 세균이 발효 → 수소↑
- 호기 내 수소 측정으로 진단
🧠 Mnemonic
“숨에서 유당 썩는 냄새가 난다”
🩺 보충 설명
- Lactase 결핍으로 유당이 분해되지 않으면 장내 세균이 이를 발효시켜 다량의 수소 및 가스를 생성함.
- 이 수소는 폐를 통해 배출되며, 호기 내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유당불내증을 비침습적으로 진단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