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토혈, 흑색변 by prof. 조영신) Flashcards
(55 cards)
상부 위장관 출혈(UGIB)과 하부 위장관 출혈(LGIB)의 해부학적 기준은?
➡️ Treitz ligament
📌 요점 정리
- Treitz 위쪽: 상부 위장관 출혈 (식도, 위, 십이지장)
- Treitz 아래쪽: 하부 위장관 출혈 (소장, 대장)
🧠 Mnemonic
“트라이츠 위냐 아래냐로 출혈 위치 결정!”
🩺 보충 설명
- 진단과 내시경 결정 순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해부학적 기준입니다.
토혈, 흑색변, 혈변 중 상부 위장관 출혈을 가장 명확히 시사하는 증상은?
➡️ 토혈 (Hematemesis)
📌 요점 정리
- 커피색 or 선혈 구토 시 상부 위장관 출혈 확실
- 흑색변: 대부분 상부 출혈이나 예외 있음
- 혈변: 대개 하부지만 대량 상부출혈 가능
🧠 Mnemonic
“토혈은 상부출혈 확정 사인!”
🩺 보충 설명
- 위나 식도 출혈에서 위 내용물이 섞여 토혈 형태로 나타나며, 매우 특이적입니다.
흑색변(Melena)과 혈변(Hematochezia)은 각각 어떤 출혈 위치를 시사하는가?
➡️ 흑색변: 거의 항상 상부 위장관 출혈, 혈변: 주로 하부, 대량 상부 출혈도 가능
📌 요점 정리
- 흑색변은 위에서 천천히 나온 출혈
- 혈변은 대장에서 빠르게 나온 피 or 대량 UGIB
🧠 Mnemonic
“검으면 위쪽, 빨갛고 많으면 위도 의심!”
🩺 보충 설명
- 혈변이 항상 하부는 아니며, 쇼크 동반 혈변이면 UGIB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혈변 환자에서 상부 출혈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은?
➡️ 쇼크, 빈맥, NGT에서 coffee ground, 위 내시경에서 병소 확인
📌 요점 정리
- Vital 불안정 + 혈변 = 대량 상부출혈 가능성↑
- 위 내용물이 혈색이면 상부 출혈 가능성↑
🧠 Mnemonic
“Vital 흔들리면 위도 의심해라”
🩺 보충 설명
- 출혈량과 속도에 따라 상부출혈도 혈변처럼 보일 수 있으므로 판단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출혈량이 1000mL 이상일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 쇼크, 저혈압, 혈변, 활력징후 변화
📌 요점 정리
- 기립성 저혈압: 10~20% 출혈
- 휴식 시 빈맥: 15~30% 이상 출혈
- Hb는 초기에 정상 가능
🧠 Mnemonic
“천 넘으면 쓰러진다”
🩺 보충 설명
- 활력징후는 출혈량을 추정하는 가장 민감한 임상 지표 중 하나입니다.
출혈 초기에 Hb 수치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 혈장 희석이 일어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
📌 요점 정리
- 출혈 직후 Hb는 정상이거나 가짜로 높게 측정됨
- 수액 보충 후 혈장량이 늘어나면서 희석되어 감소함
🧠 Mnemonic
“Hb는 지연 반응이다”
🩺 보충 설명
- 출혈 직후는 혈액 손실과 혈장량이 같이 줄어 Hb가 유지되며, 수시간 후 감소 양상 보임
Glasgow-Blatchford Score(GBS)의 주요 항목은?
➡️ BUN, Hb, 혈압, 맥박 등
📌 요점 정리
- 0점이면 외래 가능
- 1점 이상: 입원 및 치료 고려
🧠 Mnemonic
“Glasgow는 BUN-Hb-혈압-맥박!”
🩺 보충 설명
- 출혈 환자의 입원 필요성을 예측하는 대표적인 초기 위험도 점수입니다.
Rockall Score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가?
➡️ 출혈 환자의 사망률 예측
📌 요점 정리
- 항목: 나이, 쇼크, 기저 질환, 내시경 소견 등
- 7점 이상이면 사망률 급증
🧠 Mnemonic
“Rockall = Rock 사망률”
🩺 보충 설명
- 내시경 전/후 모두 적용 가능하며, 치료 이후 재출혈 및 사망률 예측에도 활용됩니다.
AIMS65 점수의 5가지 항목은?
➡️ Albumin <3.0, INR >1.5, Mental status 변화, SBP <90, Age >65
📌 요점 정리
- ICU 필요성 및 사망위험 예측
- 점수 높을수록 치명률 증가
🧠 Mnemonic
“앨범-INR-정신-혈압-65!”
🩺 보충 설명
- AIMS65는 중증도 분류에 간결하고 유용한 도구이며, 간질환자 평가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에게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처치는?
➡️ 활력징후 확인 및 수액공급 (NS/LR)
📌 요점 정리
- BT, BP, HR 측정 → 안정화 우선
- NS or LR로 수액 bolus
- 필요 시 수혈 고려 (Hb <7 또는 쇼크)
🧠 Mnemonic
“피보다 먼저, 물부터!”
🩺 보충 설명
- 환자의 hemodynamic 안정이 선행되어야 내시경 등 다음 단계 진행이 가능합니다.
NGT 삽입의 역할은 무엇인가?
➡️ 위 내용물 확인 + 내시경 시야 확보
📌 요점 정리
- coffee ground → 상부출혈 시사
- 맑음 → 상부출혈 가능성 낮음
- 위세척은 내시경 전 시야 확보 목적
🧠 Mnemonic
“코로 피 냄새 맡기”
🩺 보충 설명
- 식도정맥류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엔 삽입 주의 (천공 위험)
정맥류 출혈 시 내시경 전에 반드시 투여해야 하는 약제 2가지는?
➡️ 항생제 + Octreotide
📌 요점 정리
- 항생제: 감염 예방
- Octreotide: portal 압력 감소
🧠 Mnemonic
“정맥류엔 항-Oct!”
🩺 보충 설명
- 두 약제 모두 사망률 감소에 효과적이며, 내시경 전 먼저 투여되어야 합니다.
UGIB 환자의 내시경 적응증 및 권장 시기는?
➡️ 안정 시 24시간 이내 / 쇼크 시 12시간 이내
📌 요점 정리
- 지속 출혈, vital 불안정 시 빠른 내시경
- 정맥류 출혈: 12시간 내 + 약제 병합 필수
🧠 Mnemonic
“안정이면 하루, 불안정이면 반나절 이내”
🩺 보충 설명
- 내시경 타이밍은 환자 예후에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UGIB 환자에게 내시경 전 사용되는 주요 약제는?
➡️ IV PPI, 항생제, Octreotide
📌 요점 정리
- PPI: 궤양성 출혈 감속
- 항생제: 정맥류 시 감염 예방
- Octreotide: portal 압력↓
🧠 Mnemonic
“피 줄기 전에 약부터 줄 것!”
🩺 보충 설명
- 정맥류 의심 시 반드시 세 가지 병합요법 시행
상부 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 소화성 궤양 (GU/DU)
📌 요점 정리
- NSAIDs, H. pylori가 주요 원인
- 내시경 소견: spurting, visible vessel 등
🧠 Mnemonic
“출혈의 왕은 궤양!”
🩺 보충 설명
- 출혈 부위: 위체부, 십이지장구부 / PPI + 내시경으로 치료
Mallory-Weiss tear는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가?
➡️ 반복 구토 or 구역 후 발생
📌 요점 정리
- 위-식도 접합부 점막 열상
- 선혈 토혈, 대부분 자연 지혈
🧠 Mnemonic
“토하다 찢어짐 = Mallory-Weiss”
🩺 보충 설명
- 지속 출혈 시 내시경 Clip or Injection으로 치료
식도정맥류 출혈의 원인과 치료는?
➡️ 간경변 → portal 압력↑ → 정맥 확장 및 출혈
📌 요점 정리
- 치료: 항생제 + Octreotide + EVL
- 재출혈 시 TIPS 고려
🧠 Mnemonic
“간경변 = 정맥줄 터진다”
🩺 보충 설명
- 대량 출혈 가능성 높고 사망률도 높으므로 조기 대응 필수
Dieulafoy 병변이란?
➡️ 점막 아래 동맥 노출로 인한 출혈
📌 요점 정리
- 작지만 출혈량 많고 재출혈 흔함
- 내시경 Clip or coagulation 치료
🧠 Mnemonic
“작은 놈이 큰 피를 뿜는다”
🩺 보충 설명
- 전정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며, 고위험 병변으로 간주
GAVE(Gastric Antral Vascular Ectasia)의 내시경 소견은?
➡️ 수박 줄무늬 (Watermelon stomach)
📌 요점 정리
- 전정부 선형 혈관 확장
- 치료: APC (Argon Plasma Coagulation)
🧠 Mnemonic
“GAVE = 수박 = APC”
🩺 보충 설명
- 만성 출혈이나 철결핍성 빈혈로 나타날 수 있음
출혈성 위염의 대표 원인과 치료는?
➡️ NSAIDs, 알코올, 스트레스 → PPI 치료
📌 요점 정리
- 위점막 광범위 충혈 + 점상 출혈
- PPI, 원인 제거
🧠 Mnemonic
“약·술·스트레스가 위 벽을 찢는다”
🩺 보충 설명
- 출혈 위험은 낮으나 반복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음
출혈성 식도염의 대표적 유발 원인은?
➡️ 강한 위산 역류, GERD, NSAIDs
📌 요점 정리
- 식도 점막 손상 + 미세 출혈
- 치료: PPI + 유발 요인 중단
🧠 Mnemonic
“산에 데인 식도”
🩺 보충 설명
- 흔하진 않지만 위식도 역류 환자에서 출혈 동반 가능
소화성 궤양 출혈의 1차 치료 약제는?
➡️ IV PPI (예: Pantoprazole)
📌 요점 정리
- 위산 분비 억제로 혈전 안정화
- 내시경 병합 시 재출혈↓
🧠 Mnemonic
“PPI로 궤양 피멎게!”
🩺 보충 설명
- 72시간 고용량 유지가 중요하며, 고위험 병변에서 효과 큼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고위험 내시경 소견은?
➡️ Spurting, oozing, visible vessel, adherent clot
📌 요점 정리
- 내시경 지혈 적응증
- clean base는 저위험
🧠 Mnemonic
“피가 보이거나, 터질 것 같으면 위험”
🩺 보충 설명
- 이러한 병변은 반드시 내시경 Clip, Injection, Coagulation 등으로 지혈 필요
정맥류 출혈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 3종은?
➡️ 항생제 + Octreotide + PPI
📌 요점 정리
- 항생제: 감염 예방
- Octreotide: portal pressure↓
- PPI: 동반 궤양 대비
🧠 Mnemonic
“정맥류엔 항OctPPI!”
🩺 보충 설명
- 조기 약물투여가 사망률과 재출혈률을 낮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