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삼킴곤란 by prof. 박준석) Flashcards

(60 cards)

1
Q

삼킴(swallowing)은 몇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가?

A

➡️ 3단계: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

📌 요점 정리
- 구강기: 자발적, 음식물 구강 내 이동
- 인두기: 반사적, 연하반사 개시
- 식도기: 연동운동으로 위로 이동

🧠 Mnemonic
“입-목-식도로 3단 통과”

🩺 보충 설명
- 정상 삼킴은 정밀한 신경-근육 협조 과정으로, 각 단계에서 이상이 생기면 구인두/식도성 삼킴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삼킴 운동을 조절하는 주요 신경 구조는?

A

➡️ 뇌간(brainstem)의 삼킴중추 (medulla oblongata)

📌 요점 정리
- 감각: CN V, VII, IX
- 운동: CN IX, X, XII

🧠 Mnemonic
“연하운동엔 5-7-9-10-12 번 신경 총출동”

🩺 보충 설명
- 삼킴 반사는 medulla oblongata의 중추에서 통합되며, 뇌신경의 협동 작용으로 입-인두-식도의 연속적 수축이 조절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식도 연동운동에서 탈억제(deglutitive inhibition)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A

➡️ 상부 자극이 하부 연동운동을 억제시켜 식도의 이완을 유도함

📌 요점 정리
- 탈억제 → LES 이완 → 음식물 전달

🧠 Mnemonic
“먹는 동안 밑은 쉬어야 내려간다”

🩺 보충 설명
- 연하 시 위쪽 수축 자극이 아래쪽 수축을 잠시 억제하여, 음식물이 원활하게 식도 하부로 이동하게 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상부식도괄약근(UES)의 주요 기능은?

A

➡️ 공기 역류 방지 + 연하 시 일시적 이완

📌 요점 정리
- Resting tone 높음 → 평소엔 닫혀 있음
- 연하 시만 열려 음식물 통과

🧠 Mnemonic
“UES는 문지기, 삼킬 때만 열어줘”

🩺 보충 설명
- UES는 주로 cricopharyngeus muscle로 구성되며, 연하 시 신경반사로 이완되어 음식물이 식도로 진입하게 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식도 상부 1/3은 어떤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A

➡️ 횡문근 (striated muscle)

📌 요점 정리
- 상부: 횡문근, 하부: 평활근
- 신경 지배 방식 다름

🧠 Mnemonic
“위쪽은 의지, 아래는 자율”

🩺 보충 설명
- 식도 상부는 골격근(횡문근)으로 의지적 조절이 가능하며, 하부는 평활근으로 자율신경계 조절을 받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Zenker diverticulum은 어떤 해부학적 결손에서 발생하는가?

A

➡️ UES 상부의 인두벽 근육 결손 (Killian’s triangle)

📌 요점 정리
- 인두후벽 → 점막이 탈출
- 고령자에서 잘 발생

🧠 Mnemonic
“젠커는 킬리안의 틈으로 나온다”

🩺 보충 설명
- Zenker 게실은 인두-식도 접합부 근육의 약한 부위에서 점막이 돌출되며, 음식 역류, 흡인, 구취의 원인이 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Zenker diverticulum의 대표 증상은?

A

➡️ 음식물 역류, 폐흡인, 삼킴곤란, 구취

📌 요점 정리
- Gurgling sound, 기침도 동반 가능

🧠 Mnemonic
“젠커는 역류하고 냄새나고 사레든다”

🩺 보충 설명
- 게실에 음식물이 남아 자발적 역류나 흡인성 폐렴의 원인이 되며, 수술적 절제 또는 내시경 절개로 치료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구인두 삼킴곤란의 구조적 원인 3가지는?

A

➡️ Zenker diverticulum, CP bar, Cervical web

📌 요점 정리
- 모두 식도 입구 부위 협착 유발
- CP bar: 과긴장된 cricopharyngeus

🧠 Mnemonic
“구인두 좁히는 셋: 젠커, 바, 웹”

🩺 보충 설명
- 이들 구조물은 음식물의 식도 진입을 방해하여 삼킴곤란을 유발하며, 내시경 검사로 진단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Plummer-Vinson syndrome의 3대 triad는?

A

➡️ 철결핍성 빈혈 + 구각염 + 식도 web

📌 요점 정리
- 중년 여성에서 호발
- 조기 진단 시 식도암 예방 가능

🧠 Mnemonic
“플러머 빈손 = 철없고 입 찢어지고 막힘”

🩺 보충 설명
- 만성 철결핍 상태에서 발생하며, 상부식도 협착으로 삼킴곤란을 유발하고, 편평상피암 위험이 증가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CP bar는 어떤 병태생리로 인해 발생하는가?

A

➡️ Cricopharyngeus muscle의 과긴장

📌 요점 정리
- UES의 이완 불완전 → 식도 진입 장애

🧠 Mnemonic
“CP 바는 문이 안 열리는 문제”

🩺 보충 설명
- CP bar는 근전도 검사나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며, 삼킴곤란과 음식의 정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내시경 근절개술로 치료 가능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식도 삼킴곤란이 발생하는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은?

A

➡️ Lower esophageal sphincter(LES), 식도체(Eso body)

📌 요점 정리
- LES: 하부괄약근, 조절장애 시 역류/이완불능
- Eso body: 연동운동 조절 실패 시 기능장애

🧠 Mnemonic
“식도 문제는 문(LES)과 길(Body) 문제”

🩺 보충 설명
- 식도 삼킴곤란은 LES 이완장애(Achalasia) 또는 연동운동 이상(DES, Jackhammer)에서 발생하며, 증상은 고형식/유동식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고형식에 국한된 삼킴곤란은 어떤 질환을 의심하는가?

A

➡️ 기계적 폐색 (예: 식도암, web, ring)

📌 요점 정리
- 점진적 진행 시 종양 의심
- 간헐적일 경우: Schatzki ring, web 등

🧠 Mnemonic
“고형식만 막히면 뭔가 막힌 것”

🩺 보충 설명
- 고형식만 삼킴이 어려운 경우 기계적 폐색 가능성이 높으며, 내시경으로 진단합니다.
- 진행성일 경우 종양 의심, 간헐적일 경우 web이나 ring일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고형식+유동식 모두 삼킴곤란일 때 의심해야 할 병인은?

A

➡️ 운동장애 (Achalasia, DES, Jackhammer 등)

📌 요점 정리
- 연동운동 이상
- LES 이완불능 동반 가능

🧠 Mnemonic
“다 막히면 움직임 문제”

🩺 보충 설명
- 유동식까지 통과가 어려운 경우, 기계적 문제보다 기능성(운동장애) 가능성이 높으며, 고형식과 유동식 모두 영향 받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식도 삼킴곤란 환자에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검사는?

A

➡️ 상부위장관 내시경 (EGD)

📌 요점 정리
- 기계적 원인 감별 우선
- 악성 병변 배제 목적

🧠 Mnemonic
“먼저 보고, 그다음 움직임 보자”

🩺 보충 설명
- 식도 삼킴곤란 환자에서 먼저 암, 협착, 염증 등의 기계적 원인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EGD는 이를 평가하는 1차 검사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운동장애성 식도질환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기능검사는?

A

➡️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 (High Resolution Manometry, HRM)

📌 요점 정리
- 식도 연동운동 + LES 기능 평가
- Chicago classification 사용

🧠 Mnemonic
“움직임은 압력으로 측정한다”

🩺 보충 설명
- HRM은 식도의 압력변화를 고해상도로 측정하여 운동장애 질환(achalasia, DES 등)을 분류하는 표준 진단 도구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Achalasia는 어떤 병태생리를 가지는 질환인가?

A

➡️ LES 이완불능 + 식도 연동운동 소실

📌 요점 정리
- 식도체 무연동(peristalsis 없음)
- LES는 열리지 않아 음식 정체됨

🧠 Mnemonic
“아칼라시아 = 식도 게이트 폐쇄 + 길마비”

🩺 보충 설명
- Achalasia는 식도 신경총(Auerbach plexus) 손상으로 인해 LES가 이완되지 않고 식도 연동운동이 사라지는 기능성 운동장애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Achalasia의 대표적 영상 소견 2가지는?

A

➡️ Bird-beak appearance, 식도 확장

📌 요점 정리
- 바륨 조영술: 말단 식도 조임 + 상부 확장
- ‘새 부리’처럼 보임

🧠 Mnemonic
“식도 끝이 뾰족해지면 아칼이다”

🩺 보충 설명
- Timed barium esophagogram(TBE)에서 말단 식도가 좁아지며 조류 부리 모양처럼 보이는 것이 전형적 소견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Achalasia 환자에서 EGD 상 중요한 소견은?

A

➡️ 식도 내 음식물 저류, LES 통과 어려움

📌 요점 정리
- 구조적 병변 배제 중요
- 내시경은 초기 단계에서 정상일 수도 있음

🧠 Mnemonic
“아칼도 먼저 내시경으로 확인!”

🩺 보충 설명
- 내시경은 구조적 원인을 배제하는 1차 검사이며, LES 통과가 어렵고 식도에 음식물 잔류가 보일 수 있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Achalasia의 진단에서 HRM으로 측정하는 주요 지표는?

A

➡️ Integrated Relaxation Pressure (IRP)

📌 요점 정리
- IRP 증가: LES 이완불능 시사
- Chicago classification 기준 중 하나

🧠 Mnemonic
“IRP 올라가면 LES 안 열림!”

🩺 보충 설명
- HRM에서 IRP는 LES가 연하 후 얼마나 잘 이완되는지를 측정하며, 기준 이상이면 이완불능으로 진단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HRM에 따른 Achalasia의 3가지 분류는?

A

➡️ Type I (classic), II (panesophageal pressurization), III (spastic)

📌 요점 정리
- Type II가 예후 가장 좋음
- Type III는 치료 어려움

🧠 Mnemonic
“1은 무반응, 2는 압력, 3은 경련”

🩺 보충 설명
- HRM 기준에 따라 Achalasia는 3가지로 나뉘며, 각각 치료 반응도 및 임상 양상이 다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Type II Achalasia의 특징은?

A

➡️ 식도 전체 압력 상승 (panesophageal pressurization)

📌 요점 정리
- 치료 반응 가장 좋음
- LES 이완불능은 동일

🧠 Mnemonic
“압력 올라간 2번이 치료도 제일 잘 됨”

🩺 보충 설명
- 연하 시 식도 전체에 동시성 압력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balloon dilation이나 POEM 치료에 반응이 좋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Type I Achalasia는 어떤 형태인가?

A

➡️ 무압력 식도 + LES 이완불능

📌 요점 정리
- 가장 classic한 형태
- 식도는 마비, LES는 닫힘

🧠 Mnemonic
“1번은 조용한 마비형”

🩺 보충 설명
- 식도 전체에서 수축이 거의 관찰되지 않고, LES는 이완되지 않으며, 식도는 확장된 형태를 보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Type III Achalasia의 특징은?

A

➡️ 경련성 수축(spastic) + LES 이완불능

📌 요점 정리
- 치료 저항성 큼
- POEM 적응증 우선 고려

🧠 Mnemonic
“3번은 난폭하고 다루기 힘든 아칼”

🩺 보충 설명
- 식도 원위부에 비정상적이고 강한 수축이 동반되는 형태로, 약물/풍선확장 반응이 낮고 POEM이 우선 권장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Timed barium esophagogram(TBE)의 역할은?

A

➡️ 바륨 통과 지연 평가

📌 요점 정리
- 연하 후 1, 2, 5분 바륨 높이 측정
- Achalasia의 치료 반응 모니터링에도 유용

🧠 Mnemonic
“시간 흐를수록 안 빠지면 아칼”

🩺 보충 설명
- 바륨이 식도에 오래 정체되는지 확인하며, 진단 및 치료 경과관찰에 중요한 비침습 검사입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Achalasia의 치료 중 1차 약물은?
➡️ 평활근 이완제 (nitrate, CCB, PDE 억제제) 📌 요점 정리 - 임시 완화용, 장기 효과는 낮음 - 내과적 치료로 제한됨 🧠 Mnemonic "LES를 느슨하게 하는 약" 🩺 보충 설명 - 평활근 이완제는 LES 압력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으나, 근본 치료는 아니므로 보조적 또는 초기 단계 치료로 사용됩니다.
26
Achalasia의 근본적인 치료법 3가지는?
➡️ Balloon dilation, Heller myotomy, POEM 📌 요점 정리 - LES 이완 유도 치료 - 선택은 나이, 동반질환에 따라 달라짐 🧠 Mnemonic "문(LES)을 열 방법 셋: 풍선, 칼, 내시경" 🩺 보충 설명 - Achalasia 치료는 폐쇄된 LES를 열어주는 것이 목적이며, 각 치료법은 효과와 부작용에 따라 선택됩니다.
27
Balloon dilation의 기전은?
➡️ LES 근육을 물리적으로 찢어 이완시킴 📌 요점 정리 - Type II에서 효과 가장 좋음 - 천공 위험 있음 🧠 Mnemonic "풍선으로 문을 찢는다" 🩺 보충 설명 - 비수술적 방법으로 LES 압력을 감소시키며, 특히 Type II Achalasia에서 높은 효과를 보입니다. - 천공 위험이 있으므로 고령자나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고려됩니다.
28
Heller myotomy는 어떤 치료 방법인가?
➡️ 복강경 수술로 LES 근층 절개 📌 요점 정리 - 보통 전방 위저주름술(fundoplication) 동반 - 젊은 환자, 수술 가능 환자에서 선택 🧠 Mnemonic "헬러는 복강 안에서 LES 절개" 🩺 보충 설명 - LES의 근육층을 절개하여 압력을 낮추는 수술로, 항역류 수술과 함께 시행되어 위식도역류를 방지합니다.
29
POEM(Peroral Endoscopic Myotomy)의 장점은?
➡️ 내시경 접근, 흉터 없음, Type III 적합 📌 요점 정리 - 내시경으로 식도근층 절개 - 최근 널리 사용됨 🧠 Mnemonic "POEM은 내시경으로 조용히 절개" 🩺 보충 설명 - POEM은 식도 점막하 공간을 통해 접근하여 LES 근층을 절개하는 시술로, 회복이 빠르고 Type III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입니다.
30
Achalasia의 감별 진단 중 가장 중요한 구조적 질환은?
➡️ 식도암 📌 요점 정리 - '가성 아칼라시아' 유발 가능 - 내시경 및 생검 필수 🧠 Mnemonic "가짜 아칼은 암이다" 🩺 보충 설명 - 식도암은 LES 부위 폐쇄를 유발하여 Achalasia처럼 보일 수 있으며, 진단 오류 시 치명적이므로 항상 배제해야 합니다.
31
Pseudoachalasia를 시사하는 소견 3가지는?
➡️ 고령, 증상 급속 진행, 체중감소 현저 📌 요점 정리 - 기저 원인: 식도암 or 위저부암 - EGD + 생검 필요 🧠 Mnemonic "급격한 아칼은 가짜일 가능성" 🩺 보충 설명 - 구조적 질환(주로 암)이 LES 기능을 침범할 경우 Achalasia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32
Achalasia에서 치료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 위식도역류(GERD) 📌 요점 정리 - LES 압력 ↓ → 위 내용물 역류 - 항역류술 동반 여부 중요 🧠 Mnemonic "LES 열면 GERD는 따라온다" 🩺 보충 설명 - 치료로 LES가 느슨해지면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GERD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Fundoplication 수술로 예방 가능합니다.
33
Achalasia 환자에서 경과 모니터링에 유용한 검사는?
➡️ Timed barium esophagogram (TBE) 📌 요점 정리 - 바륨 정체량으로 치료 반응 평가 🧠 Mnemonic "시간을 보면 치료가 보인다" 🩺 보충 설명 - 치료 전후 바륨의 식도 내 정체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치료 반응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34
Achalasia의 진단과 감별에 사용되는 검사 3가지는?
➡️ EGD, HRM, TBE 📌 요점 정리 - EGD: 구조적 병변 배제 - HRM: 기능성 진단 - TBE: 치료 반응 확인 🧠 Mnemonic "아칼 진단의 삼총사: 내압, 내시경, 바륨" 🩺 보충 설명 - 이 세 가지 검사는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하며, 초기 진단에서부터 치료 전후 평가까지 전 과정에 사용됩니다.
35
Achalasia의 유병률이 높은 연령대는?
➡️ 30~60대, 모든 연령에서 발생 가능 📌 요점 정리 - 고령에서도 발병 - 젊은층은 종종 유전적 요소 동반 🧠 Mnemonic "아칼은 나이 안 가린다" 🩺 보충 설명 - 전 연령대에서 발병할 수 있으며, 40~50대에서 흔하지만 소아에서도 드물게 보고됩니다. - 가족성 Achalasia는 드물며 일부 유전질환과 동반되기도 합니다.
36
Diffuse esophageal spasm(DES)의 주요 병태생리는?
➡️ 식도 연동운동의 비정상적인 동시성 수축 📌 요점 정리 - 비연동성, 조기 수축 발생 - chest pain, 간헐적 삼킴곤란 🧠 Mnemonic "DES는 뒤죽박죽 연동" 🩺 보충 설명 - DES는 식도의 연동운동이 조화롭지 않고 여러 구간에서 동시에 수축해 음식물 전달이 어려워지고 흉통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HRM에서 조기 수축, multipeaked pressure로 확인됩니다.
37
DES와 Achalasia를 감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검사 소견은?
➡️ LES 이완 여부 (DES는 이완됨, Achalasia는 이완불능) 📌 요점 정리 - HRM에서 IRP 정상: DES - IRP 증가: Achalasia 🧠 Mnemonic "문 열리는 DES, 문 안 열리는 아칼" 🩺 보충 설명 - 두 질환은 연하 시 식도의 연동운동 이상을 공유하지만, LES 이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DES, 그렇지 않으면 Achalasia입니다.
38
Jackhammer esophagus의 대표 HRM 소견은?
➡️ 매우 강력한 수축 (DCI > 8000 mmHg·s·cm) 📌 요점 정리 - LES 이완은 정상 - 비정상적으로 강한 peristalsis 🧠 Mnemonic "잭해머 = 식도 헤비펀치" 🩺 보충 설명 - Jackhammer 식도는 과도하게 강한 수축력을 보이며, 심한 경우 연하통이나 흉통의 원인이 됩니다. - HRM에서 높은 DCI가 진단 기준입니다.
39
Jackhammer esophagus의 치료는 어떻게 접근하는가?
➡️ 근이완제 (nitrate, CCB 등), POEM 고려 📌 요점 정리 - POEM은 근육 절제 통해 압력 낮춤 - 약물 효과는 제한적 🧠 Mnemonic "잭해머도 결국 근육이 문제다" 🩺 보충 설명 - 약물치료는 일시적이고 제한적 효과만을 보이며, POEM이 최근 치료 옵션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40
Scleroderma에서 식도 이상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 식도체 무연동 + LES 저긴장 📌 요점 정리 - GERD와 연관 깊음 - 주로 하부 식도에 침범 🧠 Mnemonic "피부도 마르고 식도도 힘없다" 🩺 보충 설명 - 전신경화증(scleroderma)은 평활근 섬유화로 인해 식도 하부의 연동운동이 소실되고 LES도 느슨해져 역류성 식도염을 동반하게 됩니다.
41
Scleroderma 식도와 Achalasia의 HRM 감별 포인트는?
➡️ LES 압력: 저긴장(Scleroderma) vs 고긴장(Achalasia) 📌 요점 정리 - 식도체는 모두 무연동 - LES 기능 반대 🧠 Mnemonic "문이 열려 있으면 경화, 닫혀 있으면 아칼" 🩺 보충 설명 - 두 질환 모두 식도 연동운동은 약하지만, LES 압력이 낮은 경우는 scleroderma, 이완불능은 Achalasia로 감별 가능합니다.
42
DES와 Jackhammer의 차이는?
➡️ DES: 조기 동시 수축 / Jackhammer: 수축은 정상이나 과도한 압력 📌 요점 정리 - DES는 peristalsis 자체 이상 - Jackhammer는 강도 문제 🧠 Mnemonic "DES는 타이밍, 잭은 파워" 🩺 보충 설명 - DES는 연동 타이밍이 맞지 않아 기능적 연하곤란을, Jackhammer는 압력 과다로 인한 통증을 특징으로 합니다.
43
삼킴곤란 환자에서 1차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검사는?
➡️ 상부위장관 내시경 (EGD) 📌 요점 정리 - 기계적 원인 배제 우선 - 암, 협착, 염증 확인 🧠 Mnemonic "무조건 먼저 보는 것부터!" 🩺 보충 설명 - 삼킴곤란은 암이나 기계적 원인이 숨어있을 수 있어, 모든 환자에서 EGD를 통한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44
EGD 이후 운동장애가 의심될 경우 시행하는 검사는?
➡️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 (HRM) 📌 요점 정리 - 기능적 이상 확인 목적 - Achalasia, DES, Jackhammer 등 감별 🧠 Mnemonic "정상인데도 삼키기 어렵다? → 압력 확인" 🩺 보충 설명 -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증상이 지속된다면 기능적 평가가 필요하며, HRM은 식도 운동질환 진단의 표준입니다.
45
삼킴곤란 환자에서 CT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는?
➡️ 종양 의심, Pseudoachalasia 감별 📌 요점 정리 - 주변 장기 침범 확인 - 식도암, 위암 등 감별 🧠 Mnemonic "갑자기, 많이, 빨리 → CT 보자" 🩺 보충 설명 - 증상이 급격하고 체중감소가 현저하다면 암 가능성이 높으며, 내시경 외에도 CT를 통해 식도 외부 병변 유무를 평가합니다.
46
운동장애 식도질환 간 감별에 필요한 기준은?
➡️ LES 이완 상태, 수축의 패턴과 세기 📌 요점 정리 - HRM으로 구분: Achalasia, DES, Jackhammer, Scleroderma 등 🧠 Mnemonic "문 열림 + 수축 양상 조합" 🩺 보충 설명 - 모든 운동장애는 LES 상태(열림/닫힘), 식도 수축(없음/비정상/과도)의 조합으로 진단됩니다.
47
삼킴곤란 환자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분류는?
➡️ 고형식만 문제 vs 유동식도 문제 📌 요점 정리 - 고형식만: 기계적 원인 - 유동식 포함: 기능적 장애 🧠 Mnemonic "고형만? 막힘, 둘 다? 움직임" 🩺 보충 설명 - 증상의 양상은 진단을 유도하는 중요한 단서로, 초기 문진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요소입니다.
48
EoE(호산구성 식도염)의 대표 증상은?
➡️ 고형식 삼킴곤란, 음식 걸림 📌 요점 정리 - 젊은 남성, 알레르기 병력 흔함 - 식도 이물감, chest pain 동반 가능 🧠 Mnemonic "젊고 알레르기 있는 남자, 음식 잘 막힌다" 🩺 보충 설명 - EoE는 알레르기성 염증으로 인한 식도 점막 손상 및 구조 변화(링, 협착)로 인해 삼킴곤란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49
EoE의 진단에 필수적인 내시경 및 조직검사 소견은?
➡️ Ringed esophagus + 조직검사에서 호산구 ≥15/HPF 📌 요점 정리 - Endoscopic: trachealization, furrow, exudate 🧠 Mnemonic "EoE = 링+호산구" 🩺 보충 설명 - 내시경에서는 식도 링, 가로선, 백색 삼출물, 점막 균열 등이 관찰되며, 조직학적으로는 호산구 다발이 핵심 소견입니다.
50
EoE의 1차 치료는?
➡️ PPI 투여 + 식이조절 (알레르겐 제거) 📌 요점 정리 - 스테로이드 분무도 사용됨 - 식도 확장술은 협착 시 시행 🧠 Mnemonic "PPI 뿌리고, 먹을 것 조심!" 🩺 보충 설명 - EoE는 염증을 줄이기 위해 PPI가 우선 사용되며, 반응이 없을 경우 스테로이드 분무, 식이조절, 내시경 확장술 등이 병합됩니다.
51
감염성 식도염의 주요 원인 3가지는?
➡️ Candida, HSV, CMV 📌 요점 정리 - 면역저하 환자에서 흔함 - 통증성 삼킴곤란(Odynophagia) 특징 🧠 Mnemonic "식도 감염 CHC!" 🩺 보충 설명 - Candida는 백색 플라크, HSV는 궤양, CMV는 거대 궤양 형태로 내시경 소견이 구분되며, 면역저하 상태에서 호발합니다.
52
Candida 식도염의 내시경 소견과 치료는?
➡️ 백색 플라크 + 항진균제 (Fluconazole) 📌 요점 정리 - HIV 등 면역저하자 호발 - 증상: 연하통, 삼킴곤란 🧠 Mnemonic "흰가루 = 칸디다" 🩺 보충 설명 - 백색 cheese-like 플라크가 식도 점막에 부착되며, 항진균제(1차 Fluconazole) 치료로 대부분 호전됩니다.
53
식도암의 주요 위험요소 두 가지는?
➡️ 편평상피암: 흡연, 음주 / 선암: GERD, Barrett 📌 요점 정리 - 편평암: 상부, 선암: 하부 식도 🧠 Mnemonic "담배술 위엔 편평암, 위산 밑엔 선암" 🩺 보충 설명 - 편평상피암은 주로 상부 식도에, 선암은 Barrett 식도와 관련되어 하부 식도에 호발합니다.
54
고형식만 삼킴곤란 시 가장 먼저 의심할 질환군은?
➡️ 기계적 폐색 (web, ring, 암 등) 📌 요점 정리 - 진행성: 암, 간헐적: web/ring 🧠 Mnemonic "고형만 막히면 구조 문제!" 🩺 보충 설명 - 기계적 원인은 초기에는 고형식만 막히다 점차 유동식까지 진행되며, 내시경 검사가 필수입니다.
55
삼킴곤란이 고형+유동식 모두에 존재할 경우 가장 가능성 높은 질환군은?
➡️ 운동장애 (Achalasia, DES 등) 📌 요점 정리 - 연동운동 이상, LES 기능이상 🧠 Mnemonic "다 막히면 기능문제" 🩺 보충 설명 - 연동운동이 손상된 운동장애는 모든 음식물의 통과에 영향을 주며, HRM 등 기능검사 필요합니다.
56
Achalasia와 가장 유사한 임상양상을 보이는 가성 질환은?
➡️ Pseudoachalasia (식도암) 📌 요점 정리 - 고령, 증상 급속 진행, 체중감소 🧠 Mnemonic "빠르게 진행되는 아칼은 암 의심" 🩺 보충 설명 - 진단적 오류를 피하기 위해 내시경, CT 등으로 종양 감별이 중요합니다.
57
HRM에서 LES 압력이 낮고 식도 무연동인 경우 의심할 질환은?
➡️ Scleroderma 식도 📌 요점 정리 - LES 저긴장 + 연동 소실 🧠 Mnemonic "식도가 무기력하면 경화증 의심" 🩺 보충 설명 - LES 이완불능은 아니나 무기력 상태로 GERD 동반이 흔합니다.
58
POEM 시술이 가장 효과적인 Achalasia 타입은?
➡️ Type III (spastic) 📌 요점 정리 - 약물, balloon 반응 낮음 - POEM이 근육절제 가능 🧠 Mnemonic "경련 아칼은 POEM으로 조용히 해결" 🩺 보충 설명 - Type III는 연동운동이 비정상적이고 강하여 다른 치료보다 POEM이 효과적입니다.
59
HRM, EGD, TBE 중 Achalasia 진단에서 가장 민감한 검사는?
➡️ HRM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 📌 요점 정리 - 기능적 진단 표준 - Chicago classification 기준 🧠 Mnemonic "진단은 압력으로 한다" 🩺 보충 설명 - 구조적으로 보이지 않는 기능 장애는 HRM으로만 감별 가능하며, 초기 진단에서 가장 민감합니다.
60
삼킴곤란의 가장 기본적 접근 순서는?
➡️ ① 고형 vs 유동식 → ② 진행 vs 간헐적 → ③ EGD 📌 요점 정리 - 증상 분석이 진단 방향 결정 - 내시경으로 구조 평가 🧠 Mnemonic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 보고 판단" 🩺 보충 설명 - 문진을 통한 증상 분류가 진단의 70%이며, 이후 영상/기능 검사로 접근을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