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삼킴곤란 by prof. 박준석) Flashcards
(60 cards)
삼킴(swallowing)은 몇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가?
➡️ 3단계: 구강기, 인두기, 식도기
📌 요점 정리
- 구강기: 자발적, 음식물 구강 내 이동
- 인두기: 반사적, 연하반사 개시
- 식도기: 연동운동으로 위로 이동
🧠 Mnemonic
“입-목-식도로 3단 통과”
🩺 보충 설명
- 정상 삼킴은 정밀한 신경-근육 협조 과정으로, 각 단계에서 이상이 생기면 구인두/식도성 삼킴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킴 운동을 조절하는 주요 신경 구조는?
➡️ 뇌간(brainstem)의 삼킴중추 (medulla oblongata)
📌 요점 정리
- 감각: CN V, VII, IX
- 운동: CN IX, X, XII
🧠 Mnemonic
“연하운동엔 5-7-9-10-12 번 신경 총출동”
🩺 보충 설명
- 삼킴 반사는 medulla oblongata의 중추에서 통합되며, 뇌신경의 협동 작용으로 입-인두-식도의 연속적 수축이 조절됩니다.
식도 연동운동에서 탈억제(deglutitive inhibition)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 상부 자극이 하부 연동운동을 억제시켜 식도의 이완을 유도함
📌 요점 정리
- 탈억제 → LES 이완 → 음식물 전달
🧠 Mnemonic
“먹는 동안 밑은 쉬어야 내려간다”
🩺 보충 설명
- 연하 시 위쪽 수축 자극이 아래쪽 수축을 잠시 억제하여, 음식물이 원활하게 식도 하부로 이동하게 합니다.
상부식도괄약근(UES)의 주요 기능은?
➡️ 공기 역류 방지 + 연하 시 일시적 이완
📌 요점 정리
- Resting tone 높음 → 평소엔 닫혀 있음
- 연하 시만 열려 음식물 통과
🧠 Mnemonic
“UES는 문지기, 삼킬 때만 열어줘”
🩺 보충 설명
- UES는 주로 cricopharyngeus muscle로 구성되며, 연하 시 신경반사로 이완되어 음식물이 식도로 진입하게 됩니다.
식도 상부 1/3은 어떤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 횡문근 (striated muscle)
📌 요점 정리
- 상부: 횡문근, 하부: 평활근
- 신경 지배 방식 다름
🧠 Mnemonic
“위쪽은 의지, 아래는 자율”
🩺 보충 설명
- 식도 상부는 골격근(횡문근)으로 의지적 조절이 가능하며, 하부는 평활근으로 자율신경계 조절을 받습니다.
Zenker diverticulum은 어떤 해부학적 결손에서 발생하는가?
➡️ UES 상부의 인두벽 근육 결손 (Killian’s triangle)
📌 요점 정리
- 인두후벽 → 점막이 탈출
- 고령자에서 잘 발생
🧠 Mnemonic
“젠커는 킬리안의 틈으로 나온다”
🩺 보충 설명
- Zenker 게실은 인두-식도 접합부 근육의 약한 부위에서 점막이 돌출되며, 음식 역류, 흡인, 구취의 원인이 됩니다.
Zenker diverticulum의 대표 증상은?
➡️ 음식물 역류, 폐흡인, 삼킴곤란, 구취
📌 요점 정리
- Gurgling sound, 기침도 동반 가능
🧠 Mnemonic
“젠커는 역류하고 냄새나고 사레든다”
🩺 보충 설명
- 게실에 음식물이 남아 자발적 역류나 흡인성 폐렴의 원인이 되며, 수술적 절제 또는 내시경 절개로 치료합니다.
구인두 삼킴곤란의 구조적 원인 3가지는?
➡️ Zenker diverticulum, CP bar, Cervical web
📌 요점 정리
- 모두 식도 입구 부위 협착 유발
- CP bar: 과긴장된 cricopharyngeus
🧠 Mnemonic
“구인두 좁히는 셋: 젠커, 바, 웹”
🩺 보충 설명
- 이들 구조물은 음식물의 식도 진입을 방해하여 삼킴곤란을 유발하며, 내시경 검사로 진단됩니다.
Plummer-Vinson syndrome의 3대 triad는?
➡️ 철결핍성 빈혈 + 구각염 + 식도 web
📌 요점 정리
- 중년 여성에서 호발
- 조기 진단 시 식도암 예방 가능
🧠 Mnemonic
“플러머 빈손 = 철없고 입 찢어지고 막힘”
🩺 보충 설명
- 만성 철결핍 상태에서 발생하며, 상부식도 협착으로 삼킴곤란을 유발하고, 편평상피암 위험이 증가합니다.
CP bar는 어떤 병태생리로 인해 발생하는가?
➡️ Cricopharyngeus muscle의 과긴장
📌 요점 정리
- UES의 이완 불완전 → 식도 진입 장애
🧠 Mnemonic
“CP 바는 문이 안 열리는 문제”
🩺 보충 설명
- CP bar는 근전도 검사나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며, 삼킴곤란과 음식의 정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내시경 근절개술로 치료 가능합니다.
식도 삼킴곤란이 발생하는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은?
➡️ Lower esophageal sphincter(LES), 식도체(Eso body)
📌 요점 정리
- LES: 하부괄약근, 조절장애 시 역류/이완불능
- Eso body: 연동운동 조절 실패 시 기능장애
🧠 Mnemonic
“식도 문제는 문(LES)과 길(Body) 문제”
🩺 보충 설명
- 식도 삼킴곤란은 LES 이완장애(Achalasia) 또는 연동운동 이상(DES, Jackhammer)에서 발생하며, 증상은 고형식/유동식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형식에 국한된 삼킴곤란은 어떤 질환을 의심하는가?
➡️ 기계적 폐색 (예: 식도암, web, ring)
📌 요점 정리
- 점진적 진행 시 종양 의심
- 간헐적일 경우: Schatzki ring, web 등
🧠 Mnemonic
“고형식만 막히면 뭔가 막힌 것”
🩺 보충 설명
- 고형식만 삼킴이 어려운 경우 기계적 폐색 가능성이 높으며, 내시경으로 진단합니다.
- 진행성일 경우 종양 의심, 간헐적일 경우 web이나 ring일 수 있습니다.
고형식+유동식 모두 삼킴곤란일 때 의심해야 할 병인은?
➡️ 운동장애 (Achalasia, DES, Jackhammer 등)
📌 요점 정리
- 연동운동 이상
- LES 이완불능 동반 가능
🧠 Mnemonic
“다 막히면 움직임 문제”
🩺 보충 설명
- 유동식까지 통과가 어려운 경우, 기계적 문제보다 기능성(운동장애) 가능성이 높으며, 고형식과 유동식 모두 영향 받습니다.
식도 삼킴곤란 환자에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검사는?
➡️ 상부위장관 내시경 (EGD)
📌 요점 정리
- 기계적 원인 감별 우선
- 악성 병변 배제 목적
🧠 Mnemonic
“먼저 보고, 그다음 움직임 보자”
🩺 보충 설명
- 식도 삼킴곤란 환자에서 먼저 암, 협착, 염증 등의 기계적 원인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며, EGD는 이를 평가하는 1차 검사입니다.
운동장애성 식도질환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기능검사는?
➡️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 (High Resolution Manometry, HRM)
📌 요점 정리
- 식도 연동운동 + LES 기능 평가
- Chicago classification 사용
🧠 Mnemonic
“움직임은 압력으로 측정한다”
🩺 보충 설명
- HRM은 식도의 압력변화를 고해상도로 측정하여 운동장애 질환(achalasia, DES 등)을 분류하는 표준 진단 도구입니다.
Achalasia는 어떤 병태생리를 가지는 질환인가?
➡️ LES 이완불능 + 식도 연동운동 소실
📌 요점 정리
- 식도체 무연동(peristalsis 없음)
- LES는 열리지 않아 음식 정체됨
🧠 Mnemonic
“아칼라시아 = 식도 게이트 폐쇄 + 길마비”
🩺 보충 설명
- Achalasia는 식도 신경총(Auerbach plexus) 손상으로 인해 LES가 이완되지 않고 식도 연동운동이 사라지는 기능성 운동장애입니다.
Achalasia의 대표적 영상 소견 2가지는?
➡️ Bird-beak appearance, 식도 확장
📌 요점 정리
- 바륨 조영술: 말단 식도 조임 + 상부 확장
- ‘새 부리’처럼 보임
🧠 Mnemonic
“식도 끝이 뾰족해지면 아칼이다”
🩺 보충 설명
- Timed barium esophagogram(TBE)에서 말단 식도가 좁아지며 조류 부리 모양처럼 보이는 것이 전형적 소견입니다.
Achalasia 환자에서 EGD 상 중요한 소견은?
➡️ 식도 내 음식물 저류, LES 통과 어려움
📌 요점 정리
- 구조적 병변 배제 중요
- 내시경은 초기 단계에서 정상일 수도 있음
🧠 Mnemonic
“아칼도 먼저 내시경으로 확인!”
🩺 보충 설명
- 내시경은 구조적 원인을 배제하는 1차 검사이며, LES 통과가 어렵고 식도에 음식물 잔류가 보일 수 있습니다.
Achalasia의 진단에서 HRM으로 측정하는 주요 지표는?
➡️ Integrated Relaxation Pressure (IRP)
📌 요점 정리
- IRP 증가: LES 이완불능 시사
- Chicago classification 기준 중 하나
🧠 Mnemonic
“IRP 올라가면 LES 안 열림!”
🩺 보충 설명
- HRM에서 IRP는 LES가 연하 후 얼마나 잘 이완되는지를 측정하며, 기준 이상이면 이완불능으로 진단됩니다.
HRM에 따른 Achalasia의 3가지 분류는?
➡️ Type I (classic), II (panesophageal pressurization), III (spastic)
📌 요점 정리
- Type II가 예후 가장 좋음
- Type III는 치료 어려움
🧠 Mnemonic
“1은 무반응, 2는 압력, 3은 경련”
🩺 보충 설명
- HRM 기준에 따라 Achalasia는 3가지로 나뉘며, 각각 치료 반응도 및 임상 양상이 다릅니다.
Type II Achalasia의 특징은?
➡️ 식도 전체 압력 상승 (panesophageal pressurization)
📌 요점 정리
- 치료 반응 가장 좋음
- LES 이완불능은 동일
🧠 Mnemonic
“압력 올라간 2번이 치료도 제일 잘 됨”
🩺 보충 설명
- 연하 시 식도 전체에 동시성 압력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balloon dilation이나 POEM 치료에 반응이 좋습니다.
Type I Achalasia는 어떤 형태인가?
➡️ 무압력 식도 + LES 이완불능
📌 요점 정리
- 가장 classic한 형태
- 식도는 마비, LES는 닫힘
🧠 Mnemonic
“1번은 조용한 마비형”
🩺 보충 설명
- 식도 전체에서 수축이 거의 관찰되지 않고, LES는 이완되지 않으며, 식도는 확장된 형태를 보입니다.
Type III Achalasia의 특징은?
➡️ 경련성 수축(spastic) + LES 이완불능
📌 요점 정리
- 치료 저항성 큼
- POEM 적응증 우선 고려
🧠 Mnemonic
“3번은 난폭하고 다루기 힘든 아칼”
🩺 보충 설명
- 식도 원위부에 비정상적이고 강한 수축이 동반되는 형태로, 약물/풍선확장 반응이 낮고 POEM이 우선 권장됩니다.
Timed barium esophagogram(TBE)의 역할은?
➡️ 바륨 통과 지연 평가
📌 요점 정리
- 연하 후 1, 2, 5분 바륨 높이 측정
- Achalasia의 치료 반응 모니터링에도 유용
🧠 Mnemonic
“시간 흐를수록 안 빠지면 아칼”
🩺 보충 설명
- 바륨이 식도에 오래 정체되는지 확인하며, 진단 및 치료 경과관찰에 중요한 비침습 검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