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즘의 역사 Flashcards

(159 cards)

1
Q

다니엘 디포가 영향받은 리얼리즘의 선구자

A

애프러 벤(Aphra Behn, 1640년 12월 14일[1] ∼ 1689년 4월 16일)은 영국의 시인, 작가이다. 버지니아 울프에 의해 최초의 직업 여성 작가로 평가받고 재조명받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Of Behn’s considerable literary output only ??!!! was seriously considered by literary scholars. This book, published in 1688, is regarded as one of the first abolitionist and humanitarian novels published in the English language.

A

Oroonok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리얼리즘 이전 픽션의 형식

A

Prose Romanc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The definition of Prose Romance I find most helpful is that of ??????
He was a 20th century literary critic who also served as the longtime executive editor of the Norton Anthologies.

A

M. H. Abram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월터 스콧은 제인 오스틴을 어떻게 칭찬했나

A

That young lady has a talent for describing the involvements and feelings and characters of ordinary life which is to me the most wonderful I ever met with. The big bow-wow strain I can do myself like any now going; but the exquisite touch, which renders ordinary commonplace things and characters interesting, from the truth of the description and the sentiment, is denied to m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악한

A

Picaresqu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 refers to the three 17th and 18th century authors Eliza Haywood, Delarivier Manley, and Aphra Behn.”

A

The fair triumvirate of wi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연애의 색욕의

A

amatory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Aphra Bhen은 어떤 소설 전문?

A

Amatory Nove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포목상

A

merce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불운한

A

haples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The more Defoe pursued his Realist point of view, the more ????? he learned to create for the reader.

A

verisimilitud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As you do, we can also thank ????? for being one progenitor of the many great Realist Novels to come after him–novels that ask about, inform, and report on the state of our real world.

A

Daniel Daefo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는 로빈슨 크루소를 근대소설의 효시로 보았다

A

이언 와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로빈슨 크루소의 실제 모델

A

스코틀랜드의 사략선원 알렉산더 셀커크[2]의 1704~1709 총 5년간의 무인도[3] 표류기에 영감을 받아 쓰였다고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The idea of the “rise of the novel” in the 18th century is especially associated with????’s influential study The Rise of the Novel (1957).[53][non-primary source needed] In Watt’s conception, a rise in fictional realism during the 18th century came to distinguish the novel from earlier prose narratives.[54]

A

Ian Wat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The rising status of the novel in eighteenth century can be seen in the development of ????

A

philosophical[55] and experimental novel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Philosophical fiction was not exactly new. ????? were embedded in fictional narratives and his Republic is an early example of a Utopia.

A

Plato’s dialogue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However, the actual tradition of the philosophical novel came into being in the 1740s with ????

A

new editions of More’s work under the title Utopia: or the happy republic; a philosophical romance (1743)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Voltaire wrote in this genre in ?????: a comic romance, which is a biting satire on philosophy, ignorance, and the self-conceit of mankind (1752, English 1753). His Zadig (1747) and Candide (1759) became central texts of the French Enlightenment and of the modern novel.[citation needed]

A

Micromega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An example of the experimental novel is ?????’s The Life and Opinions of Tristram Shandy, Gentleman (1759–1767), with its rejection of continuous narration.[

A

Laurence Stern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The rise of the word novel at the cost of its rival, the ????, remained a Spanish and English phenomenon,

A

romanc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in 1715.[58] Robinson Crusoe spoke of his own story as a “???? “, though in the preface to the third volume, published in 1720, Defoe attacks all who said “that […] the Story is feign’d, that the Names are borrow’d, and that it is all a ??????; that there never were any such Man or Place”.

A

romanc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The use of historical research was an important tool: ????, the novelist, resorted to documentary sources as any historian would have done, but as a romantic he gave his subject a deeper imaginative and emotional significance.

A

Walter Scot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로빈슨 크루소의 아버지가 그에게 남긴 교훈
솔로몬 같은 현자가 가난도 재산도 갖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했을 때[3]는 바로 중산층의 삶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을 가늠하는 올바른 기준이라는 걸 입증해 보인 것이라는 말씀이었다. 로빈슨 크루소 | 다니엘 디포, 류경희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242000812
26
소설은 신이 버린 세상의 서사시라고 ???는 말했다.
게오르그 루카치
27
크루소'라는 독특한 캐릭터를 탄생시킨 이 소설에 대해 ????는 "한 개인의 생각에서 나온 작품이라기보다는 자기 종족(근대 부르주아를 의미. 필자) 그 자체를 익명으로 만들어 낸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28
이성이야말로 수학의 본체요 원천이니 이성의 도움으로 모든 것을 수식으로 표현하고 면적을 구하고 또 합리적으로 판단만 한다면, 누구라도 조만간 온갖 제작 기술의 대가가 될 수 있다" 누구 말
대니얼 대포
29
Victor Hugo also developed his own brand of ?????, a literary style that combines realistic elements with exaggerated symbolism.
imaginative realism
30
사실 단두대에는 사람에게 환각을 일으키는 뭔가가 있다. 자신의 눈으로 단두대를 보지 않는 한, 사람들은 죽음의 고통에 무관심할 수 있고, 가부(可否)를 말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단두대를 하나 보게 되면, 받는 충격이 격심하여 찬성하거나 반대하거나 태도를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어디 나오는 말?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509000280
레 미제라블
31
만달로리안 배우
페드로 파스칼 지나 카라노 지안 카를로 에스포지토
32
만달로리안 주인공 이름
딘 자린 (만달로어 인) 그로구 (아기)
33
만달로리언의 로봇 이름
IG-11
34
7절: 내가 두가지 일을 주께 구하였사오니 나의 죽기 전에 주시옵소서 8절: 곧 허탄과 거짓말을 내게서 멀리 하옵시며 나로 가난하게도 마옵시고 부하게도 마옵시고 오직 필요한 양식으로 내게 먹이시옵소서 9절: 혹 내가 배불러서 하나님을 모른다 여호와가 누구냐 할까 하오며 혹 내가 가난하여 도적질하고 내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할까 두려워하니다
잠언 30장 8절
35
프랑스 수도사와 수녀가 주고받은 사랑의 편지를 담은 책이다. ????의 편지는 중세 시대에 수도사와 수녀 사이에 오고 간 사랑의 편지라는 점에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또한 ???가 사랑한 죗값으로 거세당하는 등, 그들의 특이한 사랑의 배경으로 인해 이들의 편지는 더욱 눈길을 끈다.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36
대도시에는 연극이 필요하며 타락한 국민에게는 소설이 필요하다 어디 말
장 자끄 루소의 신 엘로이즈
37
초상화는 실물이 아무리 끔찍해도 실물과 닮기만 하면 언제나 초상화로서의 가치가 있습니다. 그러나 상상으로 그린 그림이라면 인간의 모습이 어떤 것이든 인간의 공통된 특징을 지녀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림은 아무런 가치가 없어요.
(장 자끄 루소 신 엘로이즈)
38
소설의 근본은 역시 리얼리즘에 있는 바(실제적 현실을 그리든, 내면적 현실 또는 상상적 현실을 낭만적으로 그리든 모든 것은 다 리얼리즘이다), 그것의 소재가 혹시 퇴폐적이고 반동적인 부르주아적 상상의 소산이라 할지라도 매도되어서는 안된다.”
마광수
39
오 철학이여 너는 마음을 편협하게 하고 인간을 좀스럽게 하기 위해 얼마나 애쓰는지?
장 자끄 루소 신 엘로이즈
40
그는 사랑에서 모든 것, 가령 사랑할 때 일어나는 모든 감정 등이 ‘환상’이라는 사실을 시인하지만 그 환상이야말로 인간을 가치의 세계로 고양시키는 원동력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미덕은 실천하기 어렵지만, 사랑하는 대상에 어울리는 사람이 되기 위해 미덕을 실천할 때 그로 인해 받는 물질적 고통은 달콤한 사랑으로 상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루소가 사랑에 부여한 새로운 의미다. 루소에게 사랑은 관능의 충족을 넘어서 미덕을 지향하는 힘이며, 사랑하는 사람은 상대방을 미덕의 화신으로 이상화한다.
41
계몽주의자들이 신성을 탈신비화했다면 ??는 이렇게 세속적인 사랑을 신비화하면서, 당시 형성 중인 부르주아 사회를 위해 혹은 그 사회를 견뎌내기 위해서 새로운 사랑의 신화 혹은 종교를 창조한 것이다. 이성적이고 명석한 프랑스어를 몽상과 열정의 언어로 변형한 루소의 글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루소는
42
폭풍의 언덕 출간일
1847
43
돈 키호테 출간일
1605
44
만일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만투아의 시성[156]이 유언으로 남긴 것을 그대로 실행했더라면 그것은 큰 실수였을 거요. 무슨 뜻 돈키호테 1권 | 미겔 데 세르반테스, 안영옥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242000299
베르길리우스가 유언으로 자기 작품 아이네이스를 태워달라고 했다
45
?????는 거대한 괴물로 성장하였는데, 나중에 그는 헤라의 사주를 받아 델포이로 가는 레토를 겁탈하려다가 그녀의 자식들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레토는 ????가 덮치려고 하자 자신의 아들과 딸을 소리쳐 불렀다. 그녀의 자식들인 아폴론과 아르테미스가 어머니의 외치는 소리를 듣고 쏜살같이 달려왔다. 분노한 두 신은 활을 쏘아 ????를 그 자리에서 죽였다. 일설에는 이때 제우스도 ???를 응징하기 위하여 벼락을 내리쳤다고 한다.
티티오스
46
프로메테우스처럼 타르타로스에서 간이 쪼아먹히는 벌을 받은 거인
티티오스에 대한 처벌은 죽은 뒤에도 계속되었다. 티티오스는 지옥 타르타로스에 떨어져 두 손이 묶인 채 두 마리의 독수리에게 끊임없이 간을 쪼아먹히는 형벌을 당하였는데, 그의 간은 쪼아먹히면 매번 다시 차올랐으므로 그 고통은 영원하였다.
47
오이칼리아 왕 에이오네우스의 딸 디아를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는데, 지독한 구두쇠 기질 때문에 장인인 에이오네우스에게 혼인 지참금을 주기가 아깝다는 어처구니없는 이유로 그를 타오르는 불 속에 던져 죽여버리는 패륜을 저질렀다.
익시온 (아레스의 손자)
48
????은 이 은혜도 모르고 엄청난 짓을 저지르고 말았으니, 인간의 신분으로 다른 사람도 아닌 헤라에게 흑심을 품고 만 것.[2] 인간과의 동침으로는 성적 욕구가 해소되지 않았는지, 헤라에게 성욕을 느낀다. 게다가 한술 더 떠서 헤라가 자신을 좋아한다고 떠벌리고 다니는 초특급 사고를 저질러 제우스와 헤라 부부를 폭발하게 만들었다.
익시온
49
켄타우로스는 어떻게 탄생
아레스 손자 익시온의 막장짓(헤라에 흑심)에 단단히 화가 난 제우스와 헤라는 왕따당하는 게 하도 딱해서 죄 지은 것도 덮어줬더니 오히려 기어오르려 하느냐며 어디 한 번 당해보라는 심산으로 구름으로 헤라의 환영을 만들어 보냈다. 당연히 익시온은 그게 구름이라는 것도 모른 채 그를 찾아온 가짜 헤라와 검열삭제를 했고, 이 구름[3]이 낳은 자식들이 바로 켄타우로스족이다.
50
익시온이 타르타로스에서 받은 형별
익시온은 자신이 저지른 배은망덕한 행위의 대가로 타르타로스에 떨어져 영원히 멈추지 않는[6] 불타는 수레바퀴에 묶인 채 끝없이 돌고 돌게 되었다.
51
돈키호테에서 아름다운 외모로 한 청년을 자살하게 만든 여자.
마르셀라 그녀는 자신의 미모와 정숙함이 그의 자살을 부른건 죄가 아니라며 항변했고 돈키호테는 그를 보호하기로 작정했다.
52
「편력 기사가 이유가 있어서 미친다면 감사할 일이 뭐가 있겠나.
핵심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미치는 데 있는 것이야.」 돈키호테 1권 | 미겔 데 세르반테스, 안영옥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242000299
53
(조르주 브라크,「여인의 초상」1910년. 이전까지 그려져왔던 풍경화들은 사진을 넘어설 수 없었고, 인물화들 역시 조각을 넘어설 수 없었다. 하지만 위의 작품은 2차원 평면에 사람이 형태를 재배치해야만 가능한, 오직 회화만이 만들 수 있는 작품이다. 사진으로 여인을 저렇게 찍을 수 있을까? 조각으로는? 오로지 그림만이 표현할 수 있는 순수한 그림만의 아름다움이라는 영역이 있음을 초기 ?????의 거장들은 드러내 보인 것이다 ㅇㅅㅇ!)
모더니즘
54
그린버그는 작품의 형식주의 비평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린버그는 예술이 관념(Subject)을 추방하고 스스로 순수해져 자기 고유의 매체로 회귀해가는 과정으로 폴록을 해석했다. 이것은 회화가 3차원의 환영을 파괴하고 평면으로 돌아가고자 한 ????? 운동의 연장이다.
모더니즘
55
이슈를 제기하다 논쟁하다
Take issue with
56
의역하다 부연해서 설명하다 바꾸어 쓰다
par·a·phrase
57
극단적으로
egregious
58
한 가지만 아는 고슴도치 vs 여러 가지 아는 여우, 승자는… 누구의 수필?
아이자이아 벌린
59
책 제목은 ????(기원전 680년께~645년께)가 한 이 말에서 나왔다. "여우는 많은 것을 알지만, 고슴도치는 단 한 가지 중요한 것을 안다(A fox knows many things, but a hedgehog one important thing).”
고대 그리스 시인 아르킬로코스
60
In defence of realism 책의 저자
Raymon Tallis
61
입장권 없이 들어가다
gatecrash
62
역청질의 아스팔트의
bituminous
63
급습하다
foray
64
앞서 나가다
outstrip
65
패배시키다
outplay
66
유명론 명목론
nominalism
67
부유한 넉넉한
wellheeled
68
자세히 이야기하다
recount
69
한계를 정하다 구별하다
demarcate
70
판결하다
adjudicate
71
실증주의
positivism
72
동형의
isomorphous
73
숨기다 착복하다
secrete
74
팩트는 선택되고 구성될 수는 있으나…
발명될 수는 없다. 레이몬드 탈리스 (리얼리즘을 위한 변호)
75
막다 방지하다
preclude
76
팩트는 ???이다 - 레이몬드 탈리스
미니 스토리이다 25p 스토리의 진실성을 부정하는 사람은 팩트의 진실성도 부정하는 것
77
물리적 현실에는 진실이나 오류가 없다. - 레이몬드 탈리스
진술의 형태로 구성된 경험에 내리는 판단이 바로 진실 또는 오류이다. 28 즉 사실의 진실성은 바로 진술의 진실성에서 오는 것이다. 진실 또는 오류는 언어에 후행하지 선행하지 않는다. 진실은 존재에 대체되어야 한다. 존재 자체는 진실도 오류도 없다.
78
대체하다
supercede
79
- 덕분에 -의 효력으로
in(by) virtue of
80
본래부터 타고나다
inhere
81
팩트는 ??의 자식이다. 그것이 ?? 외적으로 결정이 되더라도
언어 레이몬드 탈리스 30
82
모방의
mimetic (어는 리얼리즘 작가도 현실을 represent하려 하지 않는다. Express하려 한다.)
83
아즈마 히로키가 말하는 오타쿠의 기원
60년대 우주전함 야마토 기동전사 건담을 십대에 본 1세대 70년대 생 2세대 80년대 생 3세대 에반게리온 아즈마 히로키가 촛점을 두는 건 제3세대
84
풀 애니메이션의 반대말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 초당 8장 정도 하야오와 이사오는 풀 애니메이션 지향 린타로 토미노 요시유키는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지향 - 일본 특유의 표현
85
오타쿠 문화의 배후에는 ???가 감추어져 있다
전통의 주체성 상실 오타쿠를 혐오하는 사람들은 이 점을 무의식적으로 안다
86
포스트모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
포스트모던 - 70년대 이후 문화 포스트모더니즘 - 사상 사조 훨씬 한정적
87
일본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좋아했던 사상가
알렉상드르 코제브
88
코제브는 미국과 일본을 어떻게 구분했나
미국 - 동물화 일본 - 스노비즘 (일본에 호의적)
89
오타쿠들이 만들어 낸 것은 모두 미국산 재료
하지만 거기에 일본적인 것을 넣어 80년대 내셔널리즘을 창출하는데 기여
90
미술, 특히 주로 회화에서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일부 변형, 축소, 왜곡을 가해서 표현하는 기법.
데포르메 또는 데포르마시옹
91
오타쿠 문화의 포스트모던적 특징
2차창작 - 원작과 패러디를 같은 가치로 소비 (시뮬라크르) 리얼리즘 희박. 선행 작품 인용 모방. 현실세계 참고 안 하고. 허구 중시의 태도 -
92
오타쿠들이 취미의 공동체에 갇히는 것은 그들아 사회성을 거부하는 게 아니라
사회 가치규범이 잘 기능하지 않아서 다른 허구의 가치규범을 만들려 하는 것
93
“커다란 이야기의 조락”을 이야기한 프랑스 철학자
프랑수아 리오타르 커다란 이야기 - 시스템
94
이 사건으로 인해 산악 베이스 사건의 전말이 세상에 드러났으며, 일본 좌파 운동의 쇠퇴를 가져온 요인 중 하나로 손꼽혔다.
아사마 산장 연합적군 사건
95
1971년부터 1972년에 걸쳐 적군파 게릴라인 연합 적군(連合赤軍 United Red Army)이 일으킨 집단폭행 살인사건.
산악 베이스 사건
96
사회학자 오사와 마사치에 따르면 오타쿠는
내재적 타자와 초월적 타자의 구별이 실조 오컬트 신비사상에 잘 빠져
97
근대에서는 ????가 인간성을 보증하며 구체적으로 종교나 교육기관이 그 실현을 맡고 있었다면
신과 사회
98
이야기 소비론의 저자
오쓰카 에이지
99
오쓰카 에이지가 말하는 커다란 이야기란
설정 세계관
100
오쓰카 에이지에 따르면 이야기 소비란
개개의 작품은 커다란 이야기의 입구에 불과. 소비자가 진정 평가하는 것은 설정 세계관
101
근대의 트리형 세계에서는 표층이 심층에 의해 결정되었지만 포스트모던의 데이터베이스형 세계에서는
표층은 심층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읽어내기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모습 근대의 세계상에는 심층에 이야기가 있지만 포스트모던에는 없다
102
오타쿠 세대의 차이의 원인
커다란 이야기의 보충으로 허구를 필요로 하는 세대 - 건담 그럴 필요조차 못 느끼는 세대 - 에반게리온 이후 (캐릭터 인간 : 이야기나 메세지 관계없이 작품 배후의 정보만을 소비)
103
에반게리온 팬들은 세계관 전체에는 관심이 없었다
처음부터 2차창작 캐릭터 모에
104
아즈마 히로키는 작은 이야기의 배후에 있으면서 결코 이야기성을 갖지 않는 영역을 ???라 부른다
커다란 비이야기
105
모에 : 이야기와 ???은 같은 계열의 산물
머그컵
106
현재 유통되고 있는 캐릭터는 작가의 개성이 만들어낸 고유의 디자인이 아니라
미리 등록된 요소가 조합되어 작품의 프로그램에 따라 생성되는 일종의 출력결과
107
90년대 미디어믹스 환경에서 다양한 작품과 상품을 묶는 것은 ???? 밖에 없다
캐릭터
108
일본 오타쿠들은 70년대에는 커다란 이야기를 잃었고
80년대에 이를 날조했으며 90년대에 날조할 필요도 못 느끼고 단순히 데이터베이스를 욕망하는 단계
109
근대소설이 현실을 그린다면
오타쿠계 소설은 허구를 그린다 애니메이션 만화적 리얼리즘
110
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의 골자
아우라의 실종 (근대적 예술가치의 실종)
111
이제는 이데올로기는 없고 시뮬라크르 밖에 없다 누구 말?
장 폴 보르리야르
112
우리는 물건을 사용하는 사람이라기보다 오히려 물건을 읽어내고 선택하는 사람으로서 즉 독해의 세포로서 살고 있다 누구?
보드리야르
113
아즈마 히로키가 포스트모더니즘에 더하고 싶은 주장은?
시뮬라크르는 무질서하게 증식하는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수준에서 뒷받침되기에 유효하게 작동한다
114
오리지널의 불가해한 매력을 뭐라고 하나
작가성의 신화
115
스스로를 오타쿠 예술가로 지칭하고 있다. 일본 오타쿠 코드를 가져다 재조합하여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어낸다. 그의 작품세계는 오타쿠 문화와 예술의 경계에 있다.
무라카미 다카시
116
무라카미 타카시는 도쿄예술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을 때 일본의 '오타쿠'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것을 상위 예술로 끌어올리는 개념인 ???이란 것을 만들었다. ????은 19세기 서양 회화와 전통적인 일본의 재료, 기법, 그리고 관습이 혼합된 '일본화'를 그만두고, 환상적이고 묵시론적인 줄거리의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몰입한 결과이다.
슈퍼플랫
117
??? 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token)이다. 그림·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써 그 고유한 원본성 및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일종의 가상 진품 증명서.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
118
러시아 출신 프랑스 철학자로 30년대에 헤겔에 관한 독특한 강의한 것으로 유명
헤겔 독해 입문
119
헤겔은 역사는 19세기 초 유럽에서 끝났다고 주장 왜?
근대사회의 탄생이 역사의 종언이라 선언
120
헤겔에 의하면 인간은 그 자체로 인간이 아니다
주어진 환경을 부정하는 행동이 있어야 자연과의 투쟁 (동물은 자연과 조화) 코제브가 미국 소비사회를 동물적이라 부른 이유
121
코제브가 말하는 스노비즘이란?
주어진 환경을 부정할 실질적 이유가 없지만 형식화된 가치에 입각해 그것을 부정하는 행동양식. 스놉은 환경과 조화하지 않는다.
122
코제브는 스노비즘의 예로 든 것
할복자살 실질적으로 죽을 이유가 없는데 죽어 자연과 대립하지만 역사를 움직이는 힘은 없다
123
오타쿠학 입문에 따르면 오타쿠 감성의 기둥을 이루는 것은
속고 있다는 걸 알면서도 진정으로 감동하는 거리감 실질적인 무의미에서 형식적인 가치 즉 취향을 분리해 낸다 (형식에서 내용을 분리)
124
코제브가 스노비즘이라 부른 태도는 나중에 지젝이 ??라 불렀다
냉소주의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125
지젝이 냉소주의의 예로 스탈린주의를 든 이유
이데올로기를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그래서 겉모습은 어떻게든 유지해야 한다 실질과 형식의 이 뒤틀린 관계 (코제브의 냉소주의를 지젝은 나쁘게 보았다)
126
지젝의 냉소주의를 표현하는 말
그렇기 때문에 더욱
127
지젝의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은 누구를 참고했나
페터 슬로터다크의 냉소적 이성 비판
128
지젝과는 달리 페터 슬로터다크는 ??을 근대 냉소주의의 시작점으로 보았다
1차대전 계몽주의 이상의 파괴
129
라캉은 프로이트의 만년 연구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1차대전 당시부터 (죽음충동 반복강박)
130
지젝의 저작은 ???의 시각으로 보면 잘 설명
냉소주의
131
연합적군이 이상의 시대의 종언이라면
옴 진리교는 허구의 시대의 종언
132
아즈마 히로키에 따르면 ????에 대한 욕구는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
잘 만든 이야기
133
에반게리온 이후 남자 오타쿠 사이에 가장 영향력 컸던 캐릭터는
만화나 애니 주인공이 아닌 투하트의 멀티일 것
134
동물의 욕구는 ??없이 충족되지만 인간의 욕망은 본질적으로 ??를 필요
타자 이는 헤겔-라캉으로 이어지는 근대 철학의 근간
135
코제브는 동물화 현상을 이렇게 표현
개구리나 매미처럼 콘서트를 하고 새끼 동물이 노는 것처럼 놀며 다 자란 짐승이 하는 것처럼 성욕 발산하는 세계가 된다
136
현재의 오타쿠는 이미 ??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노비즘 남는 것은 동물화
137
오타쿠들의 행동원리는 지적인 감상자도 아니고 (의식적 인간) 성적인 주체도 아닌 (무의식적 인간) ???다
단순하고 즉물적인 약물중독자 취미라기보다 약물의존
138
신인류와 오타쿠의 행동원리
상징의 교환을 중심으로 한, 깊이를 결여한 커뮤니케이션. 한정된 정보공간 내부에서 겨우 유지되는 자기상
139
오타쿠의 사교성은 친족 지역공동체 같은 현실적 필연이 아니라
특정 정보에 대한 관심으로 지탱
140
90년대 일본문화에서 늘어난 ??과 ??에 대한 관심
눈물 모에 현실에서 감동 못 하니 허구에서 감동한다
141
근대의 트리형 세계에서는 ??가 중요한 요소였다
공감 지금은 감정은 오히려 비사회적으로 고독하게 동물적으로 처리. 프로작이나 마약과 다르지 않아
142
포스트모던의 주체는 이층화되어 있다
시큘라크르 수준 (표층)의 작은 이야기에 대한 욕구 데이터베이스 수준(심층)의 커다란 비이야기에 대한 욕망
143
아즈미 히로키는 새로운 인간을 ??라 부른다
데이터베이스적 동물
144
인쇄매체는 확고하게 보이는 것이 출발점이었지만 웹의 세계는
같은 HTML이라도 브라우저에 따라 다르다. 즉 여러 개의 보이는 것에 대한 비교검토가 우선
145
웹의 세계는 인쇄의 세계와 달리
보이는 것이 여럿 있고 보이지 않는 것의 위치도 안정되어 있지 않다
146
노벨 게임은 드라마 뿐 아니라
시스템까지 포함하여 평가해야 한다 인터페이스 뿐 아니라 소스코드까지
147
아즈마 히로키는 웹 게임 소프트웨어의 세계 포스트모던의 특징을 ??라고 표현
초평면적 무라카미 다카시의 미술운동 슈퍼 플랫에서 영향
148
아즈마 히로키가 말하는 과시적이라는 뜻은?
과도하게 가시적 보이지 않는 걸 보이게 만드려는 끊없는 시도 (그는 이를 우편적 불안이라 부른다)
149
작은 이야기 = ??? 커다란 비이야기 = ???
시뮬라크르 데이터베이스
150
근대 트리형 모향에서는 보이는 것에서 거슬러 올라가 보이지 않는 것을 차례차례 보이게 한다. 그래서 근대적 초월성이란?
시각적 운동 포스트모던에서는 이게 불가능 결코 안정된 최종심급에 도달할 수 없다
151
컴퓨터 게임의 전제
드라마 소비와 시스템 소비의 이층화
152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다중인격자. '연쇄살인범'으로 오인받는 경우도 있으나, 공식적인 전과는 성폭행, 강도, 폭행죄이다. 살인 혐의도 있으나 확실히 밝혀지진 않았다. 24개의 인격이 있어
빌리 밀리건
153
게임에서 나오는 포스트모던의 특징
다중인격
154
이야기 소비론도 데이터베이스 소비론도 오스카 에이지는 모두 ???의 연장으로 본다
1920년대 러시아 형식주의 구성주의
155
이야기 소비란?
문학 구조가 모두 비슷비슷해지는 것
156
조지프 캠벨이 주장한 것
단일신화론
157
이야기론에 입각해 이야기를 쓴다는 말은?
이야기로부터 구조를 추출하는게 아니라 구조에서 살을 붙이는 방식으로 이야기 쓴다 - 하루키의 방식
158
러시아 형식주의는 어떻게 나왔나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질려서
159
전공투 운동이 좌절된 후 무엇이 유행?
가공의 연대기 만들기 - 건담 이것은 거대한 이야기의 종언을 대체하는 현상. 이런 허구를 현실에 다시 억지로 접붙이려 했던 것이 옴 진리교. 아사하라 쇼코도 미래 연대기 썼다. 이 엉터리를 믿었던 이유는 간부가 그 안에서 역할을 부여받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