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4 Flashcards
(228 cards)
칸트 윤리학의 중심개념
자율성
칸트 윤리 사상의 중심에 있는 철학자
루소 (자율)
칸트 윤리학의 가장 큰 특징
도덕법칙에서 내용을 제거했다
(형식만 - 정언명법
왜냐하면 도덕법칙은 자율적 의지로 스스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의 반대는 거짓이다
심오한 진리의 반대는 자주 또다른 심오한 진리이다
누구 말
닐스 보어
고치기 어려운
고집센
intractable
불쾌감
malaise
밀폐된
airtight
국부 쑨원(孫文·손문)도 듀이의 거처를 방문, 만찬 함께하며 장시간 대화를 나눴다. 쑨의 말은 무게가 있었다. “중국은 ???, 알기는 쉬워도 행동하기는 힘들다는 공론(空論)을 만고의 진리처럼 숭상하는 전통이 있다. 경험이 부족하고 현실을 무시하는 헛소리에 불과하다. 나는 ?????, 깨우치기가 힘들지 행동은 쉽다고 생각한다.”
지이행난
실용주의 철학자 듀이는 쑨의 탁견에 공감했다. 미국에 있는 딸에게 편지를 보냈다. “중국의 전 총통 쑨원과 만찬하며 많은 얘기 나눴다. 흔히들 혁명가라고 하지만, 내가 보기엔 철학자였다. 장래가 우려된다.” 훗날 쑨원은 “내가 제창한 ‘지난행이’를 듀이도 인정했다”며 애들처럼 좋아했다.
프랑스에 있던 저우언라이(周恩來·주은래)는 친구가 보내준 듀이의 강연록을 읽었다. ????야말로 세계 최고의 신사조(新思潮)라며 극찬했다.
실험주의
영국의 ????과 인도의 ????도 중국에 머무르며 여기저기 강연을 다녔지만, 체류 기간과 영향력이 듀이에 비하면 어림도 없었다.
버틀랜드 러셀
타고르
칸트의 3대 비판서에는 분석론과 함께 언제나 ???이 따른다. 분석론은 의식을 해부하여 거기에 내재하는 선험적 원리들을 적극적으로 도출하는 부분이다. 반면 ????은 과거의 주요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무너뜨리는 부분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변증론
오늘날 해체론이라 하면 흔히 데리다를 떠올리지만, 해체론의 선구적인 형태는 ????에서 찾을 수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칸트의 변증론
칸트의 최고선이란?
최고선은 도덕성과 행복이 동전의 양면처럼 분리할 수 없는 일체를 이루는 상태를 의미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이른바선진국이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도덕성의 추구가 행복의 추구로 이어지는 사회라 할 수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실천 이성은 최고선의 가능성과 그에 대한 믿음을 위해 궁극적으로 세 가지를 요청할 수밖에 없다. ???이 그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영혼 불멸, 자유, 그리고 신
“순수 이성을 비판하는 목적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신앙의 자리를 얻기 위해 지식을 폐기하는 데 있다
이때 신앙은 종교적 신앙이 아니라 도덕적 신앙을 말한다. 그리고 그 도덕적 신앙은 초월론적 자유의 가능성에 기초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그것에 대해 자주, 그리고 계속해서 숙고하면 할수록 점점 더 새롭고 점점 더 커다란 경탄과 외경으로 마음을 채우는 두 가지 것이 있다. 그것은 ???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내 위에 별이 빛나는 하늘과 내 안의 도덕법칙
칸트의 묘비에 써진 글
내 위에 별이 빛나는 하늘과 내 안의 도덕법칙
칸트에 따르면 철학의 본업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칸트에 따르면 그것은 과학과 경쟁하여 미지의 것을 아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그것은 우리가 이미 아는 것을 비판하는 데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칸트는 『판단력비판』 전반부에서 숭고의 미학을 제시하며 ??의 논리에 갇혀 있던 과거의 예술철학을 비로소 전복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조화
칸트는 선 중심의 윤리학을 ?? 중심의 윤리학으로 바꾸어놓았다. 선을 기준으로 도덕법칙을 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도덕법칙을 기준으로 선을 정의하는 관점을 취한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법
칸트는 이렇게 우연한 사실로부터 새로운 보편자로 나아가는 판단을 ‘????이라 명명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반성적 판단reflexive judgement’
그리고 이것을 보편적 개념에서 출발하여 특수한 사실로 나아가는 ‘규정적 판단determining judgement’과 구별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예술철학에서 칸트는 심미적 판단이 지닌 보편적 타당성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 ??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끌어들여 다시 한 번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를 이룬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반성적 판단
칸트는 『판단력비판』 전반부에서는 심미적 판단을 다루고, 후반부에서는 ???적 판단을 다룬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목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