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힌두교 1 Flashcards
(314 cards)
사성제 의미와 출처
사성제 또는 사제는 《아함경》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
사성제는 “네 가지 높은 깨우침” 또는 “4가지 고귀한 진리
사성제를 4자성어로
그리고 의미
고집멸도
고집멸도는 고통의 원인이 집착 또는 갈애이며 고통을 소멸시키는 원인 또는 수단이 도라는 연기관계를 밝힌 것이다.
고타마 붓다는 “우주는 영원한가? 영원하지 않은가?”와 같은 형이상학적 질문들인 ????는 사성제와는 달리 지혜(智) · 깨달음(覺) · 열반(涅槃)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르치거나 배울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십사무기(十事無記)
사성제의 고제란?
고제(苦諦, Duhakaha Satya)는 범부(凡夫), 즉 깨치지 못한 사람의 삶은 고(苦)라고 하는 진리이다
불교의 5온은?
색(色) · 수(受) · 상(想) · 행(行) · 식(識)
5온설을 사유 또는 명상하는 것은 개인 존재(나, 我)는 이 5가지 집합적 요소로 분해되고, “나[我]”라고 말할 때 그것은 결국 이들 5가지 집합적 요소들 중의 하나 혹은 다수를 가리켜 하는 말이며, 이들 5가지 집합적 요소들 밖에 나[我]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무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無我)의 이치를 깨우쳐 자아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한반도에 불교를 전했다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람
허황후
인도 아유타 왕국의 공주로 서기 48년 인도에서 배를 타고 가야국에 와 김수로왕의 왕비가 되고, 김해 허씨의 시조가 된 허황후 이야기는 에 나온다
고구려에 처음 불교를 전했다는 사람과 출처
4세기 후반 전진의 승려 순도가 고구려에 처음 불교를 전했다는
원문보기:
https://m.hani.co.kr/arti/society/religious/749762.html#csidxe32219d2c3dad9193c6dfeb37f6c44e
힌두 신화의 라후라는 아수라는 어떻게 생겨났나
비슈누는 신들에게 먼저 암리타를 나누어 주었다. 그러나 그중 단 하나, ‘스바르바누(Svarbhānu)’는 신들 사이에 숨어있다 암리타를 마실 차례를 받게 되었다. 그의 정체를 눈치챈 달의 신 소마와 태양신 수르야가 이를 비슈누에게 말했고, 비슈누-모히니는 즉시 자신의 원반 수다르사나를 던져 그의 목을 베어버렸다. 암리타를 넘기지 못했기에 목 아래는 죽어 케투(계도)라는 별이 되었고, 입술은 적셨기때문에 그 머리만은 살아남아 라후(나후)가 되었다
힌두의 달의 신
소마
힌두 태양신
수르야
라후가 신들 사이에 숨어 마시려했던 약
암리타 (불사 영약)
힌두 신화의 일식 월식을 설명하는 아수라
라후
북구신화의 괴물 늑대
바르그 (스콜과 하티가 있다)
북구신화에서 일식 월식 설명하는 괴물 늑대 (바르그)
스콜 (해)
하티 (달)
힌두 신들의 왕
인드라 (물론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를 제외하고)
제우스 보다 약하다
힌두교 신화에서 브라흐마 시바 비슈누가 대단한 이유
힌두교 세계관에서 세계는 끊임없이 태어나 지속되다가 소멸하고 다시 태어나는 것이라는 점. 3대신은 세계의 흥망에 상관없이 시간의 흐름 너머에 존재하는 초월한, 격이 다른 신
인드라의 무기
바즈라 (금강경) - 번개 발사
힌두 불교에서 사후세계 관장하는 신
야마 (야마라자) = 염라대왕
?!!! 는
브라흐마의 아들로 사람들이
지상에서 행한 행위를 낱낱이 기록한다고 합니다.
치트라굽타(Chitragupta)
힌두신화의 마하칼라가 상징하는 것
시간 죽음
인도 불교의 마하칼라 신이 한국에서는 무엇으로 불리나?
대흑천
불교 호법신을 뭐라 하나
다르마팔라
대승불교 산스크리트어
마하야나
불교신 하야그리바 는 한국어로
마두관음 (말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