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힌두교 1 Flashcards

(314 cards)

1
Q

사성제 의미와 출처

A

사성제 또는 사제는 《아함경》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

사성제는 “네 가지 높은 깨우침” 또는 “4가지 고귀한 진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사성제를 4자성어로

그리고 의미

A

고집멸도

고집멸도는 고통의 원인이 집착 또는 갈애이며 고통을 소멸시키는 원인 또는 수단이 도라는 연기관계를 밝힌 것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고타마 붓다는 “우주는 영원한가? 영원하지 않은가?”와 같은 형이상학적 질문들인 ????는 사성제와는 달리 지혜(智) · 깨달음(覺) · 열반(涅槃)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르치거나 배울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A

십사무기(十事無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사성제의 고제란?

A

고제(苦諦, Duhakaha Satya)는 범부(凡夫), 즉 깨치지 못한 사람의 삶은 고(苦)라고 하는 진리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불교의 5온은?

A

색(色) · 수(受) · 상(想) · 행(行) · 식(識)

5온설을 사유 또는 명상하는 것은 개인 존재(나, 我)는 이 5가지 집합적 요소로 분해되고, “나[我]”라고 말할 때 그것은 결국 이들 5가지 집합적 요소들 중의 하나 혹은 다수를 가리켜 하는 말이며, 이들 5가지 집합적 요소들 밖에 나[我]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무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無我)의 이치를 깨우쳐 자아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한반도에 불교를 전했다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람

A

허황후

인도 아유타 왕국의 공주로 서기 48년 인도에서 배를 타고 가야국에 와 김수로왕의 왕비가 되고, 김해 허씨의 시조가 된 허황후 이야기는 에 나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고구려에 처음 불교를 전했다는 사람과 출처

A

4세기 후반 전진의 승려 순도가 고구려에 처음 불교를 전했다는

원문보기:
https://m.hani.co.kr/arti/society/religious/749762.html#csidxe32219d2c3dad9193c6dfeb37f6c44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힌두 신화의 라후라는 아수라는 어떻게 생겨났나

A

비슈누는 신들에게 먼저 암리타를 나누어 주었다. 그러나 그중 단 하나, ‘스바르바누(Svarbhānu)’는 신들 사이에 숨어있다 암리타를 마실 차례를 받게 되었다. 그의 정체를 눈치챈 달의 신 소마와 태양신 수르야가 이를 비슈누에게 말했고, 비슈누-모히니는 즉시 자신의 원반 수다르사나를 던져 그의 목을 베어버렸다. 암리타를 넘기지 못했기에 목 아래는 죽어 케투(계도)라는 별이 되었고, 입술은 적셨기때문에 그 머리만은 살아남아 라후(나후)가 되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힌두의 달의 신

A

소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힌두 태양신

A

수르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라후가 신들 사이에 숨어 마시려했던 약

A

암리타 (불사 영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힌두 신화의 일식 월식을 설명하는 아수라

A

라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북구신화의 괴물 늑대

A

바르그 (스콜과 하티가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북구신화에서 일식 월식 설명하는 괴물 늑대 (바르그)

A

스콜 (해)

하티 (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힌두 신들의 왕

A

인드라 (물론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를 제외하고)

제우스 보다 약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힌두교 신화에서 브라흐마 시바 비슈누가 대단한 이유

A

힌두교 세계관에서 세계는 끊임없이 태어나 지속되다가 소멸하고 다시 태어나는 것이라는 점. 3대신은 세계의 흥망에 상관없이 시간의 흐름 너머에 존재하는 초월한, 격이 다른 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인드라의 무기

A

바즈라 (금강경) - 번개 발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힌두 불교에서 사후세계 관장하는 신

A

야마 (야마라자) = 염라대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 는
브라흐마의 아들로 사람들이
지상에서 행한 행위를 낱낱이 기록한다고 합니다.

A

치트라굽타(Chitragupt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힌두신화의 마하칼라가 상징하는 것

A

시간 죽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인도 불교의 마하칼라 신이 한국에서는 무엇으로 불리나?

A

대흑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불교 호법신을 뭐라 하나

A

다르마팔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대승불교 산스크리트어

A

마하야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불교신 하야그리바 는 한국어로

A

마두관음 (말머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야차 를 산스크리트어로
야크샤
26
나찰을 산스크리트어로
라크샤사
27
불교에서 야차의 일은
지옥에서 형벌집행을 담당한다. 야차들을 거느리는 귀왕들 셋이 각각의 시왕의 보좌를 한다고 한다.
28
비사문천은 지국천, 증장천, 광목천과 함께 사천왕으로 불리는 불법수호신(武神)으로 ???의 북쪽을 담당한다.
수미산
29
인도 신화의 10대 대신 중 하나로 부의 신이자 야차들의 수장
쿠베라
30
불교 밀교를 산스크리트 어
바라야나 Vajrayana
31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에서 행해지는 밀교 수행법, 또는 밀교 수행법을 담은 경전.
탄트라
32
야마를 한자로 하면
염마왕 | 염마대왕
33
고대 인도의 신으로, 인간 중 최초로 죽음을 경험하며 신이 되었다
야마
34
힌두의 지옥신 야마는 뭘 타고 다니나
물소
35
야마의 명을 따라 죽은 자를 지옥으로 데려오는 동물
얼룩무늬에 눈이 네 개 달린 두 마리의 개인 사라메야
36
사악한 라크샤사로 라반나의 형제
Kumbhakarna | 라마야나에 나온다
37
라마 왕의 일대기'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로 된 고대 서사시.
라마야나
38
인도를 대표하는 고대 서사시와 시대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Bc3세기 경 추정
39
라마야나에 나오는 원숭이 신
하누만
40
인도 사회에서 여성들이 죽은 남편을 화장하기 위해 피운 불에 뛰어드는 풍습
사티
41
나찰을 산스크리트어로
라크샤사
42
나찰은 본래 힌두교의 무엇이었나
인간을 잡아먹는 악귀
43
인도신화의 나찰의 왕
라바나
44
붓다는 누구의 유혹은 뿌리쳤나
마라
45
불교의 지옥은 어떻게 두 개로 나뉘나
팔열지옥 | 팔한지옥
46
그리스어로 이블아이를 뭐라 하나
마티
47
구실 핑계 협잡
subterfuge
48
불교에서 깨달음에 이르는 7가지 요소
칠각지 7 factors of awakening
49
붉은 실로 인연을 이어준다는 신으로서 | 동아시아 도교 신앙에 전반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신
월하노인
50
무속인들은 뭐와 뭐로 나뉘나
강신무 | 세습무
51
강신무 중 여자는 ?? 남자는 ??라 불린다
무당 | 박수
52
세습무는 집안에 ??을 모시지 않는다
신당
53
무속인들은 집앞 장대에 뭘 다나?
빨간 깃발 하얀 깃발
54
굿판에서 사용하는 오방기란?
색깔마다 의미가 있다 빨간색은 재수와 소원 하얀색은 조상의 한
55
제8일의 밤의 모티브가 된 불교서적
금강경 32장
56
금강경의 대표하는 말
“응당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어라(應無所住而生其心)”라는 유명한 구절로 대표되는 이 경전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
57
세상은 본래 나누어지지 않는 한 몸이다. 이를 ‘?????’이라 하고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무상(無相)의 실상(實相)
58
선가의 개구즉착 이라는 말의 뜻은
입을 열면 바로 어긋난다
59
붓다는 무슨 뜻?
깨달은 자
60
붓다 모든 진리를 아는 자를 뭐라 하나
일체지자
61
불교 선의 원어
디야나
62
지금 말하기에는 너무 민감한 주제 (얼마 전 죽은 사람)
too soon
63
금강경 의 모든 이름
금강반야바라밀다경
64
불가에서 ‘모든 부처님의 어머니(諸佛之母)’라 하여 중시되었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반야
65
육바라밀이란?
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반야바라밀 (앞의 5개는 마지막을 얻기 위한 과정)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66
반야(般若)란 잘 알려져 있듯이?????를 음사한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지혜’를 뜻하는 범어 프라즈냐(prajñā)
67
노자의 지극히 선한 것은 물과 같다
상선약수
68
상선약수에 대해 반야는 어떻게 말하는가
반야는 이렇게 묻는다. 무엇이 물인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려는 수증기나 제자리에 있으려 하는 얼음과 분명하게 구별이 되는가 기초가 되는 상식에 대한 질문. 형이상학 인식론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69
지식과 지혜와 달리 반야는 뭘 추구
분별 이전에 있는 본래의 세계, 분별되지 않는 진여(眞如)의 세계에 있는 진리를 본다. 이러한 진리를 불교에서는 진제(眞諦)라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70
우리가 알고 있는 수많은 진리는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영역을 설정하였을 때 그 한계 안에서만 옳은 것이 거의 대부분이다. 이러한 제한적 진리, 세속에서 유용성을 갖는 진리를 불교에서는 ???라 하고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속제(俗諦)
71
불교에서 말하는 2제란?
속제 진제
72
프라즈냐 단어를 분석하면
반야의 범어 프라즈냐는 ‘앎’을 뜻하는 ‘jñā’에 ‘위, 앞’을 뜻하는 접두어 ‘pra’가 붙은 것이다. 그러므로 ‘뛰어난 앎’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73
비즈냐 는 무슨 뜻
분리를 뜻하는 vi와 앎을 뜻하는 jna (즉 분석적 지식)
74
반야를 무슨 지라고 하나
무분별지 | 일체지
75
진제에 대해 이해하기 좋은 책
대품반야경 (이를 요약한 게 반야심경)
76
진제는 백만 마디의 말로 설명해도 부족하고 ??이라는 한마디로도 이해할 수 있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77
반야심경과 금강경의 내용
반야심경은 이론 (공) | 금강경은 실천
78
반야심경 전체 이름
반야바라밀다심경 | 앞에 위대한 이라는 뜻의 마하- 를 붙이기도
79
범어 흐리다야 무슨 뜻
Heart 마음심
80
반야심경 소본의 유명 한역자 2명
구마라집 300년대 (중앙아시아 구자국) | 현장 600년대
81
서유기에서 일행을 돕는 신과 경전
관세음보살 | 반야심경
82
반야심경은 누구의 대화
반야바라밀은 어떻게 익히냐는 사리불의 질문에 관세음보살이 답하는 내용
83
오온 중 색이 나타내는 것
물질적 존재의 모든 것
84
색온의 오근은 무엇을 가리키나
안 이 비 설 신
85
색온의 오경은 무엇
색성향미촉 | 5감 그 자체
86
색법인 오근과 오경 외에 심법인 ??이 있어서 이를 합쳐 육근이 한다. ??의 대상이 되는 것은 법경이라고 부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의근
87
외부의 대상이 있다고 늘 포착하는 것은 아니다. 한 생각에 빠져 있을 때는 눈앞에 사물이 나타나도 보이지 않고 소리도 들리지 않는 것처럼 의식이 그 대상으로 가야 한다. 이렇게 ????의 세 가지가 맞닿으면 바로 느낌이 생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경 근 식
88
고락사 의 사는 무엇?
고·락·사(捨=不苦不樂; 그저그럼)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89
삼사화합(三事和合)하여 촉(觸)이 이루어지면 ????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고·락·사(捨=不苦不樂; 그저그럼)의 수(受; 느낌)가 생긴다
90
?????하여 촉(觸)이 이루어지면 고·락·사(捨=不苦不樂; 그저그럼)의 수(受; 느낌)가 생긴다고 말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삼사화합
91
불교의 상이란?
저장된 기억을 현재와 대조해 보는 마음작용
92
연상을 통해 외부 대상에 대해 인식을 곧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주관적 감정이 개입되니 이를 ??이라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행(行; 조작)
93
육근에 포착된 대상이 무엇인지 최종적으로 분별하는 것을 ???이라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식(識; 인식)
94
무색정이라는 깊은 삼매에 들어가면 ?의 작용이 없다
95
무색정이라는 깊은 삼매에 들어가면 색의 작용이 없으며 이보다 더 나아가 ?????이라는 가장 깊은 삼매에 들어가면 수와 상의 작용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멸진정(滅盡定=상수멸정)
96
오온이란?
색수상행식
97
색수상행식을 된장찌게 비유
배고픈 사람이 길을 가다가 무슨 구수한 냄새(색)를 맡았다. 그 순간 좋은 느낌(수)이 생기고 기억 속에 저장해 놓은 냄새들과 대조해 보아(상) “맛있는(행) 된장찌개 냄새(식)”가 난다고 인식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98
행온의 행의 뜻과 원어
범어 samskara 상스카라 | 조작 변화
99
찰나적으로 인식이 일어날 때는 행온 중에서 특히 ‘조작’이라는 의미를 갖는 ??가 반드시 작용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사(思)
100
오온의 온은 무슨 뜻?
쌓을 온 | 색수상행식이 쌓여서 인간의 정신이 된다
101
오온의 온은 무엇을 한역했나
skandha 쌓임 집합
102
우파니샤드 무슨 뜻?
스승에게 가까이 앉아 귓속말로 전해듣는 (진리)
103
우파니샤드가 베단타 라고 불리는 이유
우파니샤드는 베다의 해설집(브라흐마나(Brahmana))에서 출발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파니샤드는 베다 전통의 맨 마지막 단계에서 형성되었고, 그 내용이 가히 베다 사상의 결정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베다의 끝'이라는 의미인 '베단타'라고도 불린다.
104
우파니샤드는 ??의 해설서 중 하나일 뿐
베다
105
베다와 신의 관계
베다는 신조차 능가하는 우주의 가장 기본적인 질서로, 브라흐마도 비슈누 혹은 시바로부터 네 베다를 받은 후에야 비로소 창조주가 될 수 있었다
106
베다의 권위가 신을 능가한다는 말은?
베다에 나오는 찬가를 올바른 방식으로 부른다면, 대상이 되는 신은 그 기도를 반드시 들어 주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즉
107
힌두 건축의 신
비슈와카르만
108
마우리아 왕조란?
기원전 322년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창시된 인도 최초의 제국
109
인도 성인 싱은 무슨 뜻?
카스트 제도를 부정한 시크교에서는 남자 이름을 전부 '싱(Singh, 사자),' 여자 이름을 '카우르(Kaur, 왕자)'로 통일시켰다.
110
오온은 사람이 어떤 존재인가를 설명하는 분류방식이기도 하고 또한 ?????하는 방식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세상의 모든 것을 나누는 | 인식하는 나를 중심에 두고 세상을 나눔
111
불교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기준의 다른 점
아리스토텔레스는 유체이탈을 한 듯 객관적으로 세상을 분류 불교에서는 ‘인식하는 나’를 중심으로 하여 ‘인식되는 세계’를 주관적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12
???는 자연 세계의 본질은 인간에게 그대로 알려지는 것이 아니라 인식의 범주(Kategorie)를 통해 파악되는 ‘현상’뿐이라 하였고 이후 후설(Husserl)은 이러한 이론을 더욱 발전시킨 현상학을 확립하였다
칸트
113
오온은 ?과 다르지 않다
114
공을 언어로 설명할 때는 ?공과 ?공으로 구분
아공 | 법공
115
법공의 핵심은?
법에는 아가 없다
116
불교의 법은 범어로?
다르마
117
법의 첫번째 용법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고 느낄 수 있는 사물이나 법칙을 가리키는 경우이다. 그냥 ‘존재하는 모든 것’이라 이해해도 크게 틀린 것은 아니다 (단 내가 인식한 것)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18
법의 두번째 용례
두 번째는 사물들을 이루고 있는 1차적이고 기본적인 요소를 가리키는 경우이다. 오온이나 지·수·화·풍의 사대, 내지는 5위75법(유식에서는 5위100법) 등이 그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19
법의 세번째 용례
세 번째 용법으로는 세계의 진리, 혹은 이를 언어로 설명한 불타의 교설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20
석존의 마지막 유훈
자등명 법등명
121
아 는 범어로?
아트만
122
아트만은 ??과 ??의 성질을 갖는다
상일 | 주재
123
아트만의 성질 중 하나인 “상일”의 뜻은
상일은 다시 두 가지로 세분할 수 있는데 ‘상’이란 시간적으로 변함없이 동일한 성질이나 모습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일’이란 공간적으로 다른 사물과 분리, 독립하여 자체적으로 있는 것을 말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24
무경계 의 저자는?
켄 윌버
125
랑종 감독
반종 피산다나쿤
126
감독 피셜의 8일의 밤 의미
8 무한 지옥 | 진수 캐릭터가 깨달음 얻는 밤
127
불교의 궁극 목적
고통의 제거
128
불교) 번뇌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것
탐진치 (탐욕 성냄 어리석음) 삼독이라고도 함
129
번뇌를 범어로
klesa | 길례사
130
4원소 주장한 그리스 철학자와 시기
엠페도클레스 | BC 5세기
131
아톰 (원자) 이름을 지은 사람
데모크리토스
132
석가모니가 생존해 있던 고대 인도에서는 세상은 신이 창조한 것이라는 정통 브라마니즘(Brahmanism)을 부정하면서 세상은 본래부터 있는 여러 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었다. 원자론과 유사한 이 주장은?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적취론
133
??????에 “일체 법을 파괴하여 (점점 작은 것으로 분할하고) 내지 극미에 이르더라도 그 가운데서 견고한 알맹이(堅實)는 얻을 수 없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대품반야경』 「삼혜품」
134
양자물리와 불교의 공통점
질량을 가진 기본입자를 부정
135
눈에 보이는 사물이든, 이들을 이루고 있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요소들이든 변하지 않으며 다른 사물과 분리되는 고유한 사물은 없다. 이러한 사실을 표현한 것이 ????와 ????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제법무아(諸法無我)와 제행무상(諸行無常)
136
불교에서 법인은 무슨 뜻
진리의 증명
137
불교에서는 온갖 차원의 법이 알맹이가 없이 환상처럼 존재한다고 하여 이를 ???? 또는 ??, 요즘으로 치면 홀로그램과 같다고 비유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아지랑이 혹은 환화(幻化)
138
불교에서 “허가”란?
허 (텅 비었다) | 가 (가짜)
139
원자핵이 1센티 구슬이면 원자 크기는?
100미터 야구장 크기 | 원자는 텅 비어
140
“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은 공에 ??해 있고 공은 색에 ??해 있다. 수상행식도 역시 이와 같다” 관세음보살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상즉
141
색은 즉 공이다 한자성어
색즉시공
142
동전의 앞뒤면 같은 뗄수없는 관계
상즉
143
오온이 없다면 ?도 없다
공 (색과 공은 상즉해 있다)
144
모든 법은 ???? 이어서 생겨나지 않고 없어지지 않으며 더럽지 않고 깨끗하지도 않고 늘거나 줄지도 않는다. (관세음)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공한 상
145
상(모습)의 범어
락샤나
146
불교학에서 상을 나누는 학파
법상종
147
불교에서는 생명이 생기는 순간의 상태를 ?? 죽는 순간을 ??라 한다
생유 | 사유
148
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 보존의 법칙
149
영과 육을 분리하는 이론
영육이원론
150
불교의 육도
지옥 축생 아귀 아수라 인간 천상
151
불교) 늘어남도 줄어듬도 없다
부증불감
152
불교) 사물 자체가 가지는 성질
자성
153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다는 말은 ??가 없음을 나타낸다
자성 (고유한 성질)
154
세상 만물은 여러 가지 요소와 환경이라 할 수 있는 ??과 ??들이 화합하여 잠시 특정한 모습으로 있는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인(因)과 연(緣)
155
불교에서 변화는 계단식이 아니라
경사로식
156
1) 단단한 단일하고 독립적 사물은 없다 | 뭐라하나?
인성가
157
2) 세상은 쉬지않고 변화한다
상속가
158
3) 가치나 우열은 그 자체 속성이 아니다
상대가
159
3가
인성가 상속가 상대가
160
변치 않는 고유한 모습은 없다
무자상
161
고유한 성질은 없다
무자성
162
아가 없다
무아
163
십이처 란?
안의비설신의 | 색성향미촉법
164
불교) 12처는 ??와 ??을 합친 것
6근과 6경
165
육근은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여 생각을 일으키게 만드는 기관으로서 나 혹은 나의 소유(我所)라 여겨지므로 ???라 하고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내입처(內入處)
166
불교에서 5근이란?
안이비설신
167
불교 5경이란
색성향미촉
168
의처는 어디에 속하나
식온
169
무표색을 제외한 나머지 법처는 어디 온에 속하나
수상행
170
대상 혹은 인지되는 정보인 육경은 내가 아닌 외부에 있는 것으로 느껴지므로 ????라고 부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외입처(外入處)
171
이러한 십이처에서 의처를 다시 여섯 가지로 세분한 것이 ???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십팔계
172
이렇게 인식하는 주체에게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을 불교용어로는 ??이라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현현(顯現)
173
불교에서는 맛을 6가지로 분류
``` 짠맛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담백한맛 ```
174
마음, 혹은 의식 등으로 불리는 법으로는 그 주체인 ??과 대상인 ??이 있고 발생되는 결과로서 육식이 있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의근 | 법경
175
서양철학사에서 보편자가 실재한다는 입장
실재론 (realism)
176
보편자는 이름 뿐 개별자만 존재한다는 입장
유명론
177
불교와 유명론이 다른 점
불교는 보편자 뿐 아니라 개별자도 없다고 말함
178
오근에 뭘 더해 육근이 되고 | 오경에 뭘 더해 육경이 되나
의근 (의식 마음) | 법경
179
분리와 분별은 외부에 실재로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 ?? 즉 마음의 분별작용에 따른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80
불교 유식학에서는 보편자에 대한 인식의 특성을 ?????이라 부른다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181
불교 유식학에서는 보편자에 대한 인식의 특성을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이라 부르고 개별자에 대한 인식은 ????이라 부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의타기성(依他起性)
182
변계소집성 의 의미
여러 가지 개별 사물들을 두루두루(遍) 헤아려서(計) 상정한 것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83
의타기성의 의미
다른 조건(他)에 의지해(依) 나타나는(起) 현상이라는 뜻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184
금강경 핵심을 한자로
응무소주 이생기심 마땅히 집착없이 그 마음을 내어야 한다."
185
태어남이란 다시 존재 일반(有)에서 비롯되고, … 이렇게 근본까지 올라가면 ??에 이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무명(無明)
186
무명에서 시작하여 행-식-명색-육입-촉-수-애-취-유-생-노사에 이르게 되니 이를 ???이라고 부름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유전문(流轉門)
187
무명을 없애면 식이 없어지고 내지는 노사가 없는 데에 이르니 이를 ???이라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환멸문(還滅門)
188
무명은 뒤따르는 번뇌들로 인해 자라나므로 시작을 한정 지을 수 없다. 이를 『대승기신론』에서는 ‘????’이라고 말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시작이 없는 무명(無始無明)
189
12연기에서 윤회하는 근본원인은 ???이다
무명
190
무명의 의미와 범어
avijja | 밝음 vijja 이 없다 a
191
환멸문 은 한 마디로
해탈
192
“세상은 고통이다, 고통의 이유는 그것이 ??과 ??이 모여 집기(集起)하였기 때문이다 (사성제)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인과 연
193
생로병사 에서 생이 고통인 이유
탄생에는 고통이 따른다
194
고통의 원인
갈애
195
고·집·멸·도라는 진리 역시 현실 자체에는 존재하지 않는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의 한 가지 분류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속제
196
사성제를 깊이 사유하는 것을 ????이라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사제관(四諦觀)
197
사제관ㅇ 깨달음은 세상의 모든 것이 고통이고 그 원인이 갈애임을 아는 것이 아니라 ????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고통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님을 보는 것
198
세상에 본래 생멸이 없다는 법을 깨달았다는 뜻으로 ????이라고 부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무생법인(無生法忍)
199
천태학에서는 이를 분류하여 아함부 경전이나 아비달마 논서에서 설명되는 사성제는 ????라고 부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생멸사제(生滅四諦)
200
??와 ??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존재여서 보는 측면만 달리하여 묘사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 역시 언어적 표현일 뿐이다. 본래 ??라고 규정할 수 있는 실체가 없듯이 ?? 역시 실체가 없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번뇌 | 지혜
201
신라 시대 고승인 원측(圓測)은 『반야심경찬』에서 두려움이란 잘 살지 못할까 하는 두려움 등 다섯 가지를 가리킨다고 하였다. ???라 불리는 이러한 내용은 결국은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오포외(五怖畏)
202
고통의 불교적 정의는 ‘????’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내가 원하는 것과 어긋나는 상황에 닥쳤을 때 생기는 감정
203
오온이 공임을 본다면 또한 ??와 ??을 멀리 떠날 수 있다고 관세음보살은 설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전도와 몽상
204
??란 주객과 본말이 바뀐 것을 말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전도(顚倒)
205
불교에서 말하는 4가지 전도
세상의 유위법은 상(常)·락(樂)·아(我)·정(淨)을 갖고 있지 못한 존재라고 불교는 가르치고 있고 이것을 바로 보는 것이 전도되지 않은 생각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206
삼세의 모든 부처님은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여 ?????을 얻는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무상정등각
207
“무상정등각(아뇩다라삼먁삼보리)을 얻는다”는 말은 ‘??’이라고 한역하기도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성불(成佛)
208
삼세의 부처님이란
삼세의 부처님이란 과거에 출현했던 부처님과 미래에 출현할 부처님, 그리고 현재(당시)의 부처님인 석가모니불을 말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209
반야란?
공의 이치 | 진제를 보는 지혜
210
반야바라밀이란 ???? 가운데 여섯 번째로서 공을 보는 지혜를 바탕으로 사유하고 행하는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육바라밀
211
고통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되는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서는 ?????이, 즐거움을 주는 것이라고 여겨지는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서는 ?????이, 그리고 이들의 인과관계를 모르는 때 ?????이 일어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성내는 마음(瞋心) 탐내는 마음(貪心) 어리석은 마음(癡心)
212
불교 삼독심 이란?
진심(분노) 탐심 치심(어리석음)
213
공을 보는 지혜를 4글자로
무분별지
214
불교용어로는 공을 보는 지혜를 무분별지(無分別智)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약속으로서 분별되는 속제를 바로 보는 지혜를 ????라고 부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무분별후득지(無分別後得智)
215
??가 사라질 때 바른 ??이 일어난다 (역설)
분별심 | 바른 분별
216
『화엄경』, 『금광명경』 등 대승경전에서는 보살도의 내용으로서 육바라밀 외에 ????를 더해 십바라밀을 설하고 있는데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방편(方便)·원(願)·력(力)·지(智)
217
중국 선가에서 전해지던 일화를 현대 한국의 고승 성철선사가 정리한 다음과 같은 네 구절의 시가 있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산은 산이 아니요 물은 물이 아니다. 산이 물이요 물이 산이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218
무분별지이다. 하지만 여기에 머물면, 자신은 여여한 세계를 관조하며 유유자적한 삶을 살 수 있지만 다른 중생들과는 융화할 수 없다. 불가에서는 이를 ????? 라고 하는데 잘못하면 일종의 허무주의라 할 악취공() 惡取空에 빠질 수도 있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출세간(出世間)에 머문다
219
불교의 무분별지에서 빠질 수 있는 허무주의
악취공惡取空
220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산은 산이 아니요 물은 물이 아니다. 산이 물이요 물이 산이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마지막 구절의 의미
무분별의 진제를 깨달은 바탕에서 얻어지는 무분별후득지의 분별이므로 자유자재하게 활용되는 지혜인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221
보살이란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보리심을 일으킨 중생, 보리살타의 줄인 말
222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을 ?????이라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발보리심(發菩提心), 줄여서 발심
223
불교에서 깨달음의 마음. 깨달음을 향한, 혹은 이미 깨달은 마음을 말한다. 여러 가지 명칭이 있으나 그것은 오직 한 마음이라는 뜻이다
보리심 (菩提心, Bodhicitta
224
????은 대승불교에서 보살의 네 가지 큰 서원을 말한다
사홍서원(四弘誓願)
225
한국 불교행사에서 시작과 마지막에 부르는 노래
삼귀의 | 사홍서원
226
사홍서원 1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 중생은 가없지만 모두 제도하기를 서원합니다.
227
사홍서원 2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228
사홍서원 3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229
사홍서원 4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
230
예를 들어 중생이 병들어 있을 때 그에게 불도의 높은 법을 설해주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먼저 병을 고칠 수 있도록 인도해야 하는데 그 병 고치는 법을 모르면 ??이고 알면 ??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번뇌 | 법문
231
간절한 마음은 단순히 불쌍히 여기는 자비심만으로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와 내가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즉 ????!을 알아야 비로소 큰 자비가 일어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무분별의 실상
232
분리되어 있지 않다면 그와 나는 하나이다. 한 몸이다. 그러므로 불교에서는 이러한 자비를 ????라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동체자비(同體慈悲)
233
불모 = 붓다의 어머니
반야
234
반야심경 마지막 구절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로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피안)로 완전히 건너 가버리게 하네! (공의)깨달음, 아~싸(만세)!’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235
모지 사바하 의 뜻
모지 - 깨달음 사바하 - 감탄사 할렐루야 깨달음이야 만세!
236
금강경 하면 보통 무엇을 가리키나
『금강경』이라 하면 보통 구마라집이 402년에 한역한 『금강반야바라밀경』을 가리킨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237
반야를 금강석에 비유한 이유
가장 강력한 지혜
238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이라는 『금강경』 구절이 남종선을 중국에 크게 퍼지게 한 장본인인 ??의 득도 계기가 된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혜능
239
붓다가 되면 얻는 최고의 지혜
아뇩다라삼먁삼보리 | 무상정등정각 = 일체지
240
이러한 지혜를 얻고자 굳게 서원하는 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다(發)’ 하고 이를 줄여서 ‘????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발보리심’, 더 줄인 것이 ‘발심
241
발심한 사람을 ????, 음역으로 보리살타라 하고 이를 줄인 것이 보살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보디사트바(bodhi-sattva)
242
????를 얻는다는 것은 일체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진정한 마음이 일어나야 하고, 이러한 마음은 일체 중생과 내가 한 몸임을 느껴야 생기기 때문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무상보리
243
금강경이 가르치는 것은?
『금강경』은 진여의 세계를 본 수행자들이 어떻게 마음을 쓰고 어떻게 실천을 해야 진여의 도리에 맞는 것인가를 설하는 경전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244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은 보통 ????이라 불리는 구절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아인사상(我人四相), 혹은 사견(四見)
245
아인사상 4가지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 명쾌한 해석 아직 없어
246
아 인 중생 수자 | 범어로
아트만 푸르갈라 사트바 지바
247
‘상(相)’이란 무슨 의미인가. 앞서 『반야심경』의 ‘제법공상’ 구절에서 상이란 사물의 형상, 상태, 특징, 징후 등의 의미를 갖는 범어 ???의 역어라고 해설한 바 있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락샤나(lakṣaṇa)
248
‘상(相)’은 ‘서로’, ‘형상’ 등의 의미뿐 아니라 ‘ ???는 의미로도 사용되는 글자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생각하다(想)’
249
아상 이 없다는 의미
이 구절은 ‘아라는 특징을 갖는 것이 없다’는 의미와 ‘아라는 생각이 없다’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갖는다는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250
“오온(五蘊)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참다운 ‘나’가 있다고 집착하는 견해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리디북스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754015042
아상
251
앞서 『반야심경』 읽기에서 ‘아(我)’의 개념을 말하면서 그것이 ‘??과 ??)’의 성질을 갖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상일(常一)’과 ‘주재(主宰
252
현대의 용어로 하면 색온은 ??,수·상·행·식의 4온은 ??이라고 이해하여도 대략 비슷하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육신 | 마음
253
일상적으로 변한다는 말은 전자와 후자 사이에 ????과 ????이 동시에 있을 때 쓰는 말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동일성과 차이성
254
불교에서는 변화가 갖는 동일성의 측면을 ??라 한다
상속
255
윤회의 과정
생유 본유 사유 중유 생유
256
불교에서 윤회란
윤회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아’가 있어서 이것저것으로 모습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개체가 무상하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나는 상황을 맞이함을 가리키는 말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257
??에 들어가서 눈을 감고 있는데 어떻게 자신의 육신이 이토록 선명하게 보이는지 그 메커니즘은 불분명하더라도 고배율 현미경으로 보는 실제 신체의 모습과 참으로 흡사하다는 점에서 이러한 ??현상을 부정할 근거는 없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선정
258
앞의 인용문에서 “???”는 것이 이를 표현하는 말이다. 즉, 이 입자들은 수학에서 점의 정의처럼 크기를 갖지 않고 위치만 갖는, 실재하지 않는 것이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파초와 같이 알맹이가 없다
259
허공이 모여서 단단한 물질로 되는 세계는 ??????는 『반야심경』 구절을 생각나게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색이 곧 공에 상즉해 있고 공이 색에 상즉해 있다
260
불교에서는 인간을 구성하는 물질을 뼈·살·피·심장 등 ??이라고 한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36물
261
하나의 생명체가 죽어서 다음 생명을 받기까지의 존재를 불교에서는 ??? 등으로 부른다. 『금강경』·『반야심경』 읽기 : 무경계의 세상 | 최기표 저
중유(中有), 혹은 중음(中陰)
262
불교에서 말하는 주재성이란?
자유의지
263
내가 “아”라면 | 내것은?
아소
264
상일성 측면에서 | 아와 아소의 차이
아는 본질적 | 아소는 비본질
265
색은 아가 아니다 | 색이 아라면 ??가 생길리 없다
병고
266
상일성과 주재성이 없다
무아 | 아공
267
프로이트의 이드를 불교에서는?
제7말나식 | 제8아뢰야식
268
제7말나식이란?
전 6의식과는 달리 잠이나 혼절해도 작동하는 정신
269
제7말나식에서 작동하는 번뇌
아치 아견 아만 아애
270
아상 내지 수자상은 | ???가 작동할 때 생긴다
제7말나식
271
말나식은 ???에 이르면 완전히 끊어진다
아라한위
272
말나식은 ??? 에 들면 | 완전히 끊어지지는 않아도 작용이 멈춘다
견도위 (수자원과에 들거나 멸진정에 들면)
273
수자상 할 때 수자 란?
나이든 이
274
아 인 중생 수자 | 각각의 뜻
나 남 범부 나이든자
275
불교에서 삼계란
욕계 색계 무색계
276
상일성이 없다는 무슨 공 | 주재성이 없다는 무슨 공
법공 아공 둘을 모두 터득하면 무아
277
무아를 터득하면 오히랴 ?? 가 생긴다
주재성
278
???가 없다는 것은 말나식이 작용 안 한다는 것이고 이는 무의식의 지배를 안 받는다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279
보살은 업에 따라 의지와 관계없이 다음 생을 받는 ????를 되풀이하지 않고 자신의 원에 따라 생을 받는 ????를 이어간다
분단생사 | 변역생사
280
자신을 본능 무의식 운명 등에 맡기지 않고 스스로 살피고 통제하는 ??!를 살게 된다
주재아
281
성불하고자 발심한 보살을 ??? | 조금씩 실천하는 사람들을 ???
진실보살 | 가명보살(명자보살)
282
금강경은 기본적으로 ??보살들의 실천도이다
진실보살
283
법 이란 존재의 구성요서로서 | ???이다
다르마
284
육경이란?
색성향미촉법
285
음식과 의복 등을 주는 보시
재보시
286
진리 전하는 보시
법보시
287
두려움 없애주는 보시
무외시
288
생각이 머무는 것은 | ??심이 있어서 생긴다
좋고 싫음의 분별심
289
색성향미촉법 | 에 머물지 않는 보시란
무주상보시
290
분별심이 없는 보시
무주상 보시 | 삼륜청정 보시
291
자비심의 자심과 비심
자심 - 즐거움 주려는 맘 | 비심 - 고통을 없애는 맘
292
세계는 경계가 없다를 3자로 (금강경)
일합상
293
보시를 하면서도 보시란 생각을 전혀 안 한다 천수경에서는 이를 ???라고 표현
무위심 속에서 비심을 일으킨다
294
부모가 자식에게 행하는 자비
생연자비
295
???의 ???이론에서 자연은 물질의 최소 단위와 같은 기본 구성체로 환원될 수 없으며, 전적을 자기 조화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사상은 물질세계 전체를 상호 연결된 관계의 그물로 보는 생각의 절정을 이루는 것으로서 , 물질의 최소 단위라는 생각을 깰 뿐만 아니라, 어떠한 근본 실체도 인정하지 않는다
제프리 초의 구두끈 이론
296
제프리 초의 구두끈 이론의 구두끈이란?
어떤 입자도 최소의 기본이나 근본 단위라고 할 수가 없으며, 그 대신 각각의 입자는 나머지 모든 입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입자들의 세계는, 웅덩이에 빠진 소년이 자신의 구두끈을 잡아 당겨서 스스로를 웅덩이 밖을 끌어낸다는 이야기를 생각나게 한다. 이 구두끈 가설은 재복합이론이라고도 하며, 1960년대 초기에 지오프리 츄우가 내놓았다.
297
존재 자체가 자비
무연자비 (대자대비=무연대자비)
298
금강경의 자비란?
무주상보시=중자중비 | 공이라는 법을 깨닫고 중생제도를 통해 무상보리를 얻으려는 자비
299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선정 정진 반야바라밀
300
27인의 표류자들의 감독 주연
리차드 세일 | 타이론 파워
301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 촬영중 사망하여 율 부리너로 대체된 배우
타이론 파워
302
타이론 파워의 작가주의 대표작
Nightmare alley
303
검찰측 증인 1957 | 감독 배우
빌리 와일더 타이론 파워 마를린느 디트리히
304
만유내재신론
Panentheism
305
우파니샤드에서 말하는 조물주 명칭
쁘라쟈 빠띠 만물의 아버지
306
조물주에게 뜻을 이해했음을 보여주기 위해 나선 신과 아수라
신 - 인드라 천둥신 아수라 - 비로짜나 이들은 장작을 가져갔다 이는 무지를 불태우겠다는 뜻
307
우파니샤드에 나오는 바람의 신
바유
308
우파니샤드에 나오는 다 다 다 의 뜻
자제하라 담미야뜨 베풀라 닷따 동정하라 다야드왐
309
자제하라 베풀라 동정하라의 산스크리트 어
자제하라 담미야뜨 베풀라 닷따 동정하라 다야드왐
310
???는 어떤 자리에 '깃드는 자'라는 의미이며, 베다에서 만물에 깃드는 영혼과 같은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어떤 몸에 깃들든 그에 맞게 변형되어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만물이 살아 있게 하는 자연의 힘이다. 우파니샤드- 귓속말로 전하는 지혜 | 이재숙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857000010
바수
311
베다의 4종류
베다는 리그 베다, 사마 베다, 야주르 베다, 그리고 아타르와 베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베다들을 해설한 해설집이 쓰여진 이유도 베다를 변형시키지 않기 위해서였다. 우파니샤드- 귓속말로 전하는 지혜 | 이재숙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857000010
312
베다의 해설집
브라흐마나
313
제사라는 행위에 치우친 해석에 반발한 사람들이 또 다른 해설집(???? 을 통해 제사보다는 그 안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제사는 하나의 상징이라고 주장했다. 우파니샤드- 귓속말로 전하는 지혜 | 이재숙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857000010
아란야까(Āraņ·yaka))
314
8세기 경 가장 영향력있는 인도 철학자
샹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