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 Flashcards

(243 cards)

1
Q

토마스 칼라일의 철학

A

의상 철학
우주는 신적 정신의 의상(衣裳)이고 이 정신은 자연과 인간 역사 속에서 영웅으로 나타난다고 하는 범신론(汎神論)의 입장을 취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838년부터 1840년대 후반까지 보통선거를 바탕으로 한 의회민주주의의 실시를 요구하며 영국에서 벌어졌던 최초의 노동자 운동. 1850년대 전반까지 영국 사회에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민주주의의 중요한 원칙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A

차티스트 운동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영국에서 여성에게도 선거권이 주어진 년도

A

1867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200년마다의

A

bi·cen·ten·ni·a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칼라일의 유명한 역사서

A

프랑스 혁명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월터 스콧의 사실주의는 누구에게 영향?

A

토마스 칼라일 => 찰스 디킨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예언자적인

A

vatic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배금주의 황금만능주의

A

mammonis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양가감정의

A

ambivalen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는 어떤 사람도 이 세상에서는 ‘완전을 척도로 삼고 현실의 초라한 산물을 재어서는 안된다’고 말하였다. 우리는 그러한 사람을 현명한 사람이 아닌 병적이고, 불만을 가진,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본다.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 Thomas Carlyle, 박지은 저

A

실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그러나 한편 ??이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그것에 접근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일은 완전히 와해되고 만다는 것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된다. 반드시 와해된다.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 Thomas Carlyle, 박지은 저

A

이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칼라일이 이상을 설명하기 위한 ㅣ유

A

어떤 벽돌공도 완전히 수직으로 벽을 쌓을 수는 없다. 이것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 어느 정도 수직으로 쌓은 것으로써 충분하다. 그렇게 하였으면 일이 된 것으로 알고 그만둔다. 이는 훌륭한 벽돌공이다. 그러나 수직선에서 너무 심히 빗나가게 쌓았다면, 수직추나 수준기(水準器)들을 모두 버리고 닥치는 대로 벽돌을 쌓았다면─그런 벽돌공은 안 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 Thomas Carlyle, 박지은 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 이것이야말로 병든 세상이 모든 곳, 모든 시대에 찾고 있는 치료제이다!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 Thomas Carlyle, 박지은 저

A

그런 사람을 찾아내는 방법을 아는 것, 그런 사람을 찾아냈을 때 그의 신성한 권리를 모든 사람이 서슴지 않고 인정하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루이 14세가 한 번 흘겨본 것 때문에 죽었다는 ???.
이 일화는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도제시대》 제3권 제8장에도 나온다)의 죽음보다 별로 나을 것이 없다.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 Thomas Carlyle, 박지은 저

A

라신(1639∼1699. 프랑스의 시인, 극작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psychologist David McClelland asserted that three dominant needs comprise human motivation:

A

Need for Achievement (NAch), Need for Power (NPow), and Need for Affiliation (NAffil).[2][3] A person could feel driven toward achievements unrelated to power and affiliatio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불행히도 칼라일은 보통 사람들을 존중하지 못했다. 그가 신앙에 반대한 이유의 핵심은 아마 복음서의 정확성에 대한 역사적 의심보다도 오히려 여기에 있었을 것이다. ???? 때문이다.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 Thomas Carlyle, 박지은 저

A

그리스도교 신앙은 허약하고 죄 많은 사람들에게 너무 많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누구도 ??의 눈에는 영웅일 수 없다

A

종복

종복적인 세계에는 가령 위인이 강림해 온다 해도, 도량이 좁은 자들의 무리는 방해를 받아 그 영웅적 자질이 닳아 없어지고 무위에 그칠 수밖에 없다.

영웅숭배론 / 의상철학 | Thomas Carlyle, 박지은 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한 자만이 ??을 볼 수 있다 - 칼라일

A

성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주도하여 장로교회 확립한 사람

A

존 녹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AI 시스템의 전원을 끌 수 없다면, 기계를 일종의 방화벽 안에 봉인하고서 질문에 답하는 쪽으로만 써먹고, 현실 세계에 직접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A

오라클 AI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일론 머스크는 인간-기계 융합을 주로 ??? 전략으로 본다.25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A

방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일론 머스크는 기계와 융합하기 위해 뭘 개발?

A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코퍼레이션Neuralink Corporation은 이언 뱅크스Iain Banks의 소설 <컬처Culture> 시리즈에 묘사된 기술의 이름을 따서 ‘뉴럴 레이스neural lace’라고 이름 붙인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컬처Culture>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AI의 문제 행동이 특정한 유형의 목적을 부여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추론하는 견해도 흔하다. 즉, ????리면, 아무 탈도 없을 것이라고 본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A

그 목적을 빼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AI 디스토피아는 편협한 우두머리 수컷 심리학을 지능 개념에 적용한다. 초인적인 지능을 지닌 로봇이 주인을 내쫓거나 세계를 정복하는 것 같은 목표를 개발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 우리의 기술 예언자 중 상당수가 인공지능이 자연스럽게 여성의 계통을 따라서 발달할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걸 드러낸다. 문제를 풀 능력을 온전히 갖추면서도, 순진무구한 사람들을 몰살시키거나 문명을 지배할 욕망을 전혀 갖지 않는 쪽으로 발달할 가능성 말이다. - 누구 말?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A

스티븐 핑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를 논의할 때 이미 살펴보았듯이, 자기 보존, 자원 습득, 지식 발견, 또는 극단적으로 세계 정복 같은 ‘감정’이나 ‘욕망’을 AI에 주입할지 말지는 중요하지 않다. 기계는 어쨌든 그런 감정을 지니게 될 것이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도구적 목표
26
“목적을 주입하는 것을 피하라”라는 개념의 흔한 변이 형태 중 하나는 ?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충분히 지적인 시스템이라면 그 지능의 결과로 ‘올바른’ 목표를 필연적으로 스스로 도출할 것이라는 개념이다
27
AI가 세계에서 목적을 지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개념은 유명한 18세기 철학자 ??가 ??책에서 상세히 논의했다.30 그는 그것을 존재-당위is-ought 문제라고 했고, 자연의 사실로부터 도덕 명령을 끌어낼 수 있다는 생각이 틀렸다고 결론지었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데이비드 흄David Hume이 《인간 본성론A Treatise of Human Nature》
28
흄이 속하는 emotivism이란?
정의(情意)주의 또는 정서주의 도덕 정서설 ⦅도덕적 언사는 화자의 감정만 나타낼 뿐 사실적 진리값을 지니지 않았다는 주의; boo-hurrah theory라고도 함⦆피터 싱어도 초기에는 이를 따랐다
29
???은 사실과 가치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며, 모든 당위 명제는 존재 명제로부터 도출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데이비드 흄
30
어릴 적에는 자존감을 얻으려고 투쟁할 때 꾸미는 법이 없다. 아동은 자신이 가장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자신의 타고난 자기애가 요구하는 것을 온몸으로 외친다. 이렇게 요구하는 아동은 주위 어른들에게 ???과 같다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지옥
31
하지만 형제간 경쟁은 ???이라기에는 너무나 치열하고 집요하다.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일탈
32
우리는 ???의 위기를 겪고 있다.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영웅주의
33
뒤에서 보겠지만 인간의 모든 문화적 창조물에 담긴 이 종교적 성격을 심리학적으로 밝힌 사람은 ???다.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오토 랑크
34
아동의 세계 인식에서 독특한 점은 무엇일까?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하나는 인과관계를 극단적으로 혼동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 힘의 한계를 매우 비현실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35
저는 전체로서의 인간에 대해 ‘좋은’ 것을 거의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경험상 대부분의 인간은 쓰레기입니다. 누구 말?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프로이트
36
인간 연구자로서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은 융을 신랄하게 비난했으며 그를 과학의 적으로 몰아세웠다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프롬
37
키에르케고르가 이야기한 이상적인 인간
신앙의 기사 (정신건강의 이상이라 할만)
38
고대 그리스어로 귀신 혹은 정령이란 뜻의 단어
다이몬
39
노예성은 영혼 안에 있다
고리키
40
인간관계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바로 권력을 가졌거나 상징하는 인물에게 홀리는 현상이다. 그런 사람에게는 남들에게 기운을 내뿜고 그들을 자신의 기운 속으로 녹이는 무언가가 있다. 이것이 ???이 말한 ‘자기애적 인격’3의 ‘매혹 효과’다.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크리스틴 올든Christine Olden
41
융은 다른 사람들을 매혹시키는 인격을 ??라 불렀다
마나 인격
42
????에 따르면 최면이 쉽게 걸리는 이유는 “정신의 가장 깊은 곳에서 우리는 여전히 아이이며 평생에 걸쳐 그렇기 때문”이다.11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페렌치
43
어김없이
on the nose
44
신은 파멸시키려는 사람에게서 먼저 이성을 빼앗는다. 누구 말?
톨스토이
45
아이 계집
moppet
46
신성시 우상숭배
a·poth·e·o·sis
47
몹시 아쉬운 것
de·sid·er·a·tum
48
Without God I must be either a scoundrel or a visionary.’ What he means is that unless I believe in God (whose existence is a necessary condition of the highest good), either I must abandon the moral law as hopelessly impracticable, in which case I am a scoundrel, or else I persist in following the law anyway, in which case I am a utopian visionary. Since reason excludes both, I must believe in God. 누구 말
칸트
49
능동적인
conative
50
????은 아니라고 말했다. 사실 정반대의 일이 벌어지리라 생각했다. 그는 사회가 편안하고 윤리적일수록 우리 마음속에서 작은 경솔함이 더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두 서로 죽이기를 멈춘다 해도 우리가 그걸 반드시 좋게 느끼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그저 더 사소한 일에 대해 똑같이 화낼 것이다. 희망 버리기 기술 | 마크 맨슨, 한재호 저
에밀 뒤르껨
51
??는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알려져
데카르트
52
스콜라 철학의 잔재가 어느 정도 보이지만, ???는 선배 철학자들이 닦아 놓은 기초를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완결된 철학 체계를 새롭게 구축하려고 노력했다. 새로운 철학 체계 구축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일어난 적이 없던 일로, 과학의 진보로 생겨난 새로운 자기 확신의 표시다. 러셀 서양철학사 | 버트런드 러셀 저
데카르트
53
발생하다
come to pass
54
일원론의
monistic
55
felicity 지복 therefore (by which we mean continual delight), consisteth not in having prospered, but in prospering” 누구 말
홉스 Elements Hobbes (at least in the Elements) intimately connects this endless striving for the fulfillment of one’s desires with the endless striving for power and superiority over others. On this picture, future-directed appetites, and therefore hope, are foundational aspects of human life.
56
의욕적인 능동적인
conative
57
지식의 인식의
epistemic
58
아우구스티누스의 별명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59
아우구스티누스 탄생년도
354년
60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앙과 지식의 관계에 대해 신앙이란, ‘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이라는 입장을 취하였다.
61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 중요한 신학적 공헌은 ??론이다. 펠라기우스의 선행구원론을 반대하여 하느님의 ??을 강조한 구원을 남겨주었다
은총
62
아우구스티누스의 상징물은 ?
주교관과 목장, 책, 펜이며, 인쇄공과 신학자의 수호 성인이다
63
규범에 따르는
normative
64
솔론의 개혁으로 유명한 솔론이 살았던 곳과 시기
아테네 기원전 558
65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의 핵심적 3문제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states the question “For what may I hope?” as one of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philosophy, after “What can I know?” and “What should I do?” (A805/B833).
66
행복주의
eu·d(a)e·mon·ism[juːdíːmənìzm]
67
사회개량론
meliorism
68
현상학적인
phenomenological
69
고집센
recalcitrant
70
존재론적인
ontological
71
희망의 원리 를 쓴 철학자
에른스트 블로흐
72
가르강튀아의 저자
프랑소아 라블레 (1500년대 프랑스 르네상스 작가)
73
“희망의 신학” 저자
위르겐 몰트만 그리스도교적 종말론의 근거와 의미
74
철학자 리차드 로티의 대표작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
75
철학자 리처드 로티의 업적
20세기 후반 미국을 대표 미국 실용주의 전통 되살려
76
리처드 로티의 사상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그건 ????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반표상주의
77
???는 대상을 인식할 수 있는 '정신'이라는 것이 있어서, 바깥의 대상이 내 머리 속에 이미지화(표상) 되는 것이 '지식'이라는 입장이다. 즉 이는 '자아'라는 거울에 비친 자연의 모습과도 같다.
표상주의 로티에 따르면 플라톤 이래 데카르트에 의해서 본격화되고 칸트, 후설, 논리실증주의자 등으로 맥이 이어진 표상주의 철학은, 합리적인 이성의 인식에 근거하여 영원불멸하는 진리를 찾을 수 있다는 믿음을 공유해왔다.
78
???(Apperzeption)은 경험이나 인식을 종합하고 통일하는 작용을 말한다. 칸트는 이를 “내 자신의 의식”(Das Bewußtsein meiner selbst)이라고 말했다. 즉 ??을 통해 자아(자기의식, 자의식)가 만들어진다.
통각
79
리처드 로티는 표상주의가 주장하는 외부세계를 관조하고 통찰하는 객관적 이성이 찾아내는 영원불멸의 진리란, 단지 '????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역사적'인 구성물 로티는 그러한 거울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은 우연적으로 발생한 하나의 메타포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80
칸트에 따르면 ???이란, 경험에 영향받지 않는 순수이성의 영역을 말한다. ???적 영역의 의의는, 경험 없이도 이성의 합리적이고 반성적 사고만를 통해 어떤 지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칸트 철학의 바탕이 된다.
선험
81
로티는 이러한 표상주의의 대안으로 ????을 제시한다.
가다머의 '해석학' 로티에게 해석학은 표상주의적 철학(인식론)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해석학은 모든 지식이 '역사적인 구성물'임을 인정한다. 앎은 객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인식론과는 다르게, 해석학에서의 앎이란 '인간은 선입견에 근거하여 세상을 바라볼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인간은 세상속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끊임없이 변하는 세상에 대한 그때마다의 매번 달라지는 개인의 해석에 의해 판단되어지는 것'이다.
82
????(표상주의)은 앎을 어떤 공통된 지반위에서 객관적인 대상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는 반면에, 해석학은 공통된 지반없이 서로 다른 양자가 각자가 가진 주관적 선이해를 가지고 소통하는 것으로써 앎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로티는 인식론을 버리고 해석학을 지지한다. 로티가 말하는 해석학은 이후 '문예 비평'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계속 이어진다.
인식론
83
모든 자아는 자신만의 '해석'으로 자아와 세상을 만들어 가는 존재이다. 따라서 자아를 창조하는 데에 있어서, 내가 하는 것이 맞다면, 남이 하는 것도 맞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자신을 만들어가는 모든 개인은 상대방과 나의 '모순'을 인정하는 아이러니한 존재가 될 수밖에 없다. 누구 주장
리처드 로티 아이러니스트
84
아이러니한 개인이란 '너도 맞고 나도 맞다'는 것이기에, 이렇게 정의된 개인을 가지고 '사회적 구속력'을 설명하고자 하면, 그 내재적 모순 때문에 어떤 이론도 매번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즉, '사적인 자아창조'의 작업과 '공적인 실천적 행위' 사이에는 서로 어떠한 체계적인 이론도 구성해 낼 수 없으며, 여기서 이론적인 체계를 세워 이론과 실천을 통합해보려고 하는 그 어떤 노력과 시도들도 결국엔 물거품으로 돌아가기 마련인 것이다. 리처드 로티는 여기서 그 동안 사장되어 있었던 ????을 들고 나온다.
실용주의
85
잔인성을 피하기 위한 감정이 보편적인 감정이 아니라 철저히 사적인 감정이라면, 그 감정은 언제나 자의적인 것이고 따라서 원칙적으로 그들 사이에 어떠한 공통의 동질감도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공통의 동질감이란 일종의 보편성이 되어야 한다. 로티는 분명 보편성이 없다고 말했지만 그는 결국 보편성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고 있는 것이다. 만약 그것이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최소한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해도, 그렇다면 그 보편성의 존재를 철학적으로 인정하더라도 문제없지 않느냐는 '????'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보편성 인정
86
리처드 로티는 푸코와 같은 포스트구조주의자들과 리오타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을 문화 좌파(cultural Left)라고 보고, 자신을 비롯해 존 듀이 같은 실용주의적 사회민주주의자들을 ????라고 구분한다.
개혁 좌파(progressive Left)
87
?????들이 사회의 병폐에 대해 통찰력 있는 주장을 하고 있지만, 로티는 그들이 대안을 제공하지 않으며 때때로 진보의 가능성을 부정하기까지 한다고 생각한다. 즉, 문화 좌파들은 희망이 없으면 변화는 영적으로 상상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대안(희망)을 제시하지 않고 비판만 하기 때문에 도리어 진보에 대한 냉소주의를 낳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문화 좌파
88
리처드 로티와 같은 ????들은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불완전하더라도 구체적인 대안(희망)을 제시하거나 또는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소설, 영화, 드라마, 방송 같은 '이야기'에 관심을 가진다.
실용주의적 개혁 좌파
89
로티는 이러한 언어관을 바탕으로 우리가 서술해 나가는 진리가 시대와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재서술되면서 변화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했으며, 그런 점에서 철학적인 작업을 엄밀하고 체계적인 학문으로서보다는 문학적이고 시적인 작업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로티는 개인이 사적 공간에서 자신의 고유한 삶에 대해 자신만의 어휘로 서술해 나가는 시인과도 같은 작업을 통해 저마다의 진리가 우연적이고 상대적으로 존재하게 된다고 보았으며 이렇게 끊임없이 자신을 재서술해 나가는 개인을 일컬어 ????라고 불렀다.
아이러니스트
90
로티는 언어란 ????의 산물로, 거기에는 어떤 고정적 의미나 초월적 진리가 담겨있을 수 없다는 다원주의적 관점을 보여 준다. 언어의 의미는 대상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우연하게 정해지는 것으로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역사적 우연성
91
“이 책은 내가 ‘자유주의 아이러니스트’라고 부르는 인물을 스케치할 것이다. 자유주의자란 잔인성이야말로 우리가 행하는 가장 나쁜 짓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나는 ‘아이러니스트’란 말로써, 자신의 가장 핵심적인 신념과 욕망의 우연성을 직시하는 사람, 자신의 신념과 욕망이 시간과 우연을 넘어선 무엇을 가리킨다는 관념을 포기해버릴 만큼 충분히 역사주의자이며 유명론자인 사람을 지칭한다. 자유주의 아이러니스트란 괴로움이 장차 감소될 것이며, 인간이 다른 인간에 의해 굴욕을 당하는 일이 멈추게 되리라는 자신의 희망을 그렇듯 근거지울 수 없는 소망 속에 포함시키는 사람이다.” 누구 말
리처드 로티
92
“모든 사람은 그들의 행위, 그들의 신념, 그들의 인생을 정당화하기 위해 채용하는 일련의 낱말들을 갖고 있다. 그것들은 친구들에 대한 칭찬, 적들에 대한 욕설, 장기적인 프로젝트, 가장 심오한 자기의심, 그리고 가장 고결한 희망을 담는 낱말들이다. 그것들은 우리가 때로는 앞을 내다보면서 때로는 뒤를 돌아보면서 우리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말하는 낱말들이다. 나는 그러한 낱말들을 ‘???’라고 부르겠다.”접기
마지막 어휘
93
미국의 정치철학자. 정치이론가. ????는, 철학자들이 '무엇이 옳은가?'를 정하는 원칙개발에 몰두할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직접 마주하는 잔혹함들을 하나하나 없애나가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정치제도를 만드는데 노력해야 한다는 정치철학을 펼쳤다.
쥬디스 슈클라
94
쥬디스 슈클라의 멘토는 유명한 정치 이론가 ????이었다. 그녀가 나중에 회상하길 그는 단 한번 그녀를 칭찬하였다. "음.. 이건 보통 논문이 아니군. 이럴 수 있으리라고는 기대하지도 않았다네." 결국 그녀는 그의 후계자가 되었다.
칼 요아킴 프리드릭
95
슈클라는 '???'에 주목한다
미덕'에 주목했었던 주류 정치철학자들과는 달리, 현실에서 실제로 우리를 고통에 빠뜨리게 하는 '악덕에 주목
96
자유주의는 이런 '악덕이 구체적으로 없어진 상태로서의 자유'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는 주장한다.
슈클라
97
쥬디스 슈클라의 자유주의는 권리를 획득함으로써 자유를 얻는 것이 아닌, 잔혹함을 회피함으로써 자유를 보장받는 의미의 자유주의가 되며, 이를 슈클라는 ‘???의 자유주의’라고 말하였다.
공포
98
슈클라는 호손의 《주홍글씨》의 주인공들이 도덕적 잔혹성의 희생자들이라고 해석한다. 딤즈데일 목사는 자기증오와 죄의식으로 스스로를 학대하다가 자살한다. 슈클라는 이와 같은 자기학대와 같은 잔혹성은 오로지 ???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며 그런 ???을 강요하는 것이 기독교의 교리였다고 보고 있다.
완전함
99
???는 사회를 하나의 협동 체계로 본다. 협동을 통해 각 개인은 사회를 이루고 살지 않을 때보다 더 잘 살 수 있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일치한다. 하지만 협동을 통해 발생한 이익을 분배할 때, 각자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한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상충한다. 이때 발생하는 문제가 정의의 문제다.
존 롤스 이때 정의의 핵심이 바로 '공정한 최초의 상황(원초적 입장)에서의 합의'이다. 롤스가 스스로 그의 정의관을 '공정으로서의 정의'[14]라고 부르는 이유다.
100
롤스가 말하는 기본가치
기본적 자유, 사회적 지위, 소득과 부, 자존감의 사회적 기반
101
존 롤스에 따르면 기본가치를 분배하는 구조를 ??라 하며, 정의의 주제가 바로 이 '??'다.
기본구조
102
그가 원초적 입장에 부과한 무지의 베일로 인해, 그 당사자들이 불확실성 속에서 어떤 선택 규칙을 택할지가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때 롤즈는 당사자들이 택할 합리적 선택 규칙은 ??? 규칙이라고 한다. 그 사회의 최소 수혜자로 태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니, 최소수혜자가 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안전성을 극대화하며, 최악의 상황에서도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만족을 보호하는 규칙을 정할 것이라는 것이다
최소 극대화
103
롤즈는 사회 제도의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을 이야기 한다.
안정성 예를 들어 오직 성인군자만이 따를 수 있는 사회제도가 있다고 치자. 그렇다면 누구나 그것을 어기게 된다는 점에서 안정적이지 않다. 게다가, 누구나 어기는 규칙이, 애초에 규칙인가? 따라서 사회 제도는 따를 만 한, 또 따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바로 '안정성'이다.
104
후기 롤스에서 강조되는 점은 여전히 ????에 대한 우선성이다.
옳음의 좋음 이런 부분은 샌델 등의 공동체주의들과 확연히 대비된다. 공동체주의자들은 특정한 좋음을 미덕(virtue)이라 하여 시민들이 이러한 미덕을 갖출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편이기 때문. 샌델과 같은 경우에는 교육이나 지역 사회 등의 영역에서 시민들이 미덕을 적극적으로 배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아가기도 한다. 거칠게 말하면 롤스의 경우에는 정치를 도덕과 '분리'하려는 데 반해, 샌델의 경우에는 정치를 도덕화하려는 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05
????에게 권력의 활동은 제도가 아니라 결단이며, 친구와 적의 구별을 통해 이루어진다.
칼 슈미트
106
????는 나치의 법철학자로 사상적 측면에서 전체주의자이며, 행위가 아닌 사상 때문에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에서 단죄 당한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카를 슈미트
107
민주주의와 전체주의와의 관계를 탐구한 것으로 유명하며, 민주주의가 스스로 독재를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 언급할 때, ???의 이론은 자주 언급되는 편이다.
칼 슈미트
108
칼 슈미트의 전력 때문에 그를 우파 심지어 극우로 규정하고 싶어하는 욕망은 매우 강하지만, 결과론적으로는 당대에나 후대에나 이 사람을 높이 평가하고 강하게 영향받으며 연구하는 사람들은 모두 좌익 즉 사회주의적 지식인들이었다. 왜냐하면 이 사람의 사상적 근원과 결과물이 ????라는 대륙식 독일철학의 유산을 마르크스와 공유했기 때문에 이 사람이 우익에게 영향을 주는 것은 철학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독일 청년학파
109
영미권 지식인들은 ??? 법철학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현대에도 영미권 대학교 철학과 커리큘럼에서 ????관념론은 철저히 외면받는다.
독일식 윤리학에서는 적어도 칸트의 영향력이 여전히 살아 있지만 윤리학 이외에 독일 관념론이 나오는 커리큘럼은 철학사 정도 뿐이다.
110
????는 승전국의 강요로 바이마르 공화국에 이식된 독일 전통과 완전히 무관한 자유민주주의가 독일 사회의 주된 적이라 생각했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민주주의 정부체제를 타파하기 위해 법철학을 전개하였던 사람의 통찰이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에 깔고있는 지식인들에게 인기를 얻을리가 없었다.
칼 슈미트
111
우리나라나 영미권 지식인들이 칼 슈미트를 이해하기 어려운 것처럼 ????은 당대 독일 지식인들에게 너무나 이질적인 체제였다.
바이마르 공화국
112
???!이란, 본래 비상시 입법부가 행정부에 입법권을 위임하는 법률을 말하는 보통명사지만[1], 1933년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제정된 사례가 워낙 유명하다보니 보통 아돌프 히틀러에게 전권을 부여한 법률을 가리킨다.
수권법
113
이렇게 사상적으론 나치즘의 인종주의에 빠지지 않을만큼 명석하고, 실제로 유대인 지식인들과도 많이 교류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순간이 왔을 때 혐오하던 바이마르 자유민주정 체제를 무너뜨리기 위해선 나치와 결탁하는걸 주저하지 않았다
칼 슈미트
114
예외는 정상사태보다 흥미롭다. 정상적인 것은 아무것도 증명하지 않지만 예외는 모든 것을 증명한다. 누구 말
칼 슈미트
115
크리스마스 때는 풀려날 거야”라며 근거 없는 막연한 희망에 기댔던‘낙관론자’들과,“풀려나긴 글렀어. 여기서 죽을 거야”라며 포기한‘비관론자’들이 있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계속되는 상심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을 하거나 절망 속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스톡데일 파라독스 쉽게 나갈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현실에 대처하면서 반드시 살아서 돌아가겠다며 의지를 다진 ‘현실주의자’들이 기나긴 포로수용소 생활을 이겨냈다.
116
로티는 논증적인 방식으로 진리를 구명한다는 분석철학적 아이디어를 버리고, ???과 철학의 경계를 허무는 방식으로 철학적인 물음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서술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문학
117
로티에게 철학적 이론을 천착한다는 것은??
타자와 소통하거나 공적인 문제를 다루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그 철학자 혹은 이론가의 사적인 완성을 향한 욕망과 관련된 것이다. 리처드 로티
118
공적 차원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유와 평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이론에 천착하기보다는 구체적인 실천에 나서야 한다고 로티는 말한다.
119
공동체 차원의 정의를 실현하고자 한다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론이 아니라 대화다. 대화에서 요구되는 것은 창조적인 상상력이 아니라????들이다. 사회적 문제들이란 우리 자신이 만들어 낸 역사의 산물이므로 그 원인과 책임은 오로지 우리 자신에게 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상식적인 어휘
120
로티의 부모는?
트로츠키주의자
121
리처드 로티의 사상 흐름
네오 프래그마티즘
122
심각한 회의에 직면해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로티는 ??의 저술을 읽고 나서 자신이 꿈꾸었던 ‘철학자 왕’의 이상, 즉 이론과 실천을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철학자에 대한 생각을 포기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존 듀이(John Dewey)
123
로티가 보는 서양의 철학사는 ????을 시대마다 조금씩 다른 언어로 각색한 역사에 불과하다. 철학사를 관통하는 것은 진리를 향한 도정이 아니라 ???의 은유에 대한 계승이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플라톤의 이원론
124
고정불변의 초월적 진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로티의 생각에 영향을 준 사람들
찰스 샌더스 퍼스 윌리엄 제임스
125
퍼스는 개념의 의미는 어떤 것에 대해 우리가 이러저러한 실험이나 실천을 행한 결과의 합이라는 식의 ‘?????을 제시했다(Peirce, 1955:31).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프래그머티즘의 격률(Pragmatic Maxim)’
126
제임스는 그러한 퍼스의 아이디어 ????를 확대 해석해 진리란 곧 유용성이라는 식의 주장을 폈으며, 자신들이 새로운 학설을 만들었음을 공표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프래그머티즘의 격률
127
?????은 미국의 남북전쟁이 끝난 직후 백인과 흑인, 산업세력과 전통적인 농업사회, 과학기술과 종교 사이의 대립 등 여러 가지 갈등을 해결해야 했던 미국 지성인들의 고민이 담긴 사상이다. ????들은 갈등을 해결할 중재안을 모색했고, 형이상학적인 독단을 경계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프래그머티즘
128
프래그머티스트들은 탐구의 목적이 진리가 아니라 ???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우리의 의심을 믿음으로 바꾸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탐구는 순수한 지적 호기심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이 방해를 받고 장애에 직면했을 때 시작된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1509
129
듀이는 탐구의 결과로 얻은 그런 믿음에 대해 ‘?????’이라는 이름을 붙였다(Dewey, 1998:161).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보증된 주장 가능성
130
???는 흑인과 백인, 남성과 여성, 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갈등의 해결책은 문제를 구체화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고안하고 그 가설을 실험해 보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듀이
131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은 20세기 초중반까지 미국의 사상계를 주도했다. 그러나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온 일단의 ????들에 의해 미국 강단 철학계의 판도는 뒤집힌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논리실증주의자
132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일종의 ???적 형이상학
본질주의 (표상주의 이원론)
133
영국의 경험론자들 역시 객관적인 실재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마음 혹은 오성에 각인된다는 식의 그림을 그려냈다. 로크의 ‘???’이라는 어휘가 그 대표적인 예다(Rorty, 1979:48). ??이란 경험을 통해 우리가 갖게 되는 심상이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
관념 이 심상은 우리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관적인 인식능력과 무관한 객관적인 실재를 반영, 내지는 표상한다. 칸트도 이와 다르지 않다.
134
칸트는 합리론과 경험론의 요소들을 종합해 지식의 원천은 경험적으로 얻게 되지만 그것을 판단으로 만들어 내는 능력은 우리에게 선험적으로 주어져 있다고 하는 ??? 만들어 낸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관념론적 인식론을
135
많은 현대 철학자들은 형이상학적 부담을 피하기 위해 진리를 비출 수 있는 거울의 자리에 의식 대신 ‘??’를 가져다 놓으려 시도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언어 언어는 객관적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136
만약 우리가 진리를 표상하는 언어, 참된 지식을 표현하는 언어만을 골라낼 수 있다면 우리는 객관적 실재에 관한 진리에 접근해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뭐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언어분석철학 로티는 이것이 자연의 거울로서의 의식을 언어로 바꾼 것에 불과
137
다윈주의를 채택한 언어에 대한 로티의 생각
인간은 진리를 표상하기 위해서라기보다 새로운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언어를 만들어 냈고, 또 앞으로도 새로운 언어들이 만들어질 것이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138
일반적으로 ???은 있는 그대로의 것을 서술하는 것을 의미하고 은유적인 것(metaphorical)은 A를 서술하기 위해 B를 사용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논리실증주의자들의 입장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문자적인 것(literal) 논리실증주의자들이 검증 가능성을 유의미성의 기준으로 제시했을 때, 그들은 인식론적으로 참과 거짓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언어를 문자적 언어로 한정한 것이다. 은유적인 것은 참과 거짓이 될 수 없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1509
139
로티식으로 말하자면 가장 객관적이라고 주장되는 과학의 언어 역시 자연의 실재를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할 뿐이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서술
140
이에 대해 로티는 자신이 상대주의가 옳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 니·연대성 | 이유선 저
상대주의와 객관주의의 싸움이 생산적이지 않다는 것을 언급하려는 것이었다고 변론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
141
듀이가 말한 보증된 주장 가능성 영어로
Warranted assertibility
142
모든 이론은 실험과 실천을 거침으로써 ‘보증된 주장 가능성(warranted assertibility)’의 지위를 인정받아야 한다. 사회정의와 실천적 과제에 대한 철학자의 관점 역시 예외가 될 수는 없다. 누구?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1509
존 듀이
143
철학자들은 자신만의 은유로 영원불변의 진리에 대한 재서술을 지속할 것이다. 다만 로티는 그들의 이론은 그들의 ????과 관련된 것이라고 평가할 뿐이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자기완성 그 유용성은 사회적 삶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어야만 증명된다.
144
우선 연대의 문제와 관련해 로티는 ????’과 같은 개념이 실천적 연대를 위한 토대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보편적인 인간 본성
145
리처드 로티의 반표상주의 영어로
anti representationalism 플라톤주의적 본질주의 거부
146
로티는 진리를 발견할 수 있는 인간의 플라톤의 이성 nous 데카르트의 마음. 칸트의 오성-감성 형식. 로크의 오성 또는 지성. 하버마스의 언어 등등을 통틀어
로티는 이런 개념들을 통칭해 ‘거울 이미지’라고 부르고 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1509
147
이원론자들은 예컨대 ??에 대한 서술은 오류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고통 (별을 관측하는 것도 잘못 서술할 수 있다. 전언어적인 확실한 느낌.)하지만 로티는 고통도 잘못 서술할 수 있다고 본다.
148
로티는 “거기에 ‘세계가 그 자체로 존재하는 방식’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확한 표상으로서의 ???라는 모든 개념이 포기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한다(Rorty, 1992:125).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진리
149
①이른바 내성적으로 파악된다는 심적 상태(그것이 비물질적이든 아니면 물질적인 것이든)란 존재하지 않는다. ② 통속심리학적 설명은 부적절한 설명이며, 신경생리학적 설명으로 환원될 수 없고 따라서 철폐, 제거되어야 한다.
제거적 유물론 Eliminative Materialism
150
의자와 책상이나, 돌멩이 같이 일반적으로 물리적 대상으로 여겨지는 것뿐만이 아니라, 가치, 의미, 지식, 마음 등 일반적으로 그다지 물리적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을 것까지 포함하여, 모든 사물에 대하여, 그것은 물리적이다, 라고 여기는 것이 ????이다. 세계는 심적인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여기는 관념론이나, 세계는 심적인 것과 물적인 것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고 여기는 이원론 따위와 대립한다.
물리주의
151
????는 오스트리아의 과학 철학자이자, 사회학자, 정치 경제학자이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논리실증주의 운동의 지도자로서, 빈 학파 중에서 사회 과학에 관심을 가진 유일한 인물이었다
오토 노이라트(Otto Neurath, 1882년 12월 10일 ~ 1945년 12월 22일)
152
심리철학에서 20세기 초두에 우선 ?????」라는 문제가 논의되었다. ?????적인 입장에서 실체이원론적인 사고가 비판받았고, 데카르트적인 마음에 대한 사고가 「기계 속 유령」이라는 형태로 비판을 받았다.
「마음은 물리적인가
153
20세기 중반에 심리철학에서는 ????의 문제가 논의되었다. 「????을 물리주의적으로 다룰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논의되었다.
지향성
154
20세기 말에는 심리철학 분야의 주요한 쟁점이 「???」으로 옮겨졌다.
의식. 콜린 맥긴의 신신비주의(新神秘主義)나 데이비드 차머스의 자연주의적 이원론 등, 세계의 모든 것이 법칙을 따르는 자연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며 물리주의를 공격하는 타입의 이원론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즉, 세계의 모든 것이 법칙을 따르는 자연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물리주의와 궤를 같이하면서, 현재의 물리학의 테두리 안에서는 현상의식이나 감각질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는 형태로 물리주의와 대립하는 이원론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대립도식 가운데, 예로부터 물리주의라고 불려온 입장은 단순히 유물론의 의미밖에 가지지 않는다.
155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코기토 에르고 숨
156
인간의 머리로는 의식의 문제를 풀수 없다는 주장
철학자 콜린 맥긴의 신-신비주의 뇌(객관적)와 의식(주관적)은 별개 두 가지 이해는 서로 조화될 수 없다
157
????는 마음이란 이처럼 생명이 살기 위해서 하는 어떤 기능이 환원된 것이라고 봅니다.
기능주의 환원적 물리주의의 일종
158
비환원적 물리주의의 주장
음식을 먹을 때 색, 맛, 통증처럼 주관적이고 의식적인 경험을 '감각질(qualia)'이라고 합니다. 비환원적 물리주의는 감각질 같은 심적 속성은 물리적 속성으로 환원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159
데이비드 차머스의 좀비 논변이 논파하고자 한 것은
환원적 물리주의 (물리적으로 똑같아도 마음이 없을 수 있다)
160
흑백 방에 갇혀 살다가 나온 소녀의 에피소드로 비환원적 물리주의를 주장한 사람
프랭크 잭슨의 메리의 방
161
박쥐 논변을 통해 마찬가지로 인간이 갖는 감각질에 대한 경험도 물리적인 어떤 것으로도 환원될 수 없다고 주장한 사람
토마스 네이글
162
로티의 독특한 사고실험인 ????에 관한 이야기는 앞서 말한 고통에 관한 서술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즉 고통에 대한 느낌을 고유하게 표상하는 유일한 언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안티포디안(Antipodean)
163
언어가 진리를 표상하는 매개물이 아니라는 로티의 반표상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우리가 어떤 것을 ‘참’이라고 말할 때 필요한 것은 ????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신념들 사이의 정당화 맥락이다.
164
상황과 맥락에 따른 의미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분야.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의 다른 분야들과는 달리 언어철학에서 연구가 시작되어서 언어학으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화용론 pragmatics
165
화용론에서 대화에 꼭 필요한 것
전제는 중요한 언어의 활용방법이다.
166
리처드 로티의 반표상주의의 요점은 “???!!”는 것이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진리가 저 바깥에 있지 않다
167
우리가 참 혹은 거짓이라고 말하는 것은 세계에 대한 서술들이지 세계 자체가 아니다. 세계는 그저 바깥에 존재할 뿐이며 그 자체로서 참이나 거짓이 될 수는 없다. 로티의 표현을 옮기자면 “????”(로티, 1996:34).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1509
세계는 말하지 않는다. 오직 우리가 말할 뿐이다
168
상대주의 자가당착?
언어에 따라 진리가 달라진다는 말은 진리인가? (모순)
169
지성사란 “사물들의 실재 모습에 대한 이해가 증대되는 역사가 아니라, ????.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유용한 메타포들이 증대되어 가는 역사”(로티, 1996:40)다
170
언어는 진리를 표상하는 매개물이 아니라 단지 ???일 뿐
적응의 도구
171
로티의 언어에 관한 관점을 지지하는 언어철학자
도널드 데이비슨 (분석철학) (도식-내용의 이분법을 버릴 것
172
도널드 데이비슨의 주저
진리와 해석에 대한 탐구 진리와 의미 형이상학에서는 진리의 방법 (프레게와 콰인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이해할 수 있다) 분석철학과 네오프래그머티즘
173
로티는 메타포(은유)가 문자적인 것과 구별되는 별도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는 ???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문자적인 것과 은유적인 것에 본질적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도널드 데이비슨
174
문자적 언어든 은유적 언어든 언어는 사실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사실에 대처하기 위한 도구
175
은유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어떤 효과를 이끌어 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176
표상적 언어관을 유지한다는 것은 “조상들의 언어를 사용하며 그들이 만든 ????들을 숭배하는”(로티, 1996:61) 성향에 불과하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메타포의 시체
177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런 본질주의는 ???에 의해 논박되었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다윈의 진화생물학
178
자아가 우연적인 것이라는 로티의 생각은 ????의 인간관에 대한 그의 해석에서 비롯된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니체와 프로이트
179
니체는 자기 인식의 과정을 저 바깥에 있는 어떤 진리에 대한 앎에 도달하는 과정이 아니라 ????의 과정이라고 보았다는 것이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자아 창조
180
니체는 시인이야말로 새로운 메타포를 창안해 내는 인물이므로 시인들만이 자아의 우연성을 긍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런 관점은 플라톤과는 다른 의미의 ????로 귀결된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엘리트주의
181
로티는 ????가 모든 인간이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과정을 겪고 있다고 보았다는 점에서 니체와 달리 대부분의 사람을 “죽어가는 동물의 처지로 폄하하지” 않았으며, 각 개인의 삶을 “제 나름의 메타포로 맵시를 뽐내려는 시도”로 보았다고 평가한다(로티, 1996:85).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프로이트
182
로티는 바람직한 ????의 정당성을 철학적으로 정초하려는 시도에 대해 크게 의미를 두지 않는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공동체
183
로티는 물론 자유주의 공동체, 즉 자유민주주의 사회가 다른 사회체제보다 우월하다고 믿는다. 그러나 듀이와 마찬가지로 그에게 자유민주주의는 완성된 것이라기보다는 만들어 가야 할 ???이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이상
184
로티는 자유주의 사회가 “???사회”(로티, 1996:112)라고 말한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자유롭고도 개방된 만남의 결과가 무엇이든 간에 그것을 ‘진리’라고 부르는 데에 만족하는 사회 자유주의 사회는 철학적 정초가 불필요
185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완성하길 원한다. 로티는 그런 자아완성이라는 욕망은 자신의 고유한 삶을 서술할 수 있는  독창적 어휘를 만들어 낼 때 실현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는 그런 어휘를 ‘????’라고 부른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마지막 어휘
186
????란 자신이 마지막 어휘로서 창안한 새로운 메타포가 과연 자신의 삶을 최종적으로 서술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계속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람을 일컫는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아이러니스트 (니체가 말한 시인)
187
로티는 ????을 각각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영역으로 구분하며 이 양자가 이론적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통합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리처드 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 이유선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008001509
이론과 실천 (통합되지 않아도 문제가 없다)
188
자신에 대한 서술이 사실 누군가의 영향 때문이 아닐까 불안한 것
영향에 대한 불안 해럴드 블룸 아이러니스트들은 자신의 재서술이 늘 주변적이며 기생적이기 때문에 불안에서 벗어날 수 없다
189
아이러니스트는 어떤 의미인가
사적인 완성이 비순환적인 방식으로 논증되거나 마지막 어휘에 대한 확신으로 끝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그와 같은 시도를 포기하지 않는다.
190
???에 자부심을 갖는 사람들은 자의식이 없이 습관화된 마지막 어휘로 자신을 서술하려고 한다
상식 (아이러니의 반대)
191
형이상학자들이 아이러니스트들과 다른 이유
낡은 서술들의 도움을 받아 낡은 서술을 분석하는 것일 뿐 아이러니스트의 재서술과는 다르다.
192
하버마스가 자유민주주의를 가능케 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주장한 것
보편 화용론
193
잔혹성은 특히 자유주의자들에게는 참을 수 없는 것이다. 잔인함이 불러오는 두려움은 자유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누구말
쥬디스 슈클라 (순환적 정의) 자유를 파괴하는 것은 잔인하다 잔인한 행위는 자유를 파괴한다.
194
통 많은 사람들이 무엇이 미덕(virtue)이냐, 무엇이 정의(justice)인가를 논하고 있을 때 ???는 무엇이 악(vice)이냐, 무엇이 부정의(injustice)인가를 논했다. ???는 정의에 집중하면 부정의에 희생되는 사람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다고 했다.
쥬디스 슈클라
195
슈클라가 말한 자유주의의 가장 큰 목적은 “?????”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유일하게 자유주의가 결합할 수 있는 것이 민주주의라고 슈클라는 말했다. 그리고 그녀는 서부 유럽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자유주의가 부족하다고 했다. 슈클라는 그 이유가 자유주의가 종교개혁 이후 유럽에서 시작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개인의 자유의 행사에 필요한 정치적 조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
196
신념과 행동을 획일적 기준으로 강제하는 데에 공적인 강제력을 동원하고픈 유혹을 참는 다는 것은 엄청난 자기통제가 필요하다. 관용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 것은 사람들을 억압하는 것보다 어렵고 도덕적으로 훨씬 더 힘든 일이다. 누구 말
쥬디스 슈클라
197
확고한 토대 영원한 지식을 원하는 철학을 로티는 어떻게 보았나
체계적 철학=통상적 철학 하지만 로티는 그런 담론을 무너뜨리는 철학을 교화적 철학이라 보았다.
198
해석학은 인식론의 ???에 대한 투쟁이다
공약성
199
인식론이 토대주의적이고 표상주의적이며 환원주의적이라면 해석학은
반토대 반표상 전체론적
200
인식론은 대상에 대한 정확한 표상을 목표로 하는 ??을 중시
에피스테메 해석학은 실천적 지혜 - 프로네시스
201
로티가 인식론과 해석학을 통상담론 vs 비통상담론으로 대시키려는 건 누구에게 영향 받은 것?
과학혁명의 구조 토마스 쿤
202
해석학은 틀을 바꾸는 것이 아니다
틀 자체를 버리는 것이다
203
인간은 자연을 비추는 거울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로티는 누구 철학을 가져왔나
가다머의 해석학 (가다머의 빌둥 개념 Bildung 교양) 로티는 빌둥을 교화 edification으로 번역
204
로티가 지적한 대표적 교화적 사상가
괴테 키에르케고르 듀이 제임스 후기 비트겐슈타인 후기 하이데거
205
로티가 보기에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진리 vs 진리
플라톤의 Truth가 아니라 일상의 작은 truth
206
교화적 철학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동료 인간들과 대화 철학의 목적은 대화의 지속 (인간의 본질은 본질을 아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서술을 계속 만들어 내는 것)
207
종교와 철학을 통한 진리를
구원적 진리에 토대를 둔 문화 (로티 = 이에 대한 반대로 문학적 문화 제시)
208
로티는 ???는 정치적 삶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사적인 자아창조
209
현실 속에서 실천적인 연대는 이론이 아니라 무엇으로 가능?
타자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210
로티는 연대성이 자신이 속한 집단을 중심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인정 이는 일종의…
자문화 중심주의 (이는 피할 수가 없다)
211
로티의 자문화중심주의란
마르크스가 말하는 부르주아 민주주의 또는 로베르토 웅거가 말하는 부유한 북대서양 민주주의가 다른 나라에 퍼지기를 바라는 입장
212
로티는 자유주의를 퍼뜨리기 위해서는
우리 자유주의자들의 자문화중심주의를 통해서 가능하다
213
하버마스는 로티를 뭐라고 비판
맥락주의자라고 비판 (그는 의사소통의 합리성 개념을 통해 자유주의를 옹호. 상호주관성을 통해 보편적 진리 밝혀 합리성 가능)
214
로티는 자유주의에 대한 종교적 철학적 설명을 무엇으로 대체하려 하나
자유주의 제도와 관습 기원에 관한 역사적 내러티브로 대체 (여기에는 역사적 정당성 없다. 잔인성에 대처하는 가장 나은 문화로 보이기 때문)
215
????는 하버마스가 말하는 언어의 공통의 의미는 없다고 말한다
문화인류학자 클리퍼드 기어츠 (하지만 기어츠는 자문화중심주의를 우려하기는 했다)
216
문화인류학자 클리퍼드 기어츠의 대표작
문화의 해석
217
인간은 문화적 자원을 이용해 끊임없이 의미의 망을 짜내는 존재. 누구의 말?
클리퍼드 기어츠 문화인류학자 그래서 폭력의 희생자들은 의미 만들기의 과정이 없다면 정신분열에 빠질 수 밖에 없다
218
우주, 무한대를 더 이상 나눠지지 않을 때까지 쪼개었을 때 남는 최소한의 입자 개념 (추상적)
모나드 단자 (피타고라스와 라이프니츠가 자주 사용)
219
????는 이 모나드 개념을 존재의 본질적인 형상, 우주의 모든 원리가 담긴 소우주라고 보았다. 이와 같은 모나드는 각각의 모나드끼리 서로 교통하지 않지만 스스로 움직이며, 다른 모나드와 충돌하지 않는다. 이는 신에 의해 완벽한 질서가 부여되어 있는 것, 예정조화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라이프니츠
220
로티 - ???의 초문화적 규준은 없다
합리성
221
로티의 부르주아 자유주의는 창이 없는 모나드가 아니다
창을 늘려가는 문화
222
다른 표현과의 관계로, 일반적으로 다른 표현과의 ??적 관계로, 표현의 의미를 식별하는 의미 이론에 대한 접근 방법이다.
추론주의
223
추론주의 대표자
로버트 브랜덤,[1][2] 길버트 하먼(Gilbert Harman)[3] 등의 주창자이다. 추론주의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저작에서 유래하였다.
224
철학은 로티에게 있어서 ??일 뿐이다
문화정치 (자신의 입장이 지배적인 마지막 어휘가 되기를 바라며 벌이는 각축전)
225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을 "메타서사들에 대한 불신"으로 정의하고 있다 관습적 지식의 핵심적인 형식
장 프랑소아 리오타르
226
리오타르는 근대적 메타서사의 주요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사변적 메타서사와 해방(또는 자유)의 메타서사가 그것이다. 해방의 메타 서사는 1789년 프랑스 형명과 함께 시작되었다. 혁명 이후 프랑스에서는 보편 교육이야말로 신비 주의와 압제의 사슬에서 모든 시민을 자유롭게 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해방의 메타 서사에서 지식은 억압에 맞서는 자유의 기초가 되며, 지식의 발전이 가치 있는 이유는 지식이 인류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진리의 기초는 도덕성이다. "지식은 더 이상 주체 그 자체가 아니라, 주체에 봉사하는 어떤 것이다."
227
"현 사회와 문화, 곧 후기산업사회, 포스트모던 문화에서 지식의 정당화 문제는 다른 방식으로 정식화된다. 메타서사는 사변적 서사이든 해방의 서사이든 상관없이 신뢰성을 상실했다." 누구 말
장 프랑소아 리오타르 포스트 모던 지식은 시장 주도적인 전 지구적 자본주의 아래 효율성과 수익성 측면에서 가치가 매겨진다.
228
리오타르는 ????라는 글에서, "모더니티의 기획은 버려지고 잊혀진 것이 아니라, 파괴되고'청산되었다'"라고 말한다.
[서사에 관하여Apostil on Narratives] 자본주의가 거침없이 확산되면서, 인류전체를 진보적 메타 서사로 엮어주던 전통적인 사회적 유대는 파괴되었다. 사변적 메타 서사의 기초가 되는 진실과 해방의 메타 서사가 지향하는 정의는 근대성, 곧 모더니티를 추구하면서 발휘했던 보편적인 호소력을 더이상 가지지 못한다.
229
사변적 메타 서사의 기초가 되는 ??과 해방의 메타 서사가 지향하는 ??는 근대성, 곧 모더니티를 추구하면서 발휘했던 보편적인 호소력을 더이상 가지지 못한다. 리오타르
진실 정의
230
리오타르는 이와는 반대적 입장이다. 리오타르는 메타 서사 자체가 줄곧 정치적으로 미심쩍었다고 본다. 결국 자본주의 세계화에 맞서는 최선의 수단이 ????를 증대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결과 사회는 더욱 개방적이고 다원적인 모습을 띄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언어게임의 파편화
231
"[???를 통해] 설명 능력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힘의 존재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힘은 새로운 이해 규범을 공표할 때, 다시 말하자면 과학의 언어 연구를 위한 새로운 장을 규정하는 새로운 규칙을 마련하자고 제안할 때 명백히 드러난다."
배리背理 paralogy - 리오타르 배리'는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틀리거나 그릇된 논리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리오타르는 언어의 수가 게임을 새롭게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일깨우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이미 존재하는 게임의 규칙을 파괴할 잠재력을 갖게 되는 방식을 배리로 묘사한다.
232
????와 로티는 칸트 없이 민주주의를 지켜내야 한다고 말한다
마이클 오크쇼트 듀이
233
로티가 말하는 자유주의
포스트모더니스트 부르주아 자유주의
234
로티는 미국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불평등 해소 못 하면 붕괴가 일어날 것이다. 애국심은 좌파도 가져야 한다. 국가적 자부심도 필요하다. 개인에게 자부심이 필요하듯이
235
로티는 푸코를 ??라고 부른다
니체의 영향을 받은 자율성의 기사 푸코는 니체와 마르크스와 마찬가지로 혁명과도 같은 격변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현재 어떤 대안도 실질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푸코는 자율성을 얻고자 노력하는 것과 더 나은 공동체를 창조하는 일을 동일시하여 무정부주의로 나아갔다 로티는 이들 푸코 같은 강단 좌파를 무정부좌파라고 불렀다.
236
강단 좌파는 현실 정치의 문제를 문화 정치로 대체했다
그 점에서 우파와 손잡았다 현실에 대해 관조적 태도 이론적 태도 실천력 상실. 좌파는 실질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237
대조하다 맞춰보다
collate
238
논리실증주의 영어로
logical positivism
239
우물의 지하수의
phreatic
240
????이 중요한 것에 대하여(On what matters) 를 출간하자 논리실증주의의 정서주의는 상당부분 반박되었다. ??은 논리실증주의의 "도덕은 개인적 감정과 태도일 뿐이다"라는 주장에 대해 저명한 윤리 이론들을 모두 바르게 해석하면, 결국 서로 다른 이론들마저 결과적으로는 어떠한 형태의 공리주의에 가까운 논리로 귀결되듯이 개인도 도덕적 직관과 이성적 사유를 통해 객관적 도덕규범과 일치하는 도덕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반박을 한 영국의 도덕 철학자이다.
데릭 파핏
241
윤리학, 그 중에서도 인구•환경•생명윤리 분야의 문제 혹은 역설. 미래 개인의 역설(the paradox of future individuals)로도 통한다. 데릭 파핏(Derek Parfit)이 『이성과 인격(Reasons and Persons)』에서 처음으로 제기했다.[1]
비동일성 문제 non-identity problem 부모가 자식에게 지는 도덕적 책임, 현재의 사람들이 미래의 후손들에게 지는 도덕적 책임 등 '세대 간 정의'와 관련된 윤리학적 탐구를 촉발한 계기가 된 문제이기도 하다. 또한 출산과 낙태의 정당성 문제와도 직결된다.
242
????들은 "개별자가 실재이고 보편이 뒤따른다"라고 보았으며 대표적인 사람으로 로스켈리누스(Roscellinus)와 아벨라르두스(Abaelardus)가 있다. ???은 중세 스콜라 철학의 보편 논쟁의 하나이다.
유명론자
243
유명론자들은 "개별자가 실재이고 보편이 뒤따른다"라고 보았으며 대표적인 사람으로 ????와 ????가 있다. 유명론은 중세 스콜라 철학의 보편 논쟁의 하나이다.
로스켈리누스(Roscellinus)와 아벨라르두스(Abaelard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