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맥스 태그마크 Flashcards
(186 cards)
인공지능” 이라는 유명한 AI 교과서의 저자
스튜어트 러셀
캘리포니아 대 컴퓨터 과학
1960년대에 AI의 첫 번째 ??이 터졌다. 기계 학습과 기계 번역 분야에서 초창기 노력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면서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546000840
거품
80년대에 두번째 거품터져 - AI겨울
심층 학습 기법
딥 러닝
지능의 특징
우리의 행동이 우리의 목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 인간은 지적이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자동화의 몇 가지 도덕적・기술적 결과Some moral and technical consequences of automation>
누구 논문?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노버트 위너 1960
우리가 우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리가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기계 행위자를 이용한다면 … 우리가 기계에 부여하는 목적이 우리가 정말로 원하는 목적이 되도록 확실히 조치해야 할 것이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546000840
그러다가 ????가 등장하면서 큰 도약이 이루어졌다. ????는 약 10억 년 전에 단세포 생물에서 처음 진화한 전기 신호 전달의 한 유형이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546000840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
나중에 다세포 생물은 몸속에서 활동 전위를 써서 신호를 빠르게 — 초속 최대 120미터로 — 전달하는 뉴런이라는 특수한 세포를 진화시켰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동물은 ????를 바꿈으로써 학습한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시냅스의 연결 강도
해파리는 ??가 없다
뇌
뇌는 ??개의 뉴런과 ??개의 시냅스를 가졌다
1천억개
1천조개
현재 ??라고 부르는 이 개념은 진화가 모든 반응을 미리 고정시킨 본능적 생물과 어떤 행동을 취할지를 학습하는 적응적 생물 사이에 선택한다고 상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볼드윈 효과Baldwin effect
심리학자 제임스 볼드윈 1896년
진화와 학습의 관계. 적응적 생물이 진화 상 훨씬 잇점이 있다. 본능적 생물이 몇 세대에 걸쳐서 진화할 것을 적응적 생물은 한 생애만에 해 버리기 때문 (컴퓨터로 증명됨)
컴퓨터의 표준구조
폰 노이만 구조
합리적인 존재가 만족할 것으로 기대되는 공리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하나는 ????이라는 것이다. 독자가 B보다 A를 더 좋아하고, C보다 B를 더 좋아한다면, C보다 A를 더 좋아한다는 뜻이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546000840
이행성 trasitivity
????이다. 독자가 당첨금 B보다 A를 더 선호하는데, A와 B만 나올 수 있는 복권 중에서 고르라고 한다면, 독자는 B보다 A를 얻을 확률이 가장 높은 복권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546000840
단조성monotonicity
어떤 기간에 걸친 일련의 사건을 수반하는 선호를 다룰 때는 ???이라는 추가 가정을 하곤 한다. A와 B라는 서로 다른 미래가 동일한 사건에서 시작되고, 독자가 B보다 A를 선호한다면, 그 사건이 일어난 뒤에도 여전히 B보다 A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정상성stationarity
또 ????은 선호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할 가능성을 배제하지만, 우리의 경험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정상성
이 이론은 합리성 개념을 여러 행위자가 있는 상황까지 확장하려는 일반적인 시도 중 하나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게임이론
80년대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사이의 논쟁 주제
좋음에 대한 옳음의 우선성
(자유주의자 - 옳음 우선
공동체주의자 - 좋음 우선)
범용성 개념은 1936년 ??가 도입
튜링
중국 수학자들은 기원전 1000년경에 ??을 발명했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1546000840
행렬
튜링은 어떤 컴퓨터로도 풀 수 없는 문제 제시
정지 문제
halting problem
컴퓨터 문제 해결의 난이도는?
지수 증가한다
그렇게 풀수 없는 문제를 어려운 문제 intractable problem이라고 한다
???은 최초로 진정 실용적인 기계식 계산기를 개발했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스튜어트 러셀 저
17세기 프랑스의 위대한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
컴퓨터 기술은 ??가 해석 기관이라는 것을 발명했을 때 도약적 발전
찰스 배비지 19세기 수학자 발명가
사람은 하나의 ??를 타고 태어난다
행위자 프로그램
Agen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