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3 Flashcards
(208 cards)
??는 경험론과 합리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두 이 론을 종합하고자 하였다. ??에 따르면 인간은 한편으로는 경험론 이 말하는 것처럼 경험을 통하여 세상을 인식한다. 경험을 통해서 는 이 자연의 실제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모순이 되는 새로운 경험이 나타나면 새로운 경험 이론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 에 이런 진리는 잠정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칸트
칸트에 따르면 인간은 ‘선험적 형식’을 통하여 경험에서 얻은 자료를 일반화한다. 이를 듀이는 뭐라고 표현
두 개의 왕국
한편으로 감 각 외부의 물리적이고 필연적인 세계와 다른 한편으로는 관념적인 내적 자유의 두 왕국이 그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두 왕국의 고 립성과 독자성에도 불구하고 무게 중심은 항상 내부에 있다는 점이 다(63).
????에도 문제가 있었다. 모든 의심을 견딜만한 명제가 그리 많지 않거니와, 있다 하더라도 거기서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이 그리 많지 않았던 것이다.
합리론
??은 국가가 일반적인 자연보다 더 실 재적인 것이며 절대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에 따르면, 국가는 물리적인 자연보다 더 객관적인 실재이다. 왜냐하면 국가는 의식의 왕국에서 절대정신이 자신을 실현한 결과이기 때문이다(179). 요컨 대 국가는 지상에 왕림한 신이다(180).
헤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는 독일민족을 우상화하였다. ???에 따르면, 인류의 타락하고 반항적인 행태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민족이 독일인이다. 독일인은 에덴에서 타락하기 이전의 원 형민족이다. 비록 현재로서는 소박하지만 진일보한 이성의 상태에 있는 정상적인 민족이라는 것이다(167)
피히테
??은 전쟁이 온갖 부질없는 이해관계와 같은 허영심을 없애주는 효과적인 복음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해 전쟁은 자신의 삶과 번영을 자신의 가족에 한정하는 그런 이기주의 를 없애버린다는 것이다(190).
헤겔
칸 트와 같은 독일 철학자들은 ??의 자연주의를 비판했다. ??가 말하는 자연은 인간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주지는 않는다. 자연은 그 자체로 물리적 인과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이 상태에서 사람들은 욕구 만족을 위해 행동하게 된다.
루소
권리의 원칙만을 주장하게 되면 각 개인은 자신의 권리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행동하게 되어 사회는 흥정과 타협의 방향 으로 나아가게 되기 때문에 문제라는 것이다. 뭐를 가리키는 말
프랑스 자연주의
모든 사람이 평등한 상태라면 이러한 흥정이나 타협이 나쁘다고 볼 수 없겠지만, 자본주의의 불평등한 시장 체제에서 이러한 흥정 과 타협은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 다. 시장 경쟁을 통한 개개인의 욕망 추구가 최고의 가치가 된 사회 에서 인간의 도덕성은 땅에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경직화하다
ossify
존 듀이는 프래그머티즘보다 ??라는 명칭을 선호
실험주의
존 듀이 정치철학의 핵심
At the core of his political thinking are the beliefs that science and democracy are mutually supportive and interdependent enterprises, that they are egalitarian, progressive and rest on habits of open social communication, and that powerful interpretations of liberal individualism and democracy have become ossified and self-defeating.
듀이는 사회를 뭐라고 보았다?
개인을 창조하는 수단
Instead, he argues, social institutions are “means for creating individuals”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MW12, 190-192). In this way, classical liberalism exemplifies what Dewey describes as “the most pervasive fallacy of philosophical thinking”
존 듀이 What is valuable about freedom is not the negative absence of interference but ???
the positive “power to be an individualized self” (The Public and Its Problems, LW2, 329).
Three features of Dewey’s view of individuality in this sense are most prominent:
individuality is reflective, it is social, and it must be exercised in order to be enjoyed.
?????은 바로 이 점을 강조한다. 그들은 인간이 사적 영역에서 자신의 이익과 취향만을 추구하는 존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인 개인주의적 자유주의는 인간을 본질적으로 그러한 것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의 소유자로 규정함으로써 공적 영역의 황폐화를 초래했다.
아렌트(Hannah Arendt)와 포콕(John Pocock)
서양의 민주주의적 공화국을 세운 것은 공적 영역에서 덕을 발휘한 ‘정치인’(homo civicus)이었다는 것이 그들의 지론이다.
한나 아렌트
포콕
이러한 주장은 20세기 후반 정치철학에서는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논의되었다. 공동체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찬가지로 인간을 공동체적 존재로서 공동체의 공동선 혹은 공익을 추구해야 하는 존재로 규정한다
인간은 개인주의적 자유주의가 규정하듯이 ‘?????가 아니다.
무연고적 존재’(unencumbered self)
공화국의 호출에 시민으로 응하지 않는 인간들은 지배와 예속의 사슬에 얽매일 수밖에 없고 그것은 인간적 삶이 아니다.[3]
조정래 “공화국을 위하여”
사실 서구에서 말하는 공동체주의는 ????!와 쌍둥이라고 봐도 된다. 마치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의 관계와 비슷하다.
공화주의
?????를 상징하는 “사회 따윈 실존하지 않는다 There is no such thing as the society”
마가릿 대처
신념을 가진 한 사람은 단지 이익만을 좇는 아흔아홉 명과 같은 사회적 힘을 가진다
누구 말
존 스튜어트 밀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사회주의 사상이 퍼져나간 데에는 마르크스나 엥겔스보다도 ????에게 책임이 있다고 공격하였다. ??이 자본주의의 대항세력을 정부의 정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존 스튜어트 밀
정신과 물질의 구별, 관조적 이상, 전통적 ‘진리’ 개념은 모두 주체와 객체의 구별이 기본적인 것이 아니라면 근본적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었다. 누구 얘기
러셀 서양철학사 | 버트런드 러셀 저
윌리엄 제임스
그는 기존 철학의 통설인 주체와 객체의 구별 - 이원론을 의심했다
???? 경험주의. 윌리엄 제임스에 의하여 시작된 철학 이론이다.
급진 (근본) 경험주의(Radical empiricism)
급진 경험주의라는 말은 윌리엄 제임스가 그의 책 진리의 의미(The Meaning of Truth)에서 언급하였다. 이 말은 철학자들 가운데서 논의할 수 있는 유일한 것들은 경험으로부터 끌어온 용어들 안에서 정의된 것들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