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3 Flashcards

(208 cards)

1
Q

??는 경험론과 합리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두 이 론을 종합하고자 하였다. ??에 따르면 인간은 한편으로는 경험론 이 말하는 것처럼 경험을 통하여 세상을 인식한다. 경험을 통해서 는 이 자연의 실제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물론 모순이 되는 새로운 경험이 나타나면 새로운 경험 이론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 에 이런 진리는 잠정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A

칸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칸트에 따르면 인간은 ‘선험적 형식’을 통하여 경험에서 얻은 자료를 일반화한다. 이를 듀이는 뭐라고 표현

A

두 개의 왕국

한편으로 감 각 외부의 물리적이고 필연적인 세계와 다른 한편으로는 관념적인 내적 자유의 두 왕국이 그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두 왕국의 고 립성과 독자성에도 불구하고 무게 중심은 항상 내부에 있다는 점이 다(63).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에도 문제가 있었다. 모든 의심을 견딜만한 명제가 그리 많지 않거니와, 있다 하더라도 거기서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이 그리 많지 않았던 것이다.

A

합리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은 국가가 일반적인 자연보다 더 실 재적인 것이며 절대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에 따르면, 국가는 물리적인 자연보다 더 객관적인 실재이다. 왜냐하면 국가는 의식의 왕국에서 절대정신이 자신을 실현한 결과이기 때문이다(179). 요컨 대 국가는 지상에 왕림한 신이다(180).

A

헤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는 독일민족을 우상화하였다. ???에 따르면, 인류의 타락하고 반항적인 행태를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민족이 독일인이다. 독일인은 에덴에서 타락하기 이전의 원 형민족이다. 비록 현재로서는 소박하지만 진일보한 이성의 상태에 있는 정상적인 민족이라는 것이다(167)

A

피히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은 전쟁이 온갖 부질없는 이해관계와 같은 허영심을 없애주는 효과적인 복음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해 전쟁은 자신의 삶과 번영을 자신의 가족에 한정하는 그런 이기주의 를 없애버린다는 것이다(190).

A

헤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칸 트와 같은 독일 철학자들은 ??의 자연주의를 비판했다. ??가 말하는 자연은 인간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주지는 않는다. 자연은 그 자체로 물리적 인과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이 상태에서 사람들은 욕구 만족을 위해 행동하게 된다.

A

루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권리의 원칙만을 주장하게 되면 각 개인은 자신의 권리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행동하게 되어 사회는 흥정과 타협의 방향 으로 나아가게 되기 때문에 문제라는 것이다. 뭐를 가리키는 말

A

프랑스 자연주의

모든 사람이 평등한 상태라면 이러한 흥정이나 타협이 나쁘다고 볼 수 없겠지만, 자본주의의 불평등한 시장 체제에서 이러한 흥정 과 타협은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 다. 시장 경쟁을 통한 개개인의 욕망 추구가 최고의 가치가 된 사회 에서 인간의 도덕성은 땅에 떨어질 수밖에 없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경직화하다

A

ossify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존 듀이는 프래그머티즘보다 ??라는 명칭을 선호

A

실험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존 듀이 정치철학의 핵심

A

At the core of his political thinking are the beliefs that science and democracy are mutually supportive and interdependent enterprises, that they are egalitarian, progressive and rest on habits of open social communication, and that powerful interpretations of liberal individualism and democracy have become ossified and self-defeatin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듀이는 사회를 뭐라고 보았다?

A

개인을 창조하는 수단

Instead, he argues, social institutions are “means for creating individuals” (Reconstruction in Philosophy, MW12, 190-192). In this way, classical liberalism exemplifies what Dewey describes as “the most pervasive fallacy of philosophical thinkin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존 듀이 What is valuable about freedom is not the negative absence of interference but ???

A

the positive “power to be an individualized self” (The Public and Its Problems, LW2, 329).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Three features of Dewey’s view of individuality in this sense are most prominent:

A

individuality is reflective, it is social, and it must be exercised in order to be enjoye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은 바로 이 점을 강조한다. 그들은 인간이 사적 영역에서 자신의 이익과 취향만을 추구하는 존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인 개인주의적 자유주의는 인간을 본질적으로 그러한 것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의 소유자로 규정함으로써 공적 영역의 황폐화를 초래했다.

A

아렌트(Hannah Arendt)와 포콕(John Pocock)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서양의 민주주의적 공화국을 세운 것은 공적 영역에서 덕을 발휘한 ‘정치인’(homo civicus)이었다는 것이 그들의 지론이다.

A

한나 아렌트
포콕

이러한 주장은 20세기 후반 정치철학에서는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논의되었다. 공동체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찬가지로 인간을 공동체적 존재로서 공동체의 공동선 혹은 공익을 추구해야 하는 존재로 규정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인간은 개인주의적 자유주의가 규정하듯이 ‘?????가 아니다.

A

무연고적 존재’(unencumbered self)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공화국의 호출에 시민으로 응하지 않는 인간들은 지배와 예속의 사슬에 얽매일 수밖에 없고 그것은 인간적 삶이 아니다.[3]

A

조정래 “공화국을 위하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사실 서구에서 말하는 공동체주의는 ????!와 쌍둥이라고 봐도 된다. 마치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의 관계와 비슷하다.

A

공화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를 상징하는 “사회 따윈 실존하지 않는다 There is no such thing as the society”

A

마가릿 대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신념을 가진 한 사람은 단지 이익만을 좇는 아흔아홉 명과 같은 사회적 힘을 가진다

누구 말

A

존 스튜어트 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사회주의 사상이 퍼져나간 데에는 마르크스나 엥겔스보다도 ????에게 책임이 있다고 공격하였다. ??이 자본주의의 대항세력을 정부의 정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A

존 스튜어트 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정신과 물질의 구별, 관조적 이상, 전통적 ‘진리’ 개념은 모두 주체와 객체의 구별이 기본적인 것이 아니라면 근본적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었다. 누구 얘기

러셀 서양철학사 | 버트런드 러셀 저

A

윌리엄 제임스
그는 기존 철학의 통설인 주체와 객체의 구별 - 이원론을 의심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 경험주의. 윌리엄 제임스에 의하여 시작된 철학 이론이다.

A

급진 (근본) 경험주의(Radical empiricism)

급진 경험주의라는 말은 윌리엄 제임스가 그의 책 진리의 의미(The Meaning of Truth)에서 언급하였다. 이 말은 철학자들 가운데서 논의할 수 있는 유일한 것들은 경험으로부터 끌어온 용어들 안에서 정의된 것들이라고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knowability 번역
가지성
26
참된 관념이란 “우리가 동화시킬 수 있고, 타당하게 만들 수 있고, 방증 (corroboration)할 수 있고, 검증할 수 있는 것들”26)이다. 그리고 제임스는 그러한 특성을 진리의 ‘???’라고 부른다.
현금가치
27
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 등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그 증명에 구실을 하는 증거.
방증
28
윌리엄 제임스의 ‘인본주의’는 ‘인간이 만물의 척도이다’라는 식의 고대적 상대주 의와 매우 다르다. 사실 제임스의 인본주의도 프래그머티즘 못지않게 무지와 지적 나태함에 기인하는 오해를 많이 받아왔다. 그가 제시하는 인본주의는 방법론을 가진 ‘???? 인본주의’31)이다.
과학적
29
듀이는 이성(reason)과 지성(intelligence)을 구분하고 있다. 이성이 초경 험적인 보편적 실재를 이해하는 기능이라면 지성은 보다 구체적인 상황 안에 직 접 개입하는 것이다. ???는 지성적 활동이다.
숙고
30
버트런드 러셀은 ??가 사회주의를 출현시킨 원인이 되었다고 말한다. ??과 친하게 지내던 고전 경제학자 리카도는 '상품의 교환 가치가 노동 가치에 기인한다'는 주장을 하였고, 당시 해군 장교였던 호지스킨은 리카도의 주장에 반박을 하면서,[21] 리카도가 말했듯 '가치가 노동에 부여'된다면, '작금의 상황은 자본가가 노동자의 몫을 강탈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한다.
제레미 벤담 한편 벤담의 친구였던 로버트 오언은 이를 더 전개시켜 사회주의라는 학설을 최초로 내세우게 된다.
31
벤담 이전에 컴벌랜드, 샤프츠베리, 허치슨, 흄, 윌리엄 페일리 등이 이미 공리주의를 주장했었다. 다만 벤담이 그들과 다른 점은
벤담은 쾌락을 공리로 두고 그것의 '극대화'를 추구했으며, 또한 이러한 쾌락은 '기준'을 통해 '측정'가능하고 계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는 점이다.
32
Common Law 영국 관습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그것은 당신이 자신의 개를 훈련시키는 법을 만드는 것과 같다. 만약 당신의 개가 당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어떤 짓을 하지 못하게 하고 싶은 때, 당신은 그 개가 그 짓을 할 때까지 기다리다가 그 개가 그 짓을 하면 그 개를 때리면 된다. 이것이 바로 재판관들이 당신과 나를 위해 법을 만드는 방법이다. 누구 말?
벤담
33
지겹도록
ad nau·se·am[æd-nɔ́ːziəm, -æ̀m]
34
아첨하는
obsequious
35
신봉하다 지지하다
espouse
36
굳은 살이 박힌
calloused
37
타다 남은 물건의 방매
fire sale
38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20세기 들머리에 “인류가 공유하는 현실 본능”을 일컬어 이렇게 말했다. “현실은 사실상 세상이 본질적으로 ????를 위한 극장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1 죽음의 부정 | 어니스트 베커, 노승영 저
영웅주의
39
윌리엄 제임스가 쓴 종교연구서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40
칸트는 기계론적 자연관이 지배하던 시대에 ???? 자연관의 가능성을 정초하여 이후 도래할 낭만주의적 자연관에 길을 열어주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유기체적 자연관
41
여기서 사용한 ‘정초한다’는 말은 어떤 하나의 사실에 대해 그것이 ???다는 것을 말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보편성을 주장할 권리를 입증해준다는
42
‘???이란 정초이고, 정초란 특정 사실에 대해 보편적 타당성을 주장할 범위를 설정해주는 일이다. 이는 영토를 제공한다는 것과 같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비판
43
??란 그 분야의 고유한 영토를 보장하는 것과 같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정초
44
칸트는 세 비판서를 통해 ???을 정초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순수이성 - 근대 과학 실천이성 - 근대 윤리 판단력 - 근대 예술
45
칸트 이후 철학은 ???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초월론적
46
서양 주체ego cogito의 역사에서???? 차원의 발견은 이후 프로이트에 의한 무의식의 발견과 더불어 쌍벽을 이룬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초월론적 현대 사상사의 한 가지 중요한 과제는 초월론적인 차원과 무의식적 차원을 결합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에서는 라캉의 무의식 이론이, 철학에서는 들뢰즈의 초월론적 경험론이 그런 종합의 주요 사례가 된다.
47
초월론적 현대 사상사의 한 가지 중요한 과제는 초월론적인 차원과 무의식적 차원을 결합하는 데 있다. 정신분석에서는 ????이, 철학에서는 ????이 그런 종합의 주요 사례가 된다.
라캉의 무의식 이론 들뢰즈의 초월론적 경험론
48
칸트 이후 철학은 대상 중심에서 ??중심으로
주체
49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이루어낸 불멸의 업적은 ???적 차원을 발견 및 규명했다는 데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초월론
50
엄밀히 말하자면 이런 전도는 이미 ‘사유하는 주체’를 철학의 제1원리로 삼았던 ????에 의해 시작되었다. 하지만 주체 중심의 인식론에 완결된 형식을 부여한 것은 칸트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데카르트
51
인식은 표상(재현)이되 표상은 반사, 반영, 모사와 같다. 요컨대 칸트 이전의 인식론에서는 마음의 모델을 ???에 두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거울
52
거울을 모델로 마음을 이해할 때는 인식과 관련된 모든 문제가 ‘?????의 문제로 귀착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깨끗하게 되기(정화) 깨끗한 마음을 회복하는 것, 그것이 사물을 있는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일차적 조건이 된다. 따라서 동양이든 서양이든 고대인에게 배운다는 것은 (쌓는다는 것 못지않게) 닦는다는 것과 같았다. 마음을 깨끗이 해야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는 생각은 서양에서 피타고라스와 플라톤에 의해 특히 강조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53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의 생각이나 말은 대상과 일치할수록 참되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진리대응설 (칸트 이전)
54
칸트에게 마음은 더 이상 거울이 아니라 ????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어떤 기능들의 집합체
55
과거에 진리란 대상과의 일치 여부, 즉 정확성에 있었다. 그러나 이제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마음의 활력
56
아리스토텔레스가 사물을 ???의 결합체로 정의한 이후 대상은 언제나 형식과 내용이라는 이분법 아래 정의되어 왔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형상과 질료
57
현상계에서 경험되는 ???는 어디서 오는가? 그것은 도식 오른편에 있는 주체의 마음에서 온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형식적 질서
58
의식의 형식은 경험 이전에 있으면서 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형식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선험적a priori’ 선험적 형식 없이는 경험이 성립할 수 없다는 것과 같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59
마지막으로 물자체와 현상계 사이를 나누면서 이어주는 제3의 차원이 있다. 그것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선험적 원리들이 자리하는 영역 (초월론적 차원)
60
????들을 탐구하는 철학을 ‘초월론적 철학’이라 명명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경험의 선험적 원리
61
현상계의 형식적 원리들, 그것이 곧 ???의 선험적 원리들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경험(인식)
62
칸트는 자신의 철학을 ‘초월론적 철학’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 ’이라 부르기도 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비판철학
63
비판critique이란 말은 본래 그리스어 ????에서 유래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크리네인krinein 이는 자른다, 특히 음식의 썩은 부분과 썩지 않은 부분을 가른다는 뜻을 지닌다.
64
?????은 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은 실유(實有)가 아니고, 그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본다.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 공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유식설(唯識說)
65
모든 종류의 법이 현재 있는 것과 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각각 공에 근거된 원인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다. 그리고 그 원인은 이미 가능성의 상태에서 존재한다고 보며 그것을 ??라고 부른다.
종자 유식설에서, 종자라고 하는 것은 법을 나타나게 하는 가능력을 말한다. 이와 같은 가능력이 순수한 정신작용 즉 식(識)이라고 유식설은 주장한다.
66
만유는 식에 의하여 현현(顯現)한 것에 불과한 것이라고 유식설은 주장한다. 이 동향을 ???이라고 한다.
식체의 전변
67
식체가 전변하여 세 가지 종류의 식을 성립시킨다.
아라야식 말나식 6식 - 안의비설신의
68
자기의 대상을 공(空)이라고 깨달아 실재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음은 ???에 존재한다.
유식성(唯識性)
69
마음작용을 불교로
심소유법
70
칸트는 마음을 4가지로 구분
감성 상상 이성 지성
71
칸트 용어로 하면 ???은 직관의 능력이고, 직관은 물자체에 의해 촉발되어 자극을 받아들이는 절차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감성 sensibility
72
칸트는 ?????의 형식으로 두 가지를 들었다. 시간과 공간이 그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감성적 직관
73
??? 없는 ??은 공허하고, ??없는 ???은 맹목적이다. - 『순수이성비판』 초판 51쪽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직관 없는 개념은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 - 『순수이성비판』 초판 51쪽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74
칸트는 지성을 12범주로 구분 그 중 4가지 카테고리는?
양 - 전체 부분 개체 질 - 긍정 부정 무한 관계 - 정언 가언 선언 양태 - 필연 실연 개연
75
??은 지성의 개념 사용을 통제하는 중심축으로 자기의식(‘나는 생각한다’)에 해당하는 능력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통각 aperception
76
칸트 인식론에서 ??, ??, 인식은 같은 뜻을 지닌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표상 경험 인식
77
???이 없다면 감성과 지성, 직관과 개념의 협동은 공염불에 불과하고, 따라서 인식은 성립할 수 없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상상력
78
상상력이 하는 일
1) 종합 - 감성에서 지성으로 2) 도식화 - 지성에서 감성으로
79
어떤 사람은 수십 장으로 그리는 것을 어떤 사람은 한두 장으로 압축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라. 이런 차이는 ???에 기인한다. ???이 뛰어나다는 것은 결국 개념에 부합하는 도식을 효율적으로 그려낸다는 것과 같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상상력
80
추상적인 개념을 감성적 직관과 연결하기 위한 조건이 ??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도식
81
??은 이런 머릿속의 삼각형처럼 감성적이면서도 지성적이다. 직관적이면서도 개념적이며, 특수하면서도 보편적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도식
82
칸트적인 인식의 3요서
직관적 감성 개념적 지성 상상력
83
의식이 지닌 모든 인식능력들은 원래 ???? 속에서 하나였다가 이로부터 서로 다른 갈래로 분화되어 나왔다는 것이다. 헤겔이나 하이데거 그리고 최근에는 들뢰즈 같은 철학자가 이런 대목을 중시하여 직관과 개념의 원초적 통일성을 본래의 사태로 간주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상싱력
84
칸트 철학에서 이성이 지식을 체계화하는 원리는 ‘????’이라 불린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이념idea
85
칸트에 따르면 경험적인 차원의 지식들은 저마다 일정한 경향의 선을 형성한다. 이들은 저마다 선을 그리다가 결국 세 개의 점으로 수렴하는데, 그런 수렴의 지점이 이념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이념이 바로 ????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영혼, 우주, 신
86
????에서 일어나는 모든 판단은 신의 이념을 대전제로 추론적 위계질서를 획득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도덕적 실천
87
지성의 개념이 경험적 인식을 ‘구성’하는 원리라면, 이성의 이념은 ??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각각의 개별적인 인식을 체계의 관점에서 ‘규제’하는 데 그친다.
88
하나의 대상을 둘러싼 특정 문맥과 전체의 구도를 제시하는 것이 ?????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이성의 이념
89
이 이성의 이념 자체는 결코 인식될 수 있는 어떤 것이 아니라 단지 ??될 수 있을 뿐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사유
90
『순수이성비판』에서 감성적 직관을 다루는 부분을 ???? 지성의 개념을 다루는 부분은 ????이라 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감성론 분석론 - 연역 (여기에 도식론 추가)
91
영국 경험론은 ??의 개념이 감각적 경험에서 유래한다고 본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지성 개념은 감각적으로 지각된 대상에서 구체적인 성질을 제거하여 만든 추상적 이미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92
??은 인과 개념이 주관적 기대와 상상의 개입으로 주조된 허구적인 개념에 불과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인과법칙의 필연성 및 보편타당성을 부정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흄 칸트는 인과 개념이 지성의 선험적 범주임을 밝힘으로써 이에 응답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93
즉 ??? 개념은 감각적 인상에서 파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으로 주어져 있다가 그 인상에 적용된다. 그리고 그 적용의 가능 조건은 감각적 이미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성이 상상력의 도움으로 얻게 되는 도식에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인과
94
???의 주된 목적은 철학사 해체에 있다. 칸트는 ???을 통해 자기 이전의 사상사를 간결한 삼단논법으로 재구성한 후 순식간에 무너뜨린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변증론
95
제1비판의 변증론은 이성의 이념이 ‘????’이 아니라 ‘????’에 해당하는 원리임을 밝힌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오르가논organon - 기관 캐논canon - 법전
96
전통 형이상학은 처음부터 인간의 조건을 초월하는 것을 두고 엄밀한 학문적 인식이나 논증의 대상인 것처럼 취급해왔다. 이를 칸트는 뭐라 불러?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형이상학의 독단주의 (이는 흄의 회의주의와 정반대)
97
미군의 제식 총열 부착형 유탄발사기
M203
98
우리는 대상을 사물로서 인식할 수 없다 해도 적어도 그것을 사유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러므로 나는 ???을 위한 자리를 얻기 위해 지식을 폐기해야만 했다. - 『순수이성비판』 재판 서문 XXVI쪽, XXX쪽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신앙
99
경험적 인식의 중심에 있는 것이 지성이라면, 인식의 영역 바깥으로 사유가 나아갈 때 올바른 문제를 가리키며 방향과 구도를 열어주는 것은 ??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이성
100
칸트는 이론적 인식을 보편성과 필연성을 지닌 인식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그런 이론적 인식을 ‘?????라 부른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선험적 종합판단synthetic a priori judgement’ 또는 ‘선천적 종합명제’
101
칸트 이전까지는 명제를 ????와 ?????로 나누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분석명제와 종합명제
102
???에서는 술어에 해당하는 속성이 주어에 이미 포함되어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분석명제
103
2+3=5 는 무슨 명제
분석명제
104
피타고라스-플라톤 전통에서는 지식의 모델을 수학에서 찾았다. 그 결과 모든 학문적 명제는 ???명제의 형태를 띠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분석명제
105
영국 경험론은 모든 지식의 기원을 감각적 경험에 두었고, 그 결과 학문적인 명제 일반은 개연적이거나 확률적인 타당성밖에 가지지 못한다는 ???으로 귀착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회의론
106
칸트는 ??도 수학적 진리만큼 보편적이고 필연적이라고 간주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뉴턴의 물리학
107
우리는 여기서 ‘4+3’은 ‘3+4’의 동어반복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두 명제는 각각 서로 다른 ???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직관
108
생기 활발
brio
109
불평하다
gripe
110
귀여운
twee
111
사망기사
obit
112
여행담
travelogue
113
우리는 여기서 ‘4+3’은 ‘3+4’의 동어반복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두 명제는 각각 서로 다른 ??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직관 칸트의 관점에서도 수학적 연역의 각 단계는 서로 다른 직관을 요구한다. 새로운 직관이 매번 추가되지 않으면 연역적 이행은 일어날 수 없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14
?????는 항상 보편적이고 필연적이라는 점에서 선험적 명제이지만 새로운 직관의 내용을 더해간다는 점에서는 종합적 명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수학적 명제
115
뉴턴으로 대변되는 자연과학의 명제도 마찬가지다. 경험적인 관찰이나 실험으로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지만 경험적 인식의 발생 형식 자체가 ??적이기 때문에 언제나 보편적이고 필연성을 띨 수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선험적
116
?????은 모두 선험적인 동시에 종합적인, 다시 말해 선험적 종합판단을 생산하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형식과학과 경험과학
117
사유, 다시 말해서 ‘생각한다’는 것은 어디서 시작되는 것일까?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바로 이성에 내재한 궁극의 욕망desire에서 비롯된다 (형이상학적 욕망)
118
칸트는 신체뿐 아니라 이성도 욕망을 가진다고 보았고 이를 『순수이성비판』 서문에서 ‘????’이라 불렀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형이상학적 욕망 점잖게 “관심”이라 부를 수도 관심은 물음의 주관적 원천
119
이성이 본성상 회피할 수 없는 궁극의 물음 (칸트)
1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사변적 관심) 지성 2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실천적 관심) 이성 3 나는 무엇을 희망할 수 있는가 (향유적 관심) 판단력
120
사변적 관심이 참됨(진)을 향하고 실천적 관심이 좋음(선)을 향한다면, ??? 관심은 아름다움(미)이나 생명 현상같이 쾌감이나 행복을 가져다주는 가치로 향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향유적 관심 (나는 무엇을 희망? - 내세에 대한 성찰로까지 이어져)
121
궁극의 질문 - 인간이란 무엇인가의 의미
이성이 제기하는 모든 문제, 다시 말해서 철학의 문제는 모두 인간의 초월론적 본성에 대한 물음으로 귀착된다는 것과 같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22
삶의 향유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사유에서는 판단력이 최대한 발휘되어야 하는데, 가령 심미적 판단력의 핵심에는 ???이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상상력
123
상상력을 중심으로 감성과 지성, 그리고 이성이 주변부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창조적 판단력
124
『순수이성비판』의 목적이 우리 지식의 범위를 감각적 경험의 영역에 제한하는 데 있다고 본 나머지 ????고 해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칸트 철학의 근본 의도가 형이상학적 욕망을 불식시키는 데 있다 (이는 순수이성비판의 전반부만 읽고 하는 오해)
125
인간의 이성은 자신의 본성에 의해 부과되기 때문에 거부할 수 없는, 그렇지만 자신의 능력을 벗어남으로 도대체 대답할 수 없는 [형이상학적] 문제들로 인해 괴롭힘을 당하는 운명이다. 누구?
칸트 순수이성비판 서문
126
앞에서 언급했듯이 『순수이성비판』은 그 초두에서부터 그런 권리 비판이 순수 이성의 체계를 위한 예비학이며, 그 예비학의 목적은 ????을 밝힌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신앙에 자리를 내주기 위해 지식을 폐기하는 데 있음
127
칸트의 첫 번째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는 단순히 대상 중심의 인식론이 주체 중심의 인식론으로 바뀐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형이상학이 신학에서 완전히 벗어남을 의미
128
18세기까지의 서양 형이상학에서 마지막 문제는 ????, 즉 나의 생각과 대상이 어떻게 일치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
주객일치의 문제 (이는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가 주로 신학적으로 해결
129
칸트가 인식론적 구도를 주체를 중심으로 대상이 회전하도록 바꿈에 따라 과거 형이상학을 괴롭히던 ????의 문제는 더 이상 제기되지 않게 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주객일치
130
참된 인식(객관성)의 기준을 의식 내면으로 옮겨와 인식능력들 간의 ???에서 찾아야 한다면 의식을 초월하는 신을 끌어들일 필요가 없게 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통일성
131
의식의 바깥에 있던 ???이 자연의 운동에서 해방되어 의식 안으로 귀속된 것이다.9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시간
132
이렇게 자연의 시간보다 우월한 ????은 칸트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의식 고유의 시간
133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의 3번째
철학적 이성이 수학적 이성으로부터 해방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34
17세기 과학혁명 이후 ???은 학문의 모델이었다. 이성은 언제나 ??? 이성을 의미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수학 합리성이란 측정 가능성과 연역적 증명에 기초한 수학적 합리성 (예: 스피노자의 에티카 - 기하학적 순서로 증명된 윤리학)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35
『순수이성비판』은 후반부(방법론)에서 ????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수학적 사유와 철학적 사유가 왜 달라야 하는지에 대한 논거를 자세히 이어간다
136
칸트는 수학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능력을 ??이라 부르고, 이것을 철학적 사유 능력인 이성과 구별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지성
137
이성은 ??과 관계하여 사유의 체계를 구축해가는 능력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이념
138
자연학을 넘어선다는 것은 감각적 경험의 차원을 넘어선다는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이라 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초월적transcendent
139
초월론적 차원은 ????의 사이에 위치하며, 그곳이 바로 철학이 자신의 고유한 원리를 수립하는 장소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물자체와 현상계
140
초월론적 차원에 관해 칸트는
정의한게 많지 않다
141
나는 ?????을 초월론적이라 부른다. 그러한 개념들의 체계는 초월론 철학이라 일컬어질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대상들이 아니라 대상들 일반에 대한 우리의 선험적 개념들을 다루는 모든 인식
142
선험적 - 칸트 용어로?
a priori 아 프리오리 경험 대상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되 그 대상에 대한 경험이 보편성과 필연성을 띨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 그것이 선험적인 어떤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43
경험 대상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되 그 대상에 대한 경험이 ????을 띨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 그것이 선험적인 어떤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보편성과 필연성
144
경험적 인식에 선험적 요소가 개입한다는 것은 칸트 이전부터 이미 있어온 이야기다. 사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등 합리론자들이 말하는 본유관념 (형이상학적 선험성)
145
17세기 합리론의 본유관념은
형이상학적 선험성은 경험의 발생과 무관한 차원에 있다. (수학)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46
당시에는 초월적이되 감성 초월적인 것을 ‘형이상학적’이라 불러왔다. 그러나 이미 형이상학적인 지위에 있는 범주를 다시 초월하는 것이 있다면 이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여기서 초월적이라는 용어가 나왔다
147
이때 초월적이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하나는 범주적 구별을 넘어선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든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148
칸트는 철학 고유의 영토, 신대륙을 발견한 철학의 콜럼버스다. 칸트 이후의 철학사는 ????의 발굴 및 확장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초월론적 차원
149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을 쓴 때
57세 1781년 이때부터 대표작 내놓기 시작
150
칸트 이전 윤리학의 중심은 ??? 그리고 그 주위를 도는 ??
선 - 목적 법 (도덕법칙) - 수단 칸트는 이를 뒤바꾸어 도덕법칙을 중심에 놓았다
151
이상적인 법칙이란 무엇인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그것은 개인에게는 자유를, 사회에는 정의를 허락하는 법칙이다.
152
서양에서 덕이라는 말은 남성적인 힘을 뜻하는 라틴어 ‘ ????!’에 어원을 둔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비르투스virtus
153
구성원들이 이상적 가치(선)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는 사회를 배경으로 하므로 덕 윤리는 ???와 함께 간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개인보다는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공동체주의
154
근대 사회에 부합하는 법 중심의 윤리, 의무의 윤리는 ????와 함께 간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개인주의
155
칸트 윤리학에서 중심을 차지한 도덕법칙은 공동체에 의해 주입된 규범이 결코 아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그것은 개인이 자신의 양심 속에서, 자유의 체험 속에서 스스로 깨닫는 어떤 것을 의미한다.
156
칸트 윤리학에서 ????는 동전의 양면처럼 분리 불가능한 일체를 이룬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법칙과 자유
157
????은 자연 전체의 기계적 질서로부터의 자유이자 독립성이며 동시에 자신에 고유한, 자기 자신의 이성에 의해 주어진 순수 실천 법칙들에 복종하는 존재자의 능력으로 보이는 어떤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인격성
158
인간은 곧 그의 자유가 지닌 ???의 힘에 의해 신성한 도덕법칙의 주체다. (실천이성 비판)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자율
159
????이라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도구나 수단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다시 말해서 ‘목적 그 자체’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신성불가침
160
자유는 그것에 의해 산출된 ??을 통해 비로소 체험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도덕법칙
161
인격적 주체는 자신의 양심 속에서 명령하는 도덕법칙에서 자신의 자유를 확신할 증거를 본다. 왜냐하면 자유(????)가 아니라면 그 법칙은 존재할 수 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의지의 자율성
162
인격적 주체는 그런 자신의 ??를 확신하는 가운데 마침내 이념의 세계 전체를 의미로 가득한 체계로 바라보는 관점을 획득한다. 그런 점에서 ???는 순수 이성 체계 전체의 구심점에 해당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자유
163
???는 사변적 이성의 모든 이념들 가운데 우리가 선험적으로 알 수 있는 유일한 이념이다. 왜냐하면 ???는 우리가 알고 있는 도덕법칙의 조건이니 말이다. - 『실천이성비판』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자유
164
??은 벽돌 아치의 맨 꼭대기에 넣어 좌우를 이어주는 키스톤key stone을 말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마룻돌
165
?????가 단지 윤리학의 중심일 뿐만 아니라 순수 이성 체계 전체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도덕법칙에 의해 개시되는 자유
166
자유는 ???로 가는 출구에 해당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예지계
167
『실천이성비판』에서 자유와 도덕법칙은 합리적인 파악을 넘어서는 어떤 것으로 언명된다. 불가해한 가운데 그 자체로 자명한 사실로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로 선언되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순수 이성의 사실Faktum der reinen Vernunft
168
이 근본 법칙에 대한 의식을 우리는 ???!!!이라 부를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 근본 법칙을 이성의 선행하는 자료로부터, 예컨대 자유의 의식으로부터 도출해낼 수 없고, 오히려 그것이 그 자체로서 우리에게 닥쳐오기 때문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이성의 사실
169
도덕법칙은 ????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어떤 것에 의해 합리적으로 해명되기를 거부한 채 우리 의식에 무조건 닥쳐오는 어떤 것이다.
170
역설적으로 자신에게 그런 ???을 강제하는 법칙 앞에서만 의식은 이성의 선험적 입법 능력을 자각하게 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수동성
171
칸트는 자유를 도덕법칙의 ???근거ratio essendi로, 도덕법칙을 자유의 ??근거ratio cognoscendi로 간주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리디에서 자세히 보기: https://ridibooks.com/books/222002151
칸트는 자유를 도덕법칙의 존재근거ratio essendi로, 도덕법칙을 자유의 인식근거ratio cognoscendi로 간주한다. 자유와 도덕법칙은 동전의 양면처럼 하나의 동일한 사실의 두 측면, 다시 말해서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에 해당한다는 것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172
『순수이성비판』에서 자유론의 출발점은????에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코기토cogito
173
초월론적 자유에 의한 인과성은 물론 현상계(자연) 안에서는 일어날 수 없다. 그것은 다만 현상계 배후의 ??!에서만 기대할 수 있는, 따라서 자연의 인과성과는 다른 종류의 인과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예지계 그것은 당위의 세계가 펼쳐져가는 인과성, 당위적 연쇄를 가져오는 자유의 인과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73
초월론적 자유에 의한 인과성은 물론 현상계(자연) 안에서는 일어날 수 없다. 그것은 다만 현상계 배후의 ??!에서만 기대할 수 있는, 따라서 자연의 인과성과는 다른 종류의 인과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예지계 그것은 당위의 세계가 펼쳐져가는 인과성, 당위적 연쇄를 가져오는 자유의 인과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73
초월론적 자유에 의한 인과성은 물론 현상계(자연) 안에서는 일어날 수 없다. 그것은 다만 현상계 배후의 ??!에서만 기대할 수 있는, 따라서 자연의 인과성과는 다른 종류의 인과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예지계 그것은 당위의 세계가 펼쳐져가는 인과성, 당위적 연쇄를 가져오는 자유의 인과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74
초월론적 자유라는 개념은 두 세계의 구분에 근거한다. ???와 ???를 구분하는 연장선상에서 자연의 인과성과 대립하는 자유의 인과성을 설정하고, 그 새로운 인과성을 유발하는 능력을 초월론적 자유라 부르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현상계 예지계
175
『순수이성비판』 전반부가 현상계에서 자연의 기계적 인과성이 어떻게 펼쳐지는지를 이야기한다면, 후반부는
현상계와 구별되는 예지계에서 자연의 인과성과 구별되는 자유의 인과성이 어떻게 펼쳐질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76
칸트가 이런 두 가지 논의를 통해 내리고자 하는 결론은 두 세계의 공존 가능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자연과 자유, 존재와 당위, 사실과 가치로 나뉘는 두 세계가 있되 이 두 세계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76
칸트가 이런 두 가지 논의를 통해 내리고자 하는 결론은 두 세계의 공존 가능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자연과 자유, 존재와 당위, 사실과 가치로 나뉘는 두 세계가 있되 이 두 세계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76
칸트가 이런 두 가지 논의를 통해 내리고자 하는 결론은 두 세계의 공존 가능성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자연과 자유, 존재와 당위, 사실과 가치로 나뉘는 두 세계가 있되 이 두 세계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77
칸트는 이제 ??의 인과성이 객관적으로 실재함을 얼마든지 증명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개진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계획이 도중에 멈춘다는 데 있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자유
178
자유는 순전한 이념으로서, 어떠한 가능한 경험에서도 밝혀질 수 없으며, 그러므로 이 이념에는 결코 어떤 유비에 의해서도 하나의 실례도 제시할 수 없기 때문에, 결코 개념적으로 이해될 수도 없고 단지 통찰될 수도 없다. (···) 자유는 단지 이성의 ????일 뿐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필연적인 전제
179
???!!! 이것을 설명하는 데는 모든 인간 이성은 전적으로 무능력하고, 이를 설명하려는 모든 노고는 헛된 것이 되고 만다. - 『윤리형이상학 정초』 전집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어떻게 순수 이성이 실천적일 수 있는가,
180
칸트는 『윤리형이상학 정초』 이후에 집필한 『실천이성비판』에서는 ?????을 증명하려 하지 않는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자유의 객관적 실재성 다만 ‘이성의 선험적 사실’로 받아들인다. 자유는 설명하거나 증명할 수 없는 것이기에 우리에게 무조건 닥치는 주관적 사실로서, 혹은 윤리학의 가능성을 위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어떤 요청으로 언명하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181
예지계란
이념의 세계
182
??을 떠난 도덕적 주체나 윤리적 실천은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법칙 (카프카의 “법 앞에서”)
183
칸트의 예지계를 그려보라
명법 의무 - 존경 - 자율 의지
184
칸트에서 이론적 판단이란?
선험적 종합판단 (칸트는 도덕적 판단도 선험적 종합판단이다. 다만 실천의 세계에서는 지성이 아닌 이성이 정언명법이라는 선험적 규칙을 제공)
185
욕망이 보편적인 입법의 형식에 의하여 동기화될 때 욕망은 ??가 된다 - 칸트
의지 (이성에 의하여 자극되는 욕망)
186
오로지 ??만이 선하다 - 칸트
선의지
187
선은 ??의 속성일 뿐이지 객관적 실재가 아니다
의지
188
행위의 세계 도덕의 세계 실천의 세계에서 주체는?
의지
189
의지는 관념에 불과한 ??을 현실적인 어떤 것으로 생산하되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타당한 입법의 조건에 따라 생산하는 능력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
표상
190
칸트의 존경이란ㄷ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
190
칸트의 존경이란ㄷ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
191
의지는 관념에 불과한 ??을 현실적인 어떤 것으로 생산하되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타당한 입법의 조건에 따라 생산하는 능력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표상
192
칸트는 존경의 반대편에 있는 것을????이라 부른다. 이것은 우리가 신체를 가졌기 때문에 생기는 충동이나 본능들, 감정과 정서들 일반을 가리킨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경향성inclination
193
영국 경험론자들은 도덕의 기원을
동정심 연민에서 찾았다
194
칸트에 따르면 좋은 감정이든 나쁜 감정이든 모두 ???의 일종이다. 그리고 아무리 이타적인 감정이라 해도 ???에 의해 자극되는 욕망은 도덕적으로 선한 가치를 지닐 수 없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경향성 즉 거지가 불쌍해서 돈을 주는 건 선한게 아니다 - 칸트
195
선한 행동은 오직 ???의 동기에서만 나온다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
196
칸트는 도덕법칙을 뭐라 했나
이성의 유일한 선험적 사실
196
칸트는 도덕법칙을 뭐라 했나
이성의 유일한 선험적 사실
196
칸트는 도덕법칙을 뭐라 했나
이성의 유일한 선험적 사실
197
칸트는 존경을 뭐라 했나
이성의 유일한 선험적 정서 (정서는 경험적인 것인데 말이 안 되는 부조리한 표현)
198
예지계는 초-감성적인 세계이므로 여기에는 어떠한 감정도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칸트는 예외를 둔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존경이라는 유일한 선험적 정서가 있다는 것이다. (개소리.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만이 선험의 세계 초월론적 차원에 성립하는 유일한 감정. 다른 감정은 다 경험의 세계인데)
199
???은 데카르트의 『정념론』에서 모든 정념의 뿌리로 간주되는 원초적 정념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경탄
200
초월론적 자유란?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예지계에서 당위적 인과의 연쇄를 개시하는 능력
201
????는 현상계에서 자신이 따라야 할 법칙을 스스로 제정하는 능력이다. 서가명강 05 - 왜 칸트인가 | 김상환 저
실천적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