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Flashcards

(95 cards)

1
Q

형만 한 아우 없다.

A

O

‘만’

체언에 붙어서 한정 또는 비교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알은척하다

A

O

한 단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열 개꼴로 물건을 받아 왔다.

A

O

-꼴

[접사] 그 수량만큼 해당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이겨 낸다

A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집채만한 파도

A

집채만한 파도 → 집채만 한 파도

‘만’: 조사

‘한’: ‘하다’의 관형사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초대면

A

O

‘초(初)’

‘처음’ 또는 ‘초기’의 뜻을 더하는 경우는 접두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사흘 간

A

사흘 간 → 사흘간

‘간(間)’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서 ‘간(間)’이 ‘동안’의 뜻인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얼마 되겠느냐마는 쓰도록 해라.

A

O

‘마는’

사실에 대한 의문이나 어긋나는 상황 등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온밤

A

O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도둑으로 몰려서 잡혀갈 뻔도 했다.

A

O

‘뻔’: 의존 명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사업차 도미한다.

A

O

‘차(次)’

명사 뒤에 붙어서 목적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접미사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통일이야말로 최대의 과업이다.

A

O

‘(이)야말로’

강조, 확인의 보조사이다. ‘이야/야’와 갈음된다. 부사어의 뒤에도 붙는 경우가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서화담

A

O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이때

그때

저때

아무때

여러때

A

이때

그때

저때 → 접때, 저 때

아무때 → 아무 때

여러때 → 여러 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올듯싶다.

A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울어쌓는다

A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집에서 처럼

A

집에서 처럼 → 집에서처럼

조사가 둘 이상 겹쳐지거나,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전공 외의 교양 과목

A

O

‘외(外)’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남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놓아 두다

A

놓아 두다 → 놓아두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기쁜 소식을 전하려고 집까지 한걸음에 뛰었다.

A

O

한걸음: 쉬지 아니하고 내처 걷는 걸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읽어볼만하다.

A

읽어볼만하다 → 읽어 볼 만하다, 읽어볼 만하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보조 용언이 거듭되는 경우는 앞의 보조 용언만을 붙여 쓸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그 책은 내 거다.

A

O

‘것’

의존 명사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일 경우는 띄어쓴다. ‘것’은 서술격 조사 ‘이다’가 붙을 때는 ‘거다’가 되고, 주격 조사 ‘이’가 붙을 때에는 ‘게’로 형태가 바뀐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봉정식

A

O

‘식(式)’

‘방식, 의식’의 뜻을 지니면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봉정 식

A

봉정 식 → 봉정식

‘식(式)’

‘방식, 의식’의 뜻을 지니면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네가 덤벼들어보아라.
덤벼들어보아라 → 덤벼들어 보아라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용언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26
일이 될법하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27
한 개
O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28
모르는 체 한다.
모르는 체 한다 → 모르는 체한다, 모르는체한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체하다: 보조 용언
29
밥 먹듯 한다.
O '듯': 어미 '-듯이'의 준말이므로 뒤에 오는 동사 '한다'와 띄어 써야 한다.
30
책을 읽지 못 하다
못 하다 → 못하다 '-지 못하다'는 보조 용언이므로 붙여 쓴다.
31
마지못하다
O 한 단어
32
10개
O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는 붙여 쓸 수 있다.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는 의존 명사는 모두 붙여 쓸 수 있다.
33
정각 열시에 만납시다.
O '시' **時**. **시각**을 이르는 말이나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날 때나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연월일, 시각** 등은 **붙여 쓸 수 있다**.
34
걱정하는 마음에 한마디했다.
O 한마디: 짧은 말. 간단한 말
35
지난 날
지난 날 → 지난날 한 단어
36
물어보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37
나야 물론 좋고 말고.
좋고 말고 → 좋고말고 '-고말고' 용언의 어미 또는 어미처럼 굳어 버린 숙어
38
한밤 중
한밤 중 → 한밤중 '중' **한 단어**로 굳어진 말은 **붙여 쓴다**.
39
이곳 그곳 저곳 아무곳 여러곳
이곳 그곳 저곳 아무곳 → 아무 곳 여러곳 → 여러 곳
40
연구 차 도미한다.
연구 차 → 연구차 '차(次)' 명사 뒤에 붙어서 **목적**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접미사**로 **붙여 쓴다**.
41
이 계획외에도
계획외에도 → 계획 외에도 '외(外)'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남**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42
저물녘
O '녘' 명사 다음: 붙여 쓴다. 관형사형 어미 다음: 띄어 쓴다. 예외: 아침 녘, 황혼 녘, 저물녘
43
이것
O 한 단어
44
대국민 사과문
O 대- [**접사**]
45
여기서부터 입니다
여기서부터 입니다 → 여기서부터입니다 조사가 둘 이상 겹쳐지거나,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붙여 쓴다.
46
겪어났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47
책도 책 나름이지.
O '나름': 의존 명사
48
피차간
O '간(間)'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49
이 문제를 한 번 잘 생각해 봐.
한 번 → 한번 한번: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함, 지난 어느 때나 기회
50
내가 잘못했다고 먼저 사과할 걸.
사과할 걸 → 사과할걸 구어체로 쓰는 종결 **어미 '-ㄹ걸'**일 경우는 **붙여 쓴다**. 가벼운 반박이나 감탐의 뜻을 나타내거나, 가벼운 뉘우침이나 아쉬움을 나타낸다.
51
의지할데 없는 사람
의지할데 → 의지할 데 '데' **'곳, 장소, 일, 것, 경우'** 등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52
못되게 굴다.
O 못되다: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① 성질이나 품행 따위가 좋지 않거나 고약하다.
53
늘더 먹는다.
늘더 먹는다 → 늘 더 먹는다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의미적 유형이 같은 단어끼리는 붙여 쓸 수 있다.
54
꿈은 이루어 진다.
이루어 진다 → 이루어진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어지다, -어하다'는 보조 용언이기는 하나 언제나 붙여 쓴다.
55
앞서 지적한바와 같이
지적한바와 → 지적한 바와 '바' **앞에서 말한 내용** 그 자체나 일 따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일 때는 **띄어 쓴다**.
56
자식이 안되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다.
O 안되다: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②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
57
창 밖을 보다.
창 밖을 → 창밖을 '창밖': 한 단어
58
지상 대 공중
O '대(對)'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59
오랜만에 집에 오니 기분이 좋다.
O '만' **'오랜만에', '오랫동안'**은 **붙여 쓴다**.
60
다소 간
다소 간 → 다소간 '간(間)'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61
열어놓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62
나가면서 까지도
나가면서 까지도 → 나가면서까지도 조사가 둘 이상 겹쳐지거나,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붙여 쓴다.
63
김연옥씨
김연옥씨 → 김연옥 씨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씨'의 경우,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쓰고, 성씨를 나타낼 때는 붙여 쓴다.
64
귀 공자
귀 공자 → 귀공자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는 붙여 쓴다.
65
일주일 내
O '내(內)' **일정한 범위의 안**을 나타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66
온집안
온집안 → 온 집안 '온': '전부의. 또는 모두의'의 뜻일 경우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67
내 힘으로 막아 낸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68
책상, 걸상 등이 있다.
O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쓴다.
69
그는 키가 큰사람이다.
큰사람이다 → 큰 사람이다 큰사람; 훌륭하거나 위대한 사람
70
이게 얼마만인가?
얼마만인가 → 얼마 만인가 '만'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71
그는 "알았다" 라고 말을 했다.
"알았다" 라고 → "알았다"라고 '라고' 직접 인용이나 '이른바'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72
못지않다
O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73
옆집 김 씨가 사라졌다.
O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씨'의 경우,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쓰고, 성씨를 나타낼 때는 붙여 쓴다.
74
공기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공기중에 → 공기 중에 '중' **'…가운데, …동안, 안이나 속'** 등의 뜻을 지닌 **의존 명사**인 경우는 **띄어 쓴다**.
75
한개
한개 → 한 개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76
옆집 애들은 꼭 큰소리가 나야 말을 듣는다.
O 큰소리: 야단치거나 과장하는 말
77
16동 502호
O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는 붙여 쓸 수 있다.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는 의존 명사는 모두 붙여 쓸 수 있다.
78
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
O '간(間)' 앞에 나열된 말 가운데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는 뜻인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79
열심히 공부를 했는 데도 성적이 떨어졌다.
했는 데도 → 했는데도 '데' 연결 또는 종결을 나타내는 **어미 '-ㄴ데'**의 일부일 때는 **붙여 쓴다**.
80
암, 네 말이 맞다 마다.
맞다 마다 → 맞다마다 '-다마다' 용언의 어미 또는 어미처럼 굳어 버린 숙어
81
약속한 대로 이행한다.
O '대로'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서 '그와 같이'란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82
얼마 짜리니?
얼마 짜리니 → 얼마짜리니 -짜리 [**접사**] 그만한 수나 양, 가치를 가진 것
83
씨름 판
씨름 판 → 씨름판 '판' **합성어**를 이루는 명사일 때는 **붙여 쓴다**.
84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용언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85
잘 만들어 졌다.
만들어 졌다 → 만들어졌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어지다, -어하다'는 보조 용언이기는 하나 언제나 붙여 쓴다.
86
청군 대 백군
O '대(對)'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87
동 녘
동 녘 → 동녘 '녘' 명사 다음: 붙여 쓴다. 관형사형 어미 다음: 띄어 쓴다.
88
잘도 놀아만 나는구나!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용언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89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도 성적이 떨어졌다.
O '데' 연결 또는 종결을 나타내는 **어미 '-ㄴ데'**의 일부일 때는 **붙여 쓴다**.
90
옷을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간다.
O '채': 의존 명사
91
대 북한 전략
대 북한 전략 → 대북한 전략 '대(對)' **'그것을 상대로 한'** 또는 '그것에 **대항하는**'의 뜻인 경우는 **접두사**이므로 **붙여 쓴다**.
92
빼다 박은듯 닮았다.
박은듯 → 박은 듯 '듯': 의존 명사
93
그 사람은 내 집보다 2배 큰집에 산다.
큰집에 → 큰 집에 큰집: 맏집
94
되어가는 듯하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보조 용언이 거듭되는 경우는 앞의 보조 용언만을 붙여 쓸 수 있다.
95
공부가 안 돼서 잠깐 쉬고 있다.
안 돼서 → 안돼서 안되다: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① 현상이나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