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COPY Flashcards
(94 cards)
여자도 남자 만큼 일한다.
남자 만큼 → 남자만큼
‘만큼’
체언 뒤에서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임을 나타내는 경우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외 배엽
외 배엽 → 외배엽
‘외(外)’
‘밖’이나 ‘바깥’의 뜻의 경우에는 접두사이므로 붙여 쓴다.
차 한대
차 한대 → 차 한 대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너와 같이
O
체언+’같이’가, ‘처럼’이나 ‘때’의 뜻을 나타내면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알은체하다
O
한 단어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
O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
그들은 선생님 댁을 수십 차 방문했다.
O
‘차(次)’
‘번, 차례’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얼이 빠진 양 구경하다.
O
‘양’: 의존 명사
대 국민 사과문
대 국민 사과문 → 대국민 사과문
대-
[접사]
범위 내
O
‘내(內)’
일정한 범위의 안을 나타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삼 대 일로 졌다.
O
‘대(對)’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사람이 죽고 사는 판에 너는 편하게 앉아 있니?
O
‘판’
‘처지, 판국, 형편’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산속
O
한 단어
마리당 삼천 원
O
‘당(當)’: 수나 단위에 붙어 ‘마다’의 뜻인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법 대로 이행하라.
법 대로 → 법대로
‘대로’
체언 뒤에 붙어서 ‘그와 같이’란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부산, 광주등지
부산, 광주등지 → 부산, 광주 등지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쓴다.
타블로이드 판
타블로이드 판 → 타블로이드판
‘판’
책이나 상품에 쓰이는 종이의 규격[判/版]을 뜻하거나, 이를 펴낸 것[版]을 뜻할 때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제 1장
제 1장 → 제1장
제(第)-
[접사] 차례
꽤 안 온다.
O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의미적 유형이 같은 단어끼리는 붙여 쓸 수 있다.
애통해 하다
애통해 하다 → 애통해하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어지다, -어하다’는 보조 용언이기는 하나 언제나 붙여 쓴다.
집 떠난 지 3년만에 돌아왔다.
3년만에 → 3년 만에
‘만’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20세기초
20세기초 → 20세기 초
‘초(初)’
‘어떤 기간의 처음이나 초기‘의 뜻인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조선초
조선초 → 조선 초
‘초(初)’
‘어떤 기간의 처음이나 초기‘의 뜻인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각국
O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는 붙여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