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lashcards

(94 cards)

1
Q

노름 판

A

노름 판 → 노름판

‘판’

합성어를 이루는 명사일 때는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20세기 초

A

O

‘초(初)’

‘어떤 기간의 처음이나 초기‘의 뜻인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놓칠뻔하였다.

A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봄내

A

O

‘내(內)’

‘그 기간의 처음부터 끝까지’ 또는 ‘그때까지’의 뜻을 더하는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농사 라고 지어 봤으나 번번이 실패했다.

A

농사 라고 → 농사라고

‘라고’

직접 인용이나 ‘이른바’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처음 부터 끝까지 말썽이다.

A

처음 부터 → 처음부터

‘부터’

범위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귀 회사

A

O

‘귀(貴)’: 높이는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연구차 도미한다.

A

O

‘차(次)’

명사 뒤에 붙어서 목적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접미사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참아 냈다

A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본회의

A

O

‘본(本)’: ‘바탕이 되는’의 뜻을 나타낼 때는 접두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그 집 사정이 참 딱하데그려.

A

O

‘그려’

일부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문장의 내용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그는 키가 큰 사람이다.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덮칠 뻔했다

A

O

보조 용언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뻔하다’: 보조 용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겪어 났다

A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고부간

A

O

‘간(間)’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더 못 간다.

A

O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의미적 유형이 같은 단어끼리는 붙여 쓸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비행 시에는 휴대 전화를 사용하면 안 된다.

A

O

‘시’

. 시각을 이르는 말이나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날 때나 경우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파고들다

A

O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학기 초

A

O

‘초(初)’

‘어떤 기간의 처음이나 초기‘의 뜻인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노래를 못하다.

A

O

못하다: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① 어떤 일을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게 하거나, 그 일을 할 능력이 없다.(⇔ 잘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다년 간

A

다년 간 → 다년간

‘간(間)’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외 출혈

A

외 출혈 → 외출혈

‘외(外)’

‘밖’이나 ‘바깥’의 뜻의 경우에는 접두사이므로 붙여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가까운데다가 놓다.

A

가까운데다가 → 가까운 데다가

‘데’

‘곳, 장소, 일, 것, 경우’ 등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띄어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그를 만난지 한 달이 지났다.

A

만난지 → 만난 지

‘지’

용언의 관형사형 에서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너는 너와 여행을 같이하겠다.
O '같이하다'는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26
내년초에 다시 만납시다.
내년초에 → 내년 초에 '초(初)' '**어떤 기간의 처음이나 초기**'의 뜻인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27
민주주의대 공산주의
민주주의대 → 민주주의 대 '대(對)'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28
서울과 부산 간 야간열차
O '간(間)' **'사이'**나, 두 문장 간에 **'관계'**의 뜻을 가지는 '간(間)'은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29
너희중에 누가 제일 키가 크냐?
너희중에 → 너희 중에 '중' **'…가운데, …동안, 안이나 속'** 등의 뜻을 지닌 **의존 명사**인 경우는 **띄어 쓴다**.
30
증보 판
증보 판 → 증보판 '판' 책이나 상품에 쓰이는 **종이의 규격**[判/版]을 뜻하거나, **이를 펴낸 것**[版]을 뜻할 때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31
건물 내
O '내(內)' **일정한 범위의 안**을 나타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32
들녘
O '녘' 명사 다음: 붙여 쓴다. 관형사형 어미 다음: 띄어 쓴다.
33
얼굴도 예쁜 데다가 마음씨도 곱다.
O '데' **'곳, 장소, 일, 것, 경우'** 등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쓴다**.
34
제일차 세계 대전
O '차(次)' **'번, 차례**'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35
잘난체를 한다.
잘난체를 → 잘난 체를
36
모르는 척을 하며 가다.
O '척': 의존 명사
37
법대로 이행하라.
O '대로' **체언 뒤**에 붙어서 '그와 같이'란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38
지난 해
지난 해 → 지난해 한 단어
39
ㅂ, ㄷ, ㄱ들은 파열음이다.
ㅂ, ㄷ, ㄱ들은 → ㅂ, ㄷ, ㄱ 들은 '들' 두 개 이상의 사물을 **열거**할 때 '그런 따위'란 뜻을 나타태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40
출발 시각보다 한 발 늦게 도착하였다.
한 발 → 한발 한발: 행동이 약간 간격을 두고 일어남.
41
자식이 안 되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다.
안 되기를 → 안되기를 안되다: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②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하다.
42
바둑 한 판 두자.
O '판' 승부를 겨루는 일의 **수효**를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43
견뎌 온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44
동굴 속
O 한 단어 X
45
제1 실습실
O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는 붙여 쓸 수 있다.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는 의존 명사는 모두 붙여 쓸 수 있다.
46
몰려오다
O 한 단어
47
영문을 알 턱이 없다.
O '턱': 의존 명사
48
소 한 마리
O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49
틀림 없다
틀림 없다 → 틀림없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50
삼학년
O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는 붙여 쓸 수 있다.
51
읽어볼 만하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보조 용언이 거듭되는 경우는 앞의 보조 용언만을 붙여 쓸 수 있다.
52
산 속
산 속 → 산속 한 단어
53
국어는 하면 할수록 더 어렵다.
O '-ㄹ수록' 용언의 어미 또는 어미처럼 굳어 버린 숙어
54
오랜만에 만났는데 술 한잔할까?
O 한잔: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차나 술 따위
55
귀회사
귀회사 → 귀 회사 '귀(貴)': 높이는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56
돈: 일백칠십육만 오천원임
일백칠십육만 오천원임 → 일백칠십육만오천원임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다만, 금액을 적을 때는 변조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붙여 쓰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57
도와 주다
도와 주다 → 도와주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58
그 일은 할 만하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59
마침내
O '내(內)' '그 기간의 **처음부터 끝까지**' 또는 '그때까지'의 뜻을 더하는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60
좀 더 큰 것
O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의미적 유형이 같은 단어끼리는 붙여 쓸 수 있다.
61
일꾼이 일을 잘할 뿐더러 성격도 좋다.
잘할 뿐더러 → 잘할뿐더러 '뿐' 연결 어미 **'-ㄹ뿐더러'**의 일부일 때는 **붙여 쓴다**.
62
모소식통에 의하면
모소식통에 → 모 소식통에 **'모(某)'**는 '아무개'의 뜻을 나타태는 대명사이거나, '어떤'의 뜻을 나타내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63
대문밖에 놔둬라.
대문밖에 → 대문 밖에 한 단어 X
64
식민지하
O -하(下) [**접사**] 조건이나 환경
65
불이 꺼져간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66
물속
O 한 단어
67
잘 아는 척 한다.
잘 아는 척 한다 → 잘 아는 척한다. 잘 아는척한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척하다': 보조 용언
68
사륙판
O '판' 책이나 상품에 쓰이는 **종이의 규격**[判/版]을 뜻하거나, **이를 펴낸 것**[版]을 뜻할 때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69
오해 받다
오해 받다 → 오해받다 한 단어
70
오랜만에 만났는데 술 한 잔할까?
한 잔할까 → 한잔할까 한잔: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차나 술 따위
71
암, 네 말이 맞다마다.
O '-다마다' 용언의 어미 또는 어미처럼 굳어 버린 숙어
72
책을 읽지 못하다.
O '-지 못하다'는 보조 용언이므로 붙여 쓴다.
73
기억해둘 만하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보조 용언이 거듭되는 경우는 앞의 보조 용언만을 붙여 쓸 수 있다.
74
그것은 십 원 짜리이다.
십 원 짜리이다 → 십 원짜리이다 -짜리 [**접사**] 그만한 수나 양, 가치를 가진 것
75
놓쳐 버렸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76
한발만 다쳤다.
한발만 → 한 발만 한발: 행동이 약간 간격을 두고 일어남.
77
알은 체 하다
알은 체 하다 → 알은체하다 한 단어
78
그 일은 할만하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79
아무리 못 해도 스무 명은 족히 넘을 것이다.
못 해도 → 못해도 못하다: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③ 아무리 적게 잡아도
80
넘어가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81
아파서 일을 못 하다.
O 못 하다: 부정문의 경우는 띄어 쓴다.
82
못된 심보
O 못되다: 부정문으로 쓰인 경우가 아니면 붙여 쓴다. ① 성질이나 품행 따위가 좋지 않거나 고약하다.
83
본 줄기
본 줄기 → 본줄기 '본(本)': '바탕이 되는'의 뜻을 나타낼 때는 접두사이므로 붙여 쓴다.
84
일금: 삼십일만 오천육백칠십팔원정
삼십일만 오천육백칠십팔원정 → 삼십일만오천육백칠십팔원정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다만, 금액을 적을 때는 변조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붙여 쓰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85
육 층
O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쓰이는 경우는 붙여 쓸 수 있다.
86
이 말 저 말
O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의미적 유형이 같은 단어끼리는 붙여 쓸 수 있다.
87
그가 떠난 지 보름이 지났다.
O '지'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서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88
견뎌났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89
아침 녘
O '녘' 명사 다음: 붙여 쓴다. 관형사형 어미 다음: 띄어 쓴다. 예외: 아침 녘, 황혼 녘, 저물녘
90
지구 상
지구 상 → 지구상 -상(上) [**접사**] 입장이나 추상적인 공간
91
정해진 기간내에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기간내에 → 기간 내에 '내(內)' **일정한 범위의 안**을 나타낼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92
날 마다 책을 읽는다.
날 마다 → 날마다 '마다' '낱낱이 모두 / 앞말이 가리키는 시기에 한 번씩'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93
짐승만도 못하다.
94
들 녘
들 녘 → 들녘 '녘' 명사 다음: 붙여 쓴다. 관형사형 어미 다음: 띄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