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Flashcards
(95 cards)
제 단체
O
‘제(諸)’: ‘여러’의 뜻을 나타내는 말인 경우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해 뜰 녘
O
‘녘’
명사 다음: 붙여 쓴다.
관형사형 어미 다음: 띄어 쓴다.
그동안
O
한 단어
3년 6개월 간의 군대 생활
6개월 간의 → 6개월간의
‘간(間)’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서 ‘간(間)’이 ‘동안’의 뜻인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본 사건
O
‘본(本)’: 어떤 대상이 말하는 이와 직접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
O
‘데’
화자가 경험한 일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어미일 때는 붙여 쓴다.
내처걷다
내처걷다 → 내처 걷다
내처: [부사] 어떤 일 끝에 더 나아가. 줄곧 한결같이.
연수 차 도미한다.
연수 차 → 연수차
‘차(次)’
명사 뒤에 붙어서 목적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접미사로 붙여 쓴다.
각개인
각개인 → 각 개인
‘각(各)’: ‘낱낱이’의 뜻일 경우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이놈
그놈
저놈
아무놈
여러놈
이놈
그놈
저놈
아무놈 → 아무 놈
여러놈 → 여러 놈
개정판
O
‘판’
책이나 상품에 쓰이는 종이의 규격[判/版]을 뜻하거나, 이를 펴낸 것[版]을 뜻할 때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쓴다.
새 집이 더할 나위 없이 좋다.
O
‘나위’: 의존 명사
일이 될 법하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의존 명사 ‘양. 척, 체, 만, 법, 듯’ 등에 ‘-하다’나 ‘-싶다’가 결합하여 된 보조 용언의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쓸 수 있다.
되어간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그 외에 다른 것은 필요 없다.
O
‘외(外)’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남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물어 보다
물어 보다 → 물어보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노름판
O
‘판’
합성어를 이루는 명사일 때는 붙여 쓴다.
알아 보다
알아 보다 → 알아보다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한 단어인 경우는 붙여 쓴다.
늘 더 먹는다.
O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의미적 유형이 같은 단어끼리는 붙여 쓸 수 있다.
울어 쌓는다
O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아/-어’로 연결될 때는 붙여 씀을 허용한다.
그는 내일 미국으로 떠날 걸.
떠날 걸 → 떠날걸
‘걸’
구어체로 쓰는 종결 어미 ‘-ㄹ걸’일 경우는 붙여 쓴다. 가벼운 반박이나 감탐의 뜻을 나타내거나, 가벼운 뉘우침이나 아쉬움을 나타낸다.
귀기관
귀기관 → 귀 기관
‘귀(貴)’: 높이는 뜻을 나타내는 경우는 관형사이므로 띄어 쓴다.
진흙 중에서 나온 연꽃
O
‘중’
‘…가운데, …동안, 안이나 속’ 등의 뜻을 지닌 의존 명사인 경우는 띄어 쓴다.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
O
‘데’
‘곳, 장소, 일, 것, 경우’ 등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는 띄어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