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기보충사항들 Flashcards

1
Q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FLOW (암기)

A
  1. 내부회계관리제도감사 계획수립
  2. 유의적인 / 거계공에 대한 / 관련경영진주장 식별
  3. 왜곡표시의 가능한 원천이해
  4. 테스트 대상 통제의 선정 / 및 TOC
  5. 내부회계관리제도 미비점의 식별과 평가
  6. 후속사건에 대한 고려
  7. 의견 형성 및 경영진서면진술 입수
  8. 내부회계관련사항의 COM
  9.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보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부정위험에 대한 대처

A
  1. 보고기간 말 분개 및 조정사항에 대한 통제
  2. 유의적인 경영진 추정치에 대한 통제
  3. 유의적인 비경상거래에 대한 통제 + 4 특수관계자 거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STEP 2 유의적인 거계공과 관련경영진주장을 식별

A

감사인은 재무제표 항목과 공시의 질적 및 양적 위험요소를 평가하여야 한다.

  1. 계정의 규모와 구성
  2. 오류 또는 부정으로 인한 왜곡표시에 대한 민감성
  3. 거계공의 성격
  4. 거계공과 관련된 회계처리 및 보고의 복잡성
  5. 특수관계자 거래의 존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중요한 취약점을 나타낼 수 있는 요소

A
  • 왜곡표시를 초래할 가능성이 낮지 않음
    1. 미비점들로 인하여 발생하는 예외사항의 원인과 빈도
    2. 관련 자산이나 부채의 손실이나 부정에 대한 민감성
    3. 관련되는 금액을 결정하는데 요구되는 주관성, 복잡성 또는 판단의 정도
    4. 재무제표, 거계공 및 관련되는 경영진 주장의 성격
    5. 해당통제와 다른 통제와의 상호작용 또는 관계
  • 왜곡표시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미비점에 노출된 재무제표 금액 또는 거래총액
    2. 미비점에 노출된 계정이나 거래유형에서 당기에 발생하거나 미래기간에 발생이 예상되는 활동의 규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경영진의 서면진술

A
  1. 효과적인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수립하고 유지할 경영진의 책임을 인정함
  2. 경영진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음을 진술하고, 준거기준을 구체적으로 명시함
  3. 평가기준일 현재 / 준거기준에 근거한 /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경영진의 평가내용을 명시함
  4.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또는 운영상의 모든 미비점을 감사인에게 공개하였음을 명시함
  5. 이전의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식별되고 경영진과 지배기구에게 커뮤니케이션된 유의적 미비점과 중요한 취약점이 해결되었는지 여부를 명시하고 해결되지 않은 미비점을 구체적으로 식별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기중에 통제의 운영효과성을 테스트한 경우 고려사항

A
  1. 평가기준일 전에 테스트한 특정 통제
  2. 기중 일자 후에 내부회계관리제도에 유의적인 변경이 존재했을 가능성
  3. 기중일자에 획득한 운영효과성에 대한 증거의 충분성
  4. 잔여기간 정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토의 대상

A

FS가 중요하게 왜곡표시될 가능성에 대하여 토의 1. 부정이 어떻게 발생 할 것인지 2. FS가 부정에 의해서 어디서 어떻게 중요하게 왜곡표시될 위험성이 높은지

이러한 토의는 전문가적 의구심을 기초로 경영진과 지배기구가 정직하고 성실하다는 믿음을 배제하고 수행되어야 한다.

  1. FS가 어떻게 어느부분에서 부정에 의하여 중요하게 왜곡표시 될 가능성이 높은지 // 경영진이 재무보고를 어떻게 수행하고 은폐하는지 // 기업의 자산이 어떻게 횡령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업무팀원간의 교환
  2. 이익조정을 나타내는 상황
  3. 경영진 또는 그 외의 사람들이 부정을 저지를 동기나 압력을 유발하고 부정이 실행될 기회를 제공하며 부정을 범하는 것을 합리화 시킬 수 있는 문화 또는 환경
  4. 횡령하기 쉬운 현금이나 기타의 자산을 다루는 종업원에 대한 경영진의 감독
  5. 경영진의 내부통제를 무력화할 위험에 대한 고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토의 대상

A

FS가 중요하게 왜곡표시될 가능성에 대하여 토의 1. 부정이 어떻게 발생 할 것인지 2. FS가 부정에 의해서 어디서 어떻게 중요하게 왜곡표시될 위험성이 높은지

이러한 토의는 전문가적 의구심을 기초로 경영진과 지배기구가 정직하고 성실하다는 믿음을 배제하고 수행되어야 한다.

  1. FS가 어떻게 어느부분에서 부정에 의하여 중요하게 왜곡표시 될 가능성이 높은지 // 경영진이 재무보고를 어떻게 수행하고 은폐하는지 // 기업의 자산이 어떻게 횡령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업무팀원간의 교환
  2. 이익조정을 나타내는 상황
  3. 경영진 또는 그 외의 사람들이 부정을 저지를 동기나 압력을 유발하고 부정이 실행될 기회를 제공하며 부정을 범하는 것을 합리화 시킬 수 있는 문화 또는 환경
  4. 횡령하기 쉬운 현금이나 기타의 자산을 다루는 종업원에 대한 경영진의 감독
  5. 경영진의 내부통제를 무력화할 위험에 대한 고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전반적인 대응절차

A
  1. 유의적 업무수행 책임을 부여할 개별구성원의 / 지식, 기술, 능력과 / 해당 감사업무의 부중왜에 대한 감사인의 평가에 기초하여 / 업무를 배정하고 감독함
  2. 주관적인 측정과 복잡한 거래와 관련된 / 회계정책의 선택과 적용이 / 이익조정과 관련된 / 부정한 재무보고의 징후인지 여부를 평가함
  3. 감사절차의 성격 시기 및 범위를 선택 할 때 / 예측불가능성 요소를 포함시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부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요령

A
  1. 적합한 수준의 경영진 및 지배기구 (부정에 연루된 것으로 보이는 당사자보다 최소한 한 직급 위의 자)
  2. 부정을 식별하였거나 / 부정이 존재 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 / 그 사항이 사소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3. 구두 또는 서면으로 적시에 커뮤니케이션 하여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중요한취약점을 결정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

A

동일한 사실과 상황에 대한 지식을 가진

회계와 내부회계관리제도에 충분한 전문지식을 갖춘 객관적인 사람이

동일한 결론에 도달 할 것인지 여부를 고려해야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