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 핵심감사사항 Flashcards

1
Q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A
  1. 수행된 감사에 대하여 투명성을 제고함으로써 / 감사보고서의 커뮤니케이션 가치를 향상
  2. 의도된 재무제표 이용자들이 / 감사인의 전문가적 판단에 따라 당기감사에서 가장유의적인 사항을 /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
  3. 의도된 이용자들이 / 기업과 + 감사받은 재무제표에서 / 유의적경영진판단 분야를 / 이해하는데 도움 제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핵심감사사항 선정과정

A
  1. 회사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한 사항 중에서
  2. 유의적 감사인주의를 요구하는 사항들을 선정하고
  3. 당기 재무제표감사에서 가장유의적인 사항들을 핵심감사사항으로 선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유의적감사인주의를 요구한 사항들을 결정할때의 고려사항

A
  1. 중요왜곡표시위험이 더 높게 평가되거나/ 유의적 위험으로 식별된 분야
  2. _추정불확실성_이 높은 것으로 식별된 회계추정치를 포함하여 / _유의적 경영진판단이 수반된 재무제표분야_와 관련되는 / 유의적감사인판단
  3. 보고기간 중 발생한 유의적인 사건이나 거래가 / 감사에 미치는 영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제외 항목

A
  1. 해당 재무보고체계에서 경영진에게 작성하도록 요구하거나 / 또는 공정표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 재무제표공시를 대체
  2. 특정 감사업무 상황에서 요구되는 경우 / 감사인의 변형의견 표명을 대체
  3. 계존유사상과 관련된 / 중요한 불확실성이 있는 경우 / 감사기준서에 따른 보고를 대체
  4. 개별 사항들에 대한 별도의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개별 핵심감사사항 기술

A

+재무제표의 관련 공시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1. 해당사항이 / 감사에서 가장 유의적인 사항 중 하나로 고려되어 /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된 이유
  2. 해당사항이 /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 해당사항에 가장 관련성이 있거나 / 평가된 중요왜곡표시위험에 / 특유한 감사인의 대응 및 접근 방법
  • 수행된 감사절차의 개략적인 개요
  • 감사절차 결과에 대한 암시
  • 해당 사항과 관련된 주요 관찰사항
  • 또는 이런 요소들 중 일부의 집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변형의견 / 계속감사와 관련된 중요한 불확실성

A
  1. 감사기준서에 따라 이 사항에 대하여 보고한다. (별도단락을 구성) - KAM으로 커뮤니케이션 되어서는 안된다.
  2. 핵심감사사항문단에 (변형의견), (중요한 불확실성)에 대하여 언급
    - 우리는 OOO단락에 기술된 사항에 추가하여 아래에 기술된 사항을 이 감사보고서에서 커뮤니케이션 할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우리는 OOO단락에 기술된 사항에 제외하고는 이 감사보고서에서 커뮤니케이션 할 다른 핵심감사사항이 없다고 결정하였습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KAM이 커뮤니케이션 되지 않는 경우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된 사항이 감사보고서에 커뮤니케이션 되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 포함)

A
  1. 커뮤니케이션 할 핵심감사사항이 없다고 결정 한 경우
  2. 감사인이 핵심감사사항을 커뮤니케이션 되지 않을 것이고 /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된 다른 사항은 없다고 결정한 경우
  3. COM한 핵심감사사항이 감사의견에 대하여 변형의견을 초래하는 사항 또는 계존유 사건에서 다루는 사항들 뿐이라고 결정한 경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KAM으로 결정된 사항이 감사보고서에 COM되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

A
  1. 법규에서 해당 사항에 대한 공시를 배제함
  2. 극히 드문 상황에서 / 해당사항을 감사보고서에 커뮤니케이션 함으로써 / 발생 할 수 있는 부정적 결과가 / 그러한 커뮤니케이션의 공익적 효익을 / 훨씬 넘어설 것이라고 / 합리적으로 예상되기 떄문에 / 감사인이 감사보고서에 해당사항을 COM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