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위 소장 질환의 외과적 치료 by prof. 송금종) Flashcards

(60 cards)

1
Q

위의 해부학적 구조에서 Cardia, Fundus, Body, Antrum, Pylorus는 각각 어떤 부위인가?

A

❓ 위의 해부학적 구조에서 Cardia, Fundus, Body, Antrum, Pylorus는 각각 어떤 부위인가?
A.
➡️ Cardia: 식도와 위가 만나는 입구
➡️ Fundus: 공기가 찬 위의 상부
➡️ Body: 위의 중심부, 가장 넓은 부위
➡️ Antrum: 위 하부, G cell 많아 gastrin 분비
➡️ Pylorus: 위의 출구, 십이지장과 연결

📌 요점 정리
- 위는 입구(Cardia)에서 출구(Pylorus)까지 연속적인 구조
- 각 부위는 기능과 수술 시 기준이 다름
- Antrum은 위산 분비 자극과 관련 깊음

🧠 Mnemonic (상상 그림화)
> “카페에서 펀드로 돈 벌고, 바디빌더가 와서, 안트럼에서 식사 후 파일럿이 되어 출발한다!”
> (Cardia → Fundus → Body → Antrum → Pylorus)

🩺 보충 설명
- 해부학 구조는 절제 범위, 림프절 번호, 병기 분류(TN) 등 외과 수술 기준이 됨
- 특히 Antrum은 gastrin 분비 중심 → Antrectomy 수술 핵심 부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내시경 검사에서 위 병변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려면 어떤 기준을 사용해야 하는가?

A

❓ 내시경 검사에서 위 병변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려면 어떤 기준을 사용해야 하는가?
A.
➡️ 상/중/하부 (위의 세로 위치)
➡️ 전벽/후벽 (앞뒤 위치)
➡️ 소만/대만 (작은굽이/큰굽이)

📌 요점 정리
- 위 병변의 위치는 3차원 좌표계처럼 말해야 정확함
- 소만 = 간 방향 / 대만 = 비장 방향

🧠 Mnemonic (일상 유사 연결)
> “건물 층수(상중하), 앞뒤면(전후), 복도 쪽/창가 쪽(소만/대만)처럼 말해라.”

🩺 보충 설명
- 병변 위치 기술이 정확하지 않으면 절제 범위내시경 치료가 달라질 수 있음
- 대만 방향은 혈관 풍부, 림프절 밀집 부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위벽의 해부학적 5층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내강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A

❓ 위벽의 해부학적 5층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내강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A.
➡️ Mucosa → Submucosa → Muscularis propria → Subserosa → Serosa

📌 요점 정리
- 병리적 깊이는 T병기를 나누는 기준
- T1a: Mucosa / T1b: Submucosa / T2: 근육층 / T3~4: 장막 및 장기 침범

🧠 Mnemonic (도치형)
> “암이 어디까지 파고들었는가? 그게 바로 T 병기다.”

🩺 보충 설명
- 내시경 치료 가능 여부(EGC)는 Mucosa/Submucosa 침범 여부에 따라 결정
- 위암 병기 중 가장 중요한 기준: 침윤 깊이 = T병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위로 가는 주요 동맥과 정맥은 무엇이며, 수술 시 어떤 혈관을 고려해야 하는가?

A

❓ 위로 가는 주요 동맥과 정맥은 무엇이며, 수술 시 어떤 혈관을 고려해야 하는가?
A.
➡️ 동맥: Left gastric a., Right gastric a., Right & Left gastroepiploic a., Short gastric a.
➡️ 정맥: 동맥과 유사, 대부분 Portal vein으로 유입

📌 요점 정리
- Short gastric a.전절제 후 남는 유일한 혈관일 수 있음
- 출혈 조절, 절제 범위 판단에 중요

🧠 Mnemonic (상상 그림화)
> “위에 우산처럼 혈관이 펼쳐진다. 중심에 Left gastric, 양 옆에 Gastroepiploic, 위로 Short gastric!”

🩺 보충 설명
- 수술 시 혈관 보존/절제 여부에 따라 합병증 달라짐
- 특히 Gastrectomy 후 혈류 유지에 중요한 포인트: splenic a.와 short gastric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위의 미주신경(Vagus nerve)은 어떤 역할을 하며, 수술 시 어떤 식으로 절단되는가?

A

❓ 위의 미주신경(Vagus nerve)은 어떤 역할을 하며, 수술 시 어떤 식으로 절단되는가?
A.
➡️ Left vagus: 식도 앞 → pyloric branch
➡️ Right vagus: 식도 뒤 → celiac branch
➡️ 수술: Truncal, Selective, Parietal Cell Vagotomy로 분류

📌 요점 정리
- 미주신경은 위산 분비 자극
- 절단 방식에 따라 부작용 정도와 위 기능 유지 수준 달라짐

🧠 Mnemonic (함축 문장 반복법)
> “적게 자를수록 덜 불편하다. 덜 자르면 재발은 많다.”

🩺 보충 설명
- Truncal: 가장 확실하지만 부작용 多 (pyloric stenosis, 담석 등)
- Selective: 간/췌장 분지 보존
- Parietal Cell Vagotomy: 가장 정밀하지만 재발률 ↑
- 각 Vagotomy는 환자 상태에 따라 선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소화성 궤양에서 수술이 필요한 5가지 적응증은 무엇인가?

A

❓ 소화성 궤양에서 수술이 필요한 5가지 적응증은 무엇인가?
A.
➡️ 천공 (Perforation)
➡️ 출혈 (Bleeding)
➡️ 폐쇄 (Obstruction)
➡️ 난치 (Intractability)
➡️ 누공 (Fistula)

📌 요점 정리
- 암기 구절: “천출폐난누”
- 모두 약물치료가 실패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

🧠 Mnemonic (함축 반복형 + 대사형)
> “천출폐난누, 수술밖에 없다.”
> 의사: “이 다섯 가지가 생기면, 더는 기다리지 않는다.”

🩺 보충 설명
- 현대에는 PPI, H. pylori 제균치료가 기본이지만
- 위 다섯 가지 상황에서는 외과적 개입이 표준 치료
- 특히 출혈/천공은 응급 수술로 이어질 수 있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소화성 궤양에서 ‘Perforation’의 의미와 치료 원칙은?

A

❓ 소화성 궤양에서 ‘Perforation’의 의미와 치료 원칙은?
A.
➡️ 궤양이 장벽을 뚫고 복강 내로 위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상태
➡️ 치료: 일차봉합(primary closure) + omentopexy
➡️ 이후 PPI 등 약물 치료 병행

📌 요점 정리
- Perforation은 복막염(pan-peritonitis)의 주요 원인
- 작은 천공은 봉합, 큰 천공은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수도 있음

🧠 Mnemonic (도치형)
> “복막염부터 왔다. 그럼 구멍이 뚫린 거다.”

🩺 보충 설명
- 고령자, NSAID 과용, 술자극 등에서 자주 발생
- 과거엔 절제술 시행, 현재는 보존적 접근 + 봉합술이 주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궤양으로 인한 ‘폐쇄(Obstruction)’는 어떻게 발생하며, 수술이 필요한 이유는?

A

❓ 궤양으로 인한 ‘폐쇄(Obstruction)’는 어떻게 발생하며, 수술이 필요한 이유는?
A.
➡️ 반복된 궤양 → 섬유화(fibrosis) → 유문부(pylorus) 협착
➡️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아 구토, 체중 감소 유발
➡️ 위와 장을 우회하거나 넓혀주는 수술 필요

📌 요점 정리
- Drainage 수술: Pyloroplasty or Gastrojejunostomy
- 보존치료로 해결되지 않으면 외과적 개입

🧠 Mnemonic (상상 그림화)
> “밥이 내려가질 않으면? 길을 다시 내자.”

🩺 보충 설명
- 만성 궤양 합병증으로 서서히 진행
- 수술 시점은 환자의 상태와 음식 섭취 가능 여부에 따라 결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궤양이 약물로도 낫지 않을 때, ‘Intractability’란 어떤 상태를 말하며 수술은 왜 필요한가?

A

❓ 궤양이 약물로도 낫지 않을 때, ‘Intractability’란 어떤 상태를 말하며 수술은 왜 필요한가?
A.
➡️ 약물(PPI, 제균치료)을 8주 이상 해도 궤양 호전이 없는 상태
➡️ 반복 통증 또는 기능적 장애 동반
➡️ Vagotomy or Antrectomy 고려

📌 요점 정리
- 약물치료의 실패 자체가 적응증
- 내과적 접근으로 호전 불가 시 수술 필요

🧠 Mnemonic (대사형)
> 환자: “약을 다 먹었는데도 낫질 않아요…”
> 의사: “그럼, 수술이 필요하겠네요.”

🩺 보충 설명
- 특히 기능 장애(섭취불가, 고통 지속) 있을 경우 적극적인 수술 고려
- 고령이나 기저질환자는 수술보다 보존적 접근 우선 고려 가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소화성 궤양 치료에서 Vagotomy란 무엇이며, 어떤 목적을 가지는가?

A

❓ 소화성 궤양 치료에서 Vagotomy란 무엇이며, 어떤 목적을 가지는가?
A.
➡️ Vagotomy: 미주신경(Vagus n.)을 절단하여 위산 분비를 감소시키는 수술
➡️ 위산 자극 감소 → 궤양 재발 예방
➡️ 종류에 따라 절단 범위와 기능 보존 차이 존재

📌 요점 정리
- Vagotomy는 궤양 치료의 중심 수술
- 위산 조절과 소화 기능 사이의 균형이 핵심

🧠 Mnemonic (함축 반복형)
> “위산을 줄이면, 궤양도 줄어든다.”

🩺 보충 설명
- Vagotomy 단독보다는 Drainage 수술 또는 Antrectomy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Truncal, Selective, Parietal Cell Vagotomy는 각각 무엇이며, 차이점은?

A

❓ Truncal, Selective, Parietal Cell Vagotomy는 각각 무엇이며, 차이점은?
A.
➡️ Truncal: 좌우 미주신경 줄기 전체 절단 – 가장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多
➡️ Selective: 위 분지만 절단 – 간/췌장 신경 보존
➡️ Parietal Cell: 위산 분비세포로 가는 미세분지만 절단 – 정밀하지만 기술 어려움

📌 요점 정리
- 절단 범위 줄일수록 기능 보존 ↑, 재발 ↑
- 부작용: 설사, 담석, 유문 협착 등

🧠 Mnemonic (상상 그림화)
> Truncal은 도끼, Selective는 칼, Parietal은 메스처럼 생각하자.

🩺 보충 설명
- Parietal Cell Vagotomy는 고령자/만성질환자에서 선호
- Truncal은 재발 적지만 소화 기능 저하 동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소화성 궤양에서 Pyloroplasty란 무엇이며, 언제 시행되는가?

A

❓ 소화성 궤양에서 Pyloroplasty란 무엇이며, 언제 시행되는가?
A.
➡️ Pyloroplasty: 유문부(pylorus)를 절개 후 넓혀주는 수술
➡️ 미주신경 절단 시 유문 마비 예방
➡️ 음식물 흐름 개선 → 위 내용물 정체 방지

📌 요점 정리
- Vagotomy와 함께 자주 시행됨
- Heineke-Mikulicz 방식(가로로 자르고 세로로 꿰매기)이 대표적

🧠 Mnemonic (상상 그림화)
> 문이 닫히면? 옆으로 자르고 위아래로 다시 봉합!

🩺 보충 설명
- Vagotomy 단독 시 유문부 협착 위험 높아짐
- 이 수술로 소화기계의 배출 기능을 보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Gastrojejunostomy(GJ)는 어떤 상황에서 시행되며, 목적은 무엇인가?

A

❓ Gastrojejunostomy(GJ)는 어떤 상황에서 시행되며, 목적은 무엇인가?
A.
➡️ 위와 공장(jejunum)을 직접 연결하는 수술
➡️ 유문부 폐쇄나 협착이 있을 때 음식물 우회 목적
➡️ Vagotomy 후 Drainage 대안으로 사용

📌 요점 정리
- 유문부가 좁아 음식물이 통과하지 못할 때 대체 경로 제공
- 위하부 기능을 우회

🧠 Mnemonic (일상 유사 연결)
> “막혔으면 돌아가야지! 위에서 장으로 우회한다.”

🩺 보충 설명
- 오래된 궤양, 협착, 유문 폐쇄 시 주로 사용
- 역류성 위염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 있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Antrectomy란 무엇이며, 어떤 효과와 수술법이 병행되는가?

A

❓ Antrectomy란 무엇이며, 어떤 효과와 수술법이 병행되는가?
A.
➡️ Antrectomy: 위의 Antrum(산분비 자극 부위)을 절제
➡️ Gastrin 분비 감소 → 위산 감소 → 궤양 재발 ↓
➡️ Vagotomy와 병행 시 재발률 가장 낮음

📌 요점 정리
- 위산 분비의 신경 + 호르몬 경로를 모두 차단
- 재건술(Billroth I or II)이 반드시 필요

🧠 Mnemonic (케이스 도치형)
> “재발이 많다면? 뿌리인 G-cell부터 없애야지.”

🩺 보충 설명
- Vagotomy 단독보다 효과 좋지만
- Morbidity ↑ → 젊고 건강한 환자에게 선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Antrectomy 후 시행하는 Billroth I과 Billroth II 수술은 어떻게 다르고,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가?

A

❓ Antrectomy 후 시행하는 Billroth I과 Billroth II 수술은 어떻게 다르고,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가?
A.
➡️ Billroth I: 위와 십이지장(duodenum)을 직접 연결
➡️ Billroth II: 위와 공장(jejunum)을 연결
➡️ I은 해부학적 순서 유지, II는 우회 경로

📌 요점 정리
- Billroth I: 자연스러운 소화 경로, 역류 적음
- Billroth II: 기술 쉬움, 담즙 역류 위험 ↑

🧠 Mnemonic (함축 문장 반복형)
> “일(Ⅰ)은 자연스럽고, 이(Ⅱ)는 우회한다.”

🩺 보충 설명
- 환자의 위 절제 범위, 기능, 재건 필요성에 따라 선택
- Billroth II는 위축성 위염, 담즙 역류 위험 증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궤양이 천공되었을 때 시행하는 기본적인 수술법은 무엇이며, 어떤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가?

A

❓ 궤양이 천공되었을 때 시행하는 기본적인 수술법은 무엇이며, 어떤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가?
A.
➡️ Primary closure: 작은 구멍을 꿰매는 일차봉합술
➡️ Omentopexy: 봉합 위에 대망(omentum)을 덮어 상처 치유 촉진
➡️ 이후 PPI 투여

📌 요점 정리
- 궤양 천공 대부분은 작고 국소적 → 봉합술로 해결
- 대망은 흡수와 보호 역할을 함

🧠 Mnemonic (대사형 + 상상 그림화)
> “작은 구멍은 꿰매고, 이불(omentum) 덮어준다.”

🩺 보충 설명
- NSAID 과복용, 음주 등에서 천공 빈도 ↑
- 위절제까지 가지 않고 보존적 수술로 해결되는 경우 많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GIST(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는 어떤 세포에서 기원하며, 주로 어디에 발생하는가?

A

❓ GIST(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는 어떤 세포에서 기원하며, 주로 어디에 발생하는가?
A.
➡️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에서 기원
➡️ 위장관의 submucosa에 발생
➡️ 발생 부위: 위(40~60%), 소장(30%), 대장(15%)

📌 요점 정리
- SMT 중 가장 흔한 종양
- 장의 운동 조절 세포에서 발생 → 근종과 감별 필요

🧠 Mnemonic (상상 그림화)
> “장운동 조절하는 페이스메이커(ICC)가 이상해지면, GIST가 생긴다!”

🩺 보충 설명
- 위암은 mucosa에서 시작 / GIST는 submucosa
- 육안상 smooth한 덩이로 나타나며, 조직검사로는 감별 어려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GIST의 악성도는 어떤 기준으로 평가되는가?

A

❓ GIST의 악성도는 어떤 기준으로 평가되는가?
A.
➡️ Tumor Size (cm)
➡️ Mitotic count (/50 HPF)
➡️ 둘 다 함께 고려해야 악성도 평가 가능

📌 요점 정리
- NIH consensus 분류
- Size ↑, Mitotic count ↑ → 악성도 ↑

🧠 Mnemonic (함축 문장 반복형)
> “크고 많이 나뉘면, 나쁘다.”

🩺 보충 설명
- Very low / Low / Intermediate / High risk
- High risk GIST = 실질적 암처럼 치료
- 수술 후 재발 위험 판단에 필수 기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GIST 치료의 기본 원칙은 무엇이며, 림프절 절제는 필요한가?

A

❓ GIST 치료의 기본 원칙은 무엇이며, 림프절 절제는 필요한가?
A.
➡️ 원칙: 완전 절제 (R0 resection)
➡️ 림프절 절제는 불필요 (림프절 전이 거의 없음)

📌 요점 정리
- Wedge resection으로 margin-negative 절제
- 수술만으로도 예후 좋음 (low risk일 경우)

🧠 Mnemonic (도치형)
> “림프는 건들지 마. GIST는 혼자 다닌다.”

🩺 보충 설명
- 다른 GI암들과 달리 LN 전이 거의 없음
- GIST는 종양 그 자체만 도려내면 예후 우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GIST에서 수술이 어려운 경우, 어떤 약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목적은?

A

❓ GIST에서 수술이 어려운 경우, 어떤 약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목적은?
A.
➡️ Imatinib (Gleevec) 사용
➡️ Neoadjuvant: 수술 전 종양 크기 줄이기
➡️ Adjuvant: 고위험군에서 수술 후 재발 예방

📌 요점 정리
- Gleevec: tyrosine kinase inhibitor (KIT 유전자 돌연변이 타겟)
- 수술 전후 모두 사용 가능

🧠 Mnemonic (일상 유사 연결)
> “줄여서 자르고, 지켜주기 위해 먹는다.”
> (수술 전엔 줄이기 / 후엔 지키기)

🩺 보충 설명
- c-Kit 양성 GIST에서 효과 극대
- 재발률 높은 high risk GIST는 반드시 보조 치료 필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GIST에서 ‘High risk’에 해당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A

❓ GIST에서 ‘High risk’에 해당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A.
➡️ Tumor size > 5cm and mitotic count > 5/50HPF
➡️ 또는 size > 10cm
➡️ 또는 mitotic count >10 regardless of size

📌 요점 정리
- 하나만 높다고 되는 게 아님!
- 두 기준 중 하나라도 매우 높으면 high risk

🧠 Mnemonic (케이스 도치형)
> “5cm 넘고도 활발히 나뉘면? 그냥 암이다.”

🩺 보충 설명
- 수술만으로는 불충분 → 반드시 Gleevec 보조 요법 고려
- High risk로 분류되면 재발률 매우 높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GIST와 위암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왜 치료 전략이 다른가?

A

❓ GIST와 위암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왜 치료 전략이 다른가?
A.
➡️ GIST: submucosa 기원, 림프절 전이 드묾
➡️ 위암: mucosa 기원, 림프절 전이 多
➡️ GIST는 종양만 절제, 위암은 LN 절제 포함한 광범위 수술

📌 요점 정리
- 기원층, 전이 경로, 수술 범위가 다름
- 치료 원칙 자체가 다르다

🧠 Mnemonic (함축 비교형)
> “GIST는 혼자 크고, 위암은 퍼진다.”

🩺 보충 설명
- 내시경/조직검사상 둘 다 SMT처럼 보일 수 있음
- 치료 계획 전 반드시 면역염색(c-Kit+) 확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위암의 주요 위험인자(medical risk factors)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

❓ 위암의 주요 위험인자(medical risk factors)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A.
➡️ H. pylori 감염
➡️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 위 용종 (특히 선종)
➡️ 위 수술 후 위암 (Billroth II 등에서 담즙 역류 자극)

📌 요점 정리
- H. pylori → 만성 위염 → 위축성 변화 → 암 순서
- 수술 후 위암은 특히 GJ 시행 후 담즙 역류가 원인

🧠 Mnemonic (함축 문장 반복형)
> “염증이 오래되면, 결국 암이 된다.”

🩺 보충 설명
-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은 precancerous lesion으로 간주
- H. pylori 제균치료가 위암 예방에 기여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위암은 병리적 침윤 범위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EGC vs AGC)

A

❓ 위암은 병리적 침윤 범위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EGC vs AGC)
A.
➡️ EGC (Early Gastric Cancer): mucosa 또는 submucosa까지만 침윤 (T1a/T1b)
➡️ AGC (Advanced Gastric Cancer): muscularis propria 이상 침윤 (T2 이상)
➡️ 림프절 전이 유무는 기준 아님!

📌 요점 정리
- 병변의 깊이 = T 병기 기준
- EGC도 림프절 전이 가능함

🧠 Mnemonic (도치형)
> “깊이가 기준이다. 퍼졌는지가 아니라.”

🩺 보충 설명
- EGC는 복강경, 내시경 치료 가능성 있음
- AGC는 대부분 개복 수술 + 림프절 절제술 필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위암의 병리적 T병기(T1~T4b)는 침윤 깊이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 위암의 병리적 T병기(T1~T4b)는 침윤 깊이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A.** ➡️ T1a: mucosa ➡️ T1b: submucosa ➡️ T2: muscularis propria ➡️ T3: subserosa ➡️ T4a: serosa (visceral peritoneum 침범) ➡️ T4b: 인접 장기 침윤 (간, 췌장 등) --- 📌 요점 정리 - **벽의 해부학 층 기준으로 병기 결정** - T4b는 multi-organ resection 고려 --- 🧠 Mnemonic (상상 그림화) > 암이 위벽을 뚫고 뚫고 또 뚫는다… 마지막엔 옆 장기까지 침범 --- 🩺 보충 설명 - T1a~b = EGC, 나머지는 AGC로 취급 - T 병기는 치료 전략과 예후 모두에 영향
26
위암의 N병기(N0~N3b)는 림프절 전이 개수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 위암의 N병기(N0~N3b)는 림프절 전이 개수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A.** ➡️ N0: 0개 ➡️ N1: 1–2개 ➡️ N2: 3–6개 ➡️ N3a: 7–15개 ➡️ N3b: 16개 이상 --- 📌 요점 정리 - **16개 이상 LN 절제**가 병기 설정에 필수 - N3b는 수술적 고위험군 --- 🧠 Mnemonic (반복형) > “1·2·6·15·16! 림프 수가 곧 병기다.” --- 🩺 보충 설명 - 절제한 LN 수가 적으면 **병기 과소평가 가능성 ↑** - 정확한 staging 위해 최소 16개 LN 제거가 가이드라인
27
M 병기(M0/M1)는 무엇을 기준으로 나뉘며, 그 의미는?
❓ M 병기(M0/M1)는 무엇을 기준으로 나뉘며, 그 의미는? **A.** ➡️ M0: 원격 전이 없음 ➡️ M1: 원격 전이 존재 (간, 폐, 복막 등) ➡️ **M1이면 무조건 Stage IV** --- 📌 요점 정리 - 간, 폐, 뼈, 복막 전이 → M1 - 한 군데라도 떨어진 전이가 있으면 **병기 상관없이 stage IV** --- 🧠 Mnemonic (도치형) > “멀리 갔으면, 아무리 얕아도 stage 4다.” --- 🩺 보충 설명 - 간이나 복막 전이는 전이 중에서도 가장 흔함 - 수술보다 항암치료 우선 고려되는 병기
28
위암 병기 결정 시 T/N/M의 조합에서, M1이 존재할 경우 병기는 어떻게 되는가?
❓ 위암 병기 결정 시 T/N/M의 조합에서, M1이 존재할 경우 병기는 어떻게 되는가? **A.** ➡️ M1이면 무조건 **Stage IV** ➡️ T/N 병기와 무관하게 전이 존재가 전체 병기를 결정 --- 📌 요점 정리 - 병기 결정은 M → N → T 순서로 위계적 - Stage IV는 수술보다는 고식적 또는 항암치료 --- 🧠 Mnemonic (함축형) > “전이 하나면, 모든 걸 덮는다. M이 왕이다.” --- 🩺 보충 설명 - 수술은 **증상 완화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시행 - 최근에는 일부 M1에서도 Neoadjuvant chemo 후 R0 시도 연구 있음
29
위암 병기 설정을 위해 수술 시 림프절은 몇 개 이상 제거해야 하는가? 그 이유는?
❓ 위암 병기 설정을 위해 수술 시 림프절은 몇 개 이상 제거해야 하는가? 그 이유는? **A.** ➡️ 최소 16개 이상의 LN 절제 ➡️ 이유: **N3b 병기 설정 기준이 16개 전이이므로** ➡️ 불충분하면 정확한 병기 설정이 어려움 --- 📌 요점 정리 - D2 절제술 기준 = 최소 16개 LN 절제 - 병리과에서 전이 여부 확인 필요 --- 🧠 Mnemonic (일상 유사 연결) > “시험에서 16문제는 풀어야 등급이 나온다. LN도 마찬가지.” --- 🩺 보충 설명 - **LN 수집은 수술 팀의 숙련도와 직결됨** - 절제 수가 적으면 병기 staging이 무의미해질 수 있음
30
위암에서 병변의 위치에 따라 시행하는 절제술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 위암에서 병변의 위치에 따라 시행하는 절제술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A.** ➡️ 위 하부 병변: 원위부(아전) 위절제술 (Distal/Subtotal gastrectomy) ➡️ 위 상부 병변: 근위부 위절제술 (Proximal gastrectomy) ➡️ 광범위 병변: 전위 위절제술 (Total gastrectomy) ➡️ 인접 장기 침윤: 타장기 합병절제술 (Multivisceral resection) --- 📌 요점 정리 - 병소 위치에 따라 **절제 범위가 달라짐** - 절제 후 재건술(Billroth, Roux-en-Y 등) 선택에도 영향 --- 🧠 Mnemonic (상상 그림화) > “아랫문제는 아래만 자르고, 위문제는 위만 자른다. 전면전이면 다 자른다.” --- 🩺 보충 설명 - 정확한 병소 위치는 내시경, CT, EUS로 결정 - 위 상/하부 기준은 **위체부(body)**를 중심으로 나뉨
31
위암에서 EGC와 AGC는 병변으로부터 몇 cm 여유를 두고 절제하는가?
❓ 위암에서 EGC와 AGC는 병변으로부터 몇 cm 여유를 두고 절제하는가? **A.** ➡️ EGC: 병변에서 전후 **2cm 이상** ➡️ AGC: 병변에서 전후 **5cm 이상** --- 📌 요점 정리 - 절제 여유는 **암세포의 잠재적 확산 고려** - AGC는 광범위 침윤 가능성이 커서 여유 확보가 더 필요 --- 🧠 Mnemonic (함축 숫자 반복형) > “조기는 이센치, 진행은 오센치!” --- 🩺 보충 설명 - 절제 후 병리검사에서 **암세포 없는 절단면 (R0)** 확보가 근치적 수술의 핵심 - 수술 전 병기(EUS 등)로 절제 범위 계획 수립
32
위암에서 림프절 절제술은 어떤 수준으로 나뉘며, D2 절제술은 어떤 의미인가?
❓ 위암에서 림프절 절제술은 어떤 수준으로 나뉘며, D2 절제술은 어떤 의미인가? **A.** ➡️ D1: 위 주변 림프절만 절제 (1차 LN) ➡️ D2: **주요 혈관 주위 림프절까지 포함** (2차 LN) ➡️ D3: 췌장 주변까지 확장 절제 --- 📌 요점 정리 - **표준 술식 = D2 림프절 절제술** - D2는 생존율 증가 + 병기 정확도 향상 --- 🧠 Mnemonic (일상 유사 연결) > “집 안 청소가 D1, 골목까지 나가면 D2, 동네 전체는 D3!” --- 🩺 보충 설명 - 일본 외과 기준으로 림프절 번호 구분 (No.1~16) - 학생 수준에서는 **D1/D2 개념과 절제 범위 정도만 숙지**
33
D2 절제술에서 수술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림프절 개수는 몇 개인가?
❓ D2 절제술에서 수술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림프절 개수는 몇 개인가? **A.** ➡️ 최소 **16개 이상의 림프절**을 절제해야 함 ➡️ 이유: N3b 병기 기준이 16개 전이 이상이기 때문 --- 📌 요점 정리 - LN 수 적으면 **정확한 병기 측정 불가능** - D2 절제는 수술 퀄리티를 평가하는 지표 --- 🧠 Mnemonic (반복형) > “병기를 매기려면, 최소한 16개는 가져와야지!” --- 🩺 보충 설명 - 병리과에서 LN 전이 여부 확인 → N 병기 판정 - N3b (16개 이상 전이) 존재 시 **Stage III 이상**
34
D2 림프절 절제술에 포함되지 않는 림프절 번호는? (기출 포인트)
❓ D2 림프절 절제술에 포함되지 않는 림프절 번호는? (기출 포인트) **A.** ➡️ 포함: No. 1, 3, 4d, 5, 6, 7, 8a, 9, 11p, 12a 등 ➡️ 제외: No. 10 (비장문), 12b (심부 간문), 13번 이후 대부분 --- 📌 요점 정리 - **시험 출제: “다음 중 D2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10번은 비장 림프절로 D2에서는 보통 제외 --- 🧠 Mnemonic (도치형) > “비장은 멀다, D2는 거기까진 안 간다.” --- 🩺 보충 설명 - **비장 주변이나 췌장 주변 림프절**은 Extended resection (D3급)에서 고려 - D2는 위암 수술에서 가장 표준적인 절제 수준
35
위암에서 ‘근치적 위절제술(curative resection)’이란 무엇이며, 성립 조건은?
❓ 위암에서 ‘근치적 위절제술(curative resection)’이란 무엇이며, 성립 조건은? **A.** ➡️ 완치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위암 수술 ➡️ 5가지 조건 충족 시 ‘근치적’으로 간주: ① M0 (원격 전이 없음) ② 주위 장기 침윤 無 or resectable ③ 육안적 잔류암 없음 ④ D2 이상 림프절 절제 ⑤ 절단면(R0)에 암세포 없음 --- 📌 요점 정리 - 조건 중 하나라도 불충족 시 → 고식적(palliative) 수술 --- 🧠 Mnemonic (함축 반복형) > “M0, D2, R0 – 전이 없고, 다 자르고, 깨끗해야 한다.” --- 🩺 보충 설명 - 근치적 수술은 예후 가장 좋은 치료법 - 병리보고서에서 R0 / R1 여부 반드시 확인
36
고식적 위절제술(palliative resection)은 언제 시행하며, 목적은 무엇인가?
❓ 고식적 위절제술(palliative resection)은 언제 시행하며, 목적은 무엇인가? **A.** ➡️ 암의 완치가 어려운 경우 (예: M1, 잔류암 존재 등) ➡️ 목적: 증상 완화 (출혈, 폐쇄, 통증 등) ➡️ 생존율 증가보다는 **삶의 질 개선** --- 📌 요점 정리 - 고식적 수술은 **출혈·폐쇄·섭취 불능** 시 적용 - Stage IV 등에서 선택적 --- 🧠 Mnemonic (대사형) > “완치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밥은 먹을 수 있게 해드리죠.” --- 🩺 보충 설명 - **감압 수술(bypass)** 또는 **부분 절제** 등 다양 - 일부 환자에서 **감염 예방·영양 공급 목적**
37
위암 수술 후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재건술식은 무엇이며, 어떤 방식인가?
❓ 위암 수술 후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재건술식은 무엇이며, 어떤 방식인가? **A.** ➡️ **Roux-en-Y anastomosis** ➡️ Total gastrectomy 후 식도와 jejunum을 연결 ➡️ 음식물 경로와 담즙/소화효소 경로를 분리 --- 📌 요점 정리 - 담즙 역류 방지 + 흡수 효율 유지 - 위를 완전히 절제한 후 표준 연결법 --- 🧠 Mnemonic (상상 그림화) > “길이 두 개로 갈라진다. 음식은 하나로, 소화액은 옆길로.” --- 🩺 보충 설명 - Roux limb은 음식물 통로 - biliopancreatic limb은 담즙/췌장액 통로 - **역류성 식도염 방지 효과 ↑**
38
아전 위절제 후 시행되는 Billroth I과 II 수술의 차이는?
❓ 아전 위절제 후 시행되는 Billroth I과 II 수술의 차이는? **A.** ➡️ **Billroth I**: 위와 십이지장 연결 → 해부학적 순서 유지 ➡️ **Billroth II**: 위와 공장 연결 → 우회 경로 ➡️ II는 담즙 역류 위험 ↑, 기술적으론 더 쉬움 --- 📌 요점 정리 - Billroth I: 자연스럽지만 기술 어렵고 위험 ↑ - Billroth II: 우회지만 안정적 --- 🧠 Mnemonic (반복형) > “일은 자연스럽고, 이는 우회한다.” --- 🩺 보충 설명 - 환자 상태, 병소 위치, 잔여 위 크기에 따라 결정 - Billroth II는 **dumping syndrome**이나 **담즙 역류** 주의
39
Proximal gastrectomy 후 시행되는 재건술식 중 ‘Jejunal Interposition’이란?
❓ Proximal gastrectomy 후 시행되는 재건술식 중 ‘Jejunal Interposition’이란? **A.** ➡️ 위 상부만 절제한 후 ➡️ 식도와 남은 위 사이에 **jejunum 한 부분을 중간 삽입** ➡️ 위산 역류 최소화 --- 📌 요점 정리 - 위 기능 보존 + 역류 방지 목적 - 위 일부 보존 시 시행 가능 --- 🧠 Mnemonic (그림화) > “길이 짧으면 중간에 다리 하나 놓는다. 그것이 jejunal interposition.” --- 🩺 보충 설명 - 기능적 위 보존을 중시하는 수술법 - **위상부 암이지만 전체 절제까지는 필요 없는 경우** 적용
40
위 절제 후 재건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며, 수술 방식 선택 시 고려 요소는?
❓ 위 절제 후 재건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며, 수술 방식 선택 시 고려 요소는? **A.** ➡️ 재건술은 음식물 통로 재구성 + 역류·흡수 기능 회복 목적 ➡️ 고려 요소: - 절제 범위 (total vs partial) - 환자의 영양 상태 - 담즙 역류 위험성 - 수술 난이도 및 합병증 발생 가능성 --- 📌 요점 정리 - 재건술은 수술의 **두 번째 절반** - 생존률보다는 **삶의 질과 기능 유지**에 영향 --- 🧠 Mnemonic (함축 문장 반복형) > “암을 잘라도, 연결을 못 하면 소용없다.” --- 🩺 보충 설명 - 위암 치료는 **절제술 + 재건술 = 한 세트** - 재건 실패 시 **영양실조, 역류, 구토, 삶의 질 저하** 발생
41
위암 치료에서 Neoadjuvant, Adjuvant, Palliative의 의미는 각각 무엇인가?
❓ 위암 치료에서 Neoadjuvant, Adjuvant, Palliative의 의미는 각각 무엇인가? **A.** ➡️ **Neoadjuvant**: 수술 전 항암치료 → 종양 크기 축소 ➡️ **Adjuvant**: 수술 후 보조 항암치료 → 재발 방지 ➡️ **Palliative**: 완치 목적이 아닌 증상 완화 치료 (Stage IV 등) --- 📌 요점 정리 - 수술을 중심으로 전(neo), 후(adjuvant), 불가능할 때(palliative)로 구분 --- 🧠 Mnemonic (도치형) > “자를 수 있으면 자르고, 줄여서 자르고, 못 자르면 견딘다.” --- 🩺 보충 설명 - 환자 병기에 따라 치료 순서와 방식이 달라짐 - Neoadjuvant는 최근 확대되는 추세 (locally advanced에서 효과↑)
42
위암 병기(Stage)별 치료 전략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 위암 병기(Stage)별 치료 전략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A.** ➡️ Stage I: 수술 단독 (내시경 or 복강경 절제) ➡️ Stage II~III: 수술 + Adjuvant chemo (S-1, XELOX) ➡️ Stage IIIb 이상 or locally advanced: Neoadjuvant + 수술 + Adjuvant ➡️ Stage IV: 항암 or Palliative 수술 (완치 목적 아님) --- 📌 요점 정리 - 병기 높을수록 **항암치료 병행** 비중 ↑ - M1 = Stage IV = 고식적 접근 --- 🧠 Mnemonic (반복형) > “1은 수술, 2부터는 항암, 4는 못 자름.” --- 🩺 보충 설명 - 한국 위암 가이드라인 2022 기준 - Stage III 이상은 perioperative chemotherapy가 생존율 ↑
43
고식적 수술(Palliative surgery)은 어떤 경우에 시행되며, 목적은 무엇인가?
❓ 고식적 수술(Palliative surgery)은 어떤 경우에 시행되며, 목적은 무엇인가? **A.** ➡️ 위암으로 인한 폐쇄, 출혈, 통증 등이 있을 때 ➡️ 목적: 증상 완화 및 삶의 질 향상 ➡️ 생존율 상승은 제한적 --- 📌 요점 정리 - 환자의 전신상태(PS) 고려 후 결정 - 예: Gastrojejunostomy, 감압술 등 --- 🧠 Mnemonic (대사형) > “암을 없애진 못하지만, 밥은 먹게 해드리겠습니다.” --- 🩺 보충 설명 - 항암치료도 병행되며, 일부는 재수술 기회 만들기 위한 'Bridge' 역할 - 복막 전이나 다발성 간전이 시에도 간헐적 적용
44
위암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하는 항암치료는 무엇인가?
❓ 위암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하는 항암치료는 무엇인가? **A.** ➡️ Adjuvant chemotherapy ➡️ 대표 약제: **S-1 (oral fluoropyrimidine)**, **Capecitabine + Oxaliplatin (XELOX)** ➡️ 보통 수술 후 6개월간 진행 --- 📌 요점 정리 - T3 이상, N1 이상 → 항암치료 필수 - 재발률 및 원격 전이 위험 감소 --- 🧠 Mnemonic (일상 연결) > “다 자르고도 불안하면, 약으로 덮는다.” --- 🩺 보충 설명 - S-1은 동양인에 특히 잘 맞음 (서양은 XELOX 선호) - 환자 나이, PS, 부작용 고려하여 약제 선택
45
위암 재발 시 치료 전략은 어떻게 결정되며, 평균 생존율은 어떻게 되는가?
❓ 위암 재발 시 치료 전략은 어떻게 결정되며, 평균 생존율은 어떻게 되는가? **A.** ➡️ 치료 전략: - R0 수술 가능 → 재수술 - 불가 → 항암치료 ± BSC ➡️ 평균 생존율: - R0 수술: 16개월 - 항암: 8개월 - 불완전 수술: 6개월 - 무치료: 5.2개월 --- 📌 요점 정리 - 재발암은 치료 목표가 **완치 → 연명·완화**로 전환 - R0 가능 시에도 예후는 제한적 --- 🧠 Mnemonic (도치형) > “다시 잘라도 16개월, 못 자르면 8개월.” --- 🩺 보충 설명 - 재발 위치: 복막 > 주변부 > 간 - 일부 환자에서 표적치료 or 면역치료 임상 시도됨
46
장폐색증(Intestinal obstruction)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엇이며, 분류 기준은?
❓ 장폐색증(Intestinal obstruction)의 가장 흔한 원인은 무엇이며, 분류 기준은? **A.** ➡️ 가장 흔한 원인: **Adhesion (수술 후 유착)** ➡️ 분류 기준: - **기계적 폐색**: 구조적으로 막힘 - **마비성(기능적) 폐색**: 장운동 저하로 정체 --- 📌 요점 정리 - Adhesion: 전체 장폐색의 60% 이상 - 기능적 폐색은 마취, 약물, 전해질 이상 등이 원인 --- 🧠 Mnemonic (반복형) > “막히면 기계적, 안 움직이면 기능적!” --- 🩺 보충 설명 - **탈장, 종양, 장중첩, volvulus 등도 기계적 폐색의 원인** - 원인에 따라 치료 방향 완전히 다름
47
장폐색의 전형적인 증상과 진단 소견은 무엇인가?
❓ 장폐색의 전형적인 증상과 진단 소견은 무엇인가? **A.** ➡️ 증상: 복부 팽만, 구토, 복통, 변·가스 안 나옴 ➡️ X-ray: Step-ladder sign (수평적 가스-액체 층) ➡️ CT: 폐색 위치, 원인, strangulation 여부 평가 --- 📌 요점 정리 - **기본 검사 = 단순복부촬영**, **정밀검사 = 복부 CT** - **복통 + 팽만 + 변 정지** = 폐색 의심 --- 🧠 Mnemonic (도치형) > “가스도 안 나와요… 그럼 막힌 거야.” --- 🩺 보충 설명 - **CT에서 closed loop, 혈류저하 소견**은 수술 적응증 - 심한 경우 **장 괴사 또는 복막염**으로 진행
48
장폐색의 기본 치료는 무엇이며, 어떤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가?
❓ 장폐색의 기본 치료는 무엇이며, 어떤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가? **A.** ➡️ 보존적 치료(원칙): 금식, 수액, L-tube 삽입, 전해질 보충 ➡️ 수술 적응증: ① 폐색 지속 (48~72시간 이상) ② 고열·백혈구 증가 등 **Strangulation 징후** ③ 폐색 완전, 복통 지속, 쇼크 증상 --- 📌 요점 정리 - **Strangulation = 응급 수술!** - 대부분은 L-tube + 수액 치료로 호전 --- 🧠 Mnemonic (일상 연결) > “기다릴 수 있을 땐 기다리고, 썩을 땐 잘라라.” --- 🩺 보충 설명 - Strangulation 징후: 고정된 통증, 열, leukocytosis, lactate 상승 등 - 복막염 소견 동반되면 지체 없이 수술
49
Strangulation(교액)의 의심 소견은 무엇이며, 왜 위험한가?
❓ Strangulation(교액)의 의심 소견은 무엇이며, 왜 위험한가? **A.** ➡️ 소견: - **지속적 복통**, **고열**, **백혈구 상승**, **빈맥** - CT: 폐색 루프의 부종, 혈류 감소, 장벽 비후 ➡️ 위험성: 장 괴사 → 복막염 → 패혈증 --- 📌 요점 정리 - 교액은 단순 폐색과 다르게 **혈류 차단** 동반 - 골든타임 내 수술하지 않으면 사망률 ↑ --- 🧠 Mnemonic (도치형) > “끊긴 장은 죽는다. 그러니 살릴 시간도 짧다.” --- 🩺 보충 설명 - 폐색 상태에서 장이 비틀리거나 혈관 눌리면 발생 - **Strangulated obstruction = 응급 개복수술 대상**
50
Meckel's diverticulum이란 무엇이며, 발생 원인은?
❓ Meckel's diverticulum이란 무엇이며, 발생 원인은? **A.** ➡️ 태생기 **요막관(vitelline duct)**의 잔존물 ➡️ 소장의 항강막측(anti-mesenteric border)에 생긴 선천성 게실 ➡️ 전체 인구의 약 2% 존재 --- 📌 요점 정리 - 가장 흔한 선천성 소장 기형 - 위치: **IC valve에서 100cm 이내** --- 🧠 Mnemonic (숫자 반복형) > “2의 법칙: 2%, 2세, 2인치, 2피트, 2조직” --- 🩺 보충 설명 - 대개 무증상이지만, 증상 있을 경우 **출혈, 폐색, 염증** 등이 발생 - anti-mesenteric 쪽에서 돌출되므로 수술 중 관찰 가능
51
Meckel's diverticulum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Meckel's diverticulum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A.** ➡️ 이소성 위 점막이 **산 분비** ➡️ 인접 소장 점막에 궤양 → 출혈 유발 ➡️ 특히 **소아 하혈의 흔한 원인** --- 📌 요점 정리 - 이소성 조직: **위 점막 > 췌장 조직** - 성인보다 소아에서 출혈 증상 두드러짐 --- 🧠 Mnemonic (상상 그림화) > “작은 주머니에서 위산이 새서, 장을 지지직 태운다.” --- 🩺 보충 설명 - 반복적 출혈 → 빈혈 / 흑색변 / 혈변 - 혈액검사에서 철결핍성 빈혈이 있을 수도
52
Meckel's diverticulum의 진단 방법은 무엇이며, 가장 특이적인 검사는?
❓ Meckel's diverticulum의 진단 방법은 무엇이며, 가장 특이적인 검사는? **A.** ➡️ **Tc-99m pertechnetate scan** (소아에서 민감도 ↑) ➡️ 위 점막의 산세포에 흡수되어 시각화 ➡️ 그 외: 바륨 조영술, 혈관조영술 (출혈 시) --- 📌 요점 정리 - 소아 출혈 시 **1차 진단 검사로 Tc-99m** - 췌장 이소성 조직엔 반응 X --- 🧠 Mnemonic (일상 연결) > “위점막이 남은 곳엔 방사선이 몰린다!” --- 🩺 보충 설명 - 성인에서는 진단율 낮아 **CT나 내시경 병행 필요** - Tc-99m은 **위 점막에만 선택적으로 작용**
53
Meckel's diverticulum의 치료 기준은 무엇이며, 우연히 발견되었을 때의 처치는?
❓ Meckel's diverticulum의 치료 기준은 무엇이며, 우연히 발견되었을 때의 처치는? **A.** ➡️ 증상 발생 시: **수술(절제)** = diverticulectomy or segmental resection ➡️ 우연히 발견된 경우: - **소아** → 예방적 절제 권장 - **성인** → 절제 여부 논란 (최근에는 절제 경향↑) --- 📌 요점 정리 - 출혈, 폐색, 염증, 천공 시 반드시 수술 - 절제 여부는 **연령, 건강 상태, 게실 모양**에 따라 다름 --- 🧠 Mnemonic (도치형) > “조용할 땐 지켜보지만, 소란스러우면 자른다.” --- 🩺 보충 설명 - 증상 있는 Meckel’s는 절제 외 대안 없음 - 크거나 넓은 base일 경우 **segmental resection** 선호
54
Enterocutaneous fistula(ECF)의 정의와 주요 원인은?
❓ Enterocutaneous fistula(ECF)의 정의와 주요 원인은? **A.** ➡️ 소장 등 장기와 **피부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 장 내용물이 **피부로 48시간 이상 누출**되는 상태 ➡️ 주요 원인: 수술 후 합병증 > 크론병 > 농양/감염/암/방사선 --- 📌 요점 정리 - 가장 흔한 원인: **복부 수술 후 장 절개선 누출** - 크론병, 방사선손상, 농양 등도 주요 원인 --- 🧠 Mnemonic (대사형) > “장이 새서, 밖으로 흐른다고요…?” --- 🩺 보충 설명 - 대부분은 소장(fistula output ↑)에서 발생 - 고출량일수록 수분·전해질 손실 커지고 자발적 폐쇄 어려움
55
장피누공(ECF)의 분류 기준은 무엇이며, high output fistula란?
❓ 장피누공(ECF)의 분류 기준은 무엇이며, high output fistula란? **A.** ➡️ 분류 기준 1: **해부학적 위치** (소장, 대장 등) ➡️ 분류 기준 2: **출력량** - Low: < 200 mL/day - Moderate: 200–500 mL/day - High: > 500 mL/day (→ 주로 공장에서 발생) --- 📌 요점 정리 - High output일수록 **수액·전해질 손실↑**, 자발 폐쇄↓ - 위치 + 출력량이 치료 결정에 중요 --- 🧠 Mnemonic (도치형) > “많이 새면, 더 위험하고 더 안 막힌다.” --- 🩺 보충 설명 - 고출량인 경우 TPN 고려 - 수액 보충 + 감염 예방이 초기 치료 핵심
56
장피누공의 자연폐쇄를 방해하는 6가지 요인은 무엇인가?
❓ 장피누공의 자연폐쇄를 방해하는 6가지 요인은 무엇인가? **A.** ➡️ F.R.I.E.N.D - **F**: Foreign body (이물질) - **R**: Radiation (방사선 손상) - **I**: Infection/Inflammation (염증) - **E**: Epithelialization (누공 상피화) - **N**: Neoplasm (암) - **D**: Distal obstruction (말단부 폐쇄) --- 📌 요점 정리 - 하나라도 존재 시 자발폐쇄 어려움 → 수술 고려 - 외과 시험 단골 암기법! --- 🧠 Mnemonic (반복형) > “친구(FRIEND)가 많으면, 누공은 닫히지 않는다.” --- 🩺 보충 설명 - 가장 흔한 방해 요인: 이물질, 염증, 폐쇄 - Stricture, 크론병, 수술용 실 등도 포함됨
57
장피누공(ECF)의 치료 원칙은 무엇이며, 수술은 언제 고려하는가?
❓ 장피누공(ECF)의 치료 원칙은 무엇이며, 수술은 언제 고려하는가? **A.** ➡️ 초기: 보존적 치료 - 금식, 수액 보충, 감염 조절, 영양(TPN), 피부 보호 ➡️ 수술 적응증: - **FRIEND 요인 존재** - 4~6주 이상 자발 폐쇄 실패 - 폐색, 누공 상피화, 악성 등 기질성 원인 --- 📌 요점 정리 - 치료 순서: 안정화 → 자연폐쇄 유도 → 실패 시 수술 - 고출량, 감염, 폐쇄는 적극적 개입 필요 --- 🧠 Mnemonic (일상 연결) > “기다려 보되, 조건이 나쁘면 자른다.” --- 🩺 보충 설명 - TPN 유지하며 회복 기다리는 것이 1차 전략 - 수술은 염증 가라앉은 뒤 안전하게 시행
58
상장간막동맥 증후군(SMA syndrome)은 어떤 구조적 문제로 발생하는가?
❓ 상장간막동맥 증후군(SMA syndrome)은 어떤 구조적 문제로 발생하는가? **A.** ➡️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가 ➡️ **복부 대동맥과 제3십이지장(duodenum 3rd portion)** 사이에서 ➡️ 제3십이지장을 전방에서 눌러 폐색을 유발 --- 📌 요점 정리 - **기계적 폐색**이지만 원인은 체중감소 - **aortomesenteric angle**이 좁아짐 --- 🧠 Mnemonic (상상 그림화) > “터널을 지나던 장이, 갑자기 다리(SMA)에 눌렸다!” --- 🩺 보충 설명 - 원래는 지방이 공간을 유지함 → 체중 감소 시 공간 소실 - 젊고 마른 여성, 척추 보조기 착용자 등에서 호발
59
SMA syndrome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이며, 어떤 환자에서 의심해야 하는가?
❓ SMA syndrome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이며, 어떤 환자에서 의심해야 하는가? **A.** ➡️ 증상: - 식후 복통 - 구토 - 복부 팽만 - 체중 감소 ➡️ 의심 환자: - **급격한 체중 감소** - **깡마른 체형**, **척추 기형 보조기 착용 환자** --- 📌 요점 정리 - **먹을수록 아픈 병**, 음식 섭취 자체가 증상 유발 - 악순환 반복: 통증 → 식욕저하 → 체중감소 → 증상 악화 --- 🧠 Mnemonic (도치형) > “밥을 먹을수록 더 아프다… 그럼 SMA를 의심해야지.” --- 🩺 보충 설명 - 내시경상 제3십이지장 폐색 관찰 가능 - 중년 여성, 거식증, 만성질환자에서도 가능성 있음
60
SMA syndrome의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며, 수술은 언제 시행하는가?
❓ SMA syndrome의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며, 수술은 언제 시행하는가? **A.** ➡️ 1차: **보존적 치료** - 체중 회복, 고열량 식이, 자세 조절(엎드리기 등) ➡️ 2차: 수술 (보존 치료 실패 시) - **Duodenojejunostomy** - 또는 Strong's procedure (Treitz 인대 절개) --- 📌 요점 정리 - 먼저 **체중 회복 유도**가 핵심 - 수술은 우회로 만들어 증상 해결 --- 🧠 Mnemonic (그림화 + 대사형) > “터널이 막혔으면, 길을 새로 뚫는 수밖에요. 그게 jejunostomy입니다.” --- 🩺 보충 설명 - 대부분은 체중 증가와 자세 교정만으로도 호전 - 수술 시 jejunum과 십이지장을 바로 연결하여 폐색 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