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덴탈의 수학화 및 현실적 수학교육 Flashcards

(15 cards)

0
Q

수평적 수학화?

A

문제를 수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것

실생활의 세계에서 기호의 세계로 옮겨가는 과정

관찰, 실험, 귀납, 유추 등을 통해 현실 상황을 수학적 수단으로 조직하는 단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
Q

프로이덴탈 키워드

A

수평적 수학화

수직적 수학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수직적 수학화?

A

수학적 처리를 더욱 세련되게 하는것

수학적 기호를 사용한 수학적 경험이 축적됨으로 인해 수학 자체가 세련되고, 형식화, 기호화되는 수학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수학화의 예

A

아무렇게나 흩어진 구슬의 개수를 세는 문제가 있을때

구슬을 직사각형으로 배열하거나 몇개씩 묶는 것: 수평적 수학화

배열이나 묶음을 보고 덧셈이나 곱셈으로 나타내는 것: 수직적 수학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현실적 수학교육에서 말하는 현실적이란?

A

학생들이 그 상황을 상상하고, 자신의 아이디어, 경험, 환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

현실세계와의 연결성+아동들의 마음속에서 무엇인가 그려내거나 상상할 수 있는 문제 상황 제시하는 것 강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현실적 수학교육의 예

A
  1. 다양한 실생활의 예

2. 상상을 불러일으키고 감정 이입이 가능한 문맥, 이야기 사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수학화 교수-학습의 원리

3개

A

안내된 재발명
반성적 사고
현실과 결부된 수학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안내된 재발명?

A

수학화 교수학습의 원리

교사의 안내하에 학생들이 수학자가 이론을 만드는 과정을 경험해보는 것

교사: 가상적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르치고 학생들의 반응을 생닥하며 대응 방안을 준비하는 사고 실험 할 것을 제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반성적 사고?

A

수학화 교수 학습의 원리

현상=>본질로 조직되는 수준 상승의 원동력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의식화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사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현실과 결부된 수학?

A

수학화 교수학습의 원리

수업의 시작을 현실적 소재를 가지고 시작하며 이 소재로부터 개념을 추출하고 반성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수평적 , 수직적 수학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수학화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A

현실세계 => 수평적 수학화 => 개념추출-반성 => 수직적 수학화 => 추상화-형식화 => 응용적 수학화 => 현실에의 응용 => 피드백 => 현실세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프로이덴탈의 증명 교수-학습론

A

기하영역에서 수학화는

  1. 주변현상을 도형이라는 본질로 조직
  2. 도형의 성질 발견
  3. 국소적 조직화: 정의/증명하기
  4. 전체적 조직화: 공리화
  5. 존재론적 결합 끊기

반힐과 비슷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증명교수학습론

주변현상을 도형이라는 본질로 조직

A

주변의 여러 현상을 관찰하여 공통점 발견하게 한다
공통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게 한다
그런 도형을 (평행사변형) 이라고 부르도록 안내한다

주의: ‘정의’를 지도해서는 안되며 ‘정의하기’를 지도해야 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증명 교수학습론

도형의 성질 발견

A

평행사변형으로 책상위를 덮는 활동 하기

평행사변형의 성질 발견하기

  1. 대변의 길이가 같다
  2. 대각의 크기가 같다
  3. 두 쌍의 대변이 평행이다 …

1.2.3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

연역 증명의 필요성 생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증명 교수학습론

국소적 조직화:정의하기 증명하기

A

평행사변형의 성질 1.2.3. 이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조직하기 위해 1.2.3. 중에서 어느 하나를 다른 것들을 이끌어내는 기본 성질로 설정하는 것
기본 성질로 설정하기: 정의하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