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모음의 발음 Flashcards
금괴
[금괴/금궤]
‘ㅚ, ㅟ’는 단모음으로 분류되지만,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즉 표준 발음이 두 개다.
계산
[계:산 / 게: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다쳐
[다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굳혀
[구처]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통계
[통:계/통:게]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희망
[히망]
자음 + ㅢ → [ㅣ]
협의
[혀븨/혀비]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가져
[가저]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돋쳐
[돋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몌별
[몌별/메별]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다져
[다저]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하늬바람
[하니바람]
잊혀
[이처]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계집
[계:집/게:집]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차례
[차례]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폐단
[폐:단/페:단]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닁큼
[닝큼]
자음 + ㅢ → [ㅣ]
우리의
[우리의/우리에]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붙여
[부처]
받침 ㄷ, ㅌ(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ㅌ]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최근
[최:근/췌:근]
‘ㅚ, ㅟ’는 단모음으로 분류되지만,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즉 표준 발음이 두 개다.
오늬
[오니]
자음 + ㅢ → [ㅣ]
바쳐
[바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유희
[유히]
자음 + ㅢ → [ㅣ]
주의
[주의 / 주이]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