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모음의 발음 Flashcards

1
Q

금괴

A

[금괴/금궤]

‘ㅚ, ㅟ’는 단모음으로 분류되지만,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즉 표준 발음이 두 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계산

A

[계:산 / 게: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다쳐

A

[다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굳혀

A

[구처]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통계

A

[통:계/통:게]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희망

A

[히망]

자음 + ㅢ → [ㅣ]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협의

A

[혀븨/혀비]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가져

A

[가저]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돋쳐

A

[돋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몌별

A

[몌별/메별]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다져

A

[다저]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하늬바람

A

[하니바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잊혀

A

[이처]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계집

A

[계:집/게:집]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차례

A

[차례]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폐단

A

[폐:단/페:단]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닁큼

A

[닝큼]

자음 + ㅢ → [ㅣ]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우리의

A

[우리의/우리에]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붙여

A

[부처]

받침 ㄷ, ㅌ(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ㅌ]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20
Q

최근

A

[최:근/췌:근]

‘ㅚ, ㅟ’는 단모음으로 분류되지만,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즉 표준 발음이 두 개다.

21
Q

오늬

A

[오니]

자음 + ㅢ → [ㅣ]

22
Q

바쳐

A

[바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23
Q

유희

A

[유히]

자음 + ㅢ → [ㅣ]

24
Q

주의

A

[주의 / 주이]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25
보늬
[보니] ## Footnote 자음 + ㅢ → [ㅣ]
26
[쩌] ## Footnote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27
희어
[히어/히여] ## Footnote 자음 + ㅢ → [ㅣ] '희어'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28
씌어
[씨어/씨여] ## Footnote 자음 + ㅢ → [ㅣ] '씌어'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29
기예
[기예] ## Footnote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30
계시다
[계:시다/게:시다] ## Footnote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31
강의의
[강:의의/강:이에]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32
참외
[차뫼/차뭬]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33
민주주의
[민주주의/민주주이]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34
띄어쓰기
[띠어쓰기, 띠여쓰기] ## Footnote 자음 + ㅢ → [ㅣ] '띄어'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35
연계
[연계 / 연게] ## Footnote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36
틔어
[티어/티여] ## Footnote 자음 + ㅢ → [ㅣ] '틔어'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37
살쪄
[살쩌] ## Footnote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38
귀띔
[귀띰] ## Footnote 자음 + ㅢ → [ㅣ]
39
무늬
[무니] ## Footnote 자음 + ㅢ → [ㅣ]
40
희떱다
[히떱따] ## Footnote 자음 + ㅢ → [ㅣ]
41
개폐
[개폐 / 개페] ## Footnote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42
지혜
[지혜/지헤] ## Footnote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43
시계
[시계/시게] ## Footnote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 몌, 폐, 혜' 등은 [ㅖ]와 [ㅔ]의 발음을 모두 허용한다.
44
민주주의의 의의
[민주주의의 의:의/민주주이에 의:이]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45
늴리리
[닐리리] ## Footnote 자음 + ㅢ → [ㅣ]
46
의사
[의사]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47
혜택
[혜:택 / 헤:택]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