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받침의 발음 (2) Flashcards
(84 cards)
겉옷
[거돋]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있다
[읻따]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쫓아
[쪼차]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치읓이
[치으시]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늙지
[늑찌]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밥 한 사발
[바판사발]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좋던
[조:턴]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젊어
[절머]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전화
[전: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꽃 한 송이
[꼬탄송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놓고
[노코]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삶에
[살: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훑이다
[훌치다]
받침 ㄷ, ㅌ(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ㅌ]
덮다
[덥따]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치읓에
[치으세]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쌓이다
[싸이다]
ㅎ(ㄶ, ㅀ)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묽고
[물꼬]
ㄺ → [ㄱ]
- 다만,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발음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꽃을
[꼬츨]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티읕을
[티으슬]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밭에
[바테]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밟다
[밥: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늪 앞
[느밥]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핥아
[할타]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실학
[실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