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소리의 동화 (1) Flashcards
담력
[담:녁]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굳히다
[구치다]
ㄷ + 접미사 ‘-히’ → 티[치]
젖멍울
[전멍울]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틔어
[티어 / 티여]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자음 + ㅢ → [ㅣ]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항로
[항:노]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권력
[궐력]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기쁘다
[기쁘다]
먹는
[멍는]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흙 말리다
[흥말리다]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붙는
[분는]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으스대다
[으스대다]
꽃말
[꼰말]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감기
[감: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놓는
[논는]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백 리
[뱅니]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꽃망울
[꼰망울]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밟는
[밤: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앓는
[알른]
ㅎ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밭은
[바튼]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값 매다
[감매다]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광한루
[광:할루]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있는
[인는]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미닫이
[미:다지]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맡기다
[맏끼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