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소리의 동화 (1) Flashcards

1
Q

담력

A

[담:녁]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굳히다

A

[구치다]

ㄷ + 접미사 ‘-히’ → 티[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젖멍울

A

[전멍울]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틔어

A

[티어 / 티여]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자음 + ㅢ → [ㅣ]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항로

A

[항:노]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권력

A

[궐력]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기쁘다

A

[기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먹는

A

[멍는]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흙 말리다

A

[흥말리다]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붙는

A

[분는]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으스대다

A

[으스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꽃말

A

[꼰말]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감기

A

[감: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놓는

A

[논는]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백 리

A

[뱅니]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꽃망울

A

[꼰망울]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밟는

A

[밤: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앓는

A

[알른]

ㅎ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밭은

A

[바튼]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값 매다

A

[감매다]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광한루

A

[광:할루]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있는

A

[인는]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23
Q

미닫이

A

[미:다지]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24
Q

맡기다

A

[맏끼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5
밭이다
[바치다] ## Footnote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26
흙만
[흥만] ## Footnote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27
곧이듣다
[고지듣따] ## Footnote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8
의견란
[의:견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29
밭이
[바치] ## Footnote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30
맞는
[만는]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1
대통령
[대:통녕]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32
막론
[망논] ## Footnote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3
이원론
[이:원논]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34
난로
[날:로]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35
깎는
[깡는]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6
피어
[피어 / 피여]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37
할는지
[할른지] ## Footnote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38
굳이
[구지] ## Footnote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39
신라
[실라] ## Footnote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0
있고
[읻꼬]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1
옷감
[옫깜]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2
벼훑이
[벼훌치] ## Footnote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43
긁는
[긍는] ## Footnote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44
핥네
[할레] ## Footnote ㄼ, ㄽ, ㄾ → [ㄹ]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5
꽃길
[꼳낄]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6
옷맵시
[온맵씨]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7
대관령
[대:괄령]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8
석류
[성뉴] ## Footnote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49
공권력
[공꿘녁] ## Footnote 사잇소리: 합성어에서,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50
씌어
[씨어 / 씨여]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자음 + ㅢ → [ㅣ]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51
홑이불
[혼니불]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2
협력
[혐녁] ## Footnote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3
잡는
[잠는] ## Footnote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4
생산량
[생산냥] ## Footnote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