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소리의 첨가 (2) Flashcards
아랫니
[아랜니]
사이시옷 + ㄴ, ㅁ → 사이시옷을 [ㄴ]으로 발음한다.
햇살
[해쌀/핻쌀]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솔잎
[솔립]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뱃머리
[밴머리]
사이시옷 + ㄴ, ㅁ → 사이시옷을 [ㄴ]으로 발음한다.
대팻밥
[대:패빱/대:팯빱]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선열
[서녈]
첨가 X
6•25
[유기오]
첨가 X
남존여비
[남존녀비]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순이익
[순니익 / 수니익]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수니익]
옷 입다
[온닙따]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금요일
[그묘일]
첨가 X
문요?
[무뇨]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독점욕
[독쩜뇩]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꽃잎
[꼰닙]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상요?
[상요]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절약
[저략]
첨가 X
8•15
[파리로]
첨가 X
의기양양
[의:기양양 / 의:기양냥]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첨가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의:기양냥]
간염
[가:념]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첨가 X
활용
[화룡]
첨가 X
윗입술
[윈닙쑬]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야금야금
[야금냐금 / 야그먀금]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야그먀금]
뱃속
[배쏙/밷쏙]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국민윤리
[궁민뉼리]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