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소리의 첨가 (2) Flashcards

1
Q

아랫니

A

[아랜니]

사이시옷 + ㄴ, ㅁ → 사이시옷을 [ㄴ]으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햇살

A

[해쌀/핻쌀]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솔잎

A

[솔립]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뱃머리

A

[밴머리]

사이시옷 + ㄴ, ㅁ → 사이시옷을 [ㄴ]으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대팻밥

A

[대:패빱/대:팯빱]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선열

A

[서녈]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6•25

A

[유기오]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남존여비

A

[남존녀비]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순이익

A

[순니익 / 수니익]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수니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옷 입다

A

[온닙따]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금요일

A

[그묘일]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문요?

A

[무뇨]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독점욕

A

[독쩜뇩]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꽃잎

A

[꼰닙]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상요?

A

[상요]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절약

A

[저략]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8•15

A

[파리로]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의기양양

A

[의:기양양 / 의:기양냥]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첨가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의:기양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간염

A

[가:념]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활용

A

[화룡]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윗입술

A

[윈닙쑬]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야금야금

A

[야금냐금 / 야그먀금]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야그먀금]

23
Q

뱃속

A

[배쏙/밷쏙]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24
Q

국민윤리

A

[궁민뉼리]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25
1연대
[일련대]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26
들일
[들:릴]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27
목요일
[모교일] ## Footnote 첨가 X
28
먹은 엿
[머근녇]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29
촬영
[촤령] ## Footnote 첨가 X
30
빨랫돌
[빨래똘 / 빨랟똘] ## Footnote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31
한여름
[한녀름]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32
물요?
[무료]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3
월요일
[워료일] ## Footnote 첨가 X
34
담요
[담:뇨]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35
물엿
[물렫]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36
몰인정
[모린정] ## Footnote 첨가 X
37
금융
[금늉 / 그뮹]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그뮹]
38
물약
[물략]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39
나뭇잎
[나문닙] ## Footnote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40
감언이설
[가먼니설 / 가머니설] ## Footnote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가머니설]
41
담임
[다밈] ## Footnote 첨가 X
42
콩엿
[콩녇]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43
3•1절
[사밀쩔] ## Footnote 첨가 X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44
고갯짓
[고개찓/고갣찓] ## Footnote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45
신여성
[신녀성]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46
내복약
[내:봉냑]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47
식용유
[시굥뉴]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48
강약
[강약 / 강냑] ## Footnote 첨가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강냑]
49
등용문
[등용문] ## Footnote 첨가 X
50
굴욕
[구룍] ## Footnote 첨가 X
51
결막염
[결망념]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2
야옹야옹
[야옹냐옹]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53
깻잎
[깬닙] ## Footnote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