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소리의 길이 Flashcards

(76 cards)

1
Q

감기다

A

[감기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얻어

A

[어: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반신반의

A

[반:신바:늬 반:신바:니]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 다만, 합성어의 경우에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한 긴소리를 인정한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의’의 발음

  • 첫음절일 때에는 [ㅢ]로 발음한다.
  • 첫음절이 아닌 경우는 [ㅣ], 조사인 경우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없다

A

[업: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떠벌리다

A

[떠벌리다]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웃어

A

[우: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간간이

A

[간:가니]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멀리

A

[멀: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감다

A

[감: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알아

A

[아라]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다쳐

A

[다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와(오아), 져(지어), 쪄(지어), 쳐(치어)’ 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작은아버지

A

[자그나버지]

다음과 같은 복합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와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 밀-물, 썰-물, 쏜-살-같이, 작은-아버지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와{오아)

A

[와]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와(오아), 져(지어), 쪄(지어), 쳐(치어)’ 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웃다

A

[욷: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적어

A

[저: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켜(켜어)

A

[켜]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같은 모음끼리 만나 하나가 빠진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신다

A

[신: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쳐(치어)

A

[처]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와(오아), 져(지어), 쪄(지어), 쳐(치어)’ 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벌리다

A

[벌:리다]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없애다

A

[업:쌔다]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겹받침의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벌리다

A

[벌:리다]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쪄(찌어)

A

[쩌]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와(오아), 져(지어), 쪄(지어), 쳐(치어)’ 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가(가아)

A

[가]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같은 모음끼리 만나 하나가 빠진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꼬이다

A

[꼬이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밀물
[밀물] 다음과 같은 복합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와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 밀-물, 썰-물, 쏜-살-같이, 작은-아버지
26
시시비비
[시:시비비]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27
재삼재사
[재:삼재:사]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 다만, 합성어의 경우에는 둘째 음절 이하에서도 분명한 긴소리를 인정한다.
28
얻다
[얻: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9
영영
[영:영/영:녕]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첨가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영:녕]
30
많다
[만:타]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1
멀어
[머:러]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2
엷어
[열:버]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겹받침의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3
작다
[작: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4
썰리다
[썰:리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35
없으니
[업:쓰니]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겹받침의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6
참말
[참말]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37
벌다
[벌: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38
해(하여)
[해:] ## Footnote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39
엷다
[열: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 → [ㄱ, ㄴ, ㄹ, ㅂ]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40
서서히
[서:서히]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41
밟다
[밥:따] 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 → [ㄱ, ㄴ, ㄹ, ㅂ]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2
적다
[적: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3
눈멀다
[눈멀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44
멀다
[멀: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45
끌다
[끌: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46
알다
[알: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47
웃기다
[욷:끼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8
수많이
[수:마니]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ㅎ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49
눈보라
[눈:보라]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50
가져
[가저]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와(오아), 져(지어), 쪄(지어), 쳐(치어)' 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51
돼(되어)
[돼:] ## Footnote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52
반반
[반:반]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53
밤나무
[밤:나무]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54
신어
[시너] ## Footnote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55
감으니
[가므니] ## Footnote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56
썰다
[썰: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57
작아
[자:가]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58
밟히다
[발피다] ## Footnote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59
꼬다
[꼬: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60
쏜살같이
[쏜살가치] 다음과 같은 복합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와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 밀-물, 썰-물, 쏜-살-같이, 작은-아버지 받침 ㄷ, ㅌ(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ㅌ]
61
첫눈
[천눈]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62
둬(두어)
[둬:] ## Footnote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63
썰물
[썰물] 다음과 같은 복합어에서는 본디의 길이와 관계없이 짧게 발음한다. * 밀-물, 썰-물, 쏜-살-같이, 작은-아버지
64
썰어
[써:러]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65
말씨
[말:씨]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66
겨(기어)
[겨:] ## Footnote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67
봐(보아)
[봐:] ## Footnote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68
끌어
[끄:러]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69
벌어
[버:러]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70
떫은
[떨:븐]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겹받침의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71
밟으면
[발브면] ## Footnote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겹받침의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72
밟아
[발바] ## Footnote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겹받침의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73
끌리다
[끌:리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용언 어간에 피동, 사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74
떫다
[떨: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 'ㄼ'은 [ㄹ]로 발음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75
쌍동밤
[쌍동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76
져(지어)
[저]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는 긴소리로 발음한다. * 다만, '와(오아), 져(지어), 쪄(지어), 쳐(치어)' 등은 긴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