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된소리되기 (1) COPY Flashcards

1
Q

할 수는

A

[할쑤는]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닭장

A

[닥짱]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몰상식

A

[몰쌍식]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불소

A

[불쏘]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굴속

A

[굴:쏙]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더듬지

A

[더듬찌]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아침밥

A

[아침빱]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문고리

A

[문꼬리]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할 바를

A

[할빠를]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불세출

A

[불쎄출]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그믐달

A

[그믐딸]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신바람

A

[신빠람]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등불

A

[등뿔]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눈동자

A

[눈똥자]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간 사람

A

[간사(:)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칡범

A

[칙뻠]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껴안다

A

[껴안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교과

A

[교:과 / 교:꽈]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된소리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교: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갈 데가

A

[갈떼가]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삼고

A

[삼:꼬]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읊조리다

A

[읍쪼리다]

ㄿ → [ㅂ]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강줄기

A

[강쭐기]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갈증

A

[갈쯩]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산새

A

[산쌔]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할걸
[할껄]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6
허허실실
[허허실실]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 다만, 같은 한자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27
남기
[남:끼]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28
안기다
[안기다] 용언 어간에 사동, 피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29
길가
[길까]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30
굶다
[굼: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31
만날 사람
[만날싸람]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2
분수
[분수] 된소리 X [분쑤 / 분수]: 수학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복수 표준 발음 인정: [분수]
33
꽃다발
[꼳따발]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4
신도
[신도]
35
점수
[점수] 된소리 X [점쑤 / 점수]: 點數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점수]
36
손재주
[손째주]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37
사법
[사뻡]: 私法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사법]: 司法 된소리 X
38
떫지
[떨:찌]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39
관건
[관건 / 관껀] ## Footnote 된소리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관껀]
40
할세라
[할쎄라]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1
얹다
[언따] ## Footnote ㄵ → [ㄴ]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42
등기
[등기] ## Footnote 된소리 X
43
할 것을
[할꺼슬]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44
닮고
[담:꼬]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45
신겨
[신겨] 용언 어간에 사동, 피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46
할 도리
[할또리]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7
잠자리
[잠짜리]: 잠을 자는 자리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잠자리]: 곤충
48
안기
[안:끼]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49
밭갈이
[받까리]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50
윤달
[윤:달]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된소리 X
51
값지다
[갑찌다] ## Footnote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2
안간힘
[안깐힘 / 안간힘]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안간힘]
53
인기척
[인끼척 / 인기척]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인기척]
54
국밥
[국빱] ## Footnote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5
솥전
[솓쩐]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6
가는 사람
[가는사(:)람]
57
반창고
[반창고] ## Footnote 된소리 X
58
젊지
[점:찌]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59
옆집
[엽찝]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60
신과
[신과]
61
속임수
[소김쑤]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62
절도
[절또] ## Footnote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63
갈 곳
[갈꼳]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64
물질
[물찔] ## Footnote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