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소리의 동화 (2) Flashcards
(53 cards)
강릉
[강능]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값 매기다
[감매기다]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결단력
[결딴녁]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침략
[침냑]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횡단로
[횡단노, 휑단노]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읊는
[음는]
ㄿ → [ㅂ]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임진란
[임:진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입원료
[이붠뇨]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젖먹이
[전머기]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앞마당
[암마당]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밥 먹는다
[밤멍는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상견례
[상견녜]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아니오
[아니오 / 아니요]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 ‘이오, 아니오, 미시오’도 이에 준하여 [이요, 아니요, 미시요]로 발음함을 허용한다.
동원령
[동:원녕]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닫는
[단는]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구근류
[구근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묻히다
[무치다]
ㄷ + 접미사 ‘-히’ → 티[치]
밭이랑
[반니랑]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기어
[기어 / 기여]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책 넣는다
[챙넌는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천리
[철리]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문법
[문뻡]
사잇소리: 합성어에서,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밭입니다
[바침니다]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왕십리
[왕심니]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