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소리의 동화 (2) Flashcards

(53 cards)

1
Q

강릉

A

[강능]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값 매기다

A

[감매기다]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결단력

A

[결딴녁]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침략

A

[침냑]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횡단로

A

[횡단노, 휑단노]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읊는

A

[음는]

ㄿ → [ㅂ]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임진란

A

[임:진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입원료

A

[이붠뇨]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젖먹이

A

[전머기]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앞마당

A

[암마당]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밥 먹는다

A

[밤멍는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상견례

A

[상견녜]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아니오

A

[아니오 / 아니요]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 ‘이오, 아니오, 미시오’도 이에 준하여 [이요, 아니요, 미시요]로 발음함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동원령

A

[동:원녕]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닫는

A

[단는]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구근류

A

[구근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예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묻히다

A

[무치다]

ㄷ + 접미사 ‘-히’ → 티[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밭이랑

A

[반니랑]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기어

A

[기어 / 기여]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책 넣는다

A

[챙넌는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천리

A

[철리]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문법

A

[문뻡]

사잇소리: 합성어에서,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23
Q

밭입니다

A

[바침니다]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24
Q

왕십리

A

[왕심니]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25
국물
[궁물] ## Footnote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26
꽃밭
[꼳빧]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7
앓나
[알라] ## Footnote ㅎ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28
땀받이
[땀바지] ## Footnote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29
닳는
[달른] ## Footnote ㅎ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30
키읔만
[키응만]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1
뚫는
[뚤른] ## Footnote ㅎ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32
아버지
[아버지]
33
되어
[되어 / 되여 / 뒈어 / 뒈여]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34
미시오
[미시오 / 미시요]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 '이오, 아니오, 미시오'도 이에 준하여 [이요, 아니요, 미시요]로 발음함을 허용한다.
35
짓는
[진:는]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6
독립문
[동님문] ## Footnote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7
부수다
[부수다]
38
몫몫이
[몽목씨]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39
이오
[이오 / 이요]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 '이오, 아니오, 미시오'도 이에 준하여 [이요, 아니요, 미시요]로 발음함을 허용한다.
40
밥물
[밤물] ## Footnote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41
물난리
[물랄리] ## Footnote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2
칼날
[칼랄] ## Footnote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3
닫히다
[다치다] ## Footnote ㄷ + 접미사 '-히' → 티[치]
44
건강
[건:강]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45
십 리
[심니] ## Footnote 받침 ㄱ, ㅁ, ㅂ, ㅇ + ㄹ → [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46
없는
[엄:는]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47
밭을
[바틀]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48
앓네
[알레] ## Footnote ㅎ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9
희어
[히어 / 히여] 자음 + ㅢ → [ㅣ]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50
옷 맞추다
[온맏추다]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1
쫓는
[쫀는]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2
줄넘기
[줄럼끼] ## Footnote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53
띄어
[띠어 / 띠여]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자음 + ㅢ → [ㅣ]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