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소리의 첨가 (1) Flashcards

(53 cards)

1
Q

연습용

A

[연:슴뇽]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서울역

A

[서울력]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먹을 엿

A

[머글렫]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늑막염

A

[능망념]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설익다

A

[설릭따]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깃발

A

[기빨/긷빨]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담요?

A

[다묘]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송별연

A

[송:벼련]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첨가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밤이슬

A

[밤니슬 / 바미슬]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바미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삯일

A

[상닐]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ㄳ → [ㄱ]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이죽이죽

A

[이중니죽 / 이주기죽]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이주기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밤윷

A

[밤:뉻]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유들유들

A

[유들류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불여우

A

[불려우]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한 일

A

[한닐]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툇마루

A

[퇸:마루/퉨:마루]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사이시옷 + ㄴ, ㅁ → 사이시옷을 [ㄴ]으로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베갯잇

A

[베갠닏]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서른여섯

A

[서른녀섣]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솜이불

A

[솜:니불]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검열

A

[검:녈 / 거:멸]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거: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촛불

A

[초뿔/촏뿔]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막일

A

[망닐]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23
Q

막냇동생

A

[망내똥생/망낻똥생]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24
Q

욜랑욜랑

A

[욜랑뇰랑 / 욜랑욜랑]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욜랑욜랑]

25
눈요기
[눈뇨기]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26
도리깻열
[도리깬녈] ## Footnote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27
이글이글
[이글리글 / 이그리글]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이그리글]
28
냇가
[내:까 / 낻:까]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29
색연필
[생년필]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0
영영
[영:영 / 영:녕]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첨가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영:녕]
31
직행열차
[지캥녈차] ## Footnote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32
뒷윷
[뒨:뉻]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33
영업용
[영엄뇽]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4
분열
[부녈] ## Footnote 첨가 X
35
홑이불
[혼니불]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36
뱃전
[배쩐/밷쩐] ## Footnote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37
활약
[화략] ## Footnote 첨가 X
38
금연
[그:면]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첨가 X
39
스물여섯
[스물려섣]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40
괴담이설
[괴:담니설 / 궤:담니설 / 괴:다미설 / 궤:다미설]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괴:다미설 / 궤:다미설]
41
콧날
[콘날] ## Footnote 사이시옷 + ㄴ, ㅁ → 사이시옷을 [ㄴ]으로 발음한다.
42
샛길
[새:낄/샏:낄]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43
잘 입다
[잘립따]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4
함유
[하뮤] ## Footnote 첨가 X
45
할 일
[할릴]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6
휘발유
[휘발류] ## Footnote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47
이기죽이기죽
[이기주기기죽] ## Footnote 첨가 X
48
콧등
[코뜽/콛뜽] ## Footnote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49
윗잇몸
[윈닌몸] ## Footnote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0
3연대
[삼년대]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51
연이율
[연니율 / 여니율]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여니율]
52
탈영
[타령] ## Footnote 첨가 X
53
맨입
[맨닙] ## Footnote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