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소리의 첨가 (1) Flashcards
(53 cards)
연습용
[연:슴뇽]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서울역
[서울력]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먹을 엿
[머글렫]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늑막염
[능망념]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설익다
[설릭따]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깃발
[기빨/긷빨]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담요?
[다묘]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송별연
[송:벼련]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첨가 X
밤이슬
[밤니슬 / 바미슬]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바미슬]
삯일
[상닐]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ㄳ → [ㄱ]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이죽이죽
[이중니죽 / 이주기죽]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이주기죽]
밤윷
[밤:뉻]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유들유들
[유들류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불여우
[불려우]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한 일
[한닐]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툇마루
[퇸:마루/퉨:마루]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사이시옷 + ㄴ, ㅁ → 사이시옷을 [ㄴ]으로 발음한다.
베갯잇
[베갠닏]
사이시옷 + 이 → 사이시옷을 [ㄴㄴ]으로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서른여섯
[서른녀섣]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솜이불
[솜:니불]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검열
[검:녈 / 거:멸]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거:멸]
촛불
[초뿔/촏뿔]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막일
[망닐]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막냇동생
[망내똥생/망낻똥생]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사이시옷 + ㄱ, ㄷ, ㅂ, ㅅ, ㅈ →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욜랑욜랑
[욜랑뇰랑 / 욜랑욜랑]
합성어나 파생어 + 받침 다음에 ‘이, 야, 여, 요, 유’가 오는 경우 → [니, 냐, 녀, 뇨, 뉴]
복수 표준 발음 인정: [욜랑욜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