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된소리되기 (2) COPY Flashcards

1
Q

신기다

A

[신기다]

용언 어간에 사동, 피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절절하다

A

[절절하다]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 다만, 같은 한자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덮개

A

[덥깨]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참되니

A

[참되니 / 참뒈니]

파생어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참되다

A

[참뙤다/ 참뛔다]

파생어 - 뒷말이 앞말의 영향으로 된소리로 발음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유리잔

A

[유리잔]

된소리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발전

A

[발쩐]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할밖에

A

[할빠께]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고가도로

A

[고가도로]

된소리 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있던

A

[읻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훑소

A

[훌쏘]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참되이

A

[참뙤이/ 참뛔이]

파생어 - 뒷말이 앞말의 영향으로 된소리로 발음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낯설다

A

[낟썰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고가

A

[고까] 高價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고:가] 古家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된소리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바람결

A

[바람껼]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할 적에

A

[할쩌게]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곱돌

A

[곱똘]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뻗대다

A

[뻗때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일시

A

[일씨]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발동

A

[발똥]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초승달

A

[초승딸]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물동이

A

[물똥이]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굶겨

A

[굼겨]

용언 어간에 사동, 피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옮기다

A

[옴기다]

용언 어간에 사동, 피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할진대
[할찐대]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6
할수록
[할쑤록]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7
굶기다
[굼기다] 용언 어간에 사동, 피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28
바람과
[바람과]
29
발바닥
[발빠닥]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30
효과
[효:과 / 효:꽈]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된소리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효:꽈]
31
할지언정
[할찌언정]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2
불장난
[불장난] ## Footnote 된소리 X
33
여덟도
[여덜도] ## Footnote ㄼ, ㄽ, ㄾ → [ㄹ]
34
넓죽하다
[넙쭈카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다리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5
불법
[불법 / 불뻡]: 不法 된소리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불뻡] [불법]: 佛法 된소리 X
36
여덟보다
[여덜보다] ## Footnote ㄼ, ㄽ, ㄾ → [ㄹ]
37
반달
[반달] ## Footnote 된소리 X
38
날짐승
[날찜승]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9
할지라도
[할찌라도] ## Footnote 관형사형 -(으)ㄹ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0
술잔
[술짠]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41
감기다
[감기다] 용언 어간에 사동, 피동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는 짧게 발음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42
함수
[함수] 된소리 X [함:쑤 / 함:수]: 函數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복수 표준 발음 인정: [함:수]
43
반값
[반:갑 / 반:깝]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된소리 X 복수 표준 발음 인정: [반:깝]
44
창살
[창쌀]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45
간단
[간단] ## Footnote 된소리 X
46
넋받이
[넉빠지] ## Footnote ㄳ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받침 ㄷ, ㅌ (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ㅊ]
47
참되어
[참되어 /참되여 / 참뒈어 / 참뒈여] 파생어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다음과 같은 용언의 어미는 [어]로 발음함을 원칙으로 하되, [여]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되어, 피어, 기어, 띄어, 씌어, 틔어, 희어
48
신고
[신:꼬]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49
앉고
[안꼬] ## Footnote ㄵ → [ㄴ]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50
굶기
[굼:끼]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51
신다
[신: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난다. 어간 받침 ㄴ, ㅁ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52
손사래
[손싸래]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53
여덟과
[여덜과] ## Footnote ㄼ, ㄽ, ㄾ → [ㄹ]
54
말살
[말쌀] ## Footnote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55
삯돈
[삭똔] ## Footnote ㄳ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6
넓게
[널께] ## Footnote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57
깎다
[깍따]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8
갈등
[갈뜽] ## Footnote 한자어에서, 받침 ㄹ + ㄷ, ㅅ, ㅈ → [ㄸ, ㅆ, ㅉ]
59
꽂고
[꼳꼬]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60
강가
[강까] ## Footnote 사잇소리: 울림소리 + 안울림 예사소리 → 된소리
61
옷고름
[옫꼬름]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62
바람도
[바람도]
63
핥다
[할따] ## Footnote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