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행위허가 Flashcards

(43 cards)

1
Q

ㅇㄷㅈㅇ별 허용되는 토질형질변경면적

__제곱미터: ㅈㄱ지역,ㅅㅇ지역,ㅈㅇㄴㅈ지역,ㅅㅅㄴㅈ지역
__제곱미터 : ㄱㅇ지역,ㄱㄹ지역,ㄴㄹ지역
__제곱미터 ; ㅈㅇㅎㄱㅂㅈ지역, ㅂㅈㄴㅈ지역

A

용도지역별 허용되는 토질형질변경면적

1만제곱미터: 주거지역,상업지역,자연녹지지역,생산녹지지역
3만제곱미터 : 공업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
5천제곱미터 ; 자연환경보전지역, 보전녹지지역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개발행위허가와 공공시설의 귀속
- 특별시장.~시장,군수는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개발행위“허가”를 하려면
미리 ㄱㄹㅊ,ㅅㅇㅅㅎㅈ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 개발행위허가에 “조건을 붙이려는 때에는“
미리 개발행위허가를 ____자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A

개발행위허가와 공공시설의 귀속 - (행정청인경우/ 행정청이 아닌경우)
-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는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개발행위허가를 하려면 미리 관리청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개발행위허가를 하려면 미리 해당공공시설이 속한 관리청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 허가권자는 개발행위가 사업에 지장을 주는지에 대해 사업시행자의 의견을 미리 들어야한다.
- 개발행위허가에 조건을 붙이려는 떄는 미리 개발행위허가를 신청한 자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허가받아야 하는 개발행위 기본]

1.건축법에 따른 ㄱㅊㅁ의 ㄱㅊ

2,ㄱㅈㅁ의 설치

3.토지의 ㅎㅈ변경 :ㅈㅌ,ㅅㅌ,ㅈㅈ,ㅍㅈ의 토지형상변경행위, ㄱㅇㅅㅁ의 매립)
*“ㄱㅈ”을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한 토지의 형질변경은
허가사항에서 제외

4.ㅌㅅ의 채취 : 허가받은 토지형질변경을 위한 행위는 제외

5.토지의 분할
*도시의 __지역,__지역,__지역,_____지역에서의
“인허가를 받지 않은 토지의 분할”
*관계법령에 의한 인허가를 받지 않은
너비 _m이하로의 토지분할
*건축법에 따른 “분할제한면적미만“으로의 토지분할

A

[허가받아야 하는 개발행위 기본]
1.건축법에 따른 “건축물의 건축”
2,공작물의 설치
3.토지의 형질변경 :절토,성토,포장,정지의 토지형상변경행위, 공유수면의 매립)
*“경작”을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한 토지의 형질변경은
허가사항에서 제외
4.토석의 채취 : 허가받은 토지형질변경을 위한 행위는 제외
5.토지의 분할
-도시의 녹지지역, 관리지역,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의
인허가를 받지 않은 토지의 분할
-건축법에 따른 “분할제한면적미만“으로의 토지분할
-관계법령에 의한 인허가를 받지 않은
너비 5m이하로의 토지분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예외

[허가를 받아야하는 개발행위 중 토지의 경작을 위한 형질변경]

개발허가를 받아야하는 토지의 형질변경 원칙
#원칙:__,__,__,__의 토지형상변경행위, ____의 매립 )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 범위”- 개발행위허가제외사항]
1.조성이 끝난 농지에서의 ㅈㅂ,ㅅㅅ성 향상을 위한
ㄱㅌ(신규흙공급),ㅎㅌ(흙바꾸기),정지, 양수, ㅂㅅ시설의 설치, 정비를 위한
토지형질변경의 범위까지만 허용

[허용되지 않는 경작과정의 토지의 형질변경]
1.인접토지의 관개,배수,농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제외
2.ㅌㅈ오염의 우려가 있는 토사 사용으로 성토하는 경우 제외
(농지법 ㅅㅌ는 제외한다 )
3.전,답간 지목변경을 제외한“ 지목변경을 수반하는 경우” 제외
4.ㅇㅂ설치, _m이상의ㅈㅌ,ㅅㅌ가 수반되는 경우
(다만, 절토, 성토에 대하여는 ”_______의 조례“에 의해
2m이내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A

예외

[허가를 받아야하는 개발행위 중 토지의 경작을 위한 형질변경]

개발허가를 받아야하는 토지의 형질변경 원칙
#원칙:절토,성토,포장,정지의 토지형상변경행위, 공유수면의 매립)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 범위”- 개발행위허가제외사항]
1.조성이 끝난 농지에서의 재배, 생산성향상을 위한
객토(신규흙공급),환토(흙바꾸기),정지, 양수, 배수시설의 설치, 정비를 위한
토지형질변경의 범위까지만 허용

[허용되지 않는 경작과정의 토지의 형질변경]
1.인접토지의 관개,배수,농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제외
2.토질오염의 우려가 있는 토사 사용으로 성토하는 경우 제외
(농지법 성토는 제외한다 )
3.전,답간 지목변경을 제외한 지목변경을 수반하는 경우 제외
4.옹벽설치, 2m이상의 절토,성토가 수반되는 경우
(다만, 절토, 성토에 대하여는 지방자치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해
2m이내의 범위로 정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사항]
*경미한 사항 변경 시, 지체없이 시장, 군수(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__”하여야 한다.

**경미한사항
1.사업기간의 단축
2.ㅂㅈ면적, ㄱㅊㅁ의 연면적,토석의 ㅊㅊ량을 __%범위에서 “__”하는 경우
3.관계법령의 개정, 도시군관리계획의 변경에 따라
이미 허가받은 사항에 대하여 불가피하게 변경하여야하는 경우
4.“ㄱㅈㅁ의 ㅇㅊ를” _m범위에서 변경하는 경우
5.”ㄱㅊ법에 따른 허용오차“를 반영하여야하는 경우

A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사항]
*경미한 사항 변경 시, 지체없이 시장, 군수(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경미한사항
1.사업기간의 단축
2.부지면적, 건축물의 연면적,토석의 채취량을 5%범위에서 “축소”하는 경우
3.관계법령의 개정, 도시군관리계획의 변경에 따라
이미 허가받은 사항에 대하여 불가피하게 변경하여야하는 경우
4.“공작물의 위치를” 1m범위에서 변경하는 경우
5.건축법에 따른 허용오차를 반영하여야하는 경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개발행위의 범위]

1.재해복구, 재난수습을 위한 응급조치
*응급조치를 한 경우에는 _개월 이내에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__”하여야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장 : 특별시장,광역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군수]

2.건축법에 따라 신고하고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의 ㅈㅊ,ㄱㅊ,ㅈㅊ”과 “이에 따르는 토지의 형질변경”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이 시행되지 않고있는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부지인 경우에만 가능

3.건축물의 건축범위, 토지의 분할과
“ 지역별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미한 행위”

A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개발행위의 범위]

1.재해복구, 재난수습을 위한 응급조치
*응급조치를 한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신고”하여야한다.

2.건축법에 따라 신고하고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의 증축, 개축, 재축”과 “이에 따르는 토지의 형질변경”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이 시행되지 않고있는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부지인 경우에만 가능

3.건축물의 건축범위, 토지의 분할과 지역별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미한 행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개발행위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행위 중 3번]

-건축물의 건축범위, 토지의 분할과
-지역별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미한 행위
(지역별 공작물의 설치,토지의 형질변경, 토석의 채취, 적치행위]

*1.건축물의 건축범위/6.토지의 분할 [ 지역의 구분이 없음]

1.건축물의 건축행위 중
건축법의
건축ㅎㄱ, 건축ㅅㄱ,
가설건축물의 건축ㅎㄱ, ㅊㅈ신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건물

6.ㅌㅈ의 ㅂㅎ 중
-사도법에 따른 ㅅㄷㄱㅅㅎㄱ를 받은 토지의 분할
-ㅎㅈㅈㅅ 중 용도폐지되는 부분의 토지의 분할
-ㅇㅂㅈㅅ의 ㅁㄱ,ㄱㅎ,ㅇㅇ를 위한 토지의 분할
-도시군계획시설로 ㅈㅎㄷㅁ이 고시된 “댱해” 토지의 ㅇㅂ분할
-너비 _m이하로의 “이미 분할된 토지의
건축법 분할제한면적 이상으로의 분할”

A

[개발행위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행위 중 3번]

-건축물의 건축범위, 토지의 분할과
-지역별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미한 행위
(지역별 공작물의 설치,토지의 형질변경, 토석의 채취, 적치행위]

*1.건축물의 건축범위/6.토지의 분할 [ 지역의 구분이 없음]

1.건축물의 건축행위 중
건축법의 건축허가, 건축신고,
가설건축물의 건축허가, 축조신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건물

6.토지의 분할 중
-사도법에 따른 사도개설허가를 받은 토지의 분할
-행정재산 중 용도폐지되는 부분의 토지의 분할
-일반재산의 매각, 교환 양여를 위한 토지의 분할
-도시군계획시설로 지형도면이 고시된 댱해 토지의 일부분할
-너비5m이하로의 이미 분할된 토지의
건축법 분할제한면적 이상으로의 분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개발행위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사항 중
지역별 허용범위]#지역내

*공작물의 설치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 녹지,관리,농림]
-도시지역, 지구단위구역내 공작물의 설치
: 무게50톤이하, 부피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 50제곱미터 이하의 공작물

-녹지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내
: 공작물 = 농림어업용 비닐하우스의 설치
(양식업을 위한 비닐하우스 안에 설치하는 양식장은 제외한다)

*토지의 형질변경 [도시 내 주거, 상업, 공업지역]
-도시(주거,상업,공업지역 내) 토지형질변경
: 높이 50cm,깊이 50cm이내의 절토, 성토,정지 ( ㅍㅈ은 제외한다)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도시지역,지구단위구역 내
채취면적 : 25m2이하 토지내의
부피 : 5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적치행위 [ㄴㅈ지역,ㄱㄹ지역,지구단위계획구역 내]
-ㄴㅈ지역, 지구단위구역 내
적치면적: 25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t이하
전제부피 : 50m3이하의 적치행위

-ㄱㄹ지역 내 적치행위(**지구단위구역 제외)
적치면적: 250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0t이하
전제부피 : 500m3이하의 적치행위

A

[개발행위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사항 중
지역별 허용범위]#지역내

*공작물의 설치
-도시지역, 지구단위구역내 공작물의 설치
: 무게50톤이하, 부피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 50제곱미터 이하의 공작물
-녹지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내
: 공작물 = 농림어업용 비닐하우스의 설치
(양식업을 위한 비닐하우스 안에 설치하는 양식장은 제외한다)

*토지의 형질변경
-도시(주거,상업,공업지역 내) 토지형질변경
: 높이 50cm,깊이 50cm이내의 절토, 성토,정지 ( 포장은 제외한다)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지구단위구역 내
채취면적 : 25m2이하 토지내의
부피 : 5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적치행위
-녹지지역, 지구단위구역 내
적치면적:25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t이하
전제부피 : 50m3이하의 적치행위

-관리지역 내 적치행위(**지구단위구역 제외)
적치면적: 250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0t이하
전제부피 : 500m3이하의 적치행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지역외

[개발행위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사항 중
지역별 허용범위]

*공작물의 설치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무게 :___톤/부피 :150m3/수평투영면적 :150m2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허용

*토지의 형질변경
1.도시의 주거, 상업, 공업지역 외의 경우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__은 제외)
2.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면적:___m2이하의
“ㅈㅁ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포장 ”(포장포함)
**토지의 형질변경 면적은 형질변경이 이루어지는 “당해” 필지의 총 면적을 말한다.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채취면적 : 250m2이하의 토지에서
부피 :50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A

지역외

[개발행위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사항 중
지역별 허용범위]

*공작물의 설치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무게 :150톤/부피 :150m3/수평투영면적 :150m2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허용

*토지의 형질변경
1.도시의 주거, 상업, 공업지역 외의 경우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포장은 제외)
2.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면적:660m2이하의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포장 ”(포장포함)
**토지의 형질변경 면적은 형질변경이 이루어지는 “당해” 필지의 총 면적을 말한다.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채취면적 : 250m2이하의 토지에서
부피 :50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지역외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공작물의 설치
#지역내
-도시지역, 지구단위구역내 공작물의 설치
: 무게50톤이하, 부피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 50제곱미터 이하의 공작물
-녹지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내
: 공작물 = 농림어업용 비닐하우스의 설치
(양식업을 위한 비닐하우스 안에 설치하는 양식장은 제외한다)

*공작물의 설치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무게 :150톤/부피 :150m3/수평투영면적 :150m2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허용

A

지역외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공작물의 설치
#지역내
-도시지역, 지구단위구역내 공작물의 설치
: 무게50톤이하, 부피50세제곱미터 이하, 수평투영면적 50제곱미터 이하의 공작물
-녹지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내
: 공작물 = 농림어업용 비닐하우스의 설치
(양식업을 위한 비닐하우스 안에 설치하는 양식장은 제외한다)

*공작물의 설치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무게 :150톤/부피 :150m3/수평투영면적 :150m2
이하인 공작물의 설치 허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지역내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토지의 형질변경
-도시(주거,상업,공업지역 내) 토지형질변경
: 높이 50cm,깊이 50cm이내의 절토, 성토,정지 ( 포장은 제외한다)

*토지의 형질변경
1.도시의 주거, 상업, 공업지역 외의 경우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포장은 제외)
2.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면적:660m2이하의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포장 ”(포장포함)
**토지의 형질변경 면적은 형질변경이 이루어지는 “당해” 필지의 총 면적을 말한다.

A

지역내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토지의 형질변경
-도시(주거,상업,공업지역 내) 토지형질변경
: 높이 50cm,깊이 50cm이내의 절토, 성토,정지 ( 포장은 제외한다)

*토지의 형질변경
1.도시의 주거, 상업, 공업지역 외의 경우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포장은 제외)
2.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면적:660m2이하의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절토, 성토, 정지, 포장 ”(포장포함)
**토지의 형질변경 면적은 형질변경이 이루어지는 “당해” 필지의 총 면적을 말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지역내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지구단위구역 내
채취면적 : 25m2이하 토지내의
부피 : 5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채취면적 : 250m2이하의 토지에서
부피 :50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A

지역내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지구단위구역 내
채취면적 : 25m2이하 토지내의
부피 : 5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토석의 채취
도시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외의 지역의
채취면적 : 250m2이하의 토지에서
부피 :500m3이하인 토석의 채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적치행위
-녹지지역, 지구단위구역 내
적치면적:25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t이하
전제부피 : 50m3이하의 적치행위

-관리지역 내 적치행위(**지구단위구역 제외)
적치면적: 250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0t이하
전제부피 : 500m3이하의 적치행위

A

[ 개발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대통령령 경미한 행위 중 지역별 사항]

*적치행위
-녹지지역, 지구단위구역 내
적치면적:25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t이하
전제부피 : 50m3이하의 적치행위

-관리지역 내 적치행위(**지구단위구역 제외)
적치면적: 250m2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 500t이하
전제부피 : 500m3이하의 적치행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타법률의 적용을 받는 개발행위]

ㅅㅂㅅㅇ법 적용 [도시지역,계획관리지역]
- 도시지역,계획관리지역에서의
산림의 토지____, 토석___를 진행하는
임도설치와 사방산업

ㅅㅈㄱㄹ법의 적용 [보전녹지,생산관리,농림,자연환경보전]
-보전지역, 생산관리지역, 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의
개발행위 토지의 형질변경, (농업,임업, 어업을 목적으로하는 토지의 형질변경만 해당)
토석의 채취의 개발행위

A

사방사업법 적용
- 도시지역,계획관리지역에서의
산림의 토지형질변경, 토석채취를 진행하는
임도설치와 사방산업

산지관리법의 적용
-보전지역, 생산관리지역, 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의
개발행위 토지의 형질변경, (농업,임업, 어업을 목적으로하는 토지의 형질변경만 해당) 토석의 채취의 개발행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기존(종래)의 공공시설 (종래: 이전시점 ~현재)

[공공시설의 귀속]
#신규,대체되는 공공시설 (공통)
: 시설을 관리할 ”ㄱㄹㅊ“에 무상으로 귀속

1.행정청인 경우
: 행정청에 귀속

2.행정청이 아닌 경우
: _____한 공공시설의 비용의 범위 내에서
행정청이 아닌 자에게 무상으로 양도될 수 있다.

A

기존(종래)의 공공시설 (종래: 이전시점 ~현재)

[공공시설의 귀속]
#신규,대체되는 공공시설 (공통)
: 시설을 관리할 ”관리청“에 무상으로 귀속

1.행정청인 경우
: 행정청에 귀속
2.행정청이 아닌 경우
: 새로 설치한 공공시설의 비용의 범위 내에서
행정청이 아닌 자에게 무상으로 양도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귀속될 공공시설의 준공검사와 세목통지]
1.행정청인경우 : ______ 후 ____ / _____ 시 귀속
2.행정청이 아닌 경우
: ____ 후 ___ - 시장군수가 관리청에게 통보
____ 받은 때 귀속된 것으로 본다

A

[귀속될 공공시설의 준공검사와 세목통지]

1.행정청인경우 : 준공검사 후 세목통지/ 세목통지 시 귀속
2.행정청이 아닌 경우
세목통지 후 준공검사 - 시장군수가 관리청에게 통보
준공검사 받은 때 귀속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공공시설의 귀속 시 주의사항]

*공공시설의 등기 시
“ㄷㄱㅇㅇ”을 증명하는 서류는 “준공검사 받았음을 증명하는 서류”로 갈음할 수 있다.

*개발행위허가 받은 자가 행정청인 경우
귀속된 종래의 공공시설을 처분함으로써 생기는 수익금은
ㄷㅅㄱㄱㅎㅅㅇ 외의 목적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타 법률에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한 특별법률이 있는 경우 ___에 따른다.

A

[공공시설의 귀속 시 주의사항]

*공공시설의 등기 시
“등기원인”을 증명하는 서류는 “준공검사 받았음을 증명하는 서류”로 갈음할 수 있다.

*개발행위허가 받은 자가 행정청인 경우
귀속된 종래의 공공시설을 처분함으로써 생기는 수익금은
도시군계획사업 외의 목적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타 법률에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한 특별법률이 있는 경우 타법률에 따른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____의 ___에 관한 개발행위 허가 전 ,시설을 관리할 ____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개발행위 허가 전
공공시설귀속에 관한 개발행위허가를 하려면 기존의 공공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청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1.관리청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 관리청 지정 후 ___되기 전 관리청의 의견 수렴
2.관리청이 불분명한경우
___ : 국토교통부장관
ㅎㅊ: 환경부장관
그 외 재산 = ㄱㅎㅈㅈㅂ장관 을 관리청으로 본다.

A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한 개발행위 허가 전 ,시설을 관리할 관리청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개발행위 허가 전
공공시설귀속에 관한 개발행위허가를 하려면 기존의 공공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청의 의견을 들어야한다.

1.관리청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 관리청 지정 후 준공되기 전 관리청의 의견 수렴
2.관리청이 불분명한경우
도로 : 국토교통부장관
하천 : 환경부장관
그 외 재산 = 기획재정부장관 을 관리청으로 본다.
.

19
Q

개발행위 허가를 받은 자가 행정청인경우
새로, 대체하는 공공시설은
___->____= ___한 날에 각각 귀속

A

개발행위 허가를 받은 자가 행정청인경우
새로, 대체하는 공공시설은

준공검사->세목통지= 세목통지한 날에 각각 귀속

20
Q

공공시설 귀속에 관하여
개발허가받은 자가 행정청이 아닌 경우
_____ -> _____ = 시장 군수가 관리청에 통보
= 준공검사를 받은 날 각각 귀속

등기시 ㄷㄱㅇㅇ은 “준공검사를 받았음을 증명하는 서류”로 갈음 할 수 있다.

A

공공시설 귀속에 관하여
개발허가받은 자가 행정청이 아닌 경우
세목 통지 -> 준공검사 = 시장 군수가 관리청에 통보
= 준공검사를 받은 날 각각 귀속

등기시 등기원인은 “준공검사를 받았음을 증명하는 서류”로 갈음 할 수 있다.

21
Q

[개발행위에 대해 중앙,도시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하는 사항]
=토지의 형질변경면적, 토석채취의 범위

1.관계행정기관의 장이 __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하는 경우
1.면적이 1km2이상인 토지의 형질변경
2.부피가 100만m3이상인 토석채취

2.“ㄷㄷㅅ에 두는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하는 사항”
1.면적이 __만km2이상 1km2미만인 토지의 형질변경
2.부피가 __만m3이상 100만m3미만인 토석채취

3.ㅅㄱㄱ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하는 사항
1.면적이 30km2미만인 토지의 형질변경
2.부피가 _만m2이상 __만m3미만인 토석채취

A

[개발행위에 대해 중앙,도시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하는 사항]
=토지의 형질변경면적, 토석채취의 범위

1.관계행정기관의 장이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하는 경우
1.면적이 1km2이상인 토지의 형질변경
2.부피가 100만m3이상인 토석채취

2.“대도시에 두는 도시계획위언회의 심의를 거쳐야하는 사항”
1.면적이 30만km2이상 1km2미만인 토지의 형질변경
2.부피가 50만m3이상 100만m3미만인 토석채취

3.시군구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하는 사항
1.면적이 30km2미만인 토지의 형질변경
2.부피가 3만m2이상 50만m3미만인 토석채취

22
Q

[중앙,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경우] 6가지

1.타법률에 따라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구역에서 진행하는 개발행위”인경우
2.ㅈㄱㄷㅇ계획구역,ㅅㅈㄱㄹㄱㅎ구역에서의 개발행위
3.ㅈㄱ,ㅅㅇ,ㄱㅇ지역에서 시행하는 개발행위 중
“특별~시,군의 조례로 정한 규모에 해당하지 않는”개발행위인경우
4.환경영향평가법-ㅎㄱㅇㅎㅍㄱ를 받은 개발행위
5.농어촌정비법-ㄴㅇㅊ정비사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한 사업을 위한 개발행위”
6.산림사업법률-ㅅㄹ산업/ 사방사업법- ㅅㅂ사업 개발행위

A

[중앙,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경우] 6가지

1.타법률에 따라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구역에서 진행하는 개발행위인경우
2.지구단위계획구역,성장관리계획구역에서의 개발행위
3.주거,상업,공업지역에서 시행하는 개발행위 중
“특별~시,군의 조례로 정한 규모에 해당하지 않는”개발행위인경우
4.환경영향평가법-환경영향평가를 받은 개발행위
5.농어촌정비법-농어촌정비사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한 사업을 위한 개발행위”
6.산림사업법률-산림산업/ 사방사업법- 사방사업 개발행위

23
Q

[국토교통부장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중앙,지방도시계획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하는 경우]= minor
=도시군계획에 개발행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1.ㅈㄱㄷㅇ계획,ㅅㅈㄱㄹㄱㅎ구역으로 수립한 지역에서 진행되는 개발행위가
2.환경영향평가법-ㅎㄱㅇㅎㅍㄱ를 받은 개발행위가
3.도시교통정비촉지법-ㄱㅌㅇㅎㅍㄱ에 대한 ”ㄱㅌ“를 받은 개발행위가
”도시군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3개의 경우가
도시군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통령령에 따라
”관계행정기관의 장“에게 중앙,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도록
”요청“할 수 있다. +심의가 필요한 ㅅㅇ를 ㅁㅅ하여야한다.

*요청받은 자가
관계행정기관의 장인 경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지방행정기관의 장인 경우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를 받아야한다.

A

[국토교통부장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중앙,지방도시계획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하는 경우]
=도시군계획에 개발행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1.지구단위계획, 성장관리계획구역으로 수립한 지역에서 진행되는 개발행위가
2.환경영향평가법-환경영향평가를 받은 개발행위가
3.도시교통정비촉지법-교통영향평가에 대한 ”검토“를 받은 개발행위가
”도시군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3개의 경우가
도시군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통령령에 따라
”관계행정기관의 장“에게 중앙,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받도록
”요청“할 수 있다. +심의가 필요한 사유를 명시하여야한다.

*요청받은 자가
관계행정기관의 장인 경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지방행정기관의 장인 경우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를 받아야한다.

24
Q

[개발행위에 대한 이행보증금의 예치를 하여야하는 경우]

1.개발행위로 인한 ㄷㄹ,ㅅㄷㄱㄱ설비,ㅎㅅㄷ등 “ㄱㅂㅅㅅ의 ㅅㅊ”가 필요한 경우
2.“토지의 ㄱㅊ”으로 인해 “인근 ㅌㅈ의 붕괴 우려, ㄱㅊㅁ,ㄱㅈㅁ 손괴우려”가 있는 경우
3.“토지의 ㅂㅍ”로 인한 “ㄴㅅ,ㅁㅈ”등에 의해 인근지역에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4.“토석운반ㅊㄹ의 ㅌㅎ”으로 인한 “통행로 주변의 ㅎㄱㅇㅇ이 우려되는 경우”
5.토지의 ____,____완료 후 , “비탈면에 조경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A

[개발행위에 대한 이행보증금의 예치를 하여야하는 경우]

1.개발행위로 인한 도로,수도공급설비, 하수도 등 기반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2.“토지의 굴착”으로 인해 “인근 토지의 붕괴 우려, 건축물,공작물 손괴우려”가 있는 경우
3.“토지의 발파”로 인한 “낙석,먼지”등에 의해 인근지역에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4.“토석운반차량의 통행”으로 인한 “통행로 주변의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경우”
5.토지의 형질변경,토석채취 완료 후 , “비탈면에 조경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25
[개발행위에 대한 이행보증금을 예치하지 않는 자 3명] 1.ㄱㄱ,ㅈㅂㅈㅊㄷㅊ가 시행하는 개발행위 2.공공기관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ㄱㄱ이 시행하는 개발행위 3.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 공공ㄷㅊ가 시행하는 개발행위 는 이행보증금을 예치하지 않는다.
[개발행위에 대한 이행보증금을 예치하지 않는 자 3명] 1.국가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개발행위 2.공공기관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이 시행하는 개발행위 3.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 공공단체가 시행하는 개발행위 는 이행보증금을 예치하지 않는다.
26
[이행보증금 예치의 원칙] 기반시설의 설치, 그에따른 용지의 확보, 환경오염방지, 위해방지, 경관,조경등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위의 이행을 보증하게 하기 위해 허가받은자에게 이행보증금을 예치하게 할 수 있다. (타법률에 따라 협의된 개발행위의 허가, 승인, 인가 등을 포함한다) 1.현금납입이 원칙이되 국가,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보증서” ㅎㄱㄱㅎㄱㅇㄱㄷ이 발행한 “이행보증서”등으로 갈음할 수 있다. *금액산정, 예치방법 등은 특별시 ~시,군의 ㅈㄹ로 정한다. *기반시설확보 ~조경에 필요한 비용의 범위내에서 “총 공사비의 __%이내”의 금액을 예치 **산지에서의 개발행위의 경우** -산지관리법에 따른 복구비를 합하여 총공사비의 __%이내가 되도록한다. -이행보증금의 예치금액은 “산지관리법의 복구비용을 포함”하되, 복구비가 이행보증금과 ㅈㅂㄱㅅ되지 않도록 한다.
[이행보증금 예치의 원칙] 기반시설의 설치, 그에따른 용지의 확보, 환경오염방지, 위해방지, 경관,조경등을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위의 이행을 보증하게 하기 위해 허가받은자에게 이행보증금을 예치하게 할 수 있다. (타법률에 따라 협의된 개발행위의 허가, 승인, 인가 등을 포함한다) 1.현금납입이 원칙이되 국가,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의한 “보증서” 한국광해공업공단이 발행한 “이행보증서”등으로 갈음할 수 있다. *금액산정, 예치방법 등은 특별시 ~시,군의 조례로 정한다. *기반시설확보 ~조경에 필요한 비용의 범위내에서 “총 공사비의 20%이내”의 금액을 예치 **산지에서의 개발행위의 경우 -산지관리법에 따른 복구비를 합하여 총공사비의 20%이내가 되도록한다. -이행보증금의 예치금액은 “산지관리법의 복구비용을 포함”하되, 복구비가 이행보증금과 중복계상되지 않도록 한다.
27
[개발행위 토지에 대한 원상회복명령] 1.___________않고 개발행위를 하는 경우 2._________다르게 개발행위를 하는 경우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그 토지의 원상회복을 명할 수 있다. *원상회복을 명하는 경우 “ 국토교통부령”에 따라 구체적인 “ㅈㅊㄴㅇ,ㄱㄱ 등”을 “__으로 __“하여야 한다. *원상회복명령 불복시 “행정대집행법에 따른ㅎㅈㄷㅈㅎ”으로 토지를 원상회복 할 수 있다. *행정대집행으로 인해 토지를 원상복구하는 경우 ㅂㄱㅂㅇ은 개발행위허가받은 자의 ㅇㅎㅂㅈ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잔액이 있는 경우 즉시 반환하여야 한다.
[개발행위 토지에 대한 원상회복명령] 1.개발행위허가를 받지 않고 개발행위를 하는 경우 2.허가 내용과 다르게 개발행위를 하는 경우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그 토지의 원상회복을 명할 수 있다. *원상회복을 명하는 경우 “ 국토교통부령”에 따라 구체적인 “조치내용,기간 등”을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원상회복명령 불복시 “행정대집행법에 따른 행정대집행”으로 토지를 원상회복 할 수 있다. *행정대집행으로 인해 토지를 원상복구하는 경우 복구비용은 개발행위허가받은 자의 이행보증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잔액이 있는 경우 즉시 반환하여야 한다.
28
[이행보증금의 반환시기] 이행보증금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_______때“에는 즉시 이를 ”반환“하여야 한다.
[이행보증금의 반환시기] 이행보증금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준공검사를 받은 때“에는 즉시 이를 ”반환“하여야 한다.
29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하는 지역]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할 수 있는 자 :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시장.군수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하고자 하는 자가 _________인 경우 :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하고자 하는 자가__________인경우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를 거쳐 한 차례만 _년동안 개발행위의 허가를 제한할 수 있다. 1.한 차례 3년만 가능한 지역 + 중앙,지방도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하는 경우 -ㄴㅈ지역, ㄱㄹ지역 : 수목의 집단성장지역,조수류 집단서식지역, 우량농지보전필요지역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경관,미관,국가유산의 “ㅇㅇ”이 우려되는 지역 2.한 차례 3년 +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고 2년추가 가능지역[총5년] -ㅈㄱㄷㅇ계획구역,ㄱㅂㅅㅅ부담구역 -도시군기본,관리계획이 수립되어있는 지역으로 용도지역,지구,구역의 변경/개발행위 허가기준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가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을 지정하는 경우, 미리 관할구역의 “______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 지정시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시장.군수는 제한ㅈㅇ,제한ㅅㅇ,제한ㄷㅅㅎㅇ, 제한ㄱㄱ을 미리 고시하여야 한다.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하는 지역]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할 수 있는 자 :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시장.군수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하고자 하는 자가 국토교통부장관인 경우 :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하고자 하는 자가 시.도지사,시장.군수인경우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 를 거쳐 한 차례만 3년동안 개발행위의 허가를 제한할 수 있다. 1.한 차례 3년만 가능한 지역 + 중앙,지방도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하는 경우 -녹지지역, 관리지역 : 수목의 집단성장지역,조수류 집단서식지역, 우량농지보전필요지역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경관,미관,국가유산의 “오염”이 우려되는 지역 2.한 차례 3년 +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고 2년추가 가능지역[총5년] -지구단위계획구역,기반시설부담구역 -도시군기본,관리계획이 수립되어있는 지역으로 용도지역,지구,구역의 변경/개발행위 허가기준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가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을 지정하는 경우, 미리 관할구역의 “시장,군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 지정시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시장.군수는 제한지역,제한사유,제한대상행위, 제한기간을 미리 고시하여야 한다.
30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의 해제] *개발행위 허가 제한구역의 “개발행위를 제한할 사유가 없어진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시장.군수는 “그 제한기간이 끝나기 전이라도 지체없이 개발행위허가제한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 경우, “ㅎㅈㅈㅇ,ㅎㅈㅅㄱ”를 고시하여야 한다.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 지정&해제 시] 국토교통부장관 = 관보,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 시도지사, 시장군수=ㅈㅂㅈㅊㄷㅊ 공보, 홈페이지 게시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의 해제] *개발행위 허가 제한구역의 “개발행위를 제한할 사유가 없어진 경우”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시장.군수는 “그 제한기간이 끝나기 전이라도 지체없이 개발행위허가제한을 해제하여야 한다” 이 경우, “해제지역, 해제시기”를 고시하여야 한다.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 지정&해제 시] 국토교통부장관 = 관보,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 시도지사, 시장군수=지방자치단체 공보, 홈페이지 게시
31
[도시군계획시설 부지에서의 개발행위 허가조건] 특별시장 ~시장 군수는 “도시군계획시설의 설치장소로 결정된 지상,수상,공중,지하에“ 도시군계획시설이 아닌 건축물의 “건축, 공작물의 설치”를 허가하여서는 안 된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제외)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 고시일부터 _년이 지날 떄 까지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도시군계획시설의 부지에 대하여 1.ㄱㅅ건축물의 건축과 그에 필요한 ㅌㅈ의 ㅎㅈㅂㄱ 2.“도시군계획시설 설치에 지장이 없는 ”“ㄱㅈㅁ의 설치”와 그에 필요한 토지의 형질변경 3.건축물의. “ㅈㅊ,ㄱㅊ”과 이에 필요한 토지의 형질변경 의 개발행위를 허가할 수 있다.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이 시행되기 _개월 전 원상회복 명령을 명할 수 있고 가설건축물, 공작물의 소유자 부담으로 철거한다.(원상회복이 필요 없는 경우는 제외한다) 원상회복 명령 불복시 행정대집행법에 의해 철거한다.
[도시군계획시설 부지에서의 개발행위 허가조건] 특별시장 ~시장 군수는 “도시군계획시설의 설치장소로 결정된 지상,수상,공중,지하에“ 도시군계획시설이 아닌 건축물의 “건축, 공작물의 설치”를 허가하여서는 안 된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제외)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 고시일부터 2년이 지날 떄 까지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도시군계획시설의 부지에 대하여 1.가설건축물의 건축과 그에 필요한 토지의 형질변경 2.“도시군계획시설 설치에 지장이 없는 ”“공작물의 설치”와 그에 필요한 토지의 형질변경 3.건축물의. “재축,개축”과 이에 필요한 토지의 형질변경 의 개발행위를 허가할 수 있다.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이 시행되기 3개월 전 원상회복 명령을 명할 수 있고 가설건축물, 공작물의 소유자 부담으로 철거한다.(원상회복이 필요 없는 경우는 제외한다) 원상회복 명령 불복시 행정대집행법에 의해 철거한다.
32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 지정자 : 특별시장 ~시장,군수 지정구역 : 도시구역의 “__,__,___지역”으로서 “개발행위로 기반시설의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반시설의 설치가 ____지역” 을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하려면 “_______ 심의”를 거쳐야 한다. (________ 심의내용 : 개발밀도관리구역의 명칭,범위, 건폐율&용적률) *개발밀도 관리구역에서의 건폐율&용적률 “ㄱㅎ”범위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건페율, 용적률을 “강화적용”한다 (해당용도지역의 용적률 최대한도의 ___%)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변경 시 지방자치단체의 공보, 해당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게재,고시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 지정자 : 특별시장 ~시장,군수 지정구역 : 도시구역의 “주거,상업,공업지역”으로서 “개발행위로 기반시설의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 을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개발밀도관리구역으로 지정하려면 “지방도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지방도시위원회의 심의내용 : 개발밀도관리구역의 명칭,범위, 건폐율&용적률) *개발밀도 관리구역에서의 건폐율&용적률 “강화”범위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범위에서 건페율, 용적률을 “강화적용”한다 (해당용도지역의 용적률 최대한도의 50%)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변경 시 지방자치단체의 공보, 해당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게재,고시
33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기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지정기준] -1.도시의 “주거,상업,공업”지역에서 “도로,수도,하수도,학교 등의”기반시설의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ㄱㅂㅅㅅ의 ㅅㅊ가 ㄱㄹ한 지역으로서 하위의 조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지정할 것 *당해지역의 “ㄷㄹㅅㅂㅅ수준이 매우 낮아 , 차량통행이 현저하게 지체되는 지역” (도로서비스 수준의 측정 : 도시교통정비촉진법-“교통영향평가”에 따른다) *당해지역의 “ㄷㄹㅇ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용도지역별 도로율의 __%이상 미달하는 지역” *향후 2년내에 -”지역의 ㅅㄷ량“이 수도시설의 용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지역의 ㅎㅅㅂㅅ량”이 하수시설의 용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지역의 ㅎㅅ수”가 학교수용능력의__%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2. 개발밀도구역의 ㄱㄱ는 도로,하천,그 밖의 지역의 특색, 용도지역의 경계선에 따라 결정하는 등 “ ㄱㄱㅅ이 분명하게 ㄱㅂ되도록 할 것”
[지정기준] -1.도시의 “주거,상업,공업”지역에서 “도로,수도,하수도,학교 등의”기반시설의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으로서 하위의 조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지정할 것 *당해지역의 “도로서비스수준이 매우 낮아 , 차량통행이 현저하게 지체되는 지역” (도로서비스 수준의 측정 : 도시교통정비촉진법-“교통영향평가”에 따른다) *당해지역의 “도로율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용도지역별 도로율의 20%이상 미달하는 지역” *향후 2년내에 -”지역의 수도량“이 수도시설의 용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지역의 하수발생량”이 하수시설의 용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지역의 학생수”가 학교수용능력의2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2. 개발밀도구역의 경계는 도로,하천,그 밖의 지역의 특색, 용도지역의 경계선에 따라 결정하는 등 “ 경계선이 분명하게 구분되도록 할 것”
34
[개발밀도관리구역의 관리방법-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1.ㅇㅈㄹ의 _____는 기반시설의 부족정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것 2.개발밀도관리구역의 “ 기반시설 ㅂㅎ를 주기적으로 ㄱㅌ”하여 “____을 강화,완화”하거나 “_____해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것
[개발밀도관리구역의 관리방법-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1.용적률의 강화범위는 기반시설의 부족정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것 2.개발밀도관리구역의 “ 기반시설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용적률을 강화,완화”하거나 “개발밀도관리구역을 해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것
35
[기반시설 부담구역의 의의]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의 지역으로, 기반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구역 [기반시설 부담구역에 설치하여야 하는 기반시설의 종류] 도로,수도,하수도,대학교제외 학교, 재활용 및 폐기물 처리시설, ㄱㅇ,ㄴㅈ
[기반시설 부담구역의 의의]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의 지역으로, 기반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구역 [기반시설 부담구역에 설치하여야 하는 기반시설의 종류] 도로,수도,하수도,대학교제외 학교, 재활용 및 폐기물 처리시설, 공원, 녹지
36
[기반시설설치비용 부과대상] *******빈출 ********* 기반시설 부담구역에서 단독주택 및 숙박시설 등 ___m2을 초과하는 건물의 ㅅㅊ,ㅈㅊ행위. 다만, 건물철거 후 신축하는 경우 기존건물의 _____을 초과하는 건축행위 부과대상으로 한다.
[기반시설설치비용 부과대상] *******빈출 ********* 기반시설 부담구역에서 단독주택 및 숙박시설 등 200m2을 초과하는 건물의 신축, 증축행위. 다만, 건물철거 후 신축하는 경우 기존건물의 연면적을 초과하는 건축행위 부과대상으로 한다.
37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자 및 지정지역] 지정자 : 특별시장 ~ 군수 지정대상지역 :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의 지역으로 기반시설 부담구역 1.전년도 ㄱㅂㅎㅇㅎㄱ건수가 전전녀도 대비 20% 증가지역 2.인구증가율이 전년도 대비 20% 높은 지역 (**광역시 내 군 제외) *특별시장 ~시장 군수는 개발밀도 관리구역을 지정하려면 미리 주민의 의견을 듣고,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하여야한다. (***______의견 청취 x) *개발밀도 관리구역의 지정, 변경시 ”명칭, 위치,면적,지정일자, 관계도서 열람방법“을 공보, 홈페이지에 게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자 및 지정지역] 지정자 : 특별시장 ~ 군수 지정대상지역 : 개발밀도관리구역 외의 지역으로 기반시설 부담구역 1.전년도 개발행위허가 건수가 전전녀도 대비 20% 증가지역 2.인구증가율이 전년도 대비 20% 높은 지역 (광역시 내 군 제외) *특별시장 ~시장 군수는 개발밀도 관리구역을 지정하려면 미리 주민의 의견을 듣고,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하여야한다. (***지방의회의견 청취 x) *개발밀도 관리구역의 지정, 변경시 명칭, 위치,면적,지정일자, 관계도서 열람방법을 공보, 홈페이지에 게시
38
[기반시설설치계획 수립내용] 1.설치가 필요한 기반시설의 ㅈㄹ,ㅇㅊ,ㄱㅁ 2.기반시설의 설치,ㅇㅅㅅㅇ, 단계별 설치계획 3.그 밖의 기반시설 설치에 필요한 사항 [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1.기반시설의 배치 -ㅌㅈ이용계획, 향후 ㅇㅅㄱㅂㅅㅇ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할 것 2.기반시설의 설치시기 -“ㅈㅇ조달계획, 시설별ㅇㅅㅅㅇ, 사용자편의,개발행위완료ㅅㄱ”를 고려할 것
[기반시설설치계획 수립내용] 1.설치가 필요한 기반시설의 종류.위치,규모 2.기반시설의 설치,우선순위, 단계별 설치계획 3.그 밖의 기반시설 설치에 필요한 사항 [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1.기반시설의 배치 -토지이용계획, 향후 예상 개발수요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할 것 2.기반시설의 설치시기 -“재원조달계획, 시설별우선순위, 사용자편의,개발행위완료시기”를 고려할 것
39
[기반시설부담구역의 규모] 1.기반시설의 배치가 적절하게 될 수 있도록 ”__만m2이상의 규모“가 되도록 할 것. 2.”ㅅㄱㅁ 개발행위“가 연접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의 단위구역으로 묶어서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정할 것 3.”기반시설 부담구역의 ㄱㄱ“는 경계선이 분명하게 구분되도록 할 것
[기반시설부담구역의 규모] 1.기반시설의 배치가 적절하게 될 수 있도록 ”10만m2이상의 규모“가 되도록 할 것. 2.”소규모 개발행위“가 연접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의 단위구역으로 묶어서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정할 것 3.”기반시설 부담구역의 경계“는 경계선이 분명하게 구분되도록 할 것
40
[기반시설 부담구역의 지정] *시장,군수는 기반시설 부담구역의 지정 시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 ”하여야하며 , 이를 “도시군ㄱㄹ계획”에 반영하여야한다. *시장,군수는 개발밀도 관리구역을 지정하려면, 미리 ____을 들어야하며,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____의견x) *ㅈㄱㄷㅇ계획을 수립한 경우, 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본다.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ㄱㅅ일부터 _년이 되는날의 다음날까지 기반시설설치ㄱㅎ을 ㅅㄹ하지 않으면, _년이 되는날의 다음날 기반시설 부담구역은 ㅎㅈ된 것으로 본다.
[기반시설 부담구역의 지정] *시장,군수는 기반시설 부담구역의 지정 시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 ”하여야하며 , 이를 “도시군관리계획”에 반영하여야한다. *시장,군수는 개발밀도 관리구역을 지정하려면, 미리 주민의 의견을 들어야하며,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지방의회의견x)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한 경우, 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본다.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고시일부터 1년이 되는날의 다음날까지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지 않으면, 1년이 되는날의 다음날 기반시설 부담구역은 해제된 것으로 본다.
41
[성장관리계획구역목적 : 난개발 방지, 계획적인 개발유도] 대상지역 : ㄴㅈ지역,ㄱㄹ지역,ㄴㄹ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중 하위에 해당하는 지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성장관리계획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1,ㄱㅂㅅㅇ가 많아 무질서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구역 2.향후 ㅅㄱㅎ과 예상되는 구역( by. ㅌㅈ이용,ㄱㅌㅇㄱ의 변화) 3.주변지역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 4.그 밖의 난개발 방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통령령지역 4-1.ㅇㄱ감소,ㄷㅅㅅㅈ정체 등 압축적, 효율적 ”ㄷㅅㅅㅈㄱㄹ가 필요한 지역“ 4-2.ㄱㅈ 등 입지ㅂㄹ를 통해 “쾌적한 ㅈㄱ환경 조성이 필요한 지역” 4-3.난개발 방지,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서 “특별시 ~시군 ”ㅈㄹ“”로 정하는 지역
[성장관리계획구역목적 : 난개발 방지, 계획적인 개발유도] 대상지역 : 녹지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중 하위에 해당하는 지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성장관리계획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1,개발수요가 많아 무질서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구역 2.향후 시가화과 예상되는 구역( by. 토지이용, 교통여건의 변화) 3.주변지역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 4.그 밖의 난개발 방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통령령지역 4-1.인구감소, 경제성장정체 등 압축적, 효율적 ”도시성장관리가 필요한 지역“ 4-2.공장 등 입지분리를 통해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이 필요한 지역” 4-3.난개발 방지,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서 “특별시 ~시군 ”조례“”로 정하는 지역
42
[성장관리계획구역]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성장관리구역을 지정, 변경하려면 1.미리 ㅈㅁ,ㅇㅎ의 의견을 들어야하며 2.관계 행정기관과 협의 후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한다.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변경 시 고시내용] 1.성장관리계획구역의 지정,변경ㅁㅈ, ㅇㅊ 및 ㄱㄱ, ㅁㅈ 및 ㄱㅁ
[성장관리계획구역] *특별시장 ~시장,군수는 성장관리구역을 지정, 변경하려면 1.미리 주민, 의회의 의견을 들어야하며 2.관계 행정기관과 협의 후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한다.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변경 시 고시내용] 1.성장관리계획구역의 지정,변경목적, 위치 및 경계, 면적 및 규모
43
[성장관리계획구역의 계획수립내용] *기출 1.도로,공원 등 기반시설의 ㅂㅊ,ㄱㅁ 2.건축물의 ㅇㄷ제한, 건폐율,용적률 3.건축물의 ㅂㅊ,ㅎㅌ,ㅅㅊ,ㄴㅇ 4.환경,경관계획 5.성장관리구역 내 ㅌㅈㄱㅂ이용,기반시설, 생활환경등의 ㅎㅎ 및 ㅁㅈㅈ 6.난개발 방지, 체계적인 관리에 관한 도시군 “__”로 정하는 사항 [건폐율완화적용] -계획관리지역:__%이하 -자연녹지,생산녹지,생산관리지역,농림지역 : __%이하 [용적률완화적용] -계획관리지역 :___%이하의 범위 내에서 시.군 조례로 정하는 비율까지 용적률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성장관리계획구역의 계획수립내용] *기출 1.도로,공원 등 기반시설의 배치, 규모 2.건축물의 용도제한, 건폐율,용적률 3.건축물의 배치,형태,색채,높이 4.환경,경관계획 5.성장관리구역 내 토지개발이용,기반시설, 생활환경등의 현황 및 문제점 6.난개발 방지, 체계적인 관리에 관한 도시군 “조례”로 정하는 사항 [건폐율완화적용] -계획관리지역:50%이하 -자연녹지,생산녹지,생산관리지역,농림지역 : 30%이하 [용적률완화적용] -계획관리지역 :125%이하의 범위 내에서 시.군 조례로 정하는 비율까지 용적률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