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이론적 접근 Flashcards
(4 cards)
전통주의 - 기본입장
1.객관주의 : 지식은 과학적 탐구결과 생성된 것이므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전제
2.교육과정의 개발에 관심 : 교육목표를 수업의 결과 학생에게서 나타나게 해야 할 객관적 변화라고 규정하고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지식들 중에서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교육과정의 개발에 더 많은 관심을 둔다.
3.기술공학적 논리- 효율성의 논리 추구
학교의 교육과정은 보편적이고 객관적 지식들 중에서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것만을 선정하여 제시된 것
교사는 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미리 마련된 기준에 의해 학생들의 성취도를 판단하는 데 주력하면 된다고 주장
교육과정 재개념주의-개관
실존주의, 현상학, 신 마르크스 주의에 영향을 받아
지식이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을 선정하는 특정 사회나 계층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 교육과정
특정한 사회나 계층의 입장을 반영한 것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 특징
- 전통주의 교육과정 이론 비판
- 교육과정은 특정한 사회나 계층의 입장을 반영한 것인데 전통주의 교육가정이론에서는 교육과정을 선정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학생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고 비판.
2.교육과정의 이해에 관심 - 교육과정 재개념화 추구
-전통주의자들은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무엇을, 언제, 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와 같은 교육과정의 개발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고 비판
-‘학교에서 어떤 내용을 언제, 왜 , 어떤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데 일차적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
즉, 기존의 교육과정의 논의들을 재개념화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