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경영기법 Flashcards
(4 cards)
목표관리제 - 의의
목표관리제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교육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역할을 분담하여 노력하고 그 성과에 대해 평가하고 보상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영기법이다.
목표관리기법의 특징
1)교직원의 공동참여 - 목표 설정
:목표관리제에서는 교장과 교사들이 합동으로 목표를 결정한다. 이러한 점에서 목표관리는 민주적 학교 경영과 통하는 참가적 경영형태이다.
2)구체적 목표 설정
3)교직원의 합의 - 책임 영역의 명료화
:학교의 목표는 구성원들의 합의로 결정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명료하게 진술되어야 한다.
4)자기통제를 통한 목표의 도달 노력
: 목표설정에 있어 모든 교직원이 참가하여 이를 명료화하는 과정을 통해 모든 교직원은 그 성과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게 된다.즉, 교직원의 자기평가와 자기통제를 통해 목표를 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한다.
5)목표에 따른 자원 및 예산 배분
:목표관리는 기획예산제도의 경우와 같이 목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목표별로 또는 목표달성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별로 예상되는 사업비용을 배분한다.
6)성과 측정 및 평가 - 보상
:정해진 기준에 따라 자체적으로 부서의 활동과 각 구성원의 기여도를 측정하고 평가한 다음 이를 보상한다.
목표관리의 효과
1)목표에 집중 - 교육의 효율성 제고
:모든 학교교육 활동을 교육목표에 집중시킴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2)역할 갈등의 해소
:목표와 책임에 대한 며료한 설정으로 교직원들의 역할 갈등을 해소하고 학교관리의 문제나 장애를 조기에 발견, 치유할 수 있다.
3)학교운영의 분권화와 참여관리 - 학교의 관료화 방지
:학교운영의 분권화와 참여관리를 통해 학교의 관료화 방지하고 교직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다.
목표관리기법의 한계와 난점
1)단기적,구체적 목표 강조 - 장기적, 전인적 목표에 부적합
:목표에 대한 지나친 중시와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목표에 대한 강조 때문에 / 장기적이고 전인적인 목표를 내세우는 학교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2)교원의 업뭅담 가중
:목표설정과 성과보고 등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교직원들의 잡무부담 가중과 불만의 원인이 되기 쉽다.
3)계량적 교육목표 설정 - 질적인 교육 저해
:측정 가능하고 계량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여 질적인 교육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