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모형 Flashcards

(16 cards)

1
Q

의사결정의 이론 모형 - 합리성 모형

A

1) 인간은 이성을 가진 존재 : 인간은 이성을 가진 존재로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2) 문제의 완벽한 파악 가능 : 의사결정자는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상호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어 제기된 문제의 성격을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다.
3) 모든 가능한 대안 탐색,비교 검토 : 문제해결을 위한 모든 가능한 대안들을 탐색하고 제시한다. 각 대안으로부터 발생될 모든 결과(비용, 수익, 효과, 상황 등)가 예측되고, 각 대안과 그 결과들이 비교된다.
4) 최선의 대안 선택 : 의사결정자는 목표나 가치를 극대화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최선인 대안을 찾을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의사결정의 이론 모형 - 사이몬과 마치의 만족 모형

A

1) 제한적 합리성 전제: 만족 모형은 의사결정 시 부족한 자원, 불충분한 정보, 불확실한 상황 등으로 인해 합리성에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고 제한적 합리성을 전제한다.
2) 만족스러운 결정이 최선 : 최선의 결정은 절대적 의미에서 최고가 아니라 만족스러운 상태의 것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의사결정의 이론 모형 - 린드블룸의 점증혀모형

A

1) 현 정책보다 약간 향상된 정책에 관심 : 의사결정자는 모든 대안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기 보다는 현 정책ㅂ다 약간 향상된 정책에만 관심을 갖는다.
2) 기존 정책 점진적 개선 가능한 대안 선택 : 의사결정은 기존의 정책을 토대로 이를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대안을 찾는 선에서 이루어진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의사결정의 이론 모형 -에찌오니의 혼합모형

A

1)합리성 모형과 점증모형 결합 : 합리성 모형의 이상주의와 점증주의 모형의 보수주의를 비판하고, 이 두 모형의 장점을 결합하고자 했다.

2)기본방향 설정- 합리성 모형, 문제해결 - 점증 모형 적용
:기본방향의 설정에는 합리성 모형을 적용하고 방향설정 후 특정한 문제해결은 점증주의 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즉, 기본적인 방향과 관련된 부분은 광범위하게 포괄적으로 검토하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기존의 정책을 토대로 점진적인 개선책을 찾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의사결정의 이론 모형 - 코헨과 마치의 쓰레기통 모형

A

1)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의 의사결정 모형 : 이 모형은 교육조직을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으로 보는 코헨과 마치 등이 주장한 모형이다.
2) 의사결정 요소 - 우연히 한 곳에 모일 때 - 결정이 이루어짐 : 교육의 목표,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 등이 분명치 않고, 구성원들의 이동이 많은 조직에서 문제, 해결책, 선택기회, 참여자의 네 가지 요소가 독자적으로 움직이다가 우연히 마주치게 될 때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3)의사결정 - 주먹구구식임을 강조
:의사겨렂ㅇ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쓰레기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의사소통 모형 - 드로의 최적 모형

A

1)점증형 비판 - 대안으로 제시
:최적모형은 드로가 점증주의 모형의 타성적이고 현실안주적인 성격을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2)직관, 통찰, 상상력 등 초합리적 판단 - 의사결정에 영향
:의사결정은 합리적인 고려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 판단, 통찰, 상상력 등과 같은 초합리적인 판단과 함께 이루어진다.

3)최적의 선택 - 목표에 도움이 되는 가장 바람직한 것
:최적의 선택이란 모든 것을 고려하되, 가장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주어진 목표에 도움이 되는 가장 바람직한 상태를 의미한다.

4)합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비합리적 요소도 활용
:그래서 의사결정 시 합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직관적 판단이나 상상력과 같은 비합리적 요소 또한 활용하여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게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수용영역

A

1)수용영역 - 구성원이 어떤 결정이든 수용하는 영역
: 수용영역이란 구성원이 의사결정 결과에 대해 아무런 관심이 없어 상급자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지 아무런 의심 없이 그 결정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말한다.

2)수용영역 밖의 사항 - 구성원을 의사결정에 참여
:행정가는 의사결정의 사안이 수용영역 내에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교사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키지 않고, 수용영역 밖에 있는 사항에 대해서 참여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참여수준의 결정 기준

A

적절성, 전문성, 신뢰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참여수준의 결정 기준 - 적절성

A

구성원이 의사결정결과에 대해 개인적으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의 여부, 즉 의사결정결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참여수준의 결정 기준 - 전문성

A

구성원들이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검토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참여수준의 결정 기준 - 신뢰도

A

구성원들의 개인적 목표가 조직의 목표와 갈등을 일으키는 지의 여부를 검토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상황에 따른 참여 방식

A

하급자들은 개인적 이해를 가지고 있는가?

하급자들은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1상황 : 수용영역 밖
2상황 ; 최소한의 전문지식
3상황 : 최소한의 관련성
4상황 : 수용영역 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상황에 따른 참여 방식 - 1상황

A

구성원들이 개인적 이해관계와 전문적 지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1)민주적 상황 - 신뢰성, 적절성, 전문성 모두 존재 - 적극적 참여 유도 - 전원 합의 혹은 다수결에 의한 결정 여부가 쟁점
:하위자들이 조직의 이익이 최고로 실현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고 신뢰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 경우에는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이 상황에서의 유일한 쟁점은 의사결정이 합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는가, 아니면 다수결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2)갈등적 상황 - 전문성과 적절성 존재하나 신뢰성이 없는 경우 - 제한적 참여 :구성원들에 대한 신뢰가 없는 경우, 즉 개인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가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참여를 시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상황에 따른 참여 방식 - 2상황

A

2상황(이해관계자 상황) - 제한적 참여

:구성원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해관계가 없는 경우이다. 구성원들은 의사결정에 때때로 참여하고 참여 정도는 제한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상황에 따른 참여 방식 - 3상황

A

3상황(이해관계자 상황) -제한적 참여
:구성원들이 의사결정 사항에 대해 개인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전문성이 거의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구성원들의 참여는 제한된다. 참여자들이 결정에 기여할 수 잇는 전문성을 가지지 못할 경우 조직의 의사결정은 전문가가 내리게 되므로 참여자들이 좌절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호이와 타터의 의사결정 모형 - 상황에 따른 참여 방식 - 4상황

A

4상황(비협력적 상황) - 참여시키지 않음

:구성원들이 이해관계나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디ㅏ. 이 경우는 수용영역 내에 있으므로 참여시킬 필요가 없다.